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925B1 - 의료용 포착겸자 - Google Patents

의료용 포착겸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925B1
KR102274925B1 KR1020170045265A KR20170045265A KR102274925B1 KR 102274925 B1 KR102274925 B1 KR 102274925B1 KR 1020170045265 A KR1020170045265 A KR 1020170045265A KR 20170045265 A KR20170045265 A KR 20170045265A KR 102274925 B1 KR102274925 B1 KR 10227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ps
sabuk
capture
medical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760A (ko
Inventor
김석중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92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2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16Piv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포착겸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절경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 경골터널을 통과한 이식건(인공인대)의 일부를 시술부위 내부에서 간단히 포착 후 원하는 위치로 간단히 끌어낼 수 있도록 한 의료용 포착겸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X자형으로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제1포셉레그 및 제2포셉레그; 및, 상기 제1,2포셉레그의 교차부위에 힌지결합되는 사북;으로 구성된 포착겸자에 있어서, 상기 제1,2포셉레그에는, 포착하고자 하는 대상을 집는 취부의 마련을 위한 포착선단, 상기 사북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의 마련을 위한 교차중단, 손으로 붙잡고 벌렸다 오므렸다 하는 동작으로 상기 취부의 집게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루부의 마련을 위한 파지후단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2포셉레그는, 뒤로 당기거나 앞으로 밀어서, 상기 사북의 위치조정 및 상기 사북의 위치조정에 따른 포착선단의 길이조절이 가능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포착겸자{CATCH FORCEPS FOR MEDICAL}
본 발명은 의료용 포착겸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절경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 경골터널을 통과한 이식건(인공인대)의 일부를 시술부위 내부에서 간단히 포착 후 원하는 위치로 간단히 끌어낼 수 있도록 한 의료용 포착겸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전문스포츠가 점점 더 활성화되고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나이와 성별에 관계없이 스포츠를 건강을 위한 수단으로 생각할 뿐만 아니라 생활의 일부로 생각하면서 스포츠와 관련된 외상(外傷)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슬관절(knee joint / 무릎관절) 십자인대의 염좌 및 파열은 앞서 설명한 스포츠 활동에서 흔히 발생하는 손상의 형태로 알려져 있으며, 그러한 손상으로 인하여 보행장애와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이 유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십자인대(cruciate ligament, 十字靭帶)는 슬관절의 안쪽에서 십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전·후방십자인대로 구성된다. 이 중, 후방십자인대(Posterior Cruciate Ligament, 後方十字靭帶)는 대퇴골(femur, 大腿骨 / 넙다리뼈) 안쪽 관절융기 사이에서 시작하여 사선 방향을 주행하면서 경골(tibia, 脛骨 / 정강뼈)의 뒤쪽 면에 붙어 있으며, 경골의 후방전위(retrusion) 및 과신전(hyperextension, 過伸展)을 방지하는 무릎인대 중 가장 튼튼하지만 드물게 단독손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손상의 정도는 스트레칭 손상이나 완전파열로 나타난다.
불과 수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후방십자인대 단일 손상의 치료로 보존적 요법을 선호하였으나 장기간 추시에서 슬관절의 불안정성을 초래하여 결국에는 연골판과 연골의 손상 및 슬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어 보존적 치료보다는 수술적 치료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환부의 절개를 최소화한 상태로 무릎관절 속으로 시술기구를 삽입 후 그 시술기구의 조작으로 손상된 후방십자인대를 대신할 인공인대인 이식건(자가건 또는 동종건)을 뼈(대퇴골과 경골)에 접합시키는 관절경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reconstruction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이 주로 시술되고 있는바, 경골터널(tibia bone tunnel)로 이식건을 밀어넣어 뒤쪽으로 일부를 통과시키고 그렇게 통과된 부위에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를 시술기구로 끄집어당겨 무릎관절의 사이 공간으로 이식건을 당겨놓는 시술작업이 생각처럼 쉽지 않다.
