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419B1 -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419B1
KR102276419B1 KR1020180148069A KR20180148069A KR102276419B1 KR 102276419 B1 KR102276419 B1 KR 102276419B1 KR 1020180148069 A KR1020180148069 A KR 1020180148069A KR 20180148069 A KR20180148069 A KR 20180148069A KR 102276419 B1 KR102276419 B1 KR 102276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smetic composition
softening
softened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467A (ko
Inventor
이범주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피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피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피끄
Priority to PCT/KR2018/0146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07865A1/ko
Priority to US16/766,966 priority patent/US20210137824A1/en
Publication of KR2019006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잎사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천연 잎사귀를 준비하는 단계, 천연 잎사귀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및 수용액을 가온하면서 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PREPARING METHOD F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PLANTS AND COSMETIC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는 제품으로 관련 산업에서 유행이나 트렌드에 민감하다. 최근 경제가 발전하고 소비수준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은 더 많은 제품군으로 세분화 되었으며, 사용하는 원료들도 보다 안전하고, 더 높은 효능을 가진 원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화장품은 기본적으로 가져야 하는 보습력, 탄력 등 본연의 기능들이 있으나, 최근에는 화장품의 기본적인 효능뿐만 아니라 향취, 사용감, 성상 등 부수적인 기능들을 갖출 것이 요구되어 있다.
또한, 최근 화장품에 사용되는 소재나 원료는 인체에 보다 안전하고 자연친화적인 소재와 미지의 천연소재를 찾는 것이 업계의 주류로 잡혀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식물소재에서 그러한 경향이 더욱 강하다. 식물소재에서는 유기농, 무농약, 아마존, 아프리카, 남극, 해저 등 보다 안전하고 사람의 손에 닿지 않는 지역의 소재를 찾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경향에 맞게 식물체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추출물로서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식물체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유효성분 대부분이 소실되어, 그 효과가 매우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식물 등의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그 형상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고, 그 유효 성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7466호(공개일자 2016.11.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연식물체의형상을 유지하면서, 그 유효성분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위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천연 식물체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액을 가온하면서 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acid)은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또는 설폰산(Sulfonic acid)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은 시트릭산, 타르타르산, 락틱산, 글리콜릭산, 포름산, 말산, 옥살산, 살리실릭산, 아스코르빅산, 구연산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인산 및 탄산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의 농도는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0.1중량% 내지 4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40℃이상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70℃이상 내지 90℃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내지 18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90℃초과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15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전에 상기 천연 식물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천연 식물체를 건조후 수분함량이 건조된 천연 식물체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는 천연 식물체를 50㎛ 이상 10,0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 이후 상기 천연 식물체가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연화가 덜 이루어졌을 경우 15분 이상 내지 45분 이하 범위의 시간 동안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가량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하는 단계에 의해 세정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2.5이상 내지 4.5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세척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식물체는 장미, 해바라기, 국화, 카렌듈라, 수레국화, 카모마일, 나팔꽃, 채송화, 봉숭아, 벚나무, 녹차, 히비스커스, 페퍼민트, 병풀, 마치현, 쑥, 여바산타, 민들레, 질경이, 어성초, 알로에, 천년초, 화이트윌로우 또는 백년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연화된 천연 식물체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와 상기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연화된 천연식물체의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천연 식물체를 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제조방법에 의하면, 연화된 천연식물체소재가 화장품 안에서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함유되고,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할 시에 적절한 힘에 의해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연식물체대부분의 유효성분이 화장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파괴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할 