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232B1 -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 Google Patents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232B1
KR102278232B1 KR1020180077714A KR20180077714A KR102278232B1 KR 102278232 B1 KR102278232 B1 KR 102278232B1 KR 1020180077714 A KR1020180077714 A KR 1020180077714A KR 20180077714 A KR20180077714 A KR 20180077714A KR 102278232 B1 KR102278232 B1 KR 10227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parts
cont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617A (ko
Inventor
한정인
김현철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7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2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09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treating webs, e.g. for moisturising, coating, impregnating or applying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non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31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 A61F2013/0074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containing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31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 A61F2013/00744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containing 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Abstract

본 명세서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COMPOSITION AND WOUND DRESSINGS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상처 치유를 돕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서 새살 형성을 촉진하고, 상처 면의 습윤 상태를 유지하며 치유 공간을 확보시켜 준다. 이러한 히알루론산은 크림 또는 동결건조 폼(foam) 형태로 사용되어 상처 치유에 도움을 줄 수 있었으나, 단독 사용만 가능하기 때문에 성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른 드레싱와 결합하여 제조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히알루론산의 필름화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히알루론산은 수용성 고분자로, 물을 주용매로 필름화 해야 하나, 히알루론산 구조상 강한 수소결합을 가지므로, 물을 증발시키는 것이 어려워 연속 공정으로 제조하기 어렵고 분자량 및 농도에 따라 용액의 점도가 매우 높아 코팅 및 두께 조절하는 것에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 등록공보 제10-0184884호
본 명세서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분자량이 500,000 g/mol 이상 2,000,000 g/mol 이하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물, 알코올계 용매 및 글리세린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0.5 내지 1.5 중량부이고, 상기 물의 함량은 45 내지 50 중량부이며, 상기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은 45 내지 50 중량부이고,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은 0.5 내지 7 중량부이며,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및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의 합은 99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은 상기 물과 알코올계 용매의 합계량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 이하인 것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약리층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이형 필름 상에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이형 필름을 건조하여 상기 이형 필름 상에 약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약리층을 상기 이형 필름으로부터 기재로 전사(transfer)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조성물은 필름화 공정 시, 코팅 가능한 점도를 유지할 수 있고 필름의 두께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물과 알코올계 용매를 공용매(co-solvent)로 사용하여 필름화 공정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창상 피복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 따라 제조된 약리층이 PET 필름 상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은 하나의 층 위에 물리적으로 접하여 위치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위치상 위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어느 하나의 층 상에 위치하는 층은 사이에 다른 층이 있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분자량이 500,000 g/mol 이상 2,000,000 g/mol 이하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물, 알코올계 용매 및 글리세린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0.5 내지 1.5 중량부이고, 상기 물의 함량은 45 내지 50 중량부이며, 상기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은 45 내지 50 중량부이고,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은 0.5 내지 7 중량부이며,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및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의 합은 99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은 상기 물과 알코올계 용매의 합계량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 이하인 것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름 형성용으로 사용되며,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름화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코팅 가능한 점도를 유지할 수 있고, 필름의 두께 조절이 용이할 수 있으며, 제조된 필름의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500,000 g/mol 이상 2,000,000 g/mol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0,000 g/mol 이상 1,70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당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대로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는 Waters 社 Alliance system을 사용하여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으로 측정하였고, 이때 컬럼은 Ultrahydrogel X2, 용리제(Eluent)로는 pH 7의 0.1M NaNO3를 사용하고, 유속 1.0 mL/min, 온도 40℃, Injection volume은 100 uL 조건으로 Standard로 PEO(polyethylene oxide,폴리에틸렌옥사이드)가 사용되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필름화 했을 때 응집력이 우수하여 추가 가공이나 사용이 편리하며,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500,000 g/mol 미만인 경우 필름화 했을 때 응집력이 약하여 추가 가공이나 사용이 불편하고, 2,000,000 g/mol 초과인 경우 수용액 상태에서 점도가 매우 높아 필름화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0.5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필름 두께를 조절하기 어렵고, 상기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1.