현재까지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63727호 등을 통해 개시된 관절경 전용 시술도구(겸자 등)를 이용하여 이러한 시술작업을 시행해 왔으나, 개복 수술과 비교하여 공간이 협소하고 손을 직접 사용할 수 없으며 조작이 제한적인 관절경 수술의 특성상 시술부위로 밀어넣은 이식건 및 그 이식건에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를 정확히 포착 후 끄집어당기는 것이 쉽지 않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술도구는, 관절경 수술의 협소한 수술부위의 공간적 특성을 감안하여 기다란 형태로 구조화한 것일 뿐, 어떠한 대상을 포착하고 끌어당기는 작업행위를 보다 용이케 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시술자 숙련도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관절경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일률성(uniformity) 도모를 통한 시술시간의 단축 및 시술완성도 및 시술만족도의 극대화, 더 나아가 시술편의성과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술기구 또는/및 기기(장비)의 연구와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63727호(공개일자 : 2014. 05. 27.)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대상을 포착하는 집게부를 구성하되 한쪽 집게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형태로의 구조개선을 통해, 포착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이식건의 가이드 와이어를 시술부위 내부에서 수월하게 포착하고 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포착겸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X자형으로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제1포셉레그 및 제2포셉레그; 및, 상기 제1,2포셉레그의 교차부위에 힌지결합되는 사북;으로 구성된 포착겸자에 있어서, 상기 제1,2포셉레그에는, 포착하고자 하는 대상을 집는 취부의 마련을 위한 포착선단, 상기 사북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의 마련을 위한 교차중단, 손으로 붙잡고 벌렸다 오므렸다 하는 동작으로 상기 취부의 집게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루부의 마련을 위한 파지후단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2포셉레그는, 뒤로 당기거나 앞으로 밀어서, 상기 사북의 위치조정 및 상기 사북의 위치조정에 따른 포착선단의 길이조절이 가능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차중단들에는, 상기 사북이 힌지결합되는 제1축공 및 제2축공이 각각 관통형성되되, 상기 제1포셉레그의 교차중단에 관통된 상기 제1축공은, 상기 사북이 끼워맞춤 삽입되는 원형인 반면, 상기 제2포셉레그의 교차중단에 관통된 상기 제2축공은, 상기 제2포셉레그의 진퇴이동이 가능토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교차중단에 길게 형성된 장공이다.
더하여, 상기 포착선단들의 동일부위에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치우친 벤딩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포셉레그의 포착선단에 형성된 벤딩구간 일측에는, 포착하고자 하는 대상의 유도수용이 가능토록 내측으로 오목한 포착홈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포셉레그의 포착선단에 형성된 벤딩구간 일측에는, 상기 포착홈과의 대응밀착시 포착 대상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이 연속으로 형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의료용 포착겸자는, 시술자가 고도의 숙련도를 갖추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관정경 시술의 특성상 협소한 시술부위의 내부공간에서도 이식건에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를 포착하고 끄집어당기는 시술과정을 보다 정확하고 수월하며 더욱 신속하게 실시함이 가능케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시술과정의 편의성 도모를 통해, 시술자의 시술완성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시술 이후 환자가 느낄 시술만족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적절치 못한 치료로써 야기될 수 있는 슬괄절의 만성적 불안정성과 이로 인한 이차적 외성성 골관절염 예방의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설명한 각종 효과의 달성을 통해,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물론 그와 관련된 의료기술 및 의료산업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포착겸자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포착겸자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포착겸자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포착겸자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포착겸자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포착겸자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포착겸자(A)는, X자형으로 