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464A -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464A
KR20240041464A KR1020220120484A KR20220120484A KR20240041464A KR 20240041464 A KR20240041464 A KR 20240041464A KR 1020220120484 A KR1020220120484 A KR 1020220120484A KR 20220120484 A KR20220120484 A KR 20220120484A KR 20240041464 A KR20240041464 A KR 2024004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eaweed
cosmetic composition
natural seaweed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주
이지훈
박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피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피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피끄
Priority to KR102022012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464A/ko
Publication of KR2024004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4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천연 해조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천연 해조류의 염분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천연 해조류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연화하는 단계 이후 연화된 천연 해조류에 대해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반복적으로 세척하고, 세척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3.5이상 내지 6.5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pH 조절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PREPARING METHOD F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ALGAE AND COSMETIC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COSMETIC COPRI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는 제품으로 관련 산업에서 유행이나 트렌드에 민감하다. 화장품은 인체의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각질제거, 탄력제공, 피부 미백 등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여러 제품들이 있으며, 최근 경제가 발전하고 소비수준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은 더 많은 제품군으로 세분화되었고, 사용하는 원료들도 보다 안전하고, 더 높은 효능을 가진 원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화장품의 원료로서 합성된 소재 이외에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천연 원료를 이용하는 추세이며, 이를 통해 인체 피부에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원료 중 식물소재를 이용하려는게 최근 업계의 주류로 잡혀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식물 소재는 식물이 가지고 있는 유효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의 효능 때문에 화장품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화장품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추출방식인 용매 및 열수 추출을 통해 만들어지는 식물추출물 원료는 식물의 유효성분이 거의 추출되지 않아 낮은 피부 효능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만들어진 원료는 추출한 식물의 종류와 상관없이 무색~갈색의 액상으로 식물의 고유 외형적 특성을 전혀 나타내지 못해 어떤 식물추출물을 사용하더라도 만들어지는 제형의 외관이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종래의 화장품 산업에서 사용되는 식물추출물은 낮은 피부 효능으로 아무리 많이 사용하여도 완제품에서는 그 효과를 느끼지 못하고, 어떤 식물추출물을 사용하여도 식물의 개성을 화장품에 보여줄 수 없으므로 자연히 극소량 사용되어 단순히 마케팅 요소로만 소비되고 있다.
최근에는 식물 등의 소재를 직접 제형에 첨가한 제품도 출시되고 있으나, 첨가된 천연물이 피부에 남기 때문에 워시오프 타입의 제품으로 만들거나, 식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용기 밖으로 토출되지 않도록 만든 제품이 전부다.
따라서, 사용하면서도 그 형상을 완제품 내에서 최대한으로 유지하고, 그 유효성분을 소비자가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89997호(공개일자 2014.07.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연 해조류의 형상을 화장료 조성물이나 화장품 제형 내에서 유지하면서, 소비자가 문지르면 쉽게 피부상으로 녹아 들어 사용자의 사용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천연 해조류의 형체를 유지하면서도 유효성분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천연 해조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천연 해조류의 염분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천연 해조류를 염기(base) 또는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연화하는 단계 이후 연화된 천연 해조류에 대해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반복적으로 세척하고, 세척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3.5이상 내지 6.5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pH 조절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acid)은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또는 설폰산(Sulfonic acid)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은 시트릭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락틱산, 글리콜릭산, 포름산, 말산, 옥살산, 살리실릭산, 아스코르빅산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및 탄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산은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4.0중량% 내지 40.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산은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10.0중량% 내지 20.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base)는 말단에 수산화기 또는 아민기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는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및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및 트로메타민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15℃이상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15℃이상 내지 4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12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70℃이상 내지 90℃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내지 20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해조류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천연 해조류의 건조 후 수분함량이 건조된 천연 해조류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하는 단계 후 상기 천연 해조류를 크기가 50㎛이상 내지 10,000㎛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 이후 상기 천연 해조류가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연화가 덜 이루어졌을 경우 15분 이상 내지 60분 이하 범위의 시간 동안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천연 해조류는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1.0중량% 내지 10.