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635B1 -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635B1
KR102277635B1 KR1020197010385A KR20197010385A KR102277635B1 KR 102277635 B1 KR102277635 B1 KR 102277635B1 KR 1020197010385 A KR1020197010385 A KR 1020197010385A KR 20197010385 A KR20197010385 A KR 20197010385A KR 102277635 B1 KR102277635 B1 KR 102277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essed gas
weight
glycopyrrolat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467A (ko
Inventor
스튜어트 코르
티모시 제임스 노아케스
Original Assignee
멕시켐 플루어 소시에다드 아노니마 데 카피탈 바리아블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9973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776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GB1615917.0A external-priority patent/GB2558191A/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620519.7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620519D0/en
Application filed by 멕시켐 플루어 소시에다드 아노니마 데 카피탈 바리아블레 filed Critical 멕시켐 플루어 소시에다드 아노니마 데 카피탈 바리아블레
Priority to KR1020217021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273A/ko
Publication of KR20190063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42-Quinolinones, e.g. carbosty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meth]acrylate, polyacrylamide, polystyren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alcohol or polystyrene sulfonic acid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61K9/008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comprising drug dissolved or suspended in liquid propellant for inhalation via a pressurized metered dose inhaler [MD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61K9/124Aerosols; Foams characterised by the propel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약제학적 조성물이 기재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i)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 및 (ii)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를 사용하여 의료 장치, 예컨대 계량 용량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 MDI)로부터 약물 제제를 전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HFA-152a 압축 가스 및 상기 압축 가스 내에 용해되거나 현탁된 약물 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들 조성물을 함유하는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계량 용량 흡입기(MDI)를 사용한 가압 에어로졸 용기로부터의 전달에 특히 적합하다.
MDI는 가장 유의한 유형의 흡입 약물 전달 시스템이고,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이들 MDI는, 약물이 용해되거나, 현탁되거나 또는 분산된 액화된 압축 가스를 사용하여, 요구에 따라 약물을 별개의 정확한 양으로 환자의 기도에 전달하도록 디자인된다. MDI의 디자인 및 작동은 많은 표준 교재 및 특허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MDI는 모두, 약물 제제를 담는 가압 용기, 노즐, 및 활성화되는 경우 조절된 양의 약물을 상기 노즐을 통해 분배할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노즐 및 밸브 어셈블리는 전형적으로, 마우쓰 피스(mouth piece)가 장착된 하우징에 위치해 있다. 약물 제제는 압축 가스를 포함할 것이며, 이러한 압축 가스 내에서 약물이 용해되거나, 현탁되거나 또는 분산되고, 극성 부형제, 계면활성제 및 보존제와 같은 다른 물질들을 함유할 수 있다.
압축 가스가 MDI 내에서 만족할만하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특성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들 특성으로는 적절한 비점 및 증기압이 있으며, 따라서, 압축 가스는 실온에서 밀폐된 용기 내에서 액화될 수 있지만, MDI가 활성화될 때 심지어 낮은 주위 온도에서 약물을 분무된 제제로서 전달하기에 충분히 높은 압력을 발생시킨다. 나아가, 압축 가스는 낮은 급성 및 만성 독성을 갖고, 높은 심장 민감화 역치(cardiac sensitisation threshold)를 가져야 한다. 압축 가스는 약물, 용기 및 MDI 장치의 금속성 및 비-금속성 구성성분과 접촉 시 높은 화학적 안정도를 갖고, MDI 장치 내의 임의의 탄성중합체 물질로부터 저분자량 물질을 추출하는 경향이 낮아야 한다. 압축 가스는 또한, 사용 시 약물의 재현 가능한 전달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약물을 균질한 용액 내, 안정한 현탁액 내 또는 안정한 분산액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약물이 압축 가스 내 현탁액에 존재하는 경우, 액체 압축 가스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내에서 약물 입자의 급속한 침강 또는 부유를 피하기 위해 고체 약물의 밀도와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압축 가스는 사용 시 환자에게 유의한 가연성 위험성을 제시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압축 가스는 기도에서 공기와 혼합 시, 불연성 또는 저-가연성 혼합물을 형성해야 한다.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R-12)은 특성들의 적합한 조합을 가지며, 오랫동안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 MDI 압축 가스였으며, 종종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R-11)과 블렌딩되었다. 전체적으로 및 부분적으로 할로겐화된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 예컨대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및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이 지구의 보호적 오존층에 손상을 주고 있었다는 국제적인 염려로 인해, 많은 국가들이 이들의 제조 및 사용이 심각하게 제약되고 결국에는 완전히 퇴출되어야 한다고 명시하는 몬트리올 의정서에 동의하였다.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및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은 1990년대에 냉장 사용에서 퇴출되었지만,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필수 사용 면제의 결과 MDI 부문에서 여전히 소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HFA-134a)은 R-12에 대한 대체 냉매 및 MDI 압축 가스로서 도입되었다. 1,1,1,2,3,3,3-헵타플루오로프로판(HFA-227ea)이 또한, MDI 부문에서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R-114)에 대한 대체 압축 가스로서 도입되었고, 이따금 이 출원에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HFA-134a와 블렌딩된다.
HFA-134a 및 HFA-227ea가 낮은 오존 파괴 지수(ODP; ozone depletion potential)를 갖긴 하지만, 이들은 지구 온난화 지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를 각각 1430 및 3220으로 가지며, 이는 현재 특히 이들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경우 분산 용도를 위해 일부 규제 기관에 의해 너무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
특정 관심을 받은 하나의 산업적 영역은, 유럽 모바일 에어 컨디셔닝 디렉티브(European Mobile Air Conditioning Directive)(2006/40/EC)의 결과, HFA-134a의 사용이 규제 조절 하에 있는 차량용 에어컨 부문이다. 산업은 차량용 에어컨 및 낮은 온실 온난화 지수(GWP; greenhouse warming potential)뿐만 아니라 낮은 오존 파괴 지수(ODP)를 갖는 다른 적용에서 많은 가능한, HFA-134a에 대한 대체물을 개발하고 있다. 이들 많은 대체물로는, 하이드로플루오로프로펜, 특히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예컨대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O-1234yf) 및 1,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O-1234ze)이 있다.
HFA-134a에 대한 제안된 대체물이 낮은 GWP를 갖고 있긴 하지만, 소정의 플루오로프로펜과 같은 많은 구성성분들의 독성학적 상태는 불분명하고, 이들 구성성분은 적어도 오랫동안 MDI 부문에 사용되도록 허용될 것 같지는 않다.