교차되는 한 쌍의 제1포셉레그(1) 및 제2포셉레그(2)와, 상기 제1,2포셉레그(1)(2)의 교차부위에 힌지결합되는 선회축(旋回軸)인 사북(pivot pin, 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구조 달성에 따라, 포착 대상을 집는 취부(100)가 일측에 마련되고, 손으로 붙잡고 벌렸다 오므렸다 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취부(100)의 집게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루부(200)가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취부(100)와 자루부(200) 사이에는 상기 제1,2포셉레그(1)(2)의 교차결합 및 상대회전을 위한 힌지부(300)가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포셉레그(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취부(100)의 마련을 위한 포착선단(11)(12), 상기 힌지부(300)의 마련을 위하는 한편 상기 사북(3)의 끼워맞춤 결합을 위한 제1축공(121)과 제2축공(221)이 각각 관통된 교차중단(12)(22), 상기 자루부(200)를 마련하게 된 파지후단(13)(23)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포셉레그(1)의 제1축공(121)은, 소정범위를 갖는 장공(長孔)의 형태로 상기 교차중단(12)에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포셉레그(2)를 앞으로 밀거나 뒤로 당기는 진퇴이동에 의한 위치조정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제2포셉레그(2)의 후퇴이동을 통해 상기 사북(3)이 상기 제1축공(12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2포셉레그(1)(2)의 포착선단(11)(21) 중 상기 제2포셉레그(2)의 포착선단(21) 길이가 상기 제1포셉레그(1)의 포착선단(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형태를 이루는 것에 의해 상기 취부(100) 내측으로 포착 대상을 위치시키는 포착과정이 보다 용이토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상기 포착선단(11)(21)들의 동일부위에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치우친 벤딩구간이 형성되는바, 이에 따라 상기 제1포셉레그(1) 포착선단(1)의 벤딩구간 일측에는, 포착하고자 하는 대상의 유도수용이 가능토록 내측으로 오목한 포착홈(11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포셉레그(2) 포착선단(21)의 벤딩구간 일측에는, 상기 포착홈(111)과의 대응밀착시 포착되는 대상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凹凸, 211)이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루부(200)를 구성하는 제1,2포셉레그(1)(2)의 파지후단(13)(23) 각각에는, 손가락을 끼워넣는 지환링(finger grip ring, 131)(231)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f)는 하지골(下肢骨) 중 골반과 무릎관절 사이에 위치하는 대퇴골이고, (g)는 후방십자인대 재건용 이식건이며, (t)는 하지골 중 대퇴골과 거골 사이에 위치하는 경골이고, (t-1)은 이식건 삽입을 위하여 경골에 뚫어둔 경골터널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포착겸자(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부의 절개를 최소화한 상태로 무릎관절 속으로 시술기구를 삽입 후 그 시술기구의 조작으로 손상된 후방십자인대를 대신할 이식건(인공인대)을 대퇴골과 경골에 접합시키는 관절경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환자를 전신 또는 척추 마취하에 앙와위(supine position, 仰臥位)로 눕힌 자세에서 환자의 슬관절을 굴곡시킨 후 전외측 통로를 통해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여 슬관절 내 후방십자인대의 손상 정도를 면밀히 진단한 다음 관절경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는바, 우선 별도의 절개도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슬관절의 전외측부 피부에 상기 관절경 및 그 외 다른 시술도구들을 시술부위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는 복수의 작은 구멍, 그리고 무릎 아래의 피부에 경골터널을 뚫기 위한 별도의 확공기(도시하지 않음)를 진입시킬 수 있는 하나의 작은 구멍을 낸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후방십재인대 재건술에 사용되는 각종 시술기구들을 시술부위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피부를 최소한으로 절개하여 구멍을 낸 다음에는, 상기 확공기를 이용하여 후방 신경이나 혈관 손상을 피하도록 하면서 파열된 후방십자인대를 대신할 이식건의 삽입을 위한 경골터널을 경골에 뚫고 그 경골터널의 전방으로부터 이식건을 밀어넣는다.