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해조류는 녹조류, 홍조류 또는 갈조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김, 톳, 갈래곰보, 고장초, 세모가사리,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개우무, 감태, 곰피, 모자반 및 파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연화된 천연 해조류,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연화된 천연 해조류와 상기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화된 천연 해조류는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상기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에 의하면, 천연 해조류의 형상을 화장료 조성물이나 화장품 제형 내에서 유지하면서, 소비자가 문지르면 쉽게 피부상으로 녹아 들어 사용자의 사용편리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천연 해조류의 형체를 유지하면서도 유효성분을 최대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화된 해조류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자가 손등에 올려놓았을 때에 연화된 해조류가 형체가 무너지지 않고 유지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자의 손등에서 적절한 힘으로 문질렀을 때에 연화된 해조류가 피부상에서 녹는 듯한 발림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화된 해조류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사진이다.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한 후 연화된 해조류가 피부상에서 녹는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해양에 존재하는 천연 원료 중 천연 해조류를 이용하여 열을 최소한으로 가하여 연화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과 화장품 제형 내에서 형체가 무너지지 않고 존재하도록 할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할 때에는 피부에 천연 해조류가 포함된 화장품 제형을 바른 뒤 적절히 문지르는 힘만으로도 피부 표면에서 천연 해조류가 모두 녹아 피부 내측으로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천연 해조류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유효성분의 활용을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천연 해조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천연 해조류의 염분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천연 해조류를 염기(base) 또는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연화하는 단계 이후 연화된 천연 해조류에 대해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반복적으로 세척하고, 세척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3.5이상 내지 6.5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pH 조절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 해조류를 준비하는 단계의 천연 해조류는 이미 건조가 완료된 상태일 수 있고, 일정 크기로 분쇄된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천연 해조류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천연 해조류의 건조 후 수분함량이 건조된 천연 해조류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하는 단계 후 상기 천연 해조류를 크기가 50㎛이상 내지 10,000㎛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연 해조류의 수분함량을 조절하고, 천연 해조류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함으로써, 이후의 연화하는 단계에서 연화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연화된 해조류가 그 형체를 제형 내에서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적절한 힘으로 피부상에서 문지를 경우에 천연 해조류가 모두 분해되어 사용자의 피부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연 해조류는 녹조류, 홍조류 또는 갈조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연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김, 톳, 갈래곰보, 고장초, 세모가사리,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개우무, 감태, 곰피, 모자반 및 파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다시마에는 비타민과 식이섬유, 미네랄이 풍부하여 피부 노화를 막아주고 부드러운 피부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샴푸와 같이 헤어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 탈모를 막아주고 머리카락을 윤기있게 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역에는 풍부한 칼슘이 포함되어 있고, 화장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부족한 칼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김에는 다양한 비타민 성분이 함유되어 피부 속 노폐물과 독소를 제거하고 피부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피부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톳에는 항산화 효과가 있어 건강한 피부를 가꾸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갈래곰보에는 식이섬유와 비타민이 풍부하고, 피부암과 같은 세포에 높은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장초는 피부속의 독소와 노폐물을 제거하여 피부의 미백, 보습, 노화지연, 가려움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모가사리에는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뭇가사리에는 미네랄 함량이 매우 풍부하여 피부 활성도 증진과 천연 보습, 수분 보습력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꼬시래기는 항염, 항알러지 효능은 물론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상기 개우무는 사용자의 피부에 주름개선, 미백개선,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낼 수 있고, 상기 감태는 항염증, 항알레르기, 피부노화방지 및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곰피에는 엑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노화를 예방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자반은 염증성 피부질환인 건선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능을 낼 수 있고, 모자반에는 피부 보습력에 필수적인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켜 피부를 매끄럽고 탄력있게 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래에는 칼슘, 칼륨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고, 비타민 C가 풍부하여 피부에 항산화 효과를 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천연 해조류를 염기(base) 또는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천연 해조류 내의 셀룰로오스간의 결합을 일부 절단함으로써, 천연 해조류를 연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화된 천연 해조류는 화장품의 제형 내에서는 형체를 유지하고 있어 시인되도록 하면서, 화장품 제형을 피부에 올려놓고 적은 힘만으로 문지를 경우에는 셀룰로오스간 결합이 절단된 부분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천연 해조류가 모두 녹아 스며들도록 하여 유효성분의 대부분을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산(acid)은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또는 설폰산(Sulfonic acid)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트릭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락틱산, 글리콜릭산, 포름산, 말산, 옥살산, 살리실릭산, 아스코르빅산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및 탄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산(acid)은 산 속에 포함된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또는 설폰산(Sulfonic acid) 등의 산성을 띠는 작용기에 의해 천연 해조류 내의 셀룰로오스간의 결합을 일부 절단함으로써, 천연 해조류가 적절하게 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산은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4.0중량% 내지 40.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산은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10.0중량% 내지 20.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천연 해조류를 연화할 때에 상기와 같은 산의 함량 범위에서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제형 내에서 연화된 해조류가 형체를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피부에 올려놓고 문지를 때에 적은 힘만으로도 모두 분해되어 유효성분 대부분이 피부속으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산이 상기 범위를 넘어 과량으로 투입되는 경우 산이 석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부족한 경우 연화하는 단계가 충분히 수행되지 않아,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 피부상에 건더기가 잔류할 수 있다.