글리코피롤레이트(글리코피로늄으로도 공지됨)는 COPD의 치료에 사용되는 장기간 작용성 무스카린성 길항제(LAMA; long acting muscarinic antagonist)이다. 이는 전형적으로, 약물 구성성분이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LABA)도 포함하는 병용 요법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안타깝게도,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제한된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MDI를 사용한 전달에 적합한 형태로 상기 글리코피롤레이트를 제제화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과거에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과 같은 산 안정화제를 약물 제제에 혼입함으로써 해결되어 왔다. 그러나, 약물 제제에서 산 안정화제의 사용은, 부식 문제점을 피하고자 한다면, 제제를 담기 위해 고비용의 코팅된 캔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MDI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고, HFA-134a 및 HFA-227ea의 비교에서 감소된 GWP를 갖는 압축 가스를 사용하는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산 안정화제의 사용 없이, 만족할만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MDI에서 글리코피롤레이트-기초 제제의 사용과 연관된 문제점이, 특히 제제가 낮은 양의 물을 함유하는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제제는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 개선된 약물 전달을 위한 개선된 에어로졸화 성능, 양호한 현탁 안정성, 감소된 GWP, 표준 비코팅된 알루미늄 캔과의 양호한 상용성, 뿐만 아니라 표준 밸브 및 시일(seal)과의 양호한 상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현탁액 또는 약제학적 용액이 제공되며, 상기 조성물은
(i)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 및
(ii)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500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한다. 특히, 약제학적 조성물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ppm 미만, 특히 5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할 때,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이 관찰된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물 함량을 지칭할 때, 본 발명자들은 약물 구성성분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수화된 약물 화합물에 존재하게 되는 임의의 물이 아니라, 조성물 내 유리수(free water)의 함량을 지칭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물-무함유이다. 대안적으로,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0.5 ppm 초과, 예를 들어 1 ppm 초과이지만 상기 고찰된 양 미만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조성물로부터 물을 모두 제거하여 상기 조성물을 이러한 물-무함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현탁액 또는 약제학적 용액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i)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 및
(ii)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ppm 미만, 특히 5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미만, 특히 50 ppm 미만의 용존 산소를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산소-무함유이다. 대안적으로,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0.5 ppm 초과, 예를 들어 1 ppm 초과이지만 상기 고찰된 양 미만의 산소를 함유할 수 있는데, 조성물을 산소-무함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산소 함량은, 이들이 약물 화합물의 분해를 감소시켜 더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현탁액 또는 약제학적 용액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i)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 및
(ii)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미만, 특히 50 ppm 미만의 산소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계량 용량 흡입기(MDI)를 사용하여 기도에 전달되기에 적합하다.
본원에 개시된 모든 양태 및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내의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바람직하게는, 미분화된 형태이다. 나아가, 본원에 개시된 모든 양태 및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천공된 미세구조가 없다.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압축 가스에 분산되거나 또는 현탁될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 내 약물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100 미크론 미만, 예를 들어 50 미크론 미만의 직경을 가진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극성 부형제, 예컨대 에탄올의 도움으로, 압축 가스 내에 용해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갖는 용액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글리코피로늄으로도 공지됨)을 포함한다. 글리코피롤레이트는 4차 암모늄염이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반대 이온으로는 예를 들어,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니트레이트,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락테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숙시네이트, 벤조에이트, p-클로로벤조에이트, 디페닐-아세테이트 또는 트리페닐아세테이트, o-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1-하이드록시나프탈렌-2-카르복실레이트, 3-하이드록시나프탈렌-2-카르복실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및 벤젠술포네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로도 공지된 브로마이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염이다.
이에, 본 발명의 상기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바람직하게는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 내 약물 구성성분의 양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0.01 내지 2.5 중량%의 범위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약물 구성성분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 특히 0.0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것이다. 약물 구성성분은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부 구성될 수 있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물 구성성분이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약물 구성성분은 다른 약물,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LABA)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 내 압축 가스 구성성분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HFA-152a 외에도 다른 압축 가스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축 가스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HFA-227ea, HFA-134a, 디플루오로메탄(HFA-32),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및 디메틸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또는 탄화수소 압축 가스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압축 가스는 HFA-227ea 및 HFA-134a이다.
추가의 압축 가스 화합물, 예컨대 HFA-134a 또는 HFA-227ea가 포함되는 경우, 적어도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의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HFA-152a이어야 한다. 전형적으로, HFA-152a가 적어도 90 중량%, 예를 들어 90 내지 99 중량%의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구성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HFA-152a가 적어도 95 중량%, 예를 들어 95 내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의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구성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은 2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 미만의 지구 온난화 지수(GWP)를 가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은 HFA-152a로 전부 구성되어,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HFA-152a를 단독 압축 가스로서 포함한다. "~로 전부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당연히, 미량의, 예를 들어 수백 백만분율(parts per million) 이하의 불순물이 의료 적용에서 압축 가스의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HFA-152a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정 후 존재할 수 있는 상기 불순물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HFA-152a 압축 가스는 10 ppm 이하, 예를 들어 0.5 내지 1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ppm 이하, 예를 들어 1 내지 5 ppm의 불포화된 불순물, 예컨대 비닐 플루오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클로로-플루오로 에틸렌 화합물을 함유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내 압축 가스 구성성분의 양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내 약물 및 다른 구성성분의 양에 따라 다를 것이다. 전형적으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의 80.0 내지 99.99 중량%를 포함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의 90.0 내지 99.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6.5 내지 99.99 중량%, 특히 97.5 내지 99.95 중량%를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열거된 2개의 구성성분 (i) 및 (ii)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부 구성된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2개의 열거된 구성성분들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극성 부형제, 예컨대 에탄올을 추가로 포함한다. 극성 부형제는 계량 용량 흡입기(MDI)를 사용하여 전달되는, 호흡기 장애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이미 사용되어 왔다. 이들 부형제는 또한, 용매, 공용매, 담체 용매 및 보조제로 지칭된다. 이들의 포함은 계면활성제 또는 약물을 압축 가스 내에서 가용화시키고/거나, 이것이 저장되는 용기로부터 노출 출구로 통과함에 따라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접촉되는 계량 용량 흡입기의 표면 상에서 약물 입자의 침착을 저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들 부형제는 또한, 약물이 적합한 극성 부형제와 혼합되는 2-단계 충전 과정에서 벌킹제(bulking agent)로서 사용된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극성 부형제는 에탄올이다. 극성 부형제가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부형제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양,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극성 부형제, 예컨대 에탄올이 없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MDI용 약제학적 제제에서 이제까지 사용되어 온 유형의 계면활성제 화합물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올레산 및 레시틴으로부터 선택된다. 올레산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순수한 (9Z)-옥타데스-9-에노산을 반드시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의료 적용용 계면활성제로서 판매되는 경우, 올레산은 전형적으로 몇몇 지방산들의 혼합물이며, 이때, (9Z)-옥타데스-9-에노산이 주요 지방산으로서,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6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레산 및 레시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화합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부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은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화합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부 구성된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중량%, 특히 적어도 99 중량%의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이 열거된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이 사용되는 경우, 이는 전형적으로,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산 안정화제, 예컨대 유기산 및 무기산이 없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LABA)를 포함할 수 있다.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치료를 위해 이제까지 사용되어 오고 MDI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는 임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로는, 포르모테롤(formoterol), 아르포르모테롤(arformoterol), 밤부테롤(bambuterol), 클렌부테롤(clenbuterol), 살메테롤(salmeterol), 인다카테롤(indacaterol), 올로다테롤(olodaterol) 및 빌란테롤(vilanterol) 뿐만 아니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 예컨대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있다.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인다카테롤, 올로다테롤, 포르모테롤 및 빌란테롤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인다카테롤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인다카테롤 말레에이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현탁액 또는 약제학적 용액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i)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LABA), 특히 인다카테롤, 올로다테롤, 포르모테롤, 빌란테롤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LABA)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 및
