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627B1 -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627B1
KR102277627B1 KR1020200004537A KR20200004537A KR102277627B1 KR 102277627 B1 KR102277627 B1 KR 102277627B1 KR 1020200004537 A KR1020200004537 A KR 1020200004537A KR 20200004537 A KR20200004537 A KR 20200004537A KR 102277627 B1 KR102277627 B1 KR 10227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carrier
attachment plat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주
Original Assignee
전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주 filed Critical 전은주
Priority to KR1020200004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하여 각종 공구 등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캐리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리어 커버에 양각 또는 음각의 보강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캐리어 본체 성형 시에 얻은 보강 부착판을 캐리어 커버의 보강부에 덧대어 캐리어 커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캐리어 커버가 흐느적거리거나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적재함 캐리어의 내구성 향상과 수명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oading case carrier of truck}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하여 각종 공구 등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캐리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특히 트럭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적재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적재함의 양측 및 후방에는 트럭이 운행하는 과정에서 화물이 도로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측면 받침문과 후면 받침문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트럭의 적재함에는 필요에 따라 일정크기를 갖는 별도의 캐리어, 즉 공구 등을 넣고 다닐 수 있는 캐리어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트럭은 화물을 운송하고 보수관리 및 안전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의 일종으로 대부분의 트럭에는 공구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캐리어가 갖추어져 있다.
특히, 보수관리나 수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작업용 트럭에는 상당한 양의 공구를 적재하여 다니고 있고, 주로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박스의 내부에 공구를 담아서 사용하고 있다.
보통, 트럭 적재함에 사용되는 캐리어는 캐리어 본체와 캐리어 커버로 구성되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캐리어 커버를 열거나 닫아서 각종 물품이나 공구를 수납하거나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캐리어는 캐리어 커버가 얇은 단판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별다른 보강 구조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관계로 열거나 닫을 때 흐느적 거리거나 외부의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 내구성 측면이나 수명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58751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48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캐리어 커버에 양각 또는 음각의 보강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캐리어 본체 성형 시에 얻은 보강 부착판을 캐리어 커버의 보강부에 덧대어 캐리어 커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캐리어 커버가 흐느적거리거나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적재함 캐리어의 내구성 향상과 수명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은 캐리어 커버, 캐리어 본체 및 캐리어 바닥판을 각각 사출 성형하되, 상기 캐리어 커버의 사출 성형 시 커버 상판의 내측 영역에 양각 또는 음각 형태의 보강부를 성형하고, 상기 캐리어 본체의 사출 성형 시 본체 상판의 내측 영역에 캐리어 커버의 보강부에 상응하는 형태의 보강 부착판을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보강 부착판을 재단하여 본체 상판으로부터 발췌하는 제1단계와, 상기 캐리어 본체로부터 발췌한 보강 부착판를 캐리어 커버의 보강부에 결합하는 제2단계와, 상기 캐리어 본체의 아래쪽 개방부위에 캐리어 바닥판을 결합하여 캐리어 본체 아래쪽을 마감함과 더불어 보강 부착판을 재단함으로 인해 생긴 캐리어 본체의 윗쪽 개방부위에 보강 부착판이 결합되어 있는 보강부를 갖춘 캐리어 커버를 경첩을 매개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여 캐리어 본체 윗쪽을 덮어주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캐리어 커버의 양각 또는 음각의 보강부에 보강 부착판을 결합할 때, 보강부의 내면에 보강 부착판을 꼭 맞게 밀착시켜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캐리어 커버의 양각의 보강부에 보강 부착판을 결합할 때, 보강부와 보강 부착판이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그 사이에 공간부가 조성되도록 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는 캐리어 본체의 사출 성형 시 본체 상판의 내측 영역에 보강 부착판을 성형할 때 보강 부착판의 요홈부위에 다수의 보강 리브를 함께 성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캐리어 커버의 양각 보강부에 보강 리브를 갖춘 보강 부착판을 결합할 때, 보강부의 내면에 보강 부착판을 꼭 맞게 밀착시켜서 결합하거나, 또는 보강부와 보강 부착판이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그 사이에 공간부가 조성되도록 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캐리어 커버에 양각 또는 음각의 보강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캐리어 본체 성형 시에 얻은 보강 부착판을 캐리어 커버의 보강부에 덧대어 캐리어 커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캐리어 커버가 흐느적거리거나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적재함 캐리어의 내구성 향상과 수명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캐리어 커버 보강을 위한 부재로 캐리어 본체에서 떼어낸 부분(보강 부착판)을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성형시의 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캐리어 적재함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으로 제작한 적재함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도 1의 A-A 선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으로 제작한 적재함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은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하여 각종 공구 등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캐리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특히 캐리어 커버에 보강 구조를 형성함과 더불어 캐리어 본체 제작 시에 함께 성형한 부착 보강판을 캐리어 커버 보강 구조에 덧붙힘으로써, 캐리어 커버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결국 적재함 캐리어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제1단계로서, 적재함 캐리어를 구성하는 캐리어 커버(10), 캐리어 본체(11), 캐리어 바닥판(12)을 각각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이때의 캐리어 커버(10), 캐리어 본체(11) 및 캐리어 바닥판(12)의 사출 성형 방법은 합성수지 소재 등을 사용한 공지의 사출 성형 방법이므로 구체적인 공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제1단계에서는 캐리어 커버(10)의 사출 성형할 때, 커버 상판의 내측 영역에 양각 또는 음각 형태의 보강부(13)를 성형하는 과정을 실시한다.