시에 피부로 녹아들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한 후 연화된 꽃잎이 피부상에서 녹는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 내지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대한 결과물들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식물체가 화장품 내에서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피부의 표피상에서 녹아내려 피부 내측으로 천연 식물체의 성분들이 스며들게 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찾기 위해 오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천연 식물체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액을 가온하면서 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천연 식물체를 상기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전에 상기 천연 식물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천연 식물체를 건조후 수분함량이 건조된 천연 식물체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보다 정밀하게 천연 식물체를 연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을 거친 화장료 조성물은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한다. 천연 식물체는 합성 소재들에 비해 인체에 보다 안전하고, 자연친화적 소재에 가장 가까운 소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천연식물체자체를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최종제품에서 위와 같은 소재의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식물체가 연화되어 존재하고, 그 형상이 유지되어 시각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경우에는 천연 식물체를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추출물로서 사용하여 그 형상을 살펴보기 힘들거나, 형체를 알아볼 수 없도록 잘게 분쇄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할 경우, 천연 식물체가 연화되어 존재하면서 시각적으로 그 형상이 어떠한 천연 식물체인지관찰이 가능한 정도로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 식물체에서 인체에 좋은 효능을 가지는 성분들은 연화된 천연 식물체내부에 그대로 보관 될 수 있을뿐더러, 후술할 최종품인 화장품 내에서도 형상을 유지하고 있어, 시각적인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즉, 소비자들이 실제 화장품 내에 천연 식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연 식물체는 자연 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천연 식물체 일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장미, 해바라기, 국화, 카렌듈라, 수레국화, 카모마일, 나팔꽃, 채송화, 봉숭아, 벚나무, 녹차, 히비스커스, 페퍼민트, 병풀, 마치현, 쑥, 여바산타, 민들레, 질경이, 어성초, 알로에, 천년초, 화이트윌로우 또는 백년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장미 꽃잎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폴리페놀 및 그 유도체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에센셜 오일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사람의 피부에 사용할 경우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건강함을 유지하는 데에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위와 같은 유효 성분들이 장미 꽃잎 내부에 대부분 보존되면서 그 형체를 유지한 상태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존재하기 때문에 시각적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천연 식물체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를 거친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상기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적시도록 함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acid)은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또는 설폰산(Sulfonic acid)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acid)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산은 상기 산은 시트릭산, 타르타르산, 락틱산, 글리콜릭산, 포름산, 말산, 옥살산, 살리실릭산, 아스코르빅산, 구연산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인산 및 탄산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acid)은 상기 산 속에 포함된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또는 설폰산(Sulfonic acid) 등의 산성을 띠는 작용기에 의해 천연 식물체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간의 결합을 일부 절단함으로써, 천연 식물체를 연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연 식물체는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연화되고,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할 시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힘만으로 셀룰로오스를 와해시키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천연 식물체는 연화된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는 적은 힘만으로 완전히 와해되고, 천연 식물체의 유효성분들 대부분이 사용자의 피부속으로 스며들게 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산의 농도는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0.1중량% 내지 4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의 농도는 0.5중량% 내지 2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천연 식물체가 적절하게 연화되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천연 식물체를 이용하는 화장품들의 경우에는 식물체를 가열, 압착, 증류 또는 추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이거나, 화장품 내부에 단지 천연 식물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함유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는데, 첫번째 방식의 경우는 필요한 유효 성분이 극소량으로만 추출되고 단순히 추출액의 형태로만 사용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두번째 방식의 경우는 천연 식물체를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첨가하였다는 것 이외에 별도의 시각적 효과나 식물체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의 이용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는 기존에는 