(ii)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500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미만, 특히 10 ppm 미만, 특히 5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한다. 압축 가스로서 HFA-152a의 사용과 함께 소량의 물은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물 함량을 지칭할 때, 본 발명자들은 약물 구성성분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수화된 약물 화합물에 존재하게 되는 임의의 물이 아니라, 조성물 내 유리수의 함량을 지칭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물-무함유이다. 대안적으로,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0.5 ppm 초과, 예를 들어 1 ppm 초과이지만 상기 고찰된 양 미만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조성물로부터 물을 모두 제거하여 상기 조성물을 이러한 물-무함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미만, 특히 50 ppm 미만의 용존 산소를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산소-무함유이다. 대안적으로,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0.5 ppm 초과, 예를 들어 1 ppm 이상이지만 상기 고찰된 양 미만의 산소를 함유할 수 있는데, 조성물을 산소-무함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산소 함량은, 이들이 약물 화합물의 분해를 감소시켜 더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에 고찰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 내의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양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에 적합하며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에 고찰된 바와 같다. 약물 구성성분은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LABA)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부 구성될 수 있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물 구성성분이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LABA)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열거된 2개의 구성성분 (i) 및 (ii)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부 구성된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2개의 열거된 구성성분들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은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 구성성분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양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물 구성성분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인다카테롤, 올로다테롤, 포르모테롤, 빌란테롤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인다카테롤 및 인다카테롤 말레에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LAB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유일한 약제학적 활성물질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산 안정화제, 예컨대 유기산 및 무기산이 없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치료를 위해 이제까지 사용되어 오고 MDI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는 임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코티코스테로이드로는, 부데소니드(budesonide), 모메타손(mometasone), 베클로메타손(beclomethasone) 및 플루티카손(fluticasone), 뿐만 아니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 예컨대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있다.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부데소니드, 베클로메타손,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현탁액 또는 약제학적 용액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i)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 특히 플루티카손, 부데소니드, 모메타손 및 베클로메타손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 및
(ii)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500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미만, 특히 10 ppm 미만, 특히 5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한다. 압축 가스로서 HFA-152a의 사용과 함께 소량의 물은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물 함량을 지칭할 때, 본 발명자들은 약물 구성성분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수화된 약물 화합물에 존재하게 되는 임의의 물이 아니라, 조성물 내 유리수의 함량을 지칭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물-무함유이다. 대안적으로,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0.5 ppm 초과, 예를 들어 1 ppm 초과이지만 상기 고찰된 양 미만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조성물로부터 물을 모두 제거하여 상기 조성물을 이러한 물-무함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미만, 특히 50 ppm 미만의 용존 산소를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산소-무함유이다. 대안적으로,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0.5 ppm 초과, 예를 들어 1 ppm 이상이지만 상기 고찰된 양 미만의 산소를 함유할 수 있는데, 조성물을 산소-무함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산소 함량은, 이들이 약물 화합물의 분해를 감소시켜 더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에 고찰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 내의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양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에 적합하며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에 고찰된 바와 같다. 약물 구성성분은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부 구성될 수 있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물 구성성분이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열거된 2개의 구성성분 (i) 및 (ii)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부 구성된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2개의 열거된 구성성분들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은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 구성성분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양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물 구성성분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부데소니드, 베클로메타손,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코티코스테로이드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유일한 약제학적 활성물질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산 안정화제, 예컨대 유기산 및 무기산이 없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LABA) 및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치료를 위해 이제까지 사용되어 오고 MDI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는 임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 및 코티코스테로이드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코티코스테로이드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이에,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현탁액 또는 약제학적 용액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i)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LABA), 특히 인다카테롤, 올로다테롤, 포르모테롤, 빌란테롤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LABA), 및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 특히 플루티카손, 부데소니드, 모메타손 및 베클로메타손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 및
(ii)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500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미만, 특히 10 ppm 미만, 특히 5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한다. 압축 가스로서 HFA-152a의 사용과 함께 소량의 물은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물 함량을 지칭할 때, 본 발명자들은 약물 구성성분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수화된 약물 화합물에 존재하게 되는 임의의 물이 아니라, 조성물 내 유리수의 함량을 지칭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물-무함유이다. 대안적으로,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0.5 ppm 초과, 예를 들어 1 ppm 초과이지만 상기 고찰된 양 미만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조성물로부터 물을 모두 제거하여 상기 조성물을 이러한 물-무함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미만, 특히 50 ppm 미만의 용존 산소를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산소-무함유이다. 대안적으로,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0.5 ppm 초과, 예를 들어 1 ppm 이상이지만 상기 고찰된 양 미만의 산소를 함유할 수 있는데, 조성물을 산소-무함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산소 함량은, 이들이 약물 화합물의 분해를 감소시켜 더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에 고찰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 내의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양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에 적합하며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에 고찰된 바와 같다. 약물 구성성분은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LABA) 및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부 구성될 수 있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물 구성성분이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LABA) 및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열거된 2개의 구성성분 (i) 및 (ii)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부 구성된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2개의 열거된 구성성분들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은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 구성성분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양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물 구성성분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인다카테롤, 올로다테롤, 포르모테롤, 빌란테롤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인다카테롤 및 인다카테롤 말레에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LABA), 및 부데소니드, 베클로메타손,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코티코스테로이드는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유일한 약제학적 활성물질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산 안정화제, 예컨대 유기산 및 무기산이 없다.
글리코피롤레이트 염, 예컨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압축 가스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의 사용은, HFA-134a 또는 HFA-227ea를 압축 가스로서 함유하는 제제에서 나타내는 안정성과 비교하여, 글리코피롤레이트 화합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예상외로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 및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안정화 방법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현탁액 또는 용액일 수 있다.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은, 약제학적 조성물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ppm 미만, 특히 5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하는 경우, 초래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물 함량을 지칭할 때, 본 발명자들은 약물 구성성분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수화된 약물 화합물에 존재하게 되는 임의의 물이 아니라, 조성물 내 유리수의 함량을 지칭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물-무함유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 언급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0.5 ppm 초과, 예를 들어 1 ppm 초과이지만 상기 고찰된 양 미만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조성물로부터 물을 모두 제거하여 상기 조성물을 이러한 물-무함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 및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단계, 및 약제학적 조성물의 물 함량을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ppm 미만, 특히 5 ppm 미만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구성성분 및 조건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실상, 상기 언급된 낮은 물 수준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는, 적합하게 낮은 물 함량을 갖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단계, 및 그 후에 약제학적 조성물을 적합하게 건조한 조건 하에, 예를 들어 건조 질소 분위기에서 제조하는 단계를 수반하는데, 상기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통상, 완성된 장치에서 가장 큰 질량의 물품(item)이기 때문이다. 건조 조건 하에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는 잘 공지되어 있고, 수반되는 기술은 당업자에 의해 잘 이해된다. 완성된 장치에서 낮은 물 함량을 수득하기 위한 다른 단계는, 장치 어셈블리 이전 및 도중에, 캔 및 밸브 컴포넌트를 수분-조절된 분위기, 예를 들어 건조 질소 또는 공기 내에서 건조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이 유의한 양의 에탄올을 함유한다면, 에탄올뿐만 아니라 압축 가스의 물 함량을 예를 들어, 건조에 의해 상기 물 함량을 적합하게 낮은 수준까지 감소시킴으로써 조절하는 것이 또한 중요할 수 있다. 적합한 건조 기술은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고, 분자체 또는 다른 무기 건조제 및 막 건조 공정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안정화 방법에서, 적합하고 바람직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안정화 방법에서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양, 및 상기 압축 가스 구성성분에 적합하며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안정화 방법에서 약물 구성성분은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부 구성될 수 있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물 구성성분이 적어도 하나의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으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약물 구성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코티코스테로이드 및/또는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가 포함될 때, 적합하고 바람직한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적합하고 바람직한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부 구성된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2개의 구성성분으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은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 구성성분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양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안정화 방법에서 제공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산 안정화제, 예컨대 유기산 및 무기산이 없다.
