KR101766361B1 - 그림자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그림자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361B1
KR101766361B1 KR1020160054662A KR20160054662A KR101766361B1 KR 101766361 B1 KR101766361 B1 KR 101766361B1 KR 1020160054662 A KR1020160054662 A KR 1020160054662A KR 20160054662 A KR20160054662 A KR 20160054662A KR 101766361 B1 KR101766361 B1 KR 101766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bottom plate
present
illumination uni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치환
Original Assignee
황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치환 filed Critical 황치환
Priority to KR102016005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는, 상면에 요철물이 마련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상기 요철물의 그림자가 생성되도록 상기 요철물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를 이용하면, 바닥판에 구비된 요철물에 빛을 조사하여 그림자를 생성시킬 수 있고,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 그림자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바닥판에 구비되는 요철물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그림자를 생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그림자 생성장치 {Shadow output device}
본 발명은 바닥판에 구비된 요철물의 그림자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요철물에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조명을 인가하여 다양한 패턴의 그림자를 생성시킬 수 있는 그림자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미술의 장르가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미(美)를 표현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그림자를 이용한 예술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뒤편에 조사대상물을 위치시킨 후 상기 물체의 후방에서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그림자가 생성되도록 하는 표현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그림자 예술은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스크린에 그림자를 생성하도록 활용되는바, 관람자는 조사대상물은 직접 보지 못하고 그림자만을 볼 수 있으므로 표현 방식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스크린 뒤에 위치하는 조사대상물의 색상이나 입체적인 형상이 관람자에게 보이지 아니하는바, 조사대상물을 이용한 예술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그림자 예술은 그림자를 스크린에 생성시켜야 하는바, 조사대상물에 조명을 인가하는 조명장치의 위치가 조사대상물의 후방으로 한정된다는 단점 즉, 다양한 패턴의 그림자를 생성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KR 20-0424883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바닥판에 구비된 요철물에 빛을 조사하여 그림자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 그림자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바닥판에 구비되는 요철물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그림자를 생성시킬 수 있는 그림자 생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는, 상면에 요철물이 마련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상기 요철물의 그림자가 생성되도록 상기 요철물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며, 상기 조명유닛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장착공을 다수 개 구비하는 벽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상면에는 다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조명유닛이 결합되는 결합봉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중 좌우측과 후방에 각각 세워지는 셋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수평으로 연장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셋 이상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판의 중심을 향하는 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체결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체결슬롯에 삽입되는 체결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슬롯을 관통한 체결볼트의 끝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체결볼트를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평프레임은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된다.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상기 요철물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물과 상기 조명유닛 사이에 세워지는 스크린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를 이용하면, 바닥판에 구비된 요철물에 빛을 조사하여 그림자를 생성시킬 수 있고,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 그림자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바닥판에 구비되는 요철물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그림자를 생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바닥판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 제5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는, 상면에 요철물(110)이 마련되는 바닥판(100)과, 상기 요철물(110)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2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에 상기 요철물(110)의 그림자(S)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바닥판(100)의 상면에 마련되는 요철물(110)의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서 자신이 원하는 형상으로 미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닥판(100) 상에 마련되는 요철물(110)의 형상 및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요철물(110)은, 특정한 의미를 갖는 구상(具象)으로 제작되거나 특성 및 속성을 추출한 추상(抽象)으로 제작될 수 있고, 불투명 재료로 제작되거나 투명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요철물(110)이 투명도를 갖는 경우, 그림자(S)의 형상뿐만 아니라 색상까지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미를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요철물(110)은 조명유닛(200)의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이 일정 수준의 반사율을 갖는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철물(110)이 볼록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요철물(110)은 바닥판(100)의 상면보다 오목한 