상기 염기(base)는 말단에 수산화기 또는 아민기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염기는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및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및 트로메타민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15℃이상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15℃이상 내지 4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12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거나, 상기 수용액을 70℃이상 내지 90℃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내지 20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천연 해조류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히 최적의 상태로 연화되도록 하면서도 제형 내에서 형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범위 및 시간범위에서 천연 해조류에 가하는 열을 최소화하여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하는 정도의 연화된 천연 해조류를 얻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천연 해조류는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1.0중량% 내지 10.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중량% 내지 6.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천연 해조류가 충분히 연화되어 원하는 정도의 연화된 천연 해조류를 얻도록 할 수 있다.
천연 해조류의 경우, 자연친화적 소재로서 합성 소재들(합성 성분들)에 비해 인체에 보다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천연 해조류를 연화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최종 화장품에서 천연 해조류의 유효성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천연 해조류가 연화되었지만 그 형체를 유지하여 외부에서 시인되어 제조된 화장품이 우수한 상품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천연 해조류와 같은 천연원료를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추출물을 사용하거나, 천연원료를 가열, 압착, 증류 또는 추출하는 등의 방식으로 유효성분의 일부만을 활용하는 방식이어서 유효성분의 대부분을 활용하지 못하고 많은 유효성분이 소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천연 원료를 단순히 화장품의 제형에 넣거나, 일부 억센 부분을 부드럽게 처리하여 화장품 제형내에 넣곤 하였는데,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실사용시에 피부상에 건더기가 잔류하여 이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유효성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기존에는 단순히 천연 원료를 화장품의 성분으로 사용하기 위해 단순히 부드럽게 하는 용도로 연화를 하곤 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천연원료를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해 부드럽게 처리하는 전처리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었지, 본 발명과 같이 천연 해조류의 형상이 화장품 제형 내에서 그대로 유지되면서 사용자가 사용시에 단순 손가락의 적은 힘만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에서 없어지도록 하는 것은 아니었다.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상기 연화단계에 의해서는 천연 해조류가 연화된 상태이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이나 화장품 제형 내에서 그 형체를 유지하여 외부에서 육안으로 시인되는 효과를 내면서도 사용자가 피부에 화장품을 사용할 때에는 적은 힘만으로도 실질적으로 모든 천연 해조류가 분해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연 해조류에서 인체에 유용한 효능을 가지는 성분들이 연화된 천연 해조류의 내부에 그대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실제 화장품 내에 천연 해조류가 원료로서 존재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효과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단계는 상기 연화하는 단계 이후 연화된 천연 해조류에 대해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반복적으로 세척하고, 세척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3.5이상 내지 6.5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수행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세척은 연화하는 단계를 마친 후 잔류하는 산과 염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잔류하는 산과 염기에 의해 천연 해조류가 계속 연화되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3.5이상 내지 6.5이하의 범위인 것을 통해 산과 염기가 제거된 천연 해조류를 세척한 최종 정제수의 pH 범위가 상기 pH범위를 만족한다면, 상기 연화된 천연 해조류도 정제수의 pH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pH를 가진다고 볼 수 있고, 세정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3.5이상 내지 6.5이하의 범위가 된다면, 세척하는 단계를 마칠 수 있다. 상기 pH 범위에서 해조류가 원하는 연화 정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화장료 조성물은 연화된 천연 해조류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연화된 천연 해조류는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연화된 천연 해조류와 상기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범위에서 연화된 천연 해조류가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분해되거나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며, 화장품 제형 내에서 상기 연화된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외에 공지의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한 연화된 천연 해조류가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화장품 제형 내에 존재하면서도 사용시에는 적절히 피부에 문지르는 힘만으로 사용자의 피부로 모두 녹도록(모두 분해되어 사용자의 피부로 천연 해조류가 모두 흡수되도록 하여) 하여 천연 해조류의 유효성분 