하나의 바람직한 안정화 방법에서,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 후 생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불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분해로부터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중량% 미만의 불순물을 생성할 것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안정화 방법에서,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 후 생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불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분해로부터 1.2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미만의 불순물을 생성할 것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이 또한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를 포함하는 보다 다른 바람직한 안정화 방법에서,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 후 생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불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분해로부터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중량% 미만의 불순물을 생성할 것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이 또한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를 포함하는 보다 다른 바람직한 안정화 방법에서,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 후 생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불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분해로부터 1.2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미만의 불순물을 생성할 것이다.
보다 다른 바람직한 안정화 방법에서, 제조 직후 약제학적 조성물에 본래 함유된 적어도 9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7.0 중량%의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및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상기 조성물에 존재할 것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이 또한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를 포함하는 보다 다른 바람직한 안정화 방법에서, 제조 직후 약제학적 조성물에 본래 함유된 적어도 9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7.0 중량%의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및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상기 조성물에 존재할 것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안정화 방법에서, 조성물의 본래의 약제학적 활성의 적어도 9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7.0%가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및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및 제4 양태의 하나의 바람직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분해로부터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중량% 미만의 총 불순물을 생성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및 제4 양태의 또 다른 바람직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분해로부터 1.2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미만의 총 불순물을 생성할 것이다.
상기 지시된 불순물의 중량%는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불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및 제4 양태의 추가의 바람직한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제조 직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본래 함유된 적어도 9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7.0 중량%의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및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상기 조성물에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및 제4 양태의 보다 다른 바람직한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어도 9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7.0%의 본래의 약제학적 활성이,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및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유지될 것이다.
상기 기재된 안정화 방법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저장을 지칭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특히,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에서 이들 조성물의 저장을 지칭하고 있다. 유사하게는, 상기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저장을 지칭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특히,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에서의 이들 조성물의 저장을 지칭하고 있다.
글리코피롤레이트 염, 예컨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계량 용량 흡입기를 사용하여 전달되도록 디자인된 압축 가스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의 사용은, 약제학적 조성물이 계량 용량 흡입기로부터 전달될 때, HFA-134a 또는 HFA-227ea가 압축 가스로서 사용될 때 관찰되는 에어로졸화 성능과 비교하여,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상기 성능을 예상외로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방출된 용량에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의 미세 입자 분획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 중량%의 방출된 용량의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을 포함한다. 방출된 용량에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의 미세 입자 분획은, 약제학적 조성물이 MDI 통(canister)에 충전된 직후 및 임의의 장기간 저장 전에 관찰될 뿐만 아니라, 응력 저장(stress storage) 조건 하에 저장된 후, 예를 들어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1개월 동안 저장된 후에도 관찰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6 양태에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 및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에어로졸화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방법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현탁액 또는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 및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에어로졸화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단계, 및 계량 용량 흡입기로부터 전달될 때,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방출된 용량의 적어도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 중량%인 상기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미세 입자 분획을 생성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출된 용량의 미세 입자 분획을 증가시키는 것은 고도로 유익한데, 왜냐하면, 폐의 심부(deep) 세기관지 통로 및 폐포 통로 내로 침투하여, 천식 공격 또는 COPD의 영향으로부터의 완화를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 미세 약물 입자이기 때문이다.
미세 입자 분획은 당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인지된 용어이다. 이러한 분획은,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폐포 약물 전달에 가장 바람직한 입자 크기 범위인 것으로 허용되는 5 μm 미만의 직경을 갖는 방출된 에어로졸 입자의 질량 분획의 측정값이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방법에서, 적합하고 바람직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방법에서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양,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에 대한 적합하며,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방법에서 약물 구성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글리코피롤레이트 염, 예컨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부 구성될 수 있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물 구성성분이 적어도 하나의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으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약물 구성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코티코스테로이드 및/또는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가 포함될 때, 적합하고 바람직한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적합하고 바람직한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6 양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부 구성된다. "~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2개의 구성성분으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6 양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은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 구성성분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극성 부형제 및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한 양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기 고찰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물 구성성분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인다카테롤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고, 방출된 용량에서 각각의 약물의 미세 입자 분획은 해당 약물의 방출된 용량의 적어도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 중량%이다. 방출된 용량에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인다카테롤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미세 입자 분획은, 약제학적 조성물이 MDI 통에 충전된 직후 및 임의의 장기간 저장 전에 관찰될 뿐만 아니라, 응력 저장 조건 하에 저장된 후, 예를 들어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1개월 동안 저장된 후에도 관찰된다. 나아가,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제화된 바와 같은 3개 약물들의 비율이, HFA-134a를 압축 가스로서 사용한 경우와는 달리, 방출된 용량에서 실질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게도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글리코피롤레이트 염의 전달에 특히 이용되며,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가압 에어로졸 용기로부터의 예를 들어 계량 용량 흡입기(MDI)를 사용한 전달에 특히 이용된다. 이러한 적용을 위해, 약제학적 조성물은 가압 에어로졸 용기에 함유되고, HFA-152a 압축 가스는 약물을 미세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가압 MDI용 약물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하나 이상의 다른 첨가제, 예컨대 밸브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첨가제가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이들 첨가제는 보통, 당업계에 통상적인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 약제 전달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가압 용기 또는 통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될 때,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액체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가압 용기는 계량 용량 흡입기(MDI)에 사용되도록 디자인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가압 용기는 코팅된 알루미늄 캔 또는 비코팅된 알루미늄 캔이며, 특히 비코팅된 알루미늄 캔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및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담는 가압 용기를 제공한다. 제8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및 제4 양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담는 가압 용기를 갖는, 약제 전달 장치, 특히 계량 용량 흡입기를 제공한다.