이때의 보강부(13)는 커버 상판의 내측 영역, 예를 들면 커버 상판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중앙 영역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양각의 철부(凹部) 형태 또는 안쪽으로 함몰되는 음각의 요부(凹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 영역 전체에 걸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사각형 등의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캐리어 커버(10)에 양각이나 음각 형태의 보강부(13)가 갖추어지게 되므로서, 면적이 넓거나 길이가 긴 경우에도 캐리어 커버 자체 강도가 조금은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 시에 휘어지거나 꿀렁거림 등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캐리어 커버(10)를 닫은 상태에서도 가운데 부분이 푹 꺼지는 등의 현상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단계에서는 캐리어 본체(11)를 사출 성형할 때, 즉 하부가 뚫려 있고 상부가 상판에 의해 막혀 있는 형태의 캐리어 본체(11)를 사출 성형할 때, 본체 상판의 내측 영역에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3)에 상응하는 형태, 예를 들면 보강부(13)의 면적, 깊이, 형상 등에 상응하는 형태의 보강 부착판(14)을 성형하는 과정을 실시한다.
이렇게 캐리어 본체(11)의 본체 상판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보강 부착판(14)은 캐리어 본체(11)의 본체 상판측으로부터 재단된 후에 발췌된다.
즉, 캐리어 본체(11)에서 보강 부착판(14)을 밀링이나 커터 등으로 커팅하여 떼어내게 되고, 이때의 커팅 시 보강 부착판(14)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 폭의 날개부(18)가 남아 있도록 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날개부(18)를 포함하는 보강 부착판(14)이 제거되어 뻥 뚫려 있는 캐리어 본체(11)의 윗쪽 개방부위의 가장자리 부분은 2차 커팅 등의 후속 가공을 통해 공구 등을 손쉽게 투입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잘 다듬어 놓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단계에서 캐리어 본체(11)의 사출 성형 시 본체 상판의 내측 영역에 보강 부착판(14)을 성형할 때 보강 부착판(14)의 요홈부위에 다수의 보강 리브(17)를 함께 성형하는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의 보강 리브(17)는 보강 부착판(14)의 깊이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면서 옆으로 세워진 자세로 보강 부착판(14)의 전후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17)는 보강 부착판(14)의 자체 강성을 물론 더 나아가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7)에 보강 부착판(14)이 부착될 때 캐리어 커버(10)의 강성을 한층 더 보강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2단계로서, 상기 캐리어 본체(11)로부터 발췌한 보강 부착판(14)을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3)에 결합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이러한 제2단계에서 보강 부착판(14)은 접착제에 의한 본딩, 융착, 몰딩을 이용한 접착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3)와 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 부착판(14)은 날개부(18)를 이용하여 보강부(13)측에 본딩 등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날개부(18)를 포함하는 보강 부착판(14)의 전체 면적을 이용하여 보강부(13)측에 본딩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3)가 양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양각의 보강부(13)에 보강 부착판(14)을 결합할 때, 보강부(13)의 내면에 보강 부착판(14)을 맞게 밀착시켜서 보강부(13)와 보강 부착판(14)이 2겹을 이루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보강 강도를 높이기 위해 2겹으로 결합되는 중간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3)가 음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음각의 보강부(13)에 보강 부착판(14)을 결합할 때, 보강부(13)의 내면에 보강 부착판(14)을 꼭 맞게 밀착시켜서 보강부(13)와 보강 부착판(14)이 2겹을 이루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보강 강성을 높이기 위해 2겹으로 결합되는 중간 사이에는 공간부(16)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3)가 양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양각의 보강부(13)에 보강 부착판(14)을 결합할 때, 보강부(13)와 보강 부착판(14)이 서로의 오목한 부위를 마주대하도록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그 사이에 공간부(16)가 조성되도록 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캐리어 커버(10)에 보강부(13)가 형성되는 동시에 보강 부착판(14)이 결합되고, 이에 더하여 소정의 박스형 공간부(16)가 조성됨으로써, 캐리어 커버(10)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3)가 