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매우 높아져 필름화 과정에서 기재 상에 코팅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및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은 각각 45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7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물 및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이 각각 상기 중량부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짧은 필름 건조 시간을 이용하여 전체 필름화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계의 함량이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 히알루론산의 용해도가 낮아져 조성물 내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은 상기 물과 알코올계 용매의 합계량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용매의 함량이, 상기 물의 함량보다 크게 되면 조성물 내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물과 알코올계 용매의 중량비는 1:0.6 내지 1:1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9 내지 1:1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히알루론산이 상기 물 및 알코올계 용매의 혼합액에 원활하게 용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코올계 용매는 용매의 휘발성 및 잔류 시 초래할 수 있는 유기 용매의 문제점 등을 고려하면,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은 0.5 내지 7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가소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첨가량에 비례해서 필름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필름의 부스러짐 현상이 발생하고, 7 중량부 초과인 경우, 필름이 고체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의 점도는 1,500 cp 이상 20,000 cp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0 cp 이상 12,000 cp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점도 범위를 만족하는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 하는 경우, 퍼짐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도는 회전식 점도계 (DV-II+Pro, Brookfield 社)를 사용하였고, 상온에서 spindle#63 사용하여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약리층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약리층이란 수분이 완전 건조되어 추가의 첨가제가 포함되지 않고, 히알루론산 및 글리세린 만으로 이루어진 고체 상태의 필름을 의미하며, 상처에 피복되서 상처 치유를 도와주는 약리적 효과를 낼 수 있는 필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창상 피복재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정의는, 전술한 조성물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도 1에 전술한 창상 피복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창상 피복재는 상기 약리층의 일면에 구비되는 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필름 형태를 가지고, 상기 약리층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폼, 부직포 및 거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의 두께는 0.1 mm 내지 5 mm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리층의 형태는 고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리층의 두께는 10 ㎛ 내지 5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40 ㎛ 일 수 있으며, 상기 약리층의 두께가 10 ㎛ 미만인 경우, 히알루론산의 상처 치유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고, 두께가 50 ㎛ 초과인 경우 기재로 사용되는 다른 드레싱의 상처 치유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이형 필름 상에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이형 필름을 건조하여 상기 이형 필름 상에 약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약리층을 상기 이형 필름으로부터 기재로 전사(transfer)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재 및 조성물의 정의는, 전술한 창상 피복재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약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롤투롤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재가 권취된 롤로부터 기재를 푼 후, 상기 기재의 일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이를 다시 롤에 권취하는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포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이(die) 코터가 사용될 수도 있고, 콤마(comma) 코터, 역콤마(reverse comma) 코터 등 다양한 바 코팅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는 조성물 내 물 및 알코올계 용매를 완전 제거하기에 필요한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히알루론산은 열에 약하여 고온을 가하면 분해되거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지므로, 8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6분 이내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조성물의 제조
분자량 1,200,000 g/mol 인 히알루론산 (HA-LQ, Kewpie社)을 물, 에탄올 및 글리세린이 포함된 용액에 첨가한 후, 기계식 교반기로 상온에서 8시간 교반하여 최종적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1 중량부,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이 1 중량부, 상기 물 및 에탄올의 함량이 각각 49 중량부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본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서의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대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의 함량을 2.5 중량부, 물 및 에탄올의 함량을 48.2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시예 3>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및 에탄올의 함량을 47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시예 4>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의 함량을 49.75 중량부, 에탄올의 함량을 48.2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시예 5>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의 함량을 58.7 중량부, 에탄올의 함량을 39.3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시예 6>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자량 1,550,000 g/mol 인 히알루론산 (Bio- sodium hyaluronate, (MMW) SK bioland 社) 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1>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을 사용하지 않고, 에탄올의 함량을 98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2>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의 함량을 39.2 중량부, 에탄올의 함량을 58.8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3>