계량 용량 흡입기는 전형적으로, 분배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담는 용기에 크림프되는(crimped) 노즐 및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탄성중합체 개스킷(gasket)은 용기와 노즐/밸브 어셈블리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한 탄성중합체 개스킷 물질은 EPDM, 클로로부틸, 브로모부틸 및 사이클로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인데, 이들이 HFA-152a와 양호한 상용성을 나타내고 HFA-152a가 상기 용기로부터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양호한 장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호흡기 장애, 특히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앓고 있거나 또는 앓을 가능성이 있는 환자의 치료용 의약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또한, 호흡기 장애, 특히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앓고 있거나 또는 앓을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또는 예방적 유효량의 상기 고찰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MDI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전달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조될 수 있고, MDI 장치는 당업계에서 표준인 기술, 예컨대 가압 충전 및 저온 충전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글리코피롤레이트 염,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 선택적으로 계면활성제 구성성분 및 HFA-152a-함유 압축 가스가 적합한 혼합 용기 내에서 필요한 비율로 함께 혼합되는 단순 블렌딩 작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혼합은 당업계에 보편적인 바와 같이 교반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HFA-152a-함유 압축 가스는 액화되어, 혼합을 돕는다. 약제학적 조성물이 개별 혼합 용기 내에서 제조된다면, 이러한 조성물은 저장용 가압 용기, 예컨대 약제 전달 장치, 특히 MDI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가압 용기에 옮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가압 용기, 예컨대 에어로졸 통 또는 바이얼의 테두리(confine) 내에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용기로부터 상기 조성물은 궁극적으로 약제 전달 장치, 예컨대 MDI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방출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칭량된 양의 적어도 하나의 글리코피롤레이트 염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 효능제 화합물이 개방된 용기 내에 도입된다. 그 후에, 밸브가 상기 용기에 크림프되고, 선택적으로 우선 밸브를 통해 용기를 비운 후, 액체 형태의 HFA-152a-함유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압력 하에 상기 밸브를 통해 상기 용기 내에 도입된다.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이 포함된다면, 이는 약물(들)과 함께 혼합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밸브가 구비된(fitted) 후, 상기 용기 내에 단독으로 또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과의 예비혼합물로서 도입될 수 있다. 그 후에, 약물을 압축 가스/계면활성제 혼합물에 분산시키기 위해 전체 혼합물이 예를 들어 격렬한 쉐이킹에 의해 또는 초음파 배쓰를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적합한 용기는 플라스틱,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유리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용기는 금속, 특히 코팅되거나 비코팅될 수 있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용기는, 복수의 투여량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 충전될 수 있다. MDI에 사용되는 가압 에어로졸 통은 전형적으로, 50 내지 150개의 개별 투여량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지구 온난화 지수(GWP)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들의 모든 양태 및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모든 약제학적 조성물들의 제조에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의 적어도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는 HFA-152a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은 전부 HFA-152a이다.
사용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은 바람직하게는 2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 미만의 지구 온난화 지수(GWP)를 가질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지만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HFA-134a 또는 HFA-152a를 압축 가스로서 사용하는 계량 용량 흡입기(MDI)에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인다카테롤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조합 약물 제제의 시험관내 에어로졸화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많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인다카테롤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약제학적 제제를 HFA-134a 또는 HFA-152a(Mexichem, UK)에서 제조하였다. 약물을 표준 비코팅된 14 ml 알루미늄 통(C128, Presspart, Blackburn, UK)에 직접적으로 칭량하였다. 그 후에, 상기 통에 50 mL 밸브(Bespak, Kings Lynn, UK)를 크림프하고, 이후, 압축 가스를 수동 Pamasol 크림퍼/필러(Pamasol, Switzerland)를 사용하여 밸브를 통해 상기 통에 충전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통을 2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현탁액에서 약물의 분산을 도왔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의 공칭 용량은 50 μg이었으며, 인다카테롤의 공칭 용량은 100 μg이었고,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공칭 용량은 125 μg이었다.
제제의 시험관내 에어로졸화 성능을 제조 직후(시간 t = 제로), 하기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차세대 임팩터(Next Generation Impactor)를 이용해 시험하였다. 그 후에, 상기 제제를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응력 저장 조건(밸브 다운) 하에 1개월 동안 저장하였다. 응력 저장 조건 하에 1개월 동안 저장한 후, 약제학적 제제의 시험관내 에어로졸화 성능을 이전과 같이 하기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차세대 임팩터를 이용해 다시 시험하였다.
차세대 임팩터(NGI, Copley Scientific, Nottingham UK)를 진공 펌프(GE Motors, NJ, USA)에 연결하였다. 시험 전에, NGI 시스템의 컵을 헥산 중 1% v/v 실리콘 오일로 코팅시켜, 입자 바운스(bounce)를 없앴다. 각각의 실험을 위해, 밸브의 3개 액추에이션(actuation)을 약전 지침에 따라 30 L.min-1에서 NGI 내로 배출하였다. 에어로졸화 후, NGI 장비를 해체하고, 액추에이터 및 NGI의 각각의 파트를 공지된 부피의 HPLC 이동상 내로 씻어 내렸다. NGI의 각각의 파트 상에 침착된 약물의 질량을 HPLC에 의해 결정하였다. 이 프로토콜을 각각의 통에 대해 3회 반복하였으며, 이후, 미세 입자 용량(FPD) 및 방출된 용량의 미세 입자 분획(FPFED)을 결정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여, 에어로졸화 연구 후의 약물 함량을 결정하였다(하기 참조) 5 μm 입자 크기를 갖는 250 mm x 4.6 mm Hypersil ODS C18 컬럼(Fisher, Loughborough) 또는 등가물을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3 μm 입자 크기를 갖는 50 mm x 4.6 mm Nucleosil 100 - 3 C18 HD 컬럼 또는 등가물을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인다카테롤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어떤 약물을 분석하는지에 따라 220 nm 또는 235 nm의 파장에서 작동하는 UV 검출기에 컬럼을 결합시켰다. 자동시료기를 주위 온도에서 작동시키고, 100 μl의 시료를 분석용 컬럼 내에 주입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은 하기 표 1 및 2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9037032515-pct00001
Figure 112019037032515-pct00002
이동상의 조성을 하기 표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하였다.
Figure 112019037032515-pct00003
결과를 하기 표 4 내지 6에 제시한다.
Figure 112019037032515-pct00004
Figure 112019037032515-pct00005
Figure 112019037032515-pct00006
상기 표 4 및 5에서의 데이터로부터, 미세 입자 용량, 및 방출된 용량의 미세 입자 분획은, 조합 약물 제제에서 3개의 모든 약물들에 대해 HFA-134a와는 대조적으로 HFA-152a가 압축 가스로서 사용된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이 분명하다. 이는 유용한 약제 전달 용량의 증가를 나타낸다. 이러한 개선된 성능은 또한,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1개월 동안 응력 저장된 후에도 관찰된다.
모든 약물들이 약 30%의 미세 입자 분획을 달성하는 HFA-134a 제제와는 대조적으로, HFA-152a 제제는 45% 내지 50%의 미세 입자 분획을 전달한다. 따라서, HFA-152a는 치료적 유효 용량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약제의 양을 감소시키며, 치료 비용을 감소시키고, 환자에서 부작용을 초래하는 구강 및 소화관을 통한 약물의 전신 흡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유의한 이득들과 함께, 3개의 모든 약물들의 상당히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전달을 제공한다.