양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양각의 보강부(13)에 보강 리브(17)를 갖춘 보강 부착판(14)을 결합할 때, 보강부(13)의 내면에 보강 리브(17)를 갖춘 보강 부착판(14)을 꼭 맞게 밀착시킴과 더불어 보강 리브(17)가 내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밀착시켜서 보강부(13)와 보강 부착판(14)이 2겹을 이루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보강 강도를 높이기 위해 2겹으로 결합되는 중간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3)가 양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양각의 보강부(13)에 보강 리브(17)를 갖춘 보강 부착판(14)을 결합할 때, 보강부(13)와 보강 부착판(14)이 서로의 오목한 부위를 마주대하도록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그 사이에 공간부(16)가 조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보강 리브(17)가 공간부(16) 내에 위치되도록 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캐리어 커버(10)에 보강부(13)가 형성되는 동시에 보강 리브(17)가 구비된 보강 부착판(14)이 결합되고, 이에 더하여 소정의 박스형 공간부(16)가 조성됨으로써, 캐리어 커버(10)의 강성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3단계로서, 상기 보강 부착판(14)이 결합되어 있는 보강부(13)를 갖춘 캐리어 커버(10), 캐리어 본체(11), 캐리어 바닥판(12)을 결합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캐리어 본체(11)의 아래쪽 개방부위에 캐리어 바닥판(12)을 본딩 등으로 결합하여 캐리어 본체 아래쪽을 마감하고, 보강 부착판(14)을 재단함으로 인해 생긴 캐리어 본체(11)의 윗쪽 개방부위, 즉 홀 가장자리 부분이 소정의 크기로 잘 다듬어져 있는 개방부위에 보강 부착판(14)이 결합되어 있는 보강부(13)를 갖춘 캐리어 커버(10)를 경첩(16)을 매개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여 캐리어 본체 윗쪽을 덮어준다.
물론, 상기 캐리어 커버(10)의 경우 캐리어 본체(11)에 결합할 때 뒷쪽은 경첩(16)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앞쪽에는 공지의 원터치 클램프 등과 같은 잠금장치(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제1단계 내지 제3단계를 실시함으로써 커버측에 소정의 강성을 확보한 적재함 캐리어가 완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 커버에 양각 또는 음각의 보강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캐리어 본체 성형 시에 얻은 보강 부착판을 캐리어 커버의 보강부에 덧대어 캐리어 커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적재함 캐리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결국 적재함 캐리어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캐리어 커버
11 : 캐리어 본체
12 : 캐리어 바닥판
13 : 보강부
14 : 보강 부착판
15 : 경첩
16 : 공간부
17 : 보강 리브
18 : 날개부

Claims (7)

  1. 캐리어 커버(10), 캐리어 본체(11) 및 캐리어 바닥판(12)을 각각 사출 성형하되, 상기 캐리어 커버(10)의 사출 성형 시 커버 상판의 내측 영역에 양각 또는 음각 형태의 보강부(13)를 성형하고, 상기 캐리어 본체(11)의 사출 성형 시 본체 상판의 내측 영역에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3)에 상응하는 형태의 보강 부착판(14)을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보강 부착판(14)을 재단하여 본체 상판으로부터 발췌하는 제1단계;
    상기 캐리어 본체(11)로부터 발췌한 보강 부착판(14)을 캐리어 커버(10)의 보강부(13)에 결합하는 제2단계;
    상기 캐리어 본체(11)의 아래쪽 개방부위에 캐리어 바닥판(12)을 결합하여 캐리어 본체 아래쪽을 마감함과 더불어 보강 부착판(14)을 재단함으로 인해 생긴 캐리어 본체(11)의 윗쪽 개방부위에 보강 부착판(14)이 결합되어 있는 보강부(13)를 갖춘 캐리어 커버(10)를 경첩(16)을 매개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여 캐리어 본체 윗쪽을 덮어주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날개부(18)를 포함하는 보강 부착판(14)이 제거되어 뻥 뚫려 있는 캐리어 본체(11)의 윗쪽 개방부위의 가장자리 부분은 공구 등을 손쉽게 투입할 수 있도록 더 크게 2차 커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캐리어 커버(10)의 양각 또는 음각의 보강부(13)에 보강 부착판(14)을 결합할 때, 보강부(13)의 내면에 보강 부착판(14)을 꼭 맞게 밀착시켜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캐리어 커버(10)의 양각 또는 음각의 보강부(13)에 보강 부착판(14)을 결합할 때, 보강부(13)의 내면에 보강 부착판(14)을 결합하되 2겹으로 겹쳐지는 사이에는 공간부(16)가 형성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캐리어 커버(10)의 양각의 보강부(13)에 보강 부착판(14)을 결합할 때, 보강부(13)와 보강 부착판(14)이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그 사이에 공간부(16)가 조성되도록 한 형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캐리어 본체(11)의 사출 성형 시 본체 상판의 내측 영역에 보강 부착판(14)을 성형할 때 보강 부착판(14)의 요홈부위에 다수의 보강 리브(17)를 함께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캐리어 커버(10)의 양각 보강부(13)에 보강 리브(18)를 갖춘 보강 부착판(14)을 결합할 때, 보강부(13)의 내면에 보강 부착판(14)을 꼭 맞게 밀착시켜서 결합하거나, 또는 보강부(13)와 보강 부착판(14)이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그 사이에 공간부(16)가 조성되도록 한 형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7. 삭제
