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572B1 -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 Google Patents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572B1
KR101567572B1 KR1020140050786A KR20140050786A KR101567572B1 KR 101567572 B1 KR101567572 B1 KR 101567572B1 KR 1020140050786 A KR1020140050786 A KR 1020140050786A KR 20140050786 A KR20140050786 A KR 20140050786A KR 101567572 B1 KR101567572 B1 KR 10156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pressing member
shaft
pressing
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4214A (ko
Inventor
김태희
이해혁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572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조직을 절개하기 위한 의료 겸자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교차되어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후단에 링 형상의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를 구비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말단에 그 선단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벤딩 형성된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함으로써, 자궁벽과 태아 사이에 공간이 없는 상황에서 제왕절개 수술 시 태아에게 손상을 입히지 않고 자궁벽과 태아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A FORCEP FOR PRESSURIZING BIOLOGICAL TISSUE}
본 발명은 수술용 의료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부를 벤딩 형성하거나 가압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시술자가 본 발명의 수술 기구를 신체 내부로 진입시킬 때 각각의 수술 부위에 적합한 각도를 취하여 원하는 수술 부위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시술 시 생길 수 있는 출혈, 천공 등의 중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의료용 겸자(forcep)는 외과영역의 수술 또는 처치에 쓰이는 기구로서, 조직 또는 기관을 받치거나 집거나 압박을 가하기 위한 용구이다. 특히, 산부인과용 겸자는 자궁 내의 처치 부위 또는 그 인접 부위를 압박하거나 잡아당길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산부인과용 겸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종래의 산부인과용 겸자는 자궁 내의 타 부위를 압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2 단위의 부재가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서, 손잡이부에 외력을 가하면 가압부가 환자 자궁 내의 해당 부위를 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2 단위의 부재 각각의 가압부가 일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양수가 전혀 없는 상태 또는 태아와 자궁벽이 붙어 있는 상태에서 제왕절개 수술을 하는 경우 자궁 절개 시 태아가 메스나 켈리에 의해 손상을 입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자궁 절개 시, 자궁 안의 태아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켈리 포셉의 손잡이부와 가압부가 이루는 각도를 90도로 굽게 하여 굽은 켈리로 최소한의 자궁 절개를 한 후, 틈 사이로 자궁벽을 위쪽으로 들어 올려 자궁벽과 태아를 떨어트려 틈 사이로 손가락을 넣어 자궁벽을 손가락으로 벌리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왕절개 수술은 복벽 절개를 한 후 자궁 절개를 하는 순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그림 1 내지 그림 3을 참조하면, 자궁의 가장 바깥쪽 장막을 메젬바움 시저(Metzembaum scissors)를 사용하여 절개하고(그림 1), 칼을 사용하여 2cm 정도의 자궁근층(myometrium)을 절개하며(그림 2), 손가락을 이용해 자궁 안으로 진입하여 양쪽으로 힘을 가해 자궁근층을 찢는 모습을 볼 수 있다(그림 3).
[그림 1]
Figure 112014040460890-pat00001
[그림 2]
Figure 112014040460890-pat00002
[그림 3]
Figure 112014040460890-pat00003
하지만, 그림 4는 양수가 파막 된 경우 자궁벽과 태아 얼굴 혹은 머리가 공간 없이 붙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림 4와 같은 상황에서는 손가락이 들어갈 틈도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메스나 일반 켈리로 자궁근층을 절개하면 태아 얼굴이나 두피에 열상을 발생시키는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다.