더욱이, HFA-134a-기초 제제의 MMAD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에 대해 약 2.6 mm 내지 인다카테롤에 대해 4.8 mm의 범위인 한편, HFA-152a에 의해 전달되는 입자는 2.9 mm 내지 3.5 mm 범위에서 광범위하게 동등한 크기를 가진다. 3개 약물들에 걸쳐 입자 크기의 이러한 더 큰 균일성은, 3개의 모든 약물들이 표적 폐 조직까지 올바른 비율로 전달되도록 보장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입자 크기의 차이(disparity)는 약물들 사이에서 차별적인 약물 침착 및 결과적으로 감소된 치료적 상승작용과 함께 불균일한 전달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는, HFA-152a가 특정 약물에 대해 및 상이한 약물들 사이에서, 입자 응집의 정도를 최소화하는 작용을 한다고 가리킨다.
실시예 2
비코팅된 알루미늄 캔에서 제로 시간(T=0), 및 40℃ 및 75% 상대 습도(RH) 및 25℃ 및 60% 상대 습도(RH)에서 1개월(T=1M) 및 3개월(T=3M) 동안 밸브 다운상태에서 저장한 후, HFA-134a 및 HFA-152a 내에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인다카테롤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약물 제제를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재된 HPLC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비코팅된 알루미늄 캔에서 HFA-152a 및 HFA-134a 내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인다카테롤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약물 제제의 화학적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를 각각 하기 표 7 내지 12에 제시한다.
Figure 112019037032515-pct00007
Figure 112019037032515-pct00008
Figure 112019037032515-pct00009
Figure 112019037032515-pct00010
Figure 112019037032515-pct00011
Figure 112019037032515-pct00012
상기 표 7 내지 12의 데이터로부터, HFA-134a보다 HFA-152a가 에어로졸화 압축 가스로서 사용될 때, 가속화된 시험 조건 하에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인다카테롤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가 모두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Claims (111)

  1.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i)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부데소니드(budesonide) 및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beclomethasone dipropionat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선택적으로 포르모테롤(formoterol)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long acting beta-2-agonist: LABA)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 및
    (ii)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0 ppm 미만의 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ppm 초과의 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0 ppm 미만의 산소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ppm 초과의 산소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미분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약물 구성성분이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LABA)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가 미분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가 미분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약물 구성성분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의 80.0 내지 99.99 중량%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90 중량%의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95 중량%의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99 중량%의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전체적으로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0.5 내지 10 ppm의 불포화된 불순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95 중량%의 조성물이 2개의 구성성분 (i) 및 (ii)로 구성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올레산 및 레시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극성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극성 부형제가 에탄올인, 약제학적 조성물.
  23. 제1항에 있어서,
    극성 부형제가 없는, 약제학적 조성물.
  24. 제1항에 있어서,
    에탄올이 없는, 약제학적 조성물.
  25.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구성성분 (i) 및 (ii)로 전부 구성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26. 제1항에 있어서,
    산 안정화제가 없는, 약제학적 조성물.
  27. 제1항에 있어서,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에서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불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분해로부터 0.8 중량% 미만의 불순물을 생성할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28. 제1항에 있어서,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에서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불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분해로부터 1.0 중량% 미만의 불순물을 생성할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제조 직후 약제학적 조성물에 본래 함유된 적어도 96.0 중량%의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에서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및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에서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상기 조성물에 존재할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30. 제1항에 있어서,
    계량 용량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로부터 전달될 때,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방출된 용량의 적어도 35 중량%인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미세 입자 분획을 생성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1. 제1항에 있어서,
    현탁액의 형태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2. 제1항에 있어서,
    용액의 형태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3. 제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천공된 미세구조가 없는, 약제학적 조성물.
  34. 제1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함유하는 밀봉된 용기.
  35. 제34항에 있어서,
    비코팅된 알루미늄 캔인, 밀봉된 용기.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계량 용량 흡입기(MDI)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가압 에어로졸 용기인, 밀봉된 용기.
  37. 제36항에 따른 밀봉된 용기가 구비된 계량 용량 흡입기(MDI).
  38. 제37항에 있어서,
    가압 에어로졸 용기에 부착된 노즐 및 밸브 어셈블리, 및 상기 용기와 노즐/밸브 어셈블리 사이에 시일(seal)을 제공하기 위해 EPDM, 클로로부틸, 브로모부틸 및 사이클로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탄성중합체 물질로부터 제조된 개스킷(gasket)을 포함하는, 계량 용량 흡입기.
  39. 압축 가스 구성성분, 및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부데소니드 및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의 물 함량을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0 ppm 미만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구성성분 및 조건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생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의 산소 함량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0 ppm 미만인, 방법.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인, 방법.
  43. 제39항에 있어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미분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방법.
  44. 제39항에 있어서,
    약물 구성성분이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LABA)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가 인다카테롤, 올로다테롤, 포르모테롤, 빌란테롤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가 인다카테롤 및 인다카테롤 말레에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7.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장기간 작용성 베타-2-효능제가 미분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방법.
  48.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가 미분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방법.
  49. 제39항에 있어서,
    약물 구성성분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의 80.0 내지 99.99 중량%를 포함하는, 방법.
  51.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90 중량%의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적어도 95 중량%의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적어도 99 중량%의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방법.
  54. 제39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전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방법.
  55. 제51항 내지 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0.5 내지 10 ppm의 불포화된 불순물을 함유하는, 방법.
  56.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95 중량%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으로 구성되는, 방법.
  57. 제39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구성성분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계면활성제, 올레산 및 레시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9. 제39항에 있어서,
    극성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극성 부형제가 에탄올인, 방법.
  61. 제39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극성 부형제가 없는, 방법.
  62. 제39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에탄올이 없는, 방법.
  63. 제39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이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으로 전부 구성되는, 방법.
  64. 제39항에 있어서,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에서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약제학적 조성물이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불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분해로부터 0.8 중량% 미만의 불순물을 생성할 것인, 방법.
  65. 제39항에 있어서,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에서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약제학적 조성물이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불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분해로부터 1.0 중량% 미만의 불순물을 생성할 것인, 방법.
  66. 제64항 또는 제65항에 있어서,
    제조 직후 약제학적 조성물에 본래 함유된 적어도 96.0 중량%의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에서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및 비코팅된 알루미늄 용기에서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후, 상기 조성물에 존재할 것인, 방법.
  67. 제39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이 현탁액의 형태로 존재하는, 방법.
  68. 제39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이 용액의 형태로 존재하는, 방법.
  69. 제39항에 있어서,
    산 안정화제가 없는, 방법.
  70. 제39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천공된 미세구조가 없는, 방법.
  71. 압축 가스 구성성분, 및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부데소니드 및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에어로졸화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계량 용량 흡입기로부터 전달될 때,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방출된 용량의 적어도 35 중량%인 상기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미세 입자 분획을 생성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방출된 용량 내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미세 입자 분획이, 약제학적 조성물을 40℃ 및 75% 상대 습도에서 1개월 동안 저장한 후,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방출된 용량의 적어도 35 중량%인, 방법.
  74. 제7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인, 방법.
