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421B1 -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421B1
KR102275421B1 KR1020140161667A KR20140161667A KR102275421B1 KR 102275421 B1 KR102275421 B1 KR 102275421B1 KR 1020140161667 A KR1020140161667 A KR 1020140161667A KR 20140161667 A KR20140161667 A KR 20140161667A KR 102275421 B1 KR102275421 B1 KR 102275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secondary battery
region
tap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221A (ko
Inventor
김유나
윤장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421B1/ko
Priority to US14/944,122 priority patent/US10840537B2/en
Publication of KR2016006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 탭의 추가적인 절곡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이 단순화할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일 실시예는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1 멀티 탭을 갖는 제 1 극판,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2 멀티 탭을 갖는 제 2 극판 및 상기 제 1 극판과 상기 제 2 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전극 조립체를 준비하는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 혼 및 앤빌을 이용해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을 가접하는 멀티 탭 가접 단계, 가접된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에 리드 탭을 용접하는 리드 탭 용접 단계 및 상기 리드 탭이 용접된 전극 조립체를 케이스에 수용하는 케이스 수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탭 가접 단계에서, 상기 혼은 상기 앤빌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앤빌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가져,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은 굴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MANUFACTUR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캔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는 다시 양극판, 세퍼레이터 및 음극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양극판(또는 음극판)은 포일 형태의 양극(또는 음극) 전극 집전체와, 그 표면에 코팅된 양극(또는 음극) 활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극판 중 전극 집전체에는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에서 다수의 멀티 탭이 연장 형성되며, 이러한 멀티 탭에는 통상 외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리드 탭이 용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 탭의 추가적인 절곡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이 단순화할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 방법은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1 멀티 탭을 갖는 제 1 극판,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2 멀티 탭을 갖는 제 2 극판 및 상기 제 1 극판과 상기 제 2 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전극 조립체를 준비하는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 혼 및 앤빌을 이용해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을 가접하는 멀티 탭 가접 단계, 가접된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에 리드 탭을 용접하는 리드 탭 용접 단계 및 상기 리드 탭이 용접된 전극 조립체를 케이스에 수용하는 케이스 수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탭 가접 단계에서, 상기 혼은 상기 앤빌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앤빌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가져,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은 굴절부를 갖는다.
상기 멀티 탭 가접 단계에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오목부는 아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멀티 탭 가접 단계에서,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은 상기 전극 조립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굴절부를 갖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탭 가접 단계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을 가접할 수 있다.
상기 리드 탭 용접 단계에서,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제 3 영역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수용 단계 이후,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구를 캡 플레이트로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밀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1 멀티 탭을 갖는 제 1 극판,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2 멀티 탭을 갖는 제 2 극판 및 상기 제 1 극판과 상기 제 2 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전극 조립체, 상기 제 1 멀티 탭에 용접된 제 1 리드 탭과 상기 제 2 멀티 탭에 용접된 제 2 리드 탭,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 측에 수용하고, 상단 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구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를 관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리드 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리드 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은 가접되어 형성된 굴절부를 갖는다.