[그림 4]
Figure 112014040460890-pat00004
따라서, 자궁벽과 태아 사이에 공간이 없는 상황에서 제왕절개 수술 시 자궁벽과 태아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의료 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5-0004401호(공개일 1985.07.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111774호(공개일 2001.12.2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의료 겸자와 달리 가압부를 벤딩 형성하거나 가압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시술자가 본 발명의 수술 기구를 신체 내부로 진입시킬 때 각각의 수술 부위에 적합한 각도를 취하여 원하는 수술 부위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시술 시 생길 수 있는 출혈, 천공 등의 중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을 절개하기 위한 의료 겸자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교차되어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후단에 링 형상의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를 구비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말단에 그 선단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벤딩 형성된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는, 그 선단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4분의 1 원을 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을 절개하기 위한 의료 겸자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교차되어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후단에 링 형상의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를 구비하는 손잡이부; 및 선 형상의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와, 상기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 각각에 상기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를 상기 가압부재의 선단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 굴곡시키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음부를 구비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음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선단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체결축과, 상기 체결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고정축을 포함하는 수나사부; 상기 가압부재의 선단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음축과,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암나사부;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체결축이 삽입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1 다이얼; 및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다이얼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결축이 삽입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2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조직을 절개하기 위한 의료 겸자에 따르면, 가압부를 벤딩 형성하거나 가압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특히, 자궁벽과 태아 사이에 공간이 없는 상황에서 제왕절개 수술 시 태아에게 손상을 입히지 않고 자궁벽과 태아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산부인과용 겸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겸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의료 겸자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겸자의 제1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제1 가압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1 가압부재의 각도 조절 시 제1 이음부가 상/하로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1 가압부재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제1 이음부에서 결합되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을 절개하기 위한 의료 겸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겸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의료 겸자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겸자는, 몸체부(100)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후방 손잡이부(200)와, 대상물에 압력을 가하는 전방 가압부(300) 등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가위 형상을 갖는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몸체부(100)는, 제1 몸체(110)와, 제1 몸체(110)와 교차되어 결합부(13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1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30)는, 제1 및 제2 몸체(110,120)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축(미도시)과, 제1 및 제2 몸체(110, 120) 중 다른 하나에 힌지축이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축 상에 연결된 제1 및 제2 몸체(110, 120)가 힌지축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힌지축의 양단은 리벳 성형 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의 후단에 손가락을 각각 끼워 파지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가지는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의 후단 내측에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의 선단을 모은 후 고정 상태를 유지하거나 사용 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가이드대(211, 22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300)는, 생체 조직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생체 조직 사이를 쉽게 벌려 수술 대상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예컨대, 자궁벽과 태아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자궁 내부에 있는 태아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제1 가압부재(310)와 제2 가압부재(320)의 선단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벤딩 형성되어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2의 의료 겸자의 측면 모식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가압부(300)의 