  75. 제1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250 미만의 지구 온난화 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76. 제1항에 있어서,
    약물 구성성분을 구성하는 화합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존재하는 것과 동일한 비율로 상기 화합물을 전달하도록 개조된, 약제학적 조성물.
  77. 제36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250 미만의 지구 온난화 지수(GWP)를 갖는, 밀봉된 용기.
  78. 제37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250 미만의 지구 온난화 지수(GWP)를 갖는, 계량 용량 흡입기.
  79.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부데소니드 및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약물 구성성분, 및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지구 온난화 지수(GWP)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을 포함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의 적어도 90 중량%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방법.
  81. 제80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의 적어도 95 중량%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의 적어도 99 중량%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방법.
  83. 제79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전부 1,1-디플루오로에탄(HFA-152a)인, 방법.
  84. 제79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인, 방법.
  85. 제79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압축 가스 구성성분이 250 미만의 지구 온난화 지수(GWP)를 갖는, 방법.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KR1020197010385A 2016-09-19 2017-09-18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77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1521A KR20210089273A (ko) 2016-09-19 2017-09-18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15917.0 2016-09-19
GB1615917.0A GB2558191A (en) 2016-09-19 2016-09-19 Pharmaceutical composition
GB1620519.7 2016-12-02
GBGB1620519.7A GB201620519D0 (en) 2016-12-02 2016-12-02 Pharmaceutical composition
PCT/GB2017/052761 WO2018051130A1 (en) 2016-09-19 2017-09-18 Pharmaceutical composi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521A Division KR20210089273A (ko) 2016-09-19 2017-09-18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467A KR20190063467A (ko) 2019-06-07
KR102277635B1 true KR102277635B1 (ko) 2021-07-19

Family

ID=599973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385A KR102277635B1 (ko) 2016-09-19 2017-09-18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17021521A KR20210089273A (ko) 2016-09-19 2017-09-18 약제학적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521A KR20210089273A (ko) 2016-09-19 2017-09-18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9) US10888546B2 (ko)
EP (4) EP3610871B1 (ko)
JP (3) JP6781829B2 (ko)
KR (2) KR102277635B1 (ko)
CN (4) CN109789126B (ko)
AU (3) AU2017328907B2 (ko)
BR (1) BR112019005133A2 (ko)
CA (1) CA3037092C (ko)
CO (1) CO2019002556A2 (ko)
ES (4) ES2957459T3 (ko)
GE (1) GEP20217239B (ko)
IL (1) IL265360B2 (ko)
MX (3) MX2019003098A (ko)
MY (1) MY202069A (ko)
PE (1) PE20191043A1 (ko)
PH (1) PH12019500579A1 (ko)
UA (1) UA123919C2 (ko)
WO (1) WO2018051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1199B2 (en) 2014-06-24 2016-08-23 Sydnexis, Inc. Ophthalmic composition
US11382909B2 (en) 2014-09-05 2022-07-12 Sydnexis, Inc. Ophthalmic composition
EP3610871B1 (en) * 2016-09-19 2023-11-08 Mexichem Fluor S.A. de C.V.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glycopyrrolate
ES2877575T3 (es) 2016-09-19 2021-11-17 Mexichem Fluor Sa De Cv Composición farmacéutica que comprende salmeterol
GEP20217240B (en) * 2016-09-19 2021-03-25 Mexichem Fluor Sa De Cv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6781831B2 (ja) * 2016-09-19 2020-11-04 メキシケム フロー エセ・ア・デ・セ・ヴェ 医薬組成物
KR102041239B1 (ko) * 2017-02-22 2019-11-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WO2019104191A1 (en) * 2017-11-21 2019-05-31 Sydnexis, Inc. Ophthalmic composition and delivery device thereof
GB2573297A (en) * 2018-04-30 2019-11-06 Mexichem Fluor Sa De Cv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2021527057A (ja) * 2018-06-07 2021-10-11 キンデーバ ドラッグ デリバリー リミティド パートナーシップ フルチカゾン及びビランテロール製剤並びに吸入器
CN112137957B (zh) * 2019-06-26 2022-07-29 长风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药用吸入气雾剂及其制备方法
GB2586477A (en) * 2019-08-20 2021-02-24 Mexichem Fluor Sa De Cv Composition and method
GB2593283B (en) 2020-01-28 2023-09-13 Chiesi Farm Spa Pressurised metered dose inhalers comprising a buffered pharmaceutical formulation
GB2593970A (en) 2020-02-20 2021-10-13 Chiesi Farm Spa Pressurised metered dose inhalers comprising a buffered pharmaceutical formulation
CN111624292A (zh) * 2020-07-10 2020-09-04 武汉伯瑞恒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测定血清中茚达特罗格隆溴铵浓度的方法
CN112051346A (zh) * 2020-09-24 2020-12-08 珠海瑞思普利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同时测定茚达特罗和格隆溴铵含量的hplc方法
CA3230792A1 (en) * 2021-09-08 2023-03-16 Kindeva Drug Delivery L.P. Metered dose inhalers and solution composi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0770A2 (en) * 2011-02-17 2012-08-23 Cipla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2012156711A1 (en) * 2011-05-13 2012-11-22 Mexichem Amanco Holding S.A. De C.V.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8477D0 (en) 1988-12-06 1989-01-05 Riker Laboratories Inc Medical aerosol formulations
US5439670A (en) 1989-11-28 1995-08-08 Riker Laboratories, Inc. Medicinal aerosol formulations
IE67185B1 (en) 1990-02-02 1996-03-06 Fisons Plc Propellant compositions
DE4003272A1 (de) 1990-02-03 1991-08-08 Boehringer Ingelheim Kg Neue treibgasmischungen und ihre verwendung in arzneimittelzubereitungen
GB9024366D0 (en) 1990-11-09 1991-01-02 Glaxo Group Ltd Medicaments
US6123924A (en) 1991-09-25 2000-09-26 Fisons Plc Pressurized aerosol inhalation compositions
FR2718437B1 (fr) * 1994-04-11 1996-06-28 Solvay Procédé de séparation du 1,1-difluoroéthane de ses mélanges avec le fluorure d'hydrogène.
MX9704550A (es) 1994-12-22 1997-10-31 Astra Ab Formulaciones de medicamentos en aerosol.
DE69814428T2 (de) 1997-09-29 2004-05-13 Nektar Therapeutics, San Carlos In verneblern verwendbare, stabilisierte zubereitungen
US6103266A (en) 1998-04-22 2000-08-15 Tapolsky; Gilles H. Pharmaceutical gel preparation applicable to mucosal surfaces and body tissues
US6451285B2 (en) 1998-06-19 2002-09-17 Baker Norton Pharmaceuticals, Inc. Suspension aerosol formulations containing formoterol fumarate and a fluoroalkane propellant
ATE283033T1 (de) * 1998-07-24 2004-12-15 Jago Res Ag Medizinische aerosolformulierungen
EP1102579B1 (de) 1998-08-04 2003-03-19 Jago Research Ag Medizinische aerosolformulierungen
US6004537A (en) 1998-12-18 1999-12-21 Baker Norton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solution aerosol formulations containing fluoroalkanes, budesonide and formoterol
US6432415B1 (en) 1999-12-17 2002-08-13 Axrix Laboratories, Inc. Pharmaceutical gel and aerosol formulations and methods to administer the same to skin and mucosal surfaces
ES2238334T3 (es) 1999-12-24 2005-09-01 Glaxo Group Limited Formulacion farmaceutica en aerosol de salmeterol y propionato de fluticasona.