위 방식 이외에 단순히 천연 식물체를 화장품의 일 성분으로 사용하기 위해 단순 연화를 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이는 단순히 천연 식물체를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부드럽게 하거나 전처리를 하는 것이었지, 본 발명과 같이, 천연 식물체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사용자가 사용시에 단순 손가락의 힘만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에서 없어지도록 하는 것은 아니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르면, 최종제품인 화장품에서도 천연 식물체가 그 형상을 유지하고 있어 시각적인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높은 상품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 형상이 남아있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성분을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에 두고 약간의 힘만을 가하면(문지르면) 완전히 와해되어 사라져 버리므로 천연 식물체에 잔류하는 유효성분 대부분이 사용자의 피부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어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천연 식물체를 단순히 부드럽게 하여 화장품의 원료 중 하나로 사용하거나, 천연 식물체를 형체가 없어질 정도로 완전히 분해하여 일부 성분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내의 연화된 천연 식물체는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시에 거의 모든 성분이 사용자의 피부속 또는 피부 상에 녹아들거나 잔류하게 함으로써, 천연 식물체 자체의 효용성을 극대화한 것으로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40℃이상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식물체가 정제수와 산에 함침된 수용액을 40℃이상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비제한적인 예로, 미리 상기 온도범위를 만족하도록 준비된 정제수와 산이 섞인 수용액에 천연 식물체를 함침한 후 상기 시간만큼 연화하는 단계를 거치거나, 수용액에 천연 식물체를 함침한 후 상기 온도 범위로 승온한 후 상기 시간 동안 연화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연화"라는 용어를 사용하나, 다른 예시로서 상기 연화는 물러지다, 부드러워지다, 적절히 조직이 분해되다 등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연화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하나, 위와 같은 의미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수용액의 온도가 40℃ 미만일 경우 연화되는 과정의 효과가 미미하여, 연화도가 줄어들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완전한 분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액의 온도가 9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분해되어 그 형상이 남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범위에서 30분 미만으로 연화하는 단계가 수행될 경우, 연화되는 정도가 미미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때,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분해 내지 와해되지 않을 수 있어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으며, 240분 초과의 시간동안 연화되는 과정을 거칠 경우, 상기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분해되어 그 형상이 남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액을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의 온도를 50℃ 이상 내지 90℃이하의 범위로 하거나, 70℃이상 내지 90℃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예로, 상기 수용액을 연화하는 단계는 70℃이상 내지 90℃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내지180분 이하의 시간 동안 또는 120분 이상 내지 150분 이하의 시간동안 연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75℃이상 내지 8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내지180분 이하의 시간 동안 또는 120분 이상 내지 150분 이하의 시간동안 연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적절하게 꽃잎이 연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연화된 꽃잎이 일부 풀어지거나 와해되어 사라져 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에서 천연 식물체의 연화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범위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와해되거나 분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사용할 경우 쉽게 분해(사용자의 피부에 녹아서 피부 속으로 흡수되거나, 분해된 상태로 피부표피에 존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액을 연화하는 단계는 90℃초과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150분 이하의 시간 동안 또는 30분 이상 내지 12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와해되거나 분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사용할 경우 쉽게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온도 범위와 상기 연화하는 시간을 넘어서는 경우,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연화된 천연식물체의 형상 유지가 되면서, 사용자가 사용할 때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분해되어 그 유효성분이 사용자의 피부로 스며드는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화하는 단계 이후 상기 천연 식물체가 원하는 바에 따라,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거친 후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꺼내어 손등에 올려놓고 일정 힘을 가해 문지르며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장강도 측정기를 활용하여 건조된 천연 식물체의 인장강도와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인장강도는 사용되는 천연 식물체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인장강도는 초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 대비 25% 내지 8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식물체가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거친 천연 식물체의 경도(Hardness), 점착력(Adhesiveness), 탄성력(Springiness), 응집력(Cohesiveness), 껌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회복력(Resilienc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식물체가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거친 천연 