전단부가 의료 겸자의 하단면을 기준으로 약 45도 각도로 상향 절곡(a)되어 있어서, 제왕절개 수술 시 태아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가압부재(310)와 제2 가압부재(320)의 말단은 상측 방향으로 2.5cm을 반지름으로 하는 1/4원을 그리도록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료 겸자에 따르면, 생체 조직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생체 조직 사이를 쉽게 벌려 수술 대상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을 절개하기 위한 의료 겸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겸자의 제1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제1 가압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나타낸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1 가압부재의 각도 조절 시 제1 이음부가 상/하로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8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1 가압부재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제1 이음부에서 결합되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료 겸자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의 몸체부(100), 손잡이부(200)를 포함하고 있고(도 2 참조), 상기 집게부(300)에 대한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료 겸자의 제1 가압부재(310) 및 그것의 제1 이음부(330)의 구성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제1 가압부재의 제2 이음부(340) 및 제2 가압부재(320) 및 제2 가압부재의 제1 및 제2 이음부의 구성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료 겸자는, 이음부가 더 형성되는 가압부(300)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가압부재(310, 320)가 각 이음부를 중심으로 이루는 각도를 변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제1 및 제2 가압부재(310, 320)에 이음부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구비되어, 결합부(13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가로 방향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제1 및 제2 가압부재(310, 320)를 회전 굴곡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해당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압부재(310)에는 제1 가압부재(310)의 말단부와 결합부(130) 사이의 대략 3분의 1 지점에 마련되는 제1 이음부(330)와, 제1 가압부재(310)의 말단부와 결합부(130) 사이의 대략 3분의 2 지점에 마련되는 제2 이음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음부(330)는, 제1 다이얼(331), 제2 다이얼(333), 수나사부(335) 및 암나사부(33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이얼(331)은 제1 가압부재(310)의 3분의 1 지점에서 3분의 2 지점까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제1 가압부재(310) 제1 부재(311) 선단의 이음부에 원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 다이얼(333)은 제1 가압부재(310)의 말단에서 3분의 1 지점까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제1 가압부재(310) 제2 부재(313) 후단의 이음부에 원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다이얼(331, 333)에는 후술하는 수나사부(335)의 체결축(335a)이 삽입되는 체결홈(331a, 333a)과, 체결홈(331a, 333a)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다수 배치되어 수나사부(335)의 고정축(335b)들이 각각 삽입되는 고정홈(331b, 333b)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나사부(335)는 제1 다이얼(331)의 외측면과 접하는 수나사머리(335c), 수나사머리(335c)의 일면 중앙에서 제1 가압부재의 선단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이음축(337a)이 그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측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체결축(335a), 체결축(335a)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고정축(335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축(335a)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암나사부의 수용홈(337b) 내측에 구비된 나사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암나사부(337)는 제2 다이얼(333)의 외측면과 접하는 암나사머리(337c), 암나사머리(337c) 일면 중앙에서 제1 가압부재의 선단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음축(337a)을 포함한다. 암나사머리부(337c) 일면 중앙에는 고정축(335a)이 삽입되고 상기 수나사부의 체결축(335a) 나사산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나사홈이 형성되는 수용홈(337b)이 형성되어 있다. 이음축(337a)은 수용홈(337b)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음축(337a)은 T자 형상을 취하여 마련됨으로써 상/하 이동하여 체결축(335a)으로부터 인출 시 수나사부(335)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여 부재의 분실 염려 없이 가압부(3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가압부(3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상세하세 설명하면, 가압부(300) 제1 가압부재(31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음부(330)의 수나사부(335)와 암나사부(337)의 나사 결합을 해제한 후 수나사부(335)와 암나사부(337)를 상/하 방향으로 이격시킨다. 그러면, 수나사부(335)에 형성된 고정축(335b)이 제1 및 제2 다이얼(331, 333)에 형성된 고정홈(331b, 333b)으로부터 이탈되어 수나사부(335)와 암나사부(337) 간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때, 이음축(337a)을 중심으로 수다이얼(331) 및 암다이얼(333)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가압부재(31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 굴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제1 가압부재(310)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음부(330)의 수나사부(335)와 암나사부(337)를 하/상 방향으로 밀어 넣어 이음축(337a)이 내부로 인입된 체결축(335a) 및 고정축(335b)을 각각 체결홈(331a, 333a), 수용홈(337b) 및 고정홈(331b, 333b)에 삽입하고 상기 암나사부(337)의 나사홈에 상기 수나사부(335)의 나사산을 회전시켜 고정 체결되도록 한다. 이에, 제1 이음부(330)는 이음축(337a)을 중심으로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후에는 제1 이음부(330)의 회전 각도가 고정됨으로써, 의료 겸자 사용시에는 각도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자궁벽과 태아 사이에 공간이 없는 상황에서 제왕절개 수술 시 의료 겸자의 가압부를 적절히 굴곡시켜 자궁 또는 태아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00 : 몸체부 110, 120 : 몸체
