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566B1 -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566B1
KR102277566B1 KR1020190011279A KR20190011279A KR102277566B1 KR 102277566 B1 KR102277566 B1 KR 102277566B1 KR 1020190011279 A KR1020190011279 A KR 1020190011279A KR 20190011279 A KR20190011279 A KR 20190011279A KR 102277566 B1 KR102277566 B1 KR 102277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mrest
electric wheelchair
dispos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934A (ko
Inventor
최해민
도원동
임재범
홍을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566B1/ko
Priority to US16/594,486 priority patent/US20200237589A1/en
Publication of KR2020009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8Power-assistance activated by pushing on hand rim or on handleb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4Joy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부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휠체어{ELECTRIC WHEELCHAIR}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장애인, 노약자 그리고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를 말한다.
이러한 휠체어는 그 구동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 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 휠체어로 구분된다.
통상 수동 휠체어는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시트부의 측면 양측에 바퀴가 마련되고, 상기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링 부재가 마련된 구조로서, 별도의 레버를 이용하여 시트를 절첩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휠체어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켜 차량에 탑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반면, 전동 휠체어는 시트부, 프레임 그리고 구동장치가 복잡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그 분리가 어려우며, 따라서 차량의 탑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9286호(2017년09월29일)에는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동 휠체어는 바퀴 및 모터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람이 앉도록 구비되는 시트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는 사람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부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팔걸이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시트부에 착석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와 팔걸이부를 이용하여 편안하게 기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팔걸이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탑승 시 방해가 되는 요인이 된다. 즉, 사용자는 휠체어를 탑승할 때 휠체어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서만 탑승해야 하고, 측방에서는 상기 팔걸이부의 간섭에 의해 탑승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휠체어의 탑승 또는 하차가 자유로운 전동 휠체어가 요구된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10-2017-0109286 (2017년 9월 29일) 2. 발명의 명칭 :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의 탑승 또는 하차 시 팔걸이부의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팔걸이부의 위치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걸이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시켜서 팔걸이부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걸이부의 조립이 간단해 지고 휠체어의 보관이 용이 해질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팔걸이부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팔걸이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팔걸이부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팔걸이부가 착석부의 측방을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착석부의 측방이 개방되면, 휠체어의 측방 탑승이 용이해 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부분의 단부와 상기 제 3 부분의 단부가 연결되어 삼각 형상의 팔걸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팔걸이부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이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착석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착석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팔걸이부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이 만나는 지점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팔걸이부를 관통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팔걸이부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부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회전부의 일부분과 접촉되는 간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부는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회전되는 회전 바디 및 상기 회전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시 상기 간섭부의 접촉에 의해 회전이 간섭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동 휠체어의 팔걸이부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팔걸이부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되면, 팔걸이부의 일부분이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팔걸이부가 착석부의 측방을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착석부의 측방이 개방되면, 휠체어의 측방 탑승이 용이 해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힌지 어셈블리에 의하여 팔걸이부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므로, 팔걸이부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즉, 팔걸이부의 회전량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과회전에 따른 제품 파손을 방지되고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팔걸이부가 회전하여 프레임의 측면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휠체어의 보관 시 휠체어의 전체 부피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휠체어 보관이 용이 해지는 장점이 있다.