US20060257324A1 (en) 2000-05-22 2006-11-16 Chiesi Farmaceutici S.P.A. Pharmaceutical solution formulations for pressurised metered dose inhalers
US6908928B2 (en) 2000-10-12 2005-06-21 Bi Pharma Kg. Crystalline tiotropium bromide monohydrate,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N1144582C (zh) 2000-11-28 2004-04-07 中国药科大学 治疗呼吸系统疾病的无氟里昂药用气雾剂
CN1216600C (zh) 2002-04-24 2005-08-31 信谊药厂 盐酸左旋沙丁胺醇气雾剂及制备工艺
US7244742B2 (en) * 2002-08-17 2007-07-1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inhalation containing an anticholinergic, corticosteroid and betamimetic
EP2319584A1 (en) 2002-08-29 2011-05-11 Cipla Ltd. Pharmaceutical product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almeterol, ciclesonide and tiotropium
KR20050085650A (ko) 2002-12-16 2005-08-29 베링거 잉겔하임 파르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타이오트로피움 함유 hfc 용액 제형
GB0323685D0 (en) 2003-10-09 2003-11-12 Jagotec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GB0323684D0 (en) 2003-10-09 2003-11-12 Jagotec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US20060018840A1 (en) 2004-06-28 2006-01-26 Nektar Therapeutics Aerosolizable formulation comprising nicotine
ES2259915B1 (es) 2005-03-15 2007-12-16 Laboratorio Aldo-Union, S.A. Nueva formulacion estable de aerosoles en suspension y procedimiento de obtencion.
WO2007020204A2 (en) 2005-08-12 2007-02-22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Hfc solution formulations for inhalation containing salbutamol hydrochloride or salbutamol citrate
DE102006017320A1 (de) 2006-04-11 2007-10-1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Aerosolsuspensionsformulierungen mit TG 227 ea oder TG 134 a als Treibmittel
PL3111926T3 (pl) 2009-05-29 2020-06-29 Pearl Therapeutics, Inc. Kompozycje, sposoby i układy do dostarczania dwóch lub większej liczby środków czynnych do układu oddechowego
US8815258B2 (en) * 2009-05-29 2014-08-26 Pearl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for respiratory delivery of two or more active agents
WO2011076842A2 (en) * 2009-12-23 2011-06-30 Chiesi Farmaceutici S.P.A. Aerosol formulation for copd
EP2515855B3 (en) * 2009-12-23 2023-05-03 Chiesi Farmaceutici S.p.A. Combination therapy for COPD
GB201117621D0 (en) * 2011-10-12 2011-11-23 Mexichem Amanco Holding Sa Compositions
GB201117619D0 (en) * 2011-10-12 2011-11-23 Mexichem Amanco Holding Sa Compositions
MX2015003731A (es) 2012-10-23 2015-06-15 Cipla Ltd Composicion farmaceutica.
SG11201605311UA (en) 2013-12-30 2016-07-28 Chiesi Farma Spa Stable pressurised aerosol solution composition of glycopyrronium bromide and formoterol combination
WO2017093758A1 (en) 2015-12-04 2017-06-08 Mexichem Fluor S.A. De C.V. Pharmaceutical composition
EP3610871B1 (en) * 2016-09-19 2023-11-08 Mexichem Fluor S.A. de C.V.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glycopyrrolate
ES2877575T3 (es) * 2016-09-19 2021-11-17 Mexichem Fluor Sa De Cv Composición farmacéutica que comprende salmete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0770A2 (en) * 2011-02-17 2012-08-23 Cipla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2012156711A1 (en) * 2011-05-13 2012-11-22 Mexichem Amanco Holding S.A. De C.V.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0871A1 (en) 2020-02-19
IL265360B (en) 2022-10-01
JP2020114826A (ja) 2020-07-30
US11642330B2 (en) 2023-05-09
JP6781829B2 (ja) 2020-11-04
MX2019003098A (es) 2019-08-01
PH12019500579A1 (en) 2019-08-19
PE20191043A1 (es) 2019-08-06
US11826348B2 (en) 2023-11-28
US11179366B2 (en) 2021-11-23
US20200016120A1 (en) 2020-01-16
NZ752430A (en) 2021-02-26
EP3607936A1 (en) 2020-02-12
US11690823B2 (en) 2023-07-04
KR20210089273A (ko) 2021-07-15
CA3037092A1 (en) 2018-03-22
US20240050405A1 (en) 2024-02-15
CN114515284A (zh) 2022-05-20
EP3515432B1 (en) 2021-08-25
CN114272238A (zh) 2022-04-05
ES2957459T3 (es) 2024-01-19
CN114712338A (zh) 2022-07-08
EP3515432A1 (en) 2019-07-31
AU2020202626A1 (en) 2020-05-14
US20210322379A1 (en) 2021-10-21
EP3607936B1 (en) 2023-11-08
US20240050404A1 (en) 2024-02-15
GEP20217239B (en) 2021-03-25
MY202069A (en) 2024-03-31
AU2017328907A1 (en) 2019-04-04
US20210322377A1 (en) 2021-10-21
EP3915555A1 (en) 2021-12-01
CA3037092C (en) 2022-06-21
CO2019002556A2 (es) 2020-02-18
EP3610871B1 (en) 2023-11-08
US10888546B2 (en) 2021-01-12
ES2892673T3 (es) 2022-02-04
US11103480B2 (en) 2021-08-31
AU2021205045C1 (en) 2022-12-22
US20210401800A1 (en) 2021-12-30
JP2019529428A (ja) 2019-10-17
AU2021205045A1 (en) 2021-08-12
AU2020202626B2 (en) 2021-08-05
EP3915555B1 (en) 2023-06-28
AU2021205045B2 (en) 2022-08-25
US20190255018A1 (en) 2019-08-22
IL265360B2 (en) 2023-02-01
MX2021009476A (es) 2022-05-11
BR112019005133A2 (pt) 2019-06-04
JP7228726B2 (ja) 2023-02-24
ES2968212T3 (es) 2024-05-08
AU2017328907B2 (en) 2020-04-09
CN109789126A (zh) 2019-05-21
IL265360A (en) 2019-05-30
US11826349B2 (en) 2023-11-28
US20200016119A1 (en) 2020-01-16
MX2021009475A (es) 2021-09-08
UA123919C2 (uk) 2021-06-23
WO2018051130A1 (en) 2018-03-22
KR20190063467A (ko) 2019-06-07
JP2022065106A (ja) 2022-04-26
CN109789126B (zh) 2022-08-05
US20210322378A1 (en) 2021-10-21
JP7041703B2 (ja) 2022-03-24
ES2968453T3 (es)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635B1 (ko)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79445B1 (ko) 약제학적 조성물
AU2019264005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lbutamol
NZ752430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