대부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은 보습제, 점증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방부제, 가용화제, pH 조절제, 향료 및 착색제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1 내지 40중량%, 상기 보습제를 0.1 내지 70중량%, 상기 점증제를 0.001 내지 10중량%, 및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3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칠프로판디올, 자일리톨, 베타인 또는 올리고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품에 어느 정도 점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잔탄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라일레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크로스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1,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카라기난, 젤란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또는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은 일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방부제, 가용화제, pH 조절제, 향료 및 착색제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다이올, 카프릴릴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클로페네신, 소듐벤조에이트, 페녹시에탄올, 포타슘벤조에이트, 포타슘솔베이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펜틸렌글라이콜, 메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품의 성분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용화제는 제조과정에서 수용액 상에 지방 성분이 함유된 성분을 용해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60,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또는 피이지-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화장품을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수준의 pH로 조절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시트릭애씨드, 락틱애씨드, 글라이콜릭애씨드 또는 소듐시트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및 착색제는 사용자의 후각 또는 시각적인 효과를 위한 것이며, 향료, 에센셜 오일, 유기색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상기 명세서의 이해를 돕고자 함이며 하기의 내용이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건조된 해조류로 톳을 평균 3,000㎛의 크기로 준비하고,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정제수와 산성성분이 함유된 수용액과 해조류가 함유되도록 준비하였다. 산성성분은 카르복실기 작용기를 포함하는 시트릭산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수용액 상에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함침한 후 완전히 함침될 수 있도록 잘 저어주었다. 이후 건조된 해조류가 완전히 함침된 수용액을 95℃에서 2시간 동안 가온하였다. 연화가 완료된 후 산성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을 거름망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별도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세척 및 여과하였고, 이후 pH를 측정하였다. 첨가하고자 하는 화장품 제형에 맞추어 측정한 세척수가 pH 3.00 내지 4.00 범위에서 세척을 종료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성분 정제수(중량%) 91.2 86.4 76.8 57.6
산(중량%) 4.8 9.6 19.2 38.4
건조 해조류(중량%) 4.0 4.0 4.0 4.0
세척횟수 4 4 4 4
pH 3.38 3.40 3.32 3.25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연화된 해조류가 제형 내에서 형체를 유지하는지 확인하였고, 해조류를 사용자의 손등에 올려놓고, 문질러 보아 피부 상에서 모두 녹는지를 확인하였다. 해당 과정은 하기 도 1 내지 5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화된 해조류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자가 손등에 올려놓았을 때에 연화된 해조류가 형체가 무너지지 않고 유지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자의 손등에서 적절한 힘으로 문질렀을 때에 연화된 해조류가 피부상에서 녹는 듯한 발림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화된 해조류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사진이고,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한 후 연화된 해조류가 피부상에서 녹는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H를 상기 표 1과 같은 범위로 조절한 경우 화장료 조성물 제형 내에서 해조류가 형체를 유지하면서도 사용시에는 피부 상에서 적절한 힘으로 문지르는 것만으로 완전히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및 6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건조된 미역을 평균 3,000㎛의 크기로 준비하여 시트릭산을 농도별로 다르게 하여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여 실시예 5 및 6과 같이 연화된 해조류를 제조하였다. 건조 해조류는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4중량%로 맞추었고, 산의 농도를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하여 정제수가 함께 포함된 전체 중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연화의 온도와 시간은 하기 표 2와 같다.
산의 농도(중량%) 연화온도(℃) 연화시간(min)
실시예 5 10.0 95 180
실시예 6 20.0 95 180
비교예 1 내지 3
상기 실시예 5 및 6과 동일하게, 건조된 미역을 평균 3,000㎛의 크기로 준비하여 시트릭산을 농도별로 다르게 하여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여 비교예 1 내지 3과 같이 연화된 해조류를 제조하였다. 건조 해조류는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4중량%로 맞추었고, 산의 농도를 하기 표 3과 같이 조절하여 정제수가 함께 포함된 전체 중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연화의 온도와 시간은 하기 표 3과 같다.