넷째, 팔걸이부가 프레임에 간단한 방법으로 힌지 결합되므로, 팔걸이부의 조립이 간편해지고 제품 가격이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가 제 2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의 힌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투명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10)는 크게 제 1 모듈(100)과, 상기 제 1 모듈(100)에 결합되는 제 2 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모듈(10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듈(20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상기 전동 휠체어(10)가 주행 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라 함은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듈(10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전방 모듈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모듈(20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후방 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듈(100)은, 사람이 실제로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착석부(120)가 구비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듈(100)에는 배터리(123)가 포함된다. 상기 배터리(123)는 상기 착석부(1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모듈(20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주행을 위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2 모듈(200)에는 주행을 위한 모터(231)가 구비된 메인바퀴(230)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전동 휠체어는 배터리 및 모터가 가장 무거운 부품들 중 하나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동 휠체어(10)를 이루는 제 1 모듈(100)에 배터리(123)를 배치하고 제 2 모듈(200)에 모터(231)를 배치함으로써,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200)의 분리 시, 각 모듈의 무게를 동등 또는 유사한 수준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분리 시 이송 및 적재가 용이 해지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모듈(100)은 전방 프레임(110)과,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착석부(120) 및 타측에 결합되는 다리걸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11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 휠체어(10)에 사람이 착석 시 그 체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110)은 내부가 비어있는 폐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착석부(12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다리걸이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프레임(110)은 상기 착석부(120)를 지지하는 제 1 프레임(111)과,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 2 프레임(112) 및 상기 제 2 프레임(112)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제 3 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11), 제 2 프레임(112) 및 제 3 프레임(11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상기 착석부(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상기 착석부(120)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내측면 일부는, 상기 착석부(120)의 양측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착석부(120)에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착석부(120)가 상기 제 1 프레임(1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석부(120)는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상기 착석부(120)의 양측면 및 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슬라이드 홈(111a)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1 모듈(100)이 상기 제 2 모듈(20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2 모듈(200)에 구비된 슬라이드 돌기(미도시)에 끼워져서 상기 제 2 모듈(20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111ㅁ)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양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양측면뿐 아니라,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후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홈(111a)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슬라이드 홈(11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모듈(100)이 상기 제 2 모듈(200)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및 결합이 가능해 진다.
상기 제 2 프레임(112)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2 프레임(112)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프레임(112)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연장부(112a)와, 상기 전방 연장부(112a)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 연장부(112a)와 상기 후방 연장부(112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연장부(112a) 및 후방 연장부(112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프레임(111)과 상기 제 1 연장부(112a)가 이루는 각도(A)는 일례로 120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112a)와 상기 제 2 연장부(112b)가 이루는 각도(B)는 90도 보다는 크고 120도 보다는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프레임(111)과 상기 제 1 연장부(112a)가 이루는 각도(A)와, 상기 제 1 연장부(112a)와 상기 제 2 연장부(112b)가 이루는 각도는 둔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3 프레임(113)은, 상기 제 2 프레임(112)의 각 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 3 프레임(113)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후술될 다리걸이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착석부(120)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내측에 결합되며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착석부(120)는 시트(121)와, 상기 시트(121)의 하측에 결합되는 시트 커버(122)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121)는, 사람이 착석 시 둔부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커버(122)는, 상기 시트(121)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상기 시트(121)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시트 커버(122)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 커버(122)는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내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석부(120)에는 배터리(123)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123)는 후술될 컨트롤 박스(240) 및 모터(231)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123)는 상기 시트 커버(12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 커버(122)는 내부에 상기 배터리(123)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3)는 상기 시트 커버(122)가 상기 제 2 모듈(200)에 결합 시, 상기 제 2 모듈(200) 측으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 커버(122)에는 상기 제 2 모듈(200)에 구비된 접속단자(미도시)가 삽입되기 위한 접속 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홈(122a)은, 상기 시트 커버(12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274)가 상기 접속 홈(122a)에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123)의 전원이 상기 접속단자(274)를 통해 상기 제 2 모듈(200)의 모터(23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다리걸이부(130)는, 사람의 다리 또는 발을 지지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다리걸이부(130)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부(131)와, 상기 발판부(131)를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하는 연결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부(131)는 사람의 두 발이 모두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32)는 일단이 상기 발판부(131)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32)에 의해서 상기 다리걸이부(130)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모듈(100)은 보조바퀴(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바퀴(140)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이동 또는 주행을 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바퀴(14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프레임(122)의 양측 하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140)는 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모듈(200)은 후방 프레임(210)과,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등받이부(220)와,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타측에 결합되는 메인바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210)은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주행을 위한 부품들을 지지한다. 