분자량이 3,000,000 g/mol 인 히알루론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4>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2 중량부, 물 및 에탄올의 함량을 48.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5>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의 함량을 10 중량부, 물 및 에탄올의 함량을 각각 44.5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6>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의 함량을 78.4 중량부, 에탄올의 함량을 19.6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7>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자량 375,000 g/mol 인 히알루론산 (Bio- sodium hyaluronate (VLMW), SK bioland 社) 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조성물의 점도 및 HA 용해성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8065895983-pat00001
상기 표 1의 조성물의 점도 및 HA 용해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조성물의 점도>
회전식 점도계 (DV-II+Pro, Brookfield 社)를 사용하였고, 상온에서 spindle#63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A 용해성>
제조된 조성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침전물이 있는 지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두께 50㎛ PET 필름 상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다이(die)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PET 필름을, 각각 80℃, 120℃, 120℃ 및 120℃의 건조 온도를 가지고, 1.5 미터의 길이를 갖는 4개의 오븐을 속도 1 m/min로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열풍 건조하여, 상기 PET 필름 상에 두께 10 ㎛의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약리층을 형성하였다. 폼 상에 상기 약리층을 PET 필름으로부터 전사(transfer)시켜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13>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 대신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하기 표 2에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약리층의 필름 상태 및 최대 두께를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8065895983-pat00002
상기 표 2의 건조시간(min)은 조성물이 PET 필름 상에 코팅 후 건조과정을 통해 완전 건조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상기 표 2의 필름화된 약리층의 필름 상태는 PET 필름에서 이형시켜 그 형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약리층의 최대 두께 및 두께 변화율은 두께 게이지(Mitutoyo 社 Absolute 547-40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약리층의 두께 변화율(%)은 두께 게이지 적용 전후의 약리층의 두께 변화율을 의미하고,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된다.
[식 1]
(초기 약리층의 두께 - 두께 게이지 적용 후 약리층의 두께) / 초기 약리층의 두께
상기 필름 상태는 조성물을 완전 건조하여 제조된 약리층의 형태를 의미하며, 두께 변화율의 차이에 따라 고체 상태 또는 액체 상태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6은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였고, 상처치유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두께와 두께 변화율이 0%인 약리층을 코팅 공정을 거쳐 제조하고, 이를 폼 상에 전사시킴으로써,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조성물의 필름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에 따라 제조된 약리층이 PET 필름 상에 안정적으로 형성된 것을 사진으로 촬영하였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예 7 및 8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였고, 히알루론산이 제대로 용해되지 않아, 침전물이 발생하여 PET 필름 상에 원활히 코팅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9 및 10은, 비교예 3 및 4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였고,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 PET 필름 상에 원활히 코팅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1은 비교예 5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였고, 상기 조성물이 PET 필름 상에 코팅은 되었으나, 응집력이 낮아 PET 필름에서 쉽게 이형되지 않고, 액상에 가까운 상태로 존재하여 형태가 유지되지 않으며, 끈적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2는 비교예 6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였고, 두께 게이지 사용 전후의 약리층의 두께 변화율이 20%로서, 형성된 약리층이 고체 상태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조성물이 완전 건조되기까지 10분 이상의 건조 시간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3은 비교예 7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였고, 상기 조성물은 분자량 375,000 g/mol 인 히알루론산을 사용함으로써, 응집력이 약하여 약리층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10 ㎛ 이상의 두께로 제조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분자량이 500,000 g/mol 이상 2,000,000 g/mol 이하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물, 에탄올 및 글리세린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의 약리층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0.5 내지 1.5 중량부이고, 상기 물의 함량은 45 내지 50 중량부이며, 상기 에탄올의 함량은 45 내지 50 중량부이고,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은 0.5 내지 7 중량부이며,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및 에탄올의 함량의 합은 99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에탄올의 함량은 상기 물과 에탄올의 합계량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물과 에탄올의 중량비는 1:0.6 내지 1:1인 것인 창상 피복재의 약리층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1,000,000 g/mol 이상 1,700,000 g/mol 이하인 것인 창상 피복재의 약리층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점도는 1,500 cp 이상 20,000 cp 이하인 것인 창상 피복재의 약리층용 조성물.