KR1020200004537A 2020-01-13 2020-01-13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KR102277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537A KR102277627B1 (ko) 2020-01-13 2020-01-13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537A KR102277627B1 (ko) 2020-01-13 2020-01-13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627B1 true KR102277627B1 (ko) 2021-07-15

Family

ID=7688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537A KR102277627B1 (ko) 2020-01-13 2020-01-13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62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6260A (ja) * 1996-02-08 1997-08-19 Japan Steel Works Ltd:The 射出成形用金型
KR19980035975A (ko) * 1996-11-15 1998-08-05 박병재 시작품 사출 금형
KR200348220Y1 (ko) * 2004-01-13 2004-04-29 장근대 서랍장
JP2010049266A (ja) * 2009-09-18 2010-03-04 Asahi Kasei E-Materials Corp 大型ペリクル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13242A (ko) * 2010-04-09 2011-10-17 이정배 망상체형 간이 수납구를 갖는 낚시 가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03487U (ko) 2016-03-31 2017-10-12 김덕중 공구함
KR20190058751A (ko) 2017-11-21 2019-05-30 이재권 트럭 적재함용 공구박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6260A (ja) * 1996-02-08 1997-08-19 Japan Steel Works Ltd:The 射出成形用金型
KR19980035975A (ko) * 1996-11-15 1998-08-05 박병재 시작품 사출 금형
KR200348220Y1 (ko) * 2004-01-13 2004-04-29 장근대 서랍장
JP2010049266A (ja) * 2009-09-18 2010-03-04 Asahi Kasei E-Materials Corp 大型ペリクル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13242A (ko) * 2010-04-09 2011-10-17 이정배 망상체형 간이 수납구를 갖는 낚시 가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03487U (ko) 2016-03-31 2017-10-12 김덕중 공구함
KR20190058751A (ko) 2017-11-21 2019-05-30 이재권 트럭 적재함용 공구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0958B2 (en) Trim element, especially for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7108311B2 (en) Method of forming a vehicle panel assembly
US20070023947A1 (en) Method of producing a foamed part and foaming tool for applying such method
USD525191S1 (en) Tire for automobile
USD947734S1 (en) Car windshield sunshade
USD951851S1 (en) Truck and automotive cab storage box
USD956649S1 (en) Trunk lid panel for vehicles
KR102277627B1 (ko) 트럭의 적재함 캐리어 제조방법
JP2000168655A (ja) 車両用リヤトランク
KR20020052909A (ko) 자동차의 러기지 보드
JPH0781628A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ルームのフロア被覆材
JP4467146B2 (ja) シール部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のボトムプレートの成形用金型及び成形方法
USD1026764S1 (en) Car dashboard frame cover
US7678305B2 (en) Method of pre-applying a bolster assembly to an interior trim part
FR3052412B1 (fr) Piece de carrosserie pour vehicule automobile
JP6822339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及びウィンドウパネルの取付構造
USD1000361S1 (en) Automobile tire
JPH01141145A (ja) 樹脂製ニープロテク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3566965U (zh) 一种分格隔挡的屋顶式包装盒
USD988242S1 (en) Automobile tire
JP3652651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4938814B2 (ja) 車両用物品収納構造
JPS5943146Y2 (ja) 自動車のグロ−ブボツクス
USD522961S1 (en) Automobile tire
KR20040006176A (ko) 겹침구조를 갖는 차량용 frp 중공형 구조물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