상기 후방 프레임(210)은 내부가 비어있는 폐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상부에는 등받이부(22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메인바퀴(23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 프레임(210)은 상기 등받이부(220)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211)과,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바퀴(230)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11) 및 하부 프레임(21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211)과 하부 프레임(212)은 서로 연결되어 단일의 폐곡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11)은 일례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11)은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상부에는 상기 등받이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220)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212)은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더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212)은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양측 하단부로부터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후방 및 하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211)과 상기 하부 프레임(212)이 이루는 각도(C)는 90도보다는 크고 120보다는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측면과 하부 프레임(212)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C)는 둔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프레임(210)에는 슬라이드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슬라이드 홈(111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110)이 상기 후방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양측 내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는 전후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과 하부 프레임(212)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과 하부 프레임(212)의 경계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프레임(111)은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중간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21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착석부(12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220)는 시트(221)와, 상기 시트(221)의 후면에 결합되는 시트 커버(222)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221)는, 사람이 상기 착석부(120)에 착석 시 등부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커버(222)는, 상기 시트(221)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상기 시트(221)의 후면에 결합된다. 상기 시트 커버(222)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 커버(222)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 커버(222)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내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퀴(230)는, 상기 전동 휠체어(10)가 실질적으로 주행을 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메인바퀴(23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메인바퀴(230)는 상기 보조바퀴(140)에 비하여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바퀴(23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퀴(230)는 모터(231)와, 회전축, 인휠 및 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231)는, 스테이터와, 로터 및 마그네트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휠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로터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23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인휠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인휠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23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타이어는, 상기 인휠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동 휠체어(10)를 지면으로부터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퀴(230)는 "구동부"로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모듈(200)은 상기 모터(23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24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 박스(24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240)는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박스(24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에 의해 그 측면이 가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 박스(24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이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 휠체어(10)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컨트롤 박스(240)의 외관이 히든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전동 휠체어(10)가 주행시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24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 케이스(241)와, 상기 박스 케이스(241)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자부품(242)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모듈(200)은 팔걸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걸이부(250)는, 사람이 착석 시 팔 또는 손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팔걸이부(250)는 삼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팔걸이부(25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양측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모듈(200)은 컨트롤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60)는,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주행을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상기 컨트롤러(260)에는 디스플레이부와, 버튼부 및 조이스틱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모듈(200)은 연결 플레이트(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는 상기 제 1 모듈(100)과 상기 제 2 모듈(2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270)와 상기 제 1 모듈(100)이 연결되면, 상기 제 1 모듈(100)의 배터리(123)의 전원이 상기 제 2 모듈(200)의 모터(231) 및 전자부품(242)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모듈(200)은 바스켓 장착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는 소지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바스켓이 장착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양측 내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내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에 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바스켓의 일부가 상기 바스켓 장착부(280)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팔걸이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부(250)는 삼각 형상을 가지며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즉, 상기 팔걸이부(25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여기서, "제 1 위치"라 함은,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팔걸이부(250)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위치"라 함은, 도 10을 기준으로, 상기 팔걸이부(2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치는 초기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팔걸이부(25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3의 초기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10의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팔걸이부(250)는 예를 들어, 도 10의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3의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팔걸이부(250)는 내부가 빈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팔걸이부(2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251)과, 상기 제 1 부분(251)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252) 및 상기 제 1 부분(251)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2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부분(252)의 단부와 상기 제 3 부분(253)의 단부는 연결되어 삼각 형상의 팔걸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팔걸이부(250)는 내부가 비어있는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251)은,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1 부분(251)은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상부 프레임(211)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252)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부분(252)은 상기 제 1 부분(251)의 상단부로부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253)은, 상기 제 1 부분(251)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부분(253)은 상기 제 1 부분(251)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부분(252)의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부분(251)과 상기 제 3 부분(253)이 이루는 각도(D)는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팔걸이부(250)는 직각 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250)는 후술될 힌지 어셈블리(300)가 관통하는 힌지 결합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254)는, 후술될 힌지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팔걸이부(250)의 내측 어느 지점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 결합부(254)는 상기 제 1 부분(251)과, 상기 제 3 부분(253)이 