산의 농도(중량%) 연화온도(℃) 연화시간(min)
비교예 1 0.0 95 180
비교예 2 2.0 95 180
비교예 3 4.0 95 180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5 및 6과 비교예 1 내지 3의 연화된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손등에 올려놓은 뒤에 적은 힘을 주어 문질러 보면서 연화된 정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연화된 정도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X
비교예 2 X
비교예 3
상기 표 4에서 X는 연화되지 않고, 손등에서 잔류물이 계속 남아 있음을 의미하고, △는 일부 연화가 되었으나, 손등에서 잔류물이 일부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는 연화가 되었고,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는 연화가 매우 잘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연화도에 차이는 일부 있었으나, 해조류의 조직이 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에는 전혀 연화가 되지 않거나, 단지 해조류의 조직이 물러지기만 하였을 뿐, 강한 힘으로 오랜 시간 문질러도 잔류물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3)

  1. 천연 해조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천연 해조류의 염분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천연 해조류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연화하는 단계 이후 연화된 천연 해조류에 대해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반복적으로 세척하고, 세척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3.5이상 내지 6.5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pH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acid)은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또는 설폰산(Sulfonic acid)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시트릭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락틱산, 글리콜릭산, 포름산, 말산, 옥살산, 살리실릭산, 아스코르빅산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및 탄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산은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4.0중량% 내지 40.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15℃이상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15℃이상 내지 4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12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액을 70℃이상 내지 90℃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내지 20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해조류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천연 해조류의 건조 후 수분함량이 건조된 천연 해조류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하는 단계 후 상기 천연 해조류를 크기가 50㎛이상 내지 10,000㎛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천연 해조류는 상기 수용액 전체 중량 대비 1.0중량% 내지 10.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해조류는 녹조류, 홍조류 또는 갈조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김, 톳, 갈래곰보, 고장초, 세모가사리,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개우무, 감태, 곰피, 모자반 및 파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2. 연화된 천연 해조류;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연화된 천연 해조류와 상기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화된 천연 해조류는 상기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상기 제 12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220120484A 2022-09-23 2022-09-23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240041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484A KR20240041464A (ko) 2022-09-23 2022-09-23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484A KR20240041464A (ko) 2022-09-23 2022-09-23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464A true KR20240041464A (ko) 2024-04-01

Family

ID=9066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484A KR20240041464A (ko) 2022-09-23 2022-09-23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4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997A (ko) 2013-01-08 2014-07-16 (주)미인 제주산 해조류기반 천연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997A (ko) 2013-01-08 2014-07-16 (주)미인 제주산 해조류기반 천연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61B1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580216B1 (ko) 두피 보호 및 모발 개선 조성물을 함유한 샴푸와 그 제조방법
KR102212787B1 (ko) 미백 기능의 필링제 조성물
KR20090092899A (ko) 해조류를 이용한 두피의 항균작용 및 모발의 성장을촉진하는 발모제 조성물
KR20080108718A (ko)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CN108245454B (zh) 一种含有天然抗氧化成分的温和洁面膏及其制备方法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5283B1 (ko) 해양식물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혼합물을 함유한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41464A (ko) 천연 해조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325648B1 (ko)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패치
KR101925358B1 (ko) 싸리나무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액상거품 세안제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2252668B1 (ko) 탄력 개선 및 미백 기능의 필링제 조성물
CN108451818A (zh) 一种榆树皮提取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CN110467978B (zh) 一种美白抗菌奇果菌素皂及其制备方法
CN113350253A (zh) 一种抗菌止痒滋润养肤沐浴乳及其制备方法
RU2666602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CN112263525A (zh) 一种具有美白功效的天然化妆品
KR2004009450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315881A (zh) 一种胶原蛋白肽面膜液及其制备方法
KR20200031430A (ko) 모발 디톡스 및 펌 염색 크리닉을 위한 샴푸 조성물 및 시술방법
CN111973496A (zh) 一种海藻保湿补水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27842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 비누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312046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을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