이후, 상기 경골터널의 후방으로 이식건의 일부가 통과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골터널(t-1)을 통과한 이식건(g)의 일부를 무릎관절의 사이 공간으로 끄집어낸 후 뼈(경골과 대퇴골)에 접합시키게 되는바, 이러한 이식건(g) 포착의 시술과정은 본 발명의 의료용 포착겸자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절개도구로 슬관절 전외측 피부를 절개하여서 낸 어느 하나의 작은 구멍으로 본 발명의 포착겸자(A)를 진입시킨 상태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셉레그(2)를 뒤쪽으로 잡아당겨 사북(3)이 제1포셉레그(1)의 교차중단(12)에 형성된 제1축공(12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2포셉레그(2)의 포착선단(21)이 후퇴이동 되도록 함을 통해, 결국 상기 제1포셉레그(1)의 포착선단(11)이 더 돌출된 상태의 취부(100)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제1포셉레그(1)의 포착선단(21) 벤딩구간에 형성된 포착홈(11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에 따라, 포착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상기 이식건(g)에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g-1)가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 상태로 상기 포착홈(111)으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북(3)이 제1축공(121)을 따라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포셉레그(2)를 앞으로 밀어넣어 상기 제2포셉레그(2)의 포착선단(21) 길이가 상기 제1포셉레그(1)의 포착선단(11)과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함을 통해, 결국 상기 가이드 와이어(g-1)가 취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상기 자루부(200)를 손으로 붙잡고 오므리는 동작의 실시를 통해, 상기 이식건(g)의 가이드 와이어(g-1)가 상기 포착홈(111)의 경사면을 따라 포착홈(111-1)의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1포셉레그(1)의 포착선단(11) 벤딩구간과 상기 제2포셉레그(2)의 포착선단(21) 벤딩구간에 의해 압착됨과 더불어 상기 제2포셉레그(2)의 포착선단(21) 벤딩구간 외면에 형성된 요철면(211-1)에 의해 견고하게 포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를 통해, 본 발명의 포착겸자(A)를 이용한 이식건(g)의 가이드 와이어(g-1)의 포착이 완료되면, 손으로 부여잡은 자루부(200)를 끌어당겨 상기 가이드 와이어(g-1)가 무릎관절 사이 공간을 통해 전외부 측으로 끌려나오도록 하고, 이로써 상기 가이드 와이어(g-1)가 연결된 이식건(g)의 일부가 무릎관절의 사이 공간으로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경골터널(t-1)에 삽입된 상기 이식건(g)의 일부는 생체흡수성 간섭 나사를 이용하여 경골(t)에 접합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무릎관절 사이 공간으로 진입된 이식건(g)의 다른 일부는 대퇴골(f)에 접합시키는 다음의 시술과정을 통해 상기 이식건(g)을 뼈에 접합하는 시술과정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을 통하여 이식건(g)을 뼈에 접합시키는 시술과정을 완료한 다음에는,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관절경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시술과정을 끝마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포착겸자에 의하면, 관절경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시술완성도 및 시술만족도가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어 왔었던 고질적인 문제점을 간단히 해소할 수 있다.
예컨대, 경골터널(t-1)의 후방 측으로 통과된 이식건(g)의 일부를 겸자 등과 같은 시술기구를 이용하여 무릎관절 사이 공간으로 진입시키기 위해 시술부위 내부공간으로 상기 시술기구를 진입시키고 상기 이식건(g)에 연결된 가이드 와이어(g-1)를 찾아 시술기구로 포착 후 끄집어당기는 시술과정을 실시함이 보다 수월토록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포착겸자, 1 : 제1포셉레그, 2 : 제2포셉레그
3 : 사북, 11, 21 : 포착선단, 12, 22 : 교차중단
13, 23 : 파지후단, 100 : 취부, 111, 211 : 벤딩구간
111-1 : 포착홈, 121 : 제1축공, 131, 232 : 지환링
200 : 자루부, 211-1 : 요철면, 221 : 제2축공
300 : 힌지부

Claims (4)

  1. X자형으로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제1포셉레그 및 제2포셉레그; 및, 상기 제1,2포셉레그의 교차부위에 힌지결합되는 사북;으로 구성된 포착겸자에 있어서,
    상기 제1,2포셉레그에는, 포착하고자 하는 대상을 집는 취부의 마련을 위한 포착선단, 상기 사북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의 마련을 위한 교차중단, 손으로 붙잡고 벌렸다 오므렸다 하는 동작으로 상기 취부의 집게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루부의 마련을 위한 파지후단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2포셉레그는, 뒤로 당기거나 앞으로 밀어서, 상기 사북의 위치조정 및 상기 사북의 위치조정에 따른 포착선단의 길이조절이 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교차중단들에는, 상기 사북이 힌지결합되는 제1축공 및 제2축공이 각각 관통형성되되,
    상기 제1포셉레그의 교차중단에 관통된 상기 제1축공은, 상기 사북이 끼워맞춤 삽입되는 원형인 반면,
    상기 제2포셉레그의 교차중단에 관통된 상기 제2축공은, 상기 제2포셉레그의 진퇴이동이 가능토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교차중단에 길게 형성된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포착겸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선단들의 동일부위에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치우친 벤딩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포셉레그의 포착선단에 형성된 벤딩구간 일측에는, 포착하고자 하는 대상의 유도수용이 가능토록 내측으로 오목한 포착홈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포착겸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셉레그의 포착선단에 형성된 벤딩구간 일측에는, 상기 포착홈과의 대응밀착시 포착 대상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이 연속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포착겸자.