만나는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 결합부(254)는 상기 팔걸이부(250)의 내각 중 가장 큰 내각을 가지는 꼭지점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힌지 어셈블리(300)가 상기 팔걸이부(250)의 내측 중에서 비교적 면적이 넓은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팔걸이부(250)의 회전이 용이 해지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힌지 어셈블리(300)는 상기 팔걸이부(250)의 내각 중 가장 작은 내각을 가지는 꼭지점 부분에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상기 팔걸이부(250)의 내각 중 가장 큰 내각을 가지는 꼭지점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강성 측면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상기 팔걸이부(250)는 힌지 어셈블리(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300)는 상기 팔걸이부(250)가 상기 후방 프레임(210)에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도와되는 부품이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300)는 상기 팔걸이부(25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300)는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홀(213)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어셈블리(300)는 상기 팔걸이부(250)를 관통하는 축부(310)와, 상기 축부(31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힌지 어셈블리(300)는 상기 회전부(320)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부(310)는, 일측이 상기 후방 프레임(2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팔걸이부(250)에 고정된다. 상기 축부(310)는 중공(310a)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축부(310)의 외주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축부(31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320)는 내주면이 상기 축부(310)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외측 일부가 상기 팔걸이부(25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32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부(320)에 고정된 상기 팔걸이부(25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축부(31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회전 바디(321)와, 상기 회전 바디(321)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걸림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바디(321)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상기 축부(31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바디(321)는 상기 축부(3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바디(321)가 상기 축부(310)에 끼워지면, 상기 회전 바디(321)의 외측과 상기 축부(310)의 외측이 단차없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22)는, 상기 회전 바디(32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22)는 일례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걸림부(322)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팔걸이부(250)의 내면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322)에는 상기 팔걸이부(250)의 내면과 고정되기 위한 체결홀(32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팔걸이부(250)는 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322)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 바디(32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제한부(330)는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 시, 상기 회전부(320)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을 막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회전 제한부(330)는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기 회전 제한부(330)는 상기 축부(310)의 외주면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제한부(330)는 상기 축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제한부(330)는 상기 축부(310)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320)의 외둘레를 감쌀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 제한부(330)는 상기 축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31)와, 상기 돌출부(331)의 단부로부터 상기 회전부(3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간섭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1)는, 상기 축부(310)의 외주면에서 상기 걸림부(322)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섭부(332)는 상기 돌출부(331)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섭부(332)는 상기 회전 바디(321)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 바디(321)가 회전될 때 상기 걸림부(322)의 일부와 접촉되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바디(321)가 회전되어 상기 걸림부(322)가 회전되면, 상기 걸림부(322)의 일부가 상기 간섭부(332)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걸림부(322)의 회전이 중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320)의 회전각도 또는 회전량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가 제 2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의 힌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투명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팔걸이부(250)는 초기위치인 제 1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팔걸이부(250)의 제 1 부분(251)은,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250)의 제 2 부분(252)은,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250)의 제 3 부분(253)은,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제 2 부분(252)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211)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팔걸이부(250)를 이루는 제 1 부분(251), 제 2 부분(252) 및 제 3 부분(253)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되면서 상기 착석부(120)의 측방을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측방 탑승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분(251), 제 2 부분(252) 및 제 3 부분(253)은 상기 후방 프레임(210)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3 부분(253)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211)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동 휠체어(10)의 외관이 깔끔해지고, 휠체어 보관 시 그 부피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팔걸이부(250)가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되면, 상기 힌지 어셈블리(300)의 회전부(320)가 상기 회전 제한부(330)의 일측에 간섭됨으로써 회전이 중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320)의 걸림부(322)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도중, 상기 걸림부(322)의 일면이 상기 간섭부(332)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걸림부(322)가 상기 간섭부(332)의 간섭에 의하여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상기 팔걸이부(250)의 회전이 중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팔걸이부(250)의 회전이 중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체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팔걸이부(250)의 회전각도는 90도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팔걸이부(250)의 회전량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팔걸이부(250)가 삼각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사각 형상을 가진 팔걸이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각 형상의 팔걸이부의 내측 꼭지점 부분에 힌지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상기 팔걸이부는 힌지 어셈블리에 의하여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Claims (15)

  1. 착석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부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착석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착석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전동 휠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의 단부와 상기 제 3 부분의 단부가 연결되어 삼각 형상의 팔걸이부를 형성하는 전동 휠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이 이루는 각도는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전동 휠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전동 휠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동 휠체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11. 착석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팔걸이부; 및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팔걸이부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이 만나는 지점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전동 휠체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팔걸이부를 관통하는 축부;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팔걸이부의 내면에 고정되는 전동 휠체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부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회전부의 일부분과 접촉되는 간섭부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회전되는 회전 바디; 및
    상기 회전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시 상기 간섭부의 접촉에 의해 회전이 간섭되는 전동 휠체어.