식물체의 경도(Hardness), 점착력(Adhesiveness), 탄성력(Springiness), 응집력(Cohesiveness), 껌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회복력(Resilienc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도는 중력단위로 10g 내지 100g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력단위로 15g 내지 70g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중력단위의 1g라 함은 9.8m/s2 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점착력(Adhesiveness)은 -0.2 g.sec 내지 -1.2 g.sec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3 g.sec 내지 -1.0 g.sec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력(Springiness)은  0.03 내지 0.22 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4 내지 0.11 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집력(Cohesiveness)은  0.2 내지 0.5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35 내지 0.45 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껌성(Gumminess)은  1 내지 100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 내지 40 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씹힘성(Chewiness)은  0.1 내지 4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5 내지 2.5 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복력(Resilience)은  0.1 내지 1.8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3 내지 1 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도(Hardness), 점착력(Adhesiveness), 탄성력(Springiness), 응집력(Cohesiveness), 껌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회복력(Resilience)의 측정은 Texture Analyser(Model TAXT Express: 프랑스 Lamy rheology 社) 장비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 속도 1㎜/sec, Texture Analyzer의 프로브(probe)와 시료간의 거리 5㎜를 유지한 상태에서 5sec의 시간 동안 프로브 NO. P/2 θ(지름)2㎜ 봉을 사용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력단위의 범위는 상기 천연 식물체를 10회 이상 측정하여 나온 결과물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연화가 덜 이루어졌을 경우 15분 이상 내지 45분 이하 범위의 시간 동안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화가 덜 되었을 경우, 다시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은 이전의 연화하는 단계의 온도 대비하여 5℃이상 내지 10℃이하 범위의 온도로 더 가온하면서 수행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으로, 반복수행 할수록 5분 이상 내지 10분 이하의 범위에서 시간을 줄이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정교하게 천연 식물체의 연화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세척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연화과정을 마친 후 잔류하는 산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잔류하는 산에 의해 천연 식물체가 계속 연화되어 원치 않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만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가량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원하는 PH를 얻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척하는 단계에 의해 세정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2.5이상 내지 4.5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세척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는 천연 식물체에 남아있는 산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어느 정도 산이 제거 되면 세정을 마친 정제수에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에 일부 잔류하는 산이 섞이게 되고, 정제수의 PH 범위가 상기 PH범위를 만족한다면,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PH도 정제수의 PH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PH가 2.5이상 내지 4.5이하, 즉, 세정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2.5이상 내지 4.5이하의 범위가 된다면, 세척하는 단계를 마칠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는 천연 식물체를 50㎛ 이상 내지 10,0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본 발명에서 적절하게 원하는 수준으로 연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화장료 조성물은 연화된 천연 식물체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는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 및 상기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범위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되는 과정에서의 과도한 분해가 되는 현상, 정제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의 분해와 보관중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건조되어 다시 딱딱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하기 실시 예는 상기 명세서의 이해를 돕고자 함이며 하기의 내용이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건조된 천연 식물체로 장미 꽃잎을 평균 2,000㎛의 크기로 준비하고,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정제수와 산성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산성성분은 카르복실기 작용기를 포함하는 시트릭산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수용액 상에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함침한 후 완전히 함침될 수 있도록 잘 저어주었다. 이후 건조된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함침된 수용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온하였다. 연화가 완료된 후 산성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을 거름망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별도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세척 및 여과하였고, 이후 pH를 측정하였다. 첨가하고자 하는 화장품 제형에 맞추어 측정한 세척수가 pH 2.5 내지 4.5 범위에서 세척을 종료하였다.
