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651B1 -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 - Google Patents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651B1
KR101145651B1 KR1020100028020A KR20100028020A KR101145651B1 KR 101145651 B1 KR101145651 B1 KR 101145651B1 KR 1020100028020 A KR1020100028020 A KR 1020100028020A KR 20100028020 A KR20100028020 A KR 20100028020A KR 101145651 B1 KR101145651 B1 KR 101145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ate ligament
suture
tibia
artificial
menis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679A (ko
Inventor
정인성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정인성
주식회사 로얄벳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성, 주식회사 로얄벳, 김영환 filed Critical 정인성
Priority to KR102010002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65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645Connective tissue
    • A61L27/3654Cartilage, e.g. menis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cartilage reconstruction, e.g. menis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heu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견의 손상된 전십자인대 및 관절연골을 절제한 후 인공연골을 고정한 후, 인공연골을 통과하는 봉합사를 견인하여 긴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매듭하여서 견공(犬公)의 전십자인대 파열에 대한 치료를 양호하게 시술하고,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파열 치료를 위한 인공연골 및 그 수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에 밀착시켜 무릎관절환부(12)만을 노출하고 덮는 전처치단계[S1]와; 상기 무릎관절환부(12)을 통해 노출된 피부를 절개하여 시야를 확보하고 경골(20)의 골두를 포함한 반월판을 수술적으로 제거한 후 절개면을 평활하게 정리하고 봉합사가 들어갈 구멍(22a)(22b)을 대퇴골(30)과 경골(20)에 뚫어 형성하는 천공단계[S2]와; 수술적으로 제거한 반월판의 위치에 인공반월판(40)을 맞춰놓고 고정핀(50)으로 경골(20)에 고정하는 고정단계[S3]와; 봉합사(42)로 미리 천공된 대퇴골(30)과 경골(20)의 구멍(22a)(22b)을 통해 대퇴골(30)과 경골(20)을 고정하는 인공십자인대 형성단계[S4]와; 노출된 피하조직 및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 봉합시술단계[S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METHOD FOR USING THE SAME AND MENISCUS F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OF KNEE JOINT}
본 발명은 전십자인대 파열 치료를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공(犬公)의 손상된 전십자인대 및 관절을 절제하고, 두께를 조정한 의료용 실린콘 인공반월판을 고정수단으로 고정한 후, 인공반월판을 통과하는 봉합사를 별도 보정장치로 고정하여 봉합사를 견인하여 긴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매듭하여서 견공(犬公)의 전십자인대 파열에 대한 치료를 양호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의 외과 영역에서 실시하고 있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관련 수복술에는 관절 내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 관절 외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 등 다양한 복원 수술 방식이 존재한다.
현재 관절 내 고정법인 오버-더-탑(Over-the-Top)법을 변형한 수술 방법과 관절 외에 봉합사를 사용하여 외측 fabellae와 경골거친면(tibial tuberosity)을 연결하는 수술 방법을 병용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애견들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생후 1~2년령에 무릎골 탈구 수술을 실시한 증례에서 전십자인대 파열이 많이 발생하고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하며 파행을 나타내는 증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견공(犬公)의 전십자인대가 손상된 경우 체중 부하 등이 가해져 무릎관절이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보행시, 뒷발목관절이 굴곡하면 장딴지근(gastrocnemius m)의 긴장에 따라 대퇴골은 뒤쪽으로, 경골은 앞쪽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손상으로 인해 경골원 위는 내측으로 회전한다. 이들 대퇴골과 경골의 연관성 변화에 따라 대퇴골근위에서 무릎골을 지나 경골거친면을 이루는 기구가 일직선상에 존재하지 않고 변위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대퇴 네갈래근 기시부에도 이상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관절내부나 외부에 이식편(graft)을 이용하여 무릎인대를 관절 뒤쪽으로 압박 및 안정화시켜 대퇴네갈래 근 기시부위를 정상적으로 회복을 시키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로 관절의 불안정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무릎골을 도르래고랑에 확실히 위치시켜 무릎골 