KR1020170045265A 2017-04-07 2017-04-07 의료용 포착겸자 KR10227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65A KR102274925B1 (ko) 2017-04-07 2017-04-07 의료용 포착겸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65A KR102274925B1 (ko) 2017-04-07 2017-04-07 의료용 포착겸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60A KR20180113760A (ko) 2018-10-17
KR102274925B1 true KR102274925B1 (ko) 2021-07-08

Family

ID=6409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265A KR102274925B1 (ko) 2017-04-07 2017-04-07 의료용 포착겸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962B1 (ko) 2022-10-27 2023-03-27 주식회사 더이은 치과용 겸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866B2 (ja) * 1998-06-12 2001-01-31 宮城日本電気株式会社 Atmスイッチの永久滞留アドレス検出回路および永久滞留アドレス検出方法
KR101077565B1 (ko) * 2009-09-03 2011-10-28 박영순 치과용 포셉
JP5036848B2 (ja) 2010-06-30 2012-09-26 株式会社シゲル工業 理容鋏
KR101567572B1 (ko) * 2014-04-28 2015-11-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866U (ja) * 2007-01-31 2007-04-12 株式会社三和技研工業 理美容鋏
US20140236152A1 (en) 2011-08-23 2014-08-21 Aesculap Ag Electrosurgical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866B2 (ja) * 1998-06-12 2001-01-31 宮城日本電気株式会社 Atmスイッチの永久滞留アドレス検出回路および永久滞留アドレス検出方法
KR101077565B1 (ko) * 2009-09-03 2011-10-28 박영순 치과용 포셉
JP5036848B2 (ja) 2010-06-30 2012-09-26 株式会社シゲル工業 理容鋏
KR101567572B1 (ko) * 2014-04-28 2015-11-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60A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1443A1 (en) Bone staple storage, inserter,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US7998203B2 (en) Total knee prosthesis and method for total knee arthroplasty
US10034674B2 (en) Universal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pair and reconstruction system
US5300077A (en) Method and instruments for ACL reconstruction
CA2467004C (en) Tissue fixation device
US8740911B2 (en) Method of preparing a femur for implantation of a femoral implant
JP6907231B2 (ja) 調節可能なコイルを有する可撓性インプラント
US20180280018A1 (en) Angled suture pass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6031716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igament repair
KR20170067848A (ko) 앵커/임플란트 전개 장치 및 그에 관련된 조직 수복 방법
JP7342012B2 (ja) 骨移植片の関節窩骨への固定およびその実装
KR102274925B1 (ko) 의료용 포착겸자
US11376022B2 (en) Patella cutting guide
KR101145651B1 (ko)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
WO2018084887A1 (en) Tissue repair system
US102451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mping and trimming the bone tendon of a graft to a desired size
CN219183989U (zh) 一种医用夹钳
US11819425B2 (en) Coracoid gu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using thereof
Schwartz What is minimally invasive surgery?
RU2557426C2 (ru) Способ артроскопической реконструкции задней крестообразной связки и набор инструментов для защиты подколенной артерии при его выполнении
CN113332571B (zh) 一种能够定位的前交叉韧带残端扩张器
Courage et al. BTB Graft Technique: ACL Reconstruction Using the Patellar Tendon
WO2018070833A2 (ko) 족관절 인대 접합용 시술키트
RU2216292C1 (ru)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вывихов акромиального конца ключицы
RU79414U1 (ru) Направитель для туннелизации при артроскоп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