실시예1(중량%) 실시예2(중량%) 실시예3(중량%)
성분 정제수(중량%) 98.0 70.0 55.0
산성성분(중량%) 1.0 15.0 30.0
건조 천연 식물체(중량%) 1.0 15.0 15.0
세척 횟수 3 4 4
pH 3.25 3.40 3.20
도 1에는 위 실시예 1 내지 3 중 하나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 나타나 있다. 도 1의 화장료 조성물 사진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화장료 조성물 내부에서 그 형체를 유지하며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위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사진이 나타나있다. 도 2와 같이, 화장품 내에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그 형체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의 경우, 화장품 내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그 형체를 유지하고 있어, 본 발명의 화장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으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3에는 위 도 2의 화장품을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의 손등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사용 사진은 화장품 내의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다른 제형과 함께 취출하여 사용자의 손등에 올려놓은 상태이다. 손등에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도 그 형체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한 후 연화된 꽃잎이 피부상에서 녹는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등 상의 연화된 꽃잎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적절한 수준의 힘으로 문질렀으며, 최종적으로는 연화된 꽃잎이 모두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꽃잎의 주요 성분들이 대부분 소실되지 않고, 사용자의 피부속으로 녹아들게 하여 유효성분의 대부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내지 15
카렌듈라 꽃잎을 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구연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함침하고, 50℃의 온도로 가온하고 이를 특정 시간동안 연화한 뒤 연화과정을 마쳤다. 실시예 4 내지 15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2와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실시예 4 50 30 0.5
실시예 5 50 30 1.0
실시예 6 50 30 2.0
실시예 7 50 60 0.5
실시예 8 50 60 1.0
실시예 9 50 60 2.0
실시예 10 50 90 0.5
실시예 11 50 90 1.0
실시예 12 50 90 2.0
실시예 13 50 120 0.5
실시예 14 50 120 1.0
실시예 15 50 120 2.0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4 내지 15와 동일한 온도조건, 연화시간을 설정하면서 산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카렌듈라를 연화하였고, 그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3과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비교예 1 50 30 0.0
비교예 2 50 60 0.0
비교예 3 50 90 0.0
비교예 4 50 120 0.0
상기 실시예 4 내지 15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한 결과물은 하기 도 5 내지 8의 사진에 나타나 있으며, 각 실시예와 비교예들에 대한 조건은 사진과 같이 표기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결과를 온도와 시간을 고정한 후 각각의 사진들에서 가장 좌측은 비교예의 결과물을 배치하고 우측으로 갈수록 산의 농도가 높아지는 결과물을 배치하였다. 즉, 도 5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1,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순으로 배치하고, 도 6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2,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를, 도 7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3,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를, 도 8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4,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순으로 배치하였다.
도 5 내지 8에서 볼 수 있듯이, 산을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산을 포함하면서 본 발명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이 카렌듈라 꽃잎 내부에 침투하여 내부 조직을 변화시키고, 일정부분 카렌듈라 꽃잎의 비중을 변화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 내지 16
한편, 상기 실시예 4 내지 15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1 내지 4의 결과물인 카렌듈라 꽃잎의 연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카렌듈라 꽃잎을 손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적절한 수준의 힘으로 문질렀으며, 꽃잎이 연화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표기하였다.
구분 연화된 정도
실시예 4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실시예 8 △△
실시예 9 △△
실시예 10 △△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
실시예 14 △△
실시예 15 △△
비교예 1 X
비교예 2 X
비교예 3 X
비교예 4 X
X: 연화되지 않고, 손등에서 잔류물이 계속 남아 있음.△: 연화가 되었으나, 장시간 문지르거나 상대적으로 다소 많은 힘을 주었을 때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매우 잘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연화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카렌듈라 꽃잎이 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에는 전혀 연화가 되지 않거나, 단지 카렌듈라 꽃잎이 물러지기만 하였을 뿐, 강한 힘으로 오랜시간 문질러도 잔류물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6 내지 27
카렌듈라 꽃잎을 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구연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함침하고, 70℃의 온도로 가온하고 이를 특정 시간동안 연화한 뒤 연화과정을 마쳤다. 실시예 16 내지 27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5와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실시예 16 70 30 0.5
실시예 17 70 30 1.0
실시예 18 70 30 2.0
실시예 19 70 60 0.5
실시예 20 70 60 1.0
실시예 21 70 60 2.0
실시예 22 70 90 0.5
실시예 23 70 90 1.0
실시예 24 70 90 2.0
실시예 25 70 120 0.5
실시예 26 70 120 1.0
실시예 27 70 120 2.0
비교예 5 내지 8
실시예 16 내지 27과 동일한 온도조건, 연화시간을 설정하면서 산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카렌듈라를 연화하였고, 그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6과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비교예 5 70 30 0.0
비교예 6 70 60 0.0
비교예 7 70 90 0.0
비교예 8 70 120 0.0
상기 실시예 16 내지 27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5 내지 8에 대한 결과물은 하기 도 9 내지 12의 사진에 나타나 있으며, 각 실시예와 비교예들에 대한 조건은 사진과 같이 표기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결과를 온도와 시간을 고정한 후 각각의 사진들에서 가장 좌측은 비교예의 결과물을 배치하고 우측으로 갈수록 산의 농도가 높아지는 결과물을 배치하였다. 즉, 도 9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순으로 배치하고, 도 10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6,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를, 도 11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7,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를, 도 12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8, 실시예 25, 실시예 26, 실시예 27 순으로 배치하였다.