형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요철물(110)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요철물(110)에 빛이 인가될 때 요철물(110)의 내벽에 그림자가 형성되는바, 또 다른 느낌의 미를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요철물(110)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200)은, 상기 요철물(110) 측으로 발광할 수만 있다면 할로겐이나 LED, 백열구 등 어떠한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유닛(200)은 백색광뿐만 아니라 다양한 컬러의 빛을 발광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는 바닥판(100) 상에 생성되는 그림자(S)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유닛(200)의 장착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는, 상기 바닥판(100)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되 상기 조명유닛(200)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장착공(310)을 다수 개 구비하는 벽체(3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벽체(300)는 하나의 바닥판(100)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바닥판(100)에 둘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명유닛(200)이 벽체(300)의 각 부위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요철물(110)에 인가되는 빛의 조사방향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그림자 생성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300)에 복수 개의 장착공(310)이 상하로 배열되면, 사용자는 조명유닛(200)의 장착높이까지 조절할 수 있는바, 그림자(S)의 길이 및 형상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패턴으로 미를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다수 개의 장착공(310)이 형성된 벽체(300)가 세워지면, 요철물(110)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200)의 개수를 둘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으므로, 하나의 요철물(110)에 둘 이상의 그림자가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조명유닛(200)이 장착되는 구성요소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300)로 선정되면, 상기 조명유닛(200)의 빛이 벽체(300)에 반사되어 상기 요철물(110)에 간접광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지 아니하는 간접그림자가 생성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는 관람자가 그림자를 여러 방향에서 볼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조명유닛(200)이 벽체(30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벽체(300)가 관람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는 조명유닛(200)이 장착되는 구성요소가 수직으로 세워진 결합봉(4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100)의 가장자리 상면에는 다수 개의 삽입공(120)이 형성되는바, 사용자는 바닥판(100)에 형성된 삽입공(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봉(400)의 하단을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조명유닛(200)을 일정 높이 및 일정 방향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명유닛(200)이 결합봉(400)에 결합되면, 요철물(110)에 반사광이 인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관람자가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의 어느 방향에 위치한다 하더라도 관람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유닛(200)이 결합봉(40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결합봉(400)을 수직방향 중심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명유닛(200)의 발광방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바닥판(100)에 다수 개의 조명유닛(200)을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패턴으로 그림자를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직프레임(500)과 수평프레임(6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300)에 다수 개의 장착공(310)을 형성하면 조명유닛(200)의 장착위치를 좌우 및 상하로 조절할 수 있지만, 상기 조명유닛(200)을 이웃하는 두 개의 장착공(310) 사이에는 위치시킬 수 없다는 단점 즉, 조명유닛(200)의 장착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조명유닛(200)의 장착위치를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는, 상기 바닥판(100)의 가장자리 중 좌우측과 후방에 각각 세워지는 셋 이상의 수직프레임(500)과, 수평으로 연장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셋 이상의 수직프레임(500)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판(100)의 중심을 향하는 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홈(610)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200)은 수평프레임(600)의 슬라이드홈(610)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바, 사용자의 조명유닛(200)을 슬라이드홈(610)을 따라 좌우 이송시킴으로써 요철물(110)에 인가되는 빛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유닛(200)의 장착위치가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로도 조절 가능하도록, 조명유닛(200)이 장착된 수평프레임(600)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직프레임(5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프레임(50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체결슬롯(510)이 형성되고, 수평프레임(600)은 체결슬롯(510)에 삽입되는 체결볼트(620)가 구비되며, 체결슬롯(510)을 관통한 체결볼트(620)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5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체결슬롯(510)을 관통한 체결볼트(620)에 체결너트(520)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수평프레임(600)을 수직프레임(5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볼트(620)가 체결슬롯(510)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면, 사용자는 체결볼트(620)를 체결슬롯(5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평프레임(600)을 자신이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후 체결너트(520)를 이용하여 체결볼트(620)를 체결슬롯(510)에 고정시킴으로써, 조명유닛(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유닛(200)이 수평프레임(600)의 슬라이드홈(610)을 다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수평프레임(600)이 수직프레임(500)의 체결슬롯(5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조명유닛(200)의 좌우위치 및 상하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요철물(110)의 그림자(S) 생성방향 및 길이 등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바닥판(100)의 확대사시도이다.