130 : 결합부 200 : 손잡이부
210, 220 : 손잡이 300 : 가압부
310, 320 : 가압부재 330, 340 : 이음부
331, 333 : 다이얼 331a, 333a : 체결홈
331b, 333b : 고정홈 335 : 수나사부
335a : 체결축 335b : 고정축
337 : 암나사부 337a : 이음축
337b : 수용홈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결합부(130), 상기 결합부(13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
    상기 제1 몸체(110)에 형성된 제1 손잡이(210) 및 상기 제2 몸체(120)에 형성된 제2 손잡이(220)를 포함하는 손잡이부(200) 및
    제1 부재(311) 및 제2 부재(313)를 각각 포함하는 제1 가압부재(310), 제2 가압부재(320) 및 상기 제1 부재(311)와 상기 제2 부재(313)를 각각 회전 굴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음부(330)를 포함하는 가압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330)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부재(311)와 연결되어 있고 중앙을 관통한 체결홈(331a)과 외측을 관통한 고정홈(33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331b)은 상기 체결홈(331a)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1 다이얼(331),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부재(313)와 연결되어 있고 중앙을 관통한 체결홈(333a)과 외측을 관통한 고정홈(33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333b)은 상기 체결홈(333a)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이 상기 제1 다이얼(331)의 내측면과 접한 제2 다이얼(333),
    상기 제1 다이얼(331) 외측면과 접하는 수나사머리(335c), 상기 수나사머리(335c) 일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다이얼(331) 및 상기 제2 다이얼(333)의 체결홈(331a, 333a)을 관통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외부 둘레면에 나사가 형성된 체결축(335a) 및 상기 상기 체결축(335a)과 떨어져 상기 수나사머리(335c)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체결축(335a)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얼(331) 및 상기 제2 다이얼(333)의 고정홈(331b, 333b)을 관통하는 고정축(335b)을 포함하는 수나사부(335) 및
    상기 체결축(335a)의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를 가지는 수용홈(337b)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면이 상기 제2 다이얼(333)의 외측면과 접하는 암나사머리(337c) 및 상기 수용홈(337b)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축(335a)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T자 형상을 취하여 상기 수나사부(335)와 분리를 방지하는 이음축(337a)을 포함하는 암나사부(337)
    를 포함하는
    의료 겸자.
  4. 삭제
KR1020140050786A 2014-04-28 2014-04-28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KR101567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786A KR101567572B1 (ko) 2014-04-28 2014-04-28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786A KR101567572B1 (ko) 2014-04-28 2014-04-28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214A KR20150124214A (ko) 2015-11-05
KR101567572B1 true KR101567572B1 (ko) 2015-11-10

Family

ID=5460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786A KR101567572B1 (ko) 2014-04-28 2014-04-28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760A (ko) * 2017-04-07 2018-10-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포착겸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962B1 (ko) 2022-10-27 2023-03-27 주식회사 더이은 치과용 겸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3237A (ja) * 2009-04-27 2010-11-11 National Cancer Center 手術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3237A (ja) * 2009-04-27 2010-11-11 National Cancer Center 手術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760A (ko) * 2017-04-07 2018-10-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포착겸자
KR102274925B1 (ko) * 2017-04-07 2021-07-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포착겸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214A (ko)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6319A1 (en) Reusable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US10016219B2 (en) Functional uterine manipulator
EP3235442B1 (en) Multi-lumen access port
EP2397086B1 (en) Seal port with blood collector
JP4982699B2 (ja) 生検鉗子
US20090270789A1 (en) Suction dome for atraumatically grasping or manipulating tissue
US20130225932A1 (en) Multi-portion wound protector
US8574155B2 (en) Expandable surgical access port
JP2015057113A (ja) 強化管腔を有する可撓性アクセスアセンブリ
JP2008546485A5 (ko)
CA2618197A1 (en) Surgical retractor
US9357986B2 (en) Medical instrument for dilating osseous structures
US9572567B2 (en) Medical clip, clip unit and clip device
KR101567572B1 (ko)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JP4602580B2 (ja) 湾曲圧排具
JP2011125701A (ja) 栓子先端部
WO2013132861A1 (ja) 領域確保用器具および領域確保用器具を備えた内視鏡
US10213194B2 (en) Surgical retraction systems including sternal retractors and hemostatic inserts
CN206424109U (zh) 一种可活动拉钩皮肤撑开器
KR102586214B1 (ko) 수술용 샤프트
KR20150101957A (ko) 오버튜브 및 그 사용법
JP3737540B2 (ja) トロカール外套管およびトロカール
JP2017153635A (ja) 血管クランプ
CN104841059B (zh) 可撕脱鞘的穿刺导引器
CN215384402U (zh) 用于微创手术的碎石器械和微创手术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