도 9 내지 12에서 볼 수 있듯이, 산을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산을 포함하면서 본 발명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이 카렌듈라 꽃잎 내부에 침투하여 내부 조직을 변화시키고, 일정부분 카렌듈라 꽃잎의 비중을 변화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5 내지 8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실험예 17 내지 32
한편, 상기 실시예 16 내지 27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5 내지 8의 결과물인 카렌듈라 꽃잎의 연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카렌듈라 꽃잎을 손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적절한 수준의 힘으로 문질렀으며, 꽃잎이 연화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표기하였다.
구분 연화된 정도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
실시예 19
실시예 20 △△
실시예 21 △△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
실시예 26 △△
실시예 27 △△
비교예 5 X
비교예 6 X
비교예 7 X
비교예 8 X
X: 연화되지 않고, 손등에서 잔류물이 계속 남아 있음.△: 연화가 되었으나, 장시간 문지르거나 상대적으로 다소 많은 힘을 주었을 때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매우 잘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상기 표 7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연화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카렌듈라 꽃잎이 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에는 전혀 연화가 되지 않거나, 단지 카렌듈라 꽃잎이 물러지기만 하였을 뿐, 강한 힘으로 오랜시간 문질러도 잔류물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8 내지 39
카렌듈라 꽃잎을 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구연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함침하고, 90℃의 온도로 가온하고 이를 특정 시간동안 연화한 뒤 연화과정을 마쳤다. 실시예 28 내지 39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8과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실시예 28 90 30 0.5
실시예 29 90 30 1.0
실시예 30 90 30 2.0
실시예 31 90 60 0.5
실시예 32 90 60 1.0
실시예 33 90 60 2.0
실시예 34 90 90 0.5
실시예 35 90 90 1.0
실시예 36 90 90 2.0
실시예 37 90 120 0.5
실시예 38 90 120 1.0
실시예 39 90 120 2.0
비교예 9 내지 12
실시예 28 내지 39와 동일한 온도조건, 연화시간을 설정하면서 산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카렌듈라를 연화하였고, 그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9와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비교예 9 90 30 0.0
비교예 10 90 60 0.0
비교예 11 90 90 0.0
비교예 12 90 120 0.0
상기 실시예 28 내지 39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9 내지 12에 대한 결과물은 하기 도 13 내지 16의 사진에 나타나 있으며, 각 실시예와 비교예들에 대한 조건은 사진과 같이 표기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결과를 온도와 시간을 고정한 후 각각의 사진들에서 가장 좌측은 비교예의 결과물을 배치하고 우측으로 갈수록 산의 농도가 높아지는 결과물을 배치하였다. 즉, 도 13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9,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0 순으로 배치하고, 도 14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10,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를, 도 15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11, 실시예 34, 실시예 35, 실시예 36를, 도 16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12, 실시예 37, 실시예 38, 실시예 39 순으로 배치하였다.
도 13 내지 16에서 볼 수 있듯이, 산을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산을 포함하면서 본 발명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이 카렌듈라 꽃잎 내부에 침투하여 내부 조직을 변화시키고, 일정부분 카렌듈라 꽃잎의 비중을 변화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5 내지 12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실험예 33 내지 48
한편, 상기 실시예 28 내지 39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9 내지 12의 결과물인 카렌듈라 꽃잎의 연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카렌듈라 꽃잎을 손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적절한 수준의 힘으로 문질렀으며, 꽃잎이 연화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표기하였다.