상기 멀티 탭 가접 공정은 혼 및 앤빌을 이용한 초음파 용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혼은 상기 앤빌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앤빌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은 상기 전극 조립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굴절부를 갖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탭은 적어도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이 가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는 멀티 탭의 추가적인 절곡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조 방법 중 멀티 탭 가접 단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단계, 동작, 부재, 요소, 수치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단계, 동작, 부재, 요소, 수치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및 제 2 등의 용어가 특정한 내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구성을 다른 구성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 방법은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S10), 멀티 탭 가접 단계(S20), 리드 탭 용접 단계(S30) 및 케이스 수용 단계(S40)를 포함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S10)에서는 전극 조립체(10)를 준비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제 1 전극판(미도시), 세퍼레이터(미도시), 제 2 전극판(미도시)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전극판은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 2 전극판은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 1 전극판은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Cu) 또는 니켈(Ni) 호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의 음극 활물질은 탄소(C) 계열 물질, Si, Sn, 틴 옥사이드, 틴 합금 복합체(composite tin alloys),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나이트라이드 또는 리튬 금속 산화물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판은 음극 활물질층이 도포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는 제 1 전극판과, 제 1 전극판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에서는 일단 방향으로 다수의 제 1 멀티 탭(Multi-tab)(11)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멀티 탭 (11)은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와 같이 제 1 전극판의 기재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판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호일(foil)로 이루어진 양극집전체의 양면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의 활물질로는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LiCoO2, LiMn2O4, LiNiO2, LiNi1-xCoxO2(0<x<1), LiMnO2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판은 양극 활물질층이 도포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는 제 2 전극판과, 제 2 전극판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에서는 일단 방향으로 다수의 제 2 멀티 탭(미도시)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멀티 탭은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와 같이 제 2 전극판의 기재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전극판 및 제 2 전극판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전극판은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 2 전극판은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의 쇼트(short)를 방지하고 이차 전지의 전하(charge), 예를 들면 리튬 이온의 이동만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폴리플로필렌의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지는 군(group)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세퍼레이터는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이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탭 가접 단계(S20)에서는 혼(Horn)(21)과 앤빌(Anvil)(22) 사이에 전극 조립체(10)의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1 멀티 탭(11) 및/또는 제 2 멀티 탭을 안착 시키고, 앤빌(22)의 상부에서 혼(21)을 가압하며 다수의 제 1 멀티 탭(11) 및/또는 제 2 멀티 탭들을 각각 정렬 시키는 가접(Tack welding) 공정을 수행한다. 이로써, 추후 공정 중 탭 날림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가접은 초음파 용접을 이용한다.
상기 혼(21)은 앤빌(22)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21a)를 가지며, 상기 앤빌(22)은 상기 돌출부(21a) 대응되며 소정 깊이로 움푹 파인 오목부(22a)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1a)와 오목부(22a)는 제 1 멀티 탭(11) 및/또는 제 2 멀티 탭에 가하는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돌출부(21a)와 오목부(22a)의 형성 위치에서 상기 제 1 멀티 탭(11)에는 굴절부(11b)가 형성된다. 즉, 달리 설명하면 상기 제 1 멀티 탭(11)은 전극 조립체(10)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영역(11a), 상기 제 1 영역(11a)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굴절부를 갖는 제 2 영역(11b) 및 상기 제 2 영역(11b)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영역(11c)을 갖는다.
여기서, 굴절부를 갖는 제 2 영역(11b)은 상기 돌출부(21a)와 오목부(22a)의 형상과 같이 아치 형상 가져, 외부 충격 및 진동에서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탭 용접 단계(S30)에서는 가접된 제 1 멀티 탭(11)의 끝단에 제 1 리드 탭(31)을 용접하여 부착한다. 상기 제 1 리드 탭(31)은 알루미늄, 구리, 구리 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전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리드 탭(31)은 절곡된 모서리부를 구비하여, 대략 'ㄱ'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접 방법은 초음파 용접 및 저항 용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접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제 1 리드 탭(31)은 제 1 멀티 탭(11)의 제 3 영역(11c)에서 용접되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수용 단계(S40)에서는 제 1 리드 탭(31) 및 제 2 리드 탭(32)이 용접된 전극 조립체(10)를 케이스(41) 내에 수용한다.
여기서, 전극 조립체(10)는 실질적으로 전해액(미도시)과 함께 상기 케이스(41)에 수납된다. 상기 전해액은 EC(ethylene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와 같은 유기 용매에 LiPF6, LiBF4와 같은 리튬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은 액체, 고체 또는 겔상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가 삽입/안착될 수 있는 상단 개구(41a)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케이스(41)의 내면은 절연 처리되어 전극 조립체(10)와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41)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며, 이러한 재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케이스(41)에 전극 조립체(10) 및 전해액이 수용된 후, 케이스(41)의 상단 개구(41a)는 캡 플레이트(42)에 의해 밀봉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이차전지(100)을 형성한다.