KR1020190011279A 2019-01-29 2019-01-29 전동 휠체어 KR10227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279A KR102277566B1 (ko) 2019-01-29 2019-01-29 전동 휠체어
US16/594,486 US20200237589A1 (en) 2019-01-29 2019-10-07 Electric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279A KR102277566B1 (ko) 2019-01-29 2019-01-29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934A KR20200093934A (ko) 2020-08-06
KR102277566B1 true KR102277566B1 (ko) 2021-07-15

Family

ID=7173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279A KR102277566B1 (ko) 2019-01-29 2019-01-29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237589A1 (ko)
KR (1) KR102277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0620A (zh) * 2020-09-18 2021-01-15 北京三角洲机器人科技有限公司 座椅组件及代步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4343A (ja) * 2011-11-27 2015-02-12 ストライカー コーポレイションStryker Corporation 車輪付きの椅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0749A1 (de) * 1996-07-22 1998-01-28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vertreten durch die SM Schweizerische Munitions-unternehmung der Gruppe Rüstung Rollstuhl mit Motorantrieb
DE19926511A1 (de) * 1999-06-10 2000-12-14 Herbert Brustmann Fahrbarer Stuhl
KR101788579B1 (ko) 2016-03-21 2017-10-20 근로복지공단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US10842692B2 (en) * 2016-04-20 2020-11-24 Daniel Bryant Elevatable and portable wheel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4343A (ja) * 2011-11-27 2015-02-12 ストライカー コーポレイションStryker Corporation 車輪付きの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934A (ko) 2020-08-06
US20200237589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15928A (ja) 収納可能テーブル
EP1452384B1 (en) Seat assembly for vehicle
KR102277566B1 (ko) 전동 휠체어
JP5508507B2 (ja) マッサージ機
KR102275599B1 (ko) 전동 휠체어
KR10045739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KR102278036B1 (ko) 전동 휠체어
KR101496727B1 (ko) 접철식 좌식의자
KR101447550B1 (ko) 접철식 전동 휠체어
KR200431465Y1 (ko) 절첩식 의자
JP4407321B2 (ja) 車椅子
KR200335307Y1 (ko) 다기능 보행보조기구
JP2010104562A (ja) 椅子
JP4682774B2 (ja) 小型電動車両のシート構造
JP2021029937A (ja) 車椅子
KR10058783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2007076616A (ja) 車両の荷室構造
KR20130078830A (ko) 회전각이 작은 전동 휠체어
JP3732396B2 (ja) 折畳み座席
JP7338373B2 (ja) 椅子
JP5337649B2 (ja) 倒立振子型車両
KR101964671B1 (ko) 개인형 운송 차량
KR20080111948A (ko) 등받이가 이동되는 의자
JP2018171355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3191441U (ja) 座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