구분 연화된 정도
실시예 28 △△
실시예 29
실시예 30
실시예 31
실시예 32 △△
실시예 33
실시예 34 △△
실시예 35
실시예 36
실시예 37 △△
실시예 38
실시예 39
비교예 9 X
비교예 10 X
비교예 11 X
비교예 12 X
X: 연화되지 않고, 손등에서 잔류물이 계속 남아 있음.△: 연화가 되었으나, 장시간 문지르거나 상대적으로 다소 많은 힘을 주었을 때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매우 잘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상기 표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연화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카렌듈라 꽃잎이 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에는 전혀 연화가 되지 않거나, 단지 카렌듈라 꽃잎이 물러지기만 하였을 뿐, 강한 힘으로 오랜시간 문질러도 잔류물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삭제

Claims (19)

  1. 천연 잎사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천연 잎사귀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액을 가온하면서 상기 천연 잎사귀를 연화하여 상기 천연 잎사귀의 경도(Hardness)가 중력단위로 10g 내지 100g의 범위 및 껌성(Gumminess)이 1 내지 100의 범위가 되도록 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산은 시트릭산, 타르타르산, 락틱산, 글리콜릭산, 포름산, 말산, 옥살산, 살리실릭산, 아스코르빅산, 구연산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인산 및 탄산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산을 포함하고,
    상기 산의 농도는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0.1중량% 내지 4중량%의 범위이고,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40℃이상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70℃이상 내지 90℃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내지 18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90℃초과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15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전에 상기 천연 잎사귀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천연 잎사귀를 건조후 수분함량이 건조된 천연 잎사귀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잎사귀를 준비하는 단계는 천연 잎사귀를 50㎛ 이상 10,0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하는 단계 이후 상기 천연 잎사귀가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연화가 덜 이루어졌을 경우 15분 이상 내지 45분 이하 범위의 시간 동안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된 천연 잎사귀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가량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하는 단계에 의해 세정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2.5이상 내지 4.5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세척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잎사귀는 장미, 해바라기, 국화, 카렌듈라, 수레국화, 카모마일, 나팔꽃, 채송화, 봉숭아, 벚나무, 녹차, 히비스커스, 페퍼민트, 병풀, 마치현, 쑥, 여바산타, 민들레, 질경이, 어성초, 알로에, 천년초, 화이트윌로우 또는 백년초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8. 연화된 천연 잎사귀;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연화된 천연 잎사귀는 상기 제 1항 및 제 8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된 천연 잎사귀와 상기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069A 2017-11-30 2018-11-27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276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4682 WO2019107865A1 (ko) 2017-11-30 2018-11-27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US16/766,966 US20210137824A1 (en) 2017-11-30 2018-11-27 Method for produc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plant and cosmetic composition produc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820 2017-11-30
KR20170163820 2017-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467A KR20190064467A (ko) 2019-06-10
KR102276419B1 true KR102276419B1 (ko) 2021-07-12

Family

ID=66848305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99A KR102247389B1 (ko) 2017-11-30 2018-11-27 경도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318A KR102247592B1 (ko) 2017-11-30 2018-11-27 점착력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340A KR102247417B1 (ko) 2017-11-30 2018-11-27 탄성력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926A KR102247608B1 (ko) 2017-11-30 2018-11-27 응집력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069A KR102276419B1 (ko) 2017-11-30 2018-11-27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973A KR102247543B1 (ko) 2017-11-30 2018-11-27 씹힘성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961A KR102247457B1 (ko) 2017-11-30 2018-11-27 껌성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987A KR102247553B1 (ko) 2017-11-30 2018-11-27 회복력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99A KR102247389B1 (ko) 2017-11-30 2018-11-27 