  6. 청구항 1, 4 및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창상 피복재의 약리층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약리층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7. 이형 필름 상에 청구항 1, 4 및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창상 피복재의 약리층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창상 피복재의 약리층용 조성물이 도포된 이형 필름을 건조하여 상기 이형 필름 상에 약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약리층을 상기 이형 필름으로부터 기재로 전사(transfer)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폼, 부직포 및 거즈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80℃ 내지 120℃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인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KR1020180077714A 2018-07-04 2018-07-04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KR10227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714A KR102278232B1 (ko) 2018-07-04 2018-07-04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714A KR102278232B1 (ko) 2018-07-04 2018-07-04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17A KR20200004617A (ko) 2020-01-14
KR102278232B1 true KR102278232B1 (ko) 2021-07-15

Family

ID=6915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714A KR102278232B1 (ko) 2018-07-04 2018-07-04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431B1 (ko) * 2022-05-31 2023-12-27 주식회사 애니 테이프 미용용 또는 의료용 기능성 패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41B1 (ko) 2007-02-07 2008-07-14 권수안 의료용 폴리우레탄하이드로겔 제조용 조성물 및 이조성물로 폴리우레탄하이드로겔 필름을 연속적으로제조하는 방법
JP6084833B2 (ja) 2012-12-07 2017-02-2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ヒアルロン酸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8666B (it) 1990-05-30 1995-01-26 Fidia Spa Gel in forma di film autosupportanti altamente idrati, processo per laloro preparazione e impiego nella terapia di lesioni e/o patologie cutanee
JPH0910294A (ja) * 1995-06-30 1997-01-14 Kyowa Hakko Kogyo Co Ltd 保湿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EP3017808B1 (en) * 2013-07-03 2022-07-13 Ritapharma, Co., Ltd. Water-soluble hyaluronic acid g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41B1 (ko) 2007-02-07 2008-07-14 권수안 의료용 폴리우레탄하이드로겔 제조용 조성물 및 이조성물로 폴리우레탄하이드로겔 필름을 연속적으로제조하는 방법
JP6084833B2 (ja) 2012-12-07 2017-02-2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ヒアルロン酸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17A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87149T3 (es) Películas de NCC y productos a base de la misma
TWI611816B (zh) 水溶性玻尿酸凝膠及其製造方法
TWI593756B (zh) 抗靜電性剝離劑及抗靜電性剝離膜
KR102278232B1 (ko)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TWI672340B (zh) 加成硬化性防止帶電有機聚矽氧烷組合物及防止帶電聚矽氧皮膜
US9817314B2 (en)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coated article, patterning process, and substrate
CA2666165A1 (en) Grease resistant formulations
TW201038645A (en) Polymer coatings with improved UV and heat stability
BR112021000541B1 (pt) Dispersão aquosa e laminado de barreira revestido com laca
TWI617600B (zh) 具有改進霧度的膜
Wu et al. Wettability, surfac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ilms based on phosphorus oxychloride‐treated zein
TW201042661A (en) Conductive ingredient, conductive membran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ang et al. Development of bilayer films based on shellac and esterified cellulose nanocrystals for buccal drug delivery
RU2013114160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имерной пленки с покрытием из отвержденного полисилоксана
KR20170044667A (ko) 에틸셀룰로오스 분산물 및 분말
JP2513460B2 (ja)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6949413B2 (ja) シリカ膜の製造方法
KR20190071346A (ko) 상처치료용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CN111333918A (zh) 一种双醛纳米纤维素/麦卢卡蜂蜜抗菌复合薄膜的制备方法
JPS6221029B2 (ko)
TW200815041A (en) Hydrogel-like sheet agent and its production method
KR102279312B1 (ko) 록소프로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방법
KR102123483B1 (ko) 온도감응성 수화젤형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JP2018104314A (ja) セルロースゲルの製造方法及びセルロースゲル
KR102021926B1 (ko) 고화 및 수중 부상이 방지된 피복 입상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