바닥판(100)에 안착되는 요철물(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수준의 부피를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또는 시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요철물(110)이 플레이트 또는 시트 형상으로 제작되면, 상기 요철물(110)이 바닥판(100) 상에 자립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에는 상기 요철물(11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폭의 삽입홈(1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닥판(100)에 삽입홈(130)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플레이트 또는 시트 형상의 요철물(110) 하단을 삽입홈(130)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요철물(110)을 자립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요철물(110)의 안착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30)의 형상 및 길이는 요철물(110)의 형상이나 안착위치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 제5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그림자 생성장치는, 요철물(110)과 조명유닛(200) 사이에 세워지는 스크린(700)이 추가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물(110)과 조명유닛(200) 사이에 스크린(700)이 추가로 구비되면, 그림자 생성장치가 설치된 실내조명을 모두 끄고 조명유닛(200)만을 점등함으로써, 관람자(10)는 스크린(700)을 통해 요철물(110)의 실루엣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요철물(110)의 실루엣을 보는 느낌은 일반적으로 그림자놀이를 하는 것과는 상이한 감동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바닥판 110 : 요철물
120 : 삽입공 130 : 삽입홈
200 : 조명유닛 300 : 벽체
310 : 장착공 400 : 결합봉
500 : 수직프레임 510 : 체결슬롯
520 : 체결너트 600 : 수평프레임
610 : 슬라이드홈 620 : 체결볼트
700 : 스크린

Claims (7)

  1. 상면에 요철물(110)이 마련되는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에 상기 요철물(110)의 그림자(S)가 생성되도록 상기 요철물(110)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200);을 포함하는 그림자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0)의 가장자리 중 좌우측과 후방에 각각 세워지는 셋 이상의 수직프레임(500)과, 수평으로 연장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셋 이상의 수직프레임(500)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판(100)의 중심을 향하는 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홈(610)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200)은 상기 슬라이드홈(610)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생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50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체결슬롯(51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600)은 상기 체결슬롯(510)에 삽입되는 체결볼트(62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슬롯(510)을 관통한 체결볼트(620)의 끝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체결볼트(620)를 상기 수직프레임(500)에 고정시키는 체결너트(52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평프레임(600)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직프레임(5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생성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60054662A 2016-05-03 2016-05-03 그림자 생성장치 KR101766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62A KR101766361B1 (ko) 2016-05-03 2016-05-03 그림자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62A KR101766361B1 (ko) 2016-05-03 2016-05-03 그림자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361B1 true KR101766361B1 (ko) 2017-08-08

Family

ID=5965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662A KR101766361B1 (ko) 2016-05-03 2016-05-03 그림자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3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098Y1 (ko) 2001-01-04 2001-07-03 박종성 계절에 따른 태양의 고도변화 실험기구
CN102542876A (zh) 2011-12-10 2012-07-04 刘安民 影子变化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098Y1 (ko) 2001-01-04 2001-07-03 박종성 계절에 따른 태양의 고도변화 실험기구
CN102542876A (zh) 2011-12-10 2012-07-04 刘安民 影子变化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9184B2 (ja) 表示機器
JP6869778B2 (ja) カーテシランプおよびカーテシロゴランプ
US4034215A (en) Decorative light display
US20210164627A1 (en) Ceiling-based led auditorium pathway lighting apparatus
JP6994647B2 (ja) 照明装置
US10161573B2 (en) Illuminated frame system
DE19910273C2 (de) Beleuchtungsanordnung
DE102016110792A1 (de) Leuchtvorrichtung
KR101766361B1 (ko) 그림자 생성장치
JP6877086B2 (ja) 照明装置
TWI228404B (en) Rack with screen
CN206708867U (zh) 一种led灯具的配光系统
US9810404B1 (en) Laser with two levels of image adjustment
US6769783B2 (en) Visual angle-dependent imaging device
JP6167448B2 (ja) 厨房装置
JP2014107190A (ja) 光高反射リフレクター光源
JP6226183B2 (ja) 照明器具
KR101692333B1 (ko) 배광조정이 가능한 평판조명장치
JP2007163605A (ja) 照明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6048883B2 (ja) 厨房装置
JP7149555B2 (ja) 絞り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CA2665461A1 (en) A lighting device
JP6985140B2 (ja) 模型物のための立体的な背景効果を演出する装置
JP2007330685A (ja) 照明付き鏡装置及び商品陳列ケース
KR101683756B1 (ko) 반사판 및 이를 이용한 평판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