경도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318A KR102247592B1 (ko) 2017-11-30 2018-11-27 점착력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340A KR102247417B1 (ko) 2017-11-30 2018-11-27 탄성력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926A KR102247608B1 (ko) 2017-11-30 2018-11-27 응집력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973A KR102247543B1 (ko) 2017-11-30 2018-11-27 씹힘성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961A KR102247457B1 (ko) 2017-11-30 2018-11-27 껌성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48987A KR102247553B1 (ko) 2017-11-30 2018-11-27 회복력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37824A1 (ko)
KR (8) KR102247389B1 (ko)
CN (1) CN1105822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60B1 (ko) * 2019-06-28 2020-11-19 주식회사 라피끄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포함하고 아토피 방지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405022B1 (ko) * 2021-09-01 2022-06-07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저분자화된 셀룰로스를 갖는 식물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0594B1 (ko) * 2021-11-04 2024-01-03 주식회사 에스디알생명공학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KR102531980B1 (ko) * 2022-08-18 2023-05-12 엘앤피코스메틱(주) 병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0622A1 (en) * 1980-04-28 1982-05-05 BLOUNT, David H. Process to break down cellulose polymers and produce cellular solid or solid reaction products
US4568739A (en) * 1983-11-22 1986-02-04 Helmic, Inc. Method for degumming decorticated plant bast fiber
JP3338397B2 (ja) * 1999-03-29 2002-10-28 雪印乳業株式会社 食品の物性測定器具及びそれを用いる食品の物性測定方法
KR101047785B1 (ko) * 2005-06-30 2011-07-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5454B1 (ko) * 2007-02-01 2014-07-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꽃잎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108718A (ko) * 2007-06-11 2008-12-16 한국콜마 주식회사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JP5801544B2 (ja) * 2010-09-06 2015-10-28 イーエヌ大塚製薬株式会社 軟質化された植物性素材の製造方法
CN102688166B (zh) * 2012-05-30 2013-06-12 珀莱雅化妆品股份有限公司 化妆品用花瓣的制作方法
KR101677706B1 (ko) * 2014-09-19 2016-11-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연화용 나노 리포좀 및 이를 이용하여 연화된 식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60137466A (ko) 2016-11-11 2016-11-30 조성민 미백과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천연식물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476A (ko) 2019-06-10
KR20190064483A (ko) 2019-06-10
KR102247553B1 (ko) 2021-05-03
KR20190064484A (ko) 2019-06-10
KR102247389B1 (ko) 2021-05-03
KR102247457B1 (ko) 2021-05-03
KR20190064482A (ko) 2019-06-10
KR20190064467A (ko) 2019-06-10
KR102247608B1 (ko) 2021-05-03
US20210137824A1 (en) 2021-05-13
KR102247543B1 (ko) 2021-05-04
KR102247592B1 (ko) 2021-05-03
KR20190064475A (ko) 2019-06-10
KR102247417B1 (ko) 2021-05-03
KR20190064474A (ko) 2019-06-10
KR20190064481A (ko) 2019-06-10
CN110582267A (zh)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419B1 (ko)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040393B1 (ko)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2158B1 (ko)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EP2042156A1 (de) Verfahren zum Entfernen von wasserunlöslichen Substanzen von Substratoberflächen
KR20180018904A (ko) 부착력 및 보습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화장품
KR101335878B1 (ko)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KR102247569B1 (ko)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151636A (ja) 化粧用パックとその製造方法
KR102248712B1 (ko) 염장된 벚꽃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0938462B1 (ko) 옻 분말이 함유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2490026B1 (ko) 저유해성 약액을 포함하는 천연 대나무 물티슈
KR100865140B1 (ko) 감귤류박 펄프를 포함하는 마스크시트
KR20230133483A (ko)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85064B1 (ko) 카테킨 및 테르펜 성분의 자연 식물성 추출물, 장기 3년 숙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제조 방법
KR20230133488A (ko) 과일껍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240041464A (ko)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CN112167274A (zh) 一种植物萃取辟味消毒剂及其制备方法
DE102008008537A1 (de) Wundversorgungsartik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