상기 캡 플레이트(42)는 상기 케이스(41)의 상단 개구(41a)를 밀봉하며, 상기 케이스(4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캡 플레이트(42)는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4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플레이트(42)에는 제 1 단자(51) 및 제 2 단자(5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단자(51)는 캡 플레이트(42)를 관통하여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 및 돌출되며, 상기 캡 플레이트(42)의 하부에서 제 1 리드 탭(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단자(52)는 캡 플레이트(42)를 관통하여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 및 돌출되며, 상기 캡 플레이트(42)의 하부에서 제 2 리드 탭(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캡 플레이트(42)와 상기 제 1 단자(51) 및 제 2 단자(52) 사이에는 서로 간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의 가스켓(51a, 52a)이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51a, 52a)은 하부로 보다 연장되어 캡 플레이트(42)와 전극 조립체(10) 사이의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 플레이트(42)와 전극 조립체(10) 사이에는 별도의 절연 플레이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조 방법 중 멀티 탭 가접 단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7을 비교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비해서 혼(221) 및 앤빌(222)의 구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221) 및 앤빌(222)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은 도 2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중 멀티 탭 가접 단계(S20)에서, 상기 혼(221) 및 앤빌(222)의 길이는 도 2의 혼(21) 및 앤빌(22)에 비해 길이 방향으로 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혼(221)에서 앤빌(222)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221a)가 대략 혼(221)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21a)에 대응되는 앤빌(222)의 오목부(222a)는 대략 앤빌(222)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혼(221) 및 앤빌(222)은 제 1 멀티 탭(11) 및/또는 제 2 멀티 탭에 상술한 제 1 영역 (11a) 및 굴절부를 갖는 제 2 영역(11b)를 형성한다. 즉, 상기 혼(221) 및 앤빌(222)의 형상을 달리하여, 제 1 멀티 탭(11) 및/또는 제 2 멀티 탭의 제 1 영역(11a) 및 제 2 영역(11b)에서만 가접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4에서 형성되는 제 3 영역(11c)에서는 가접 공정을 행하지 않아, 이후, 리드 탭 용접 단계(S30)에서 가접되지 않은 제 3 영역(11c)에 제 1 리드 탭(31)을 직접 용접하므로, 용접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멀티 탭(11) 및/또는 제 2 멀티 탭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혼(221) 및 앤빌(222)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전극 조립체 11; 제 1 멀티 탭
12; 제 2 멀티 탭 21, 221; 혼
21a, 221a; 돌출부 22, 222; 앤빌
22a, 222a; 오목부 31; 제 1 리드 탭
32; 제 2 리드 탭 41; 케이스
42; 캡 플레이트 51; 제 1 단자
52; 제 2 단자

Claims (11)

  1.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1 멀티 탭을 갖는 제 1 극판,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2 멀티 탭을 갖는 제 2 극판 및 상기 제 1 극판과 상기 제 2 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전극 조립체를 준비하는 전극 조립체 준비 단계;
    혼 및 앤빌을 이용해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을 가접하는 멀티 탭 가접 단계;
    가접된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에 리드 탭을 용접하는 리드 탭 용접 단계; 및
    상기 리드 탭이 용접된 전극 조립체를 케이스에 수용하는 케이스 수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탭 가접 단계에서,
    상기 혼은 상기 앤빌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앤빌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크기의 오목부를 가져,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은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굴절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은 상기 굴절부가 형성된 상태로 가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탭 가접 단계에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오목부는 아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탭 가접 단계에서,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은
    상기 전극 조립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굴절부를 갖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탭 가접 단계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을 가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 용접 단계에서,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제 3 영역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수용 단계 이후,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구를 캡 플레이트로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밀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7.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1 멀티 탭을 갖는 제 1 극판, 일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 2 멀티 탭을 갖는 제 2 극판 및 상기 제 1 극판과 상기 제 2 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전극 조립체;
    상기 제 1 멀티 탭에 용접된 제 1 리드 탭과 상기 제 2 멀티 탭에 용접된 제 2 리드 탭;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 측에 수용하고, 상단 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구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를 관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리드 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리드 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앤빌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혼과,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크기의 오목부를 갖는 앤빌에 의해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은 가접되어 형성된 굴절부를 가지며, 상기 굴절부는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탭 가접 공정은 상기 혼 및 상기 앤빌을 이용한 초음파 용접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멀티 탭 및 제 2 멀티 탭 각각은
    상기 전극 조립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굴절부를 갖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탭은 적어도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이 가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40161667A 2014-11-19 2014-11-19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2275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667A KR102275421B1 (ko) 2014-11-19 2014-11-19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US14/944,122 US10840537B2 (en) 2014-11-19 2015-11-17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by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667A KR102275421B1 (ko) 2014-11-19 2014-11-19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221A KR20160060221A (ko) 2016-05-30
KR102275421B1 true KR102275421B1 (ko) 2021-07-12

Family

ID=5596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667A KR102275421B1 (ko) 2014-11-19 2014-11-19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40537B2 (ko)
KR (1) KR102275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93B1 (ko) * 2016-12-21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32571B2 (en) * 2017-04-04 2020-04-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al joining using ultrasonic and reaction metallurgical welding processes
JP7019124B2 (ja) * 2017-10-27 2022-02-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KR102421801B1 (ko) * 2017-11-28 2022-07-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탭과 리드의 접합방법
KR102137757B1 (ko) * 2017-12-21 2020-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DE102018215943A1 (de) * 2018-09-19 2020-03-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Fügen und elektrischen Kontaktieren von Einzelfolien eines Folienstapels und dessen Verwendung
WO2020071049A1 (ja) * 2018-10-03 2020-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
DE102018221843A1 (de) * 2018-12-14 2020-06-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Ultraschallschweiß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tallfolienstapels
CN110492165B (zh) * 2019-08-29 2021-06-15 武汉逸飞激光设备有限公司 一种电芯合盖方法
CN111785903A (zh) * 2020-07-15 2020-10-16 中航锂电(洛阳)有限公司 电池及电池制造方法
DE102020216393A1 (de) * 2020-12-21 2022-06-23 Trumpf Laser- Und Systemtechnik Gmbh Verfahren und System zum Laserschweißen einer Vielzahl von Folien
KR20220100422A (ko) *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용접장치,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및 상기 용접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조립체
KR20240041534A (ko) * 2022-09-23 2024-04-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선 방지 전지 모듈
WO2024106861A1 (ko) * 2022-11-14 2024-05-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굴곡진 형상의 탭 다발이 구비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극조립체의 탭 다발 성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2227A1 (ja) * 2012-06-28 2014-01-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8620A (ja) * 1990-08-01 1992-03-23 Elna Co Ltd 電極箔の接続方法
JP5676172B2 (ja) 2010-08-03 2015-02-2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フィルム外装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KR101302358B1 (ko) 2011-01-31 2013-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381674B1 (ko) * 2011-08-12 2014-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조공정성이 향상된 젤리-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JP2014018810A (ja) 2012-07-13 2014-02-03 Toyota Industries Corp 抵抗溶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抵抗溶接方法
KR101610680B1 (ko) * 2013-09-02 2016-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전극탭 용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2227A1 (ja) * 2012-06-28 2014-01-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40537B2 (en) 2020-11-17
KR20160060221A (ko) 2016-05-30
US20160141709A1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421B1 (ko)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2483338B1 (ko) 이차 전지
CN105917512B (zh) 二次电池和二次电池的制造方法
US8034478B2 (en)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afety
EP2495784B1 (en) Secondary battery
KR102425218B1 (ko) 이차 전지
KR102571487B1 (ko) 이차 전지 및 그 조립 방법
JP6679204B2 (ja) 2次電池
CN105280874B (zh) 二次电池
KR101222376B1 (ko) 이차전지
US8216005B2 (en) Lead plate with a mounting portion being heavier than its joint portion
KR102435379B1 (ko) 이차 전지
KR20120106539A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팩
KR101689217B1 (ko)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EP2515362B1 (en) Secondary battery
US8524390B2 (en) Secondary battery
JP6438248B2 (ja) 2次電池
JP6948628B2 (ja) 捲回型電池
US20130330606A1 (en)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afety
JP5958712B2 (ja) 角形電池
KR102611657B1 (ko) 이차 전지
US20170025666A1 (en) Secondary battery
KR102165332B1 (ko) 이차 전지
KR102663722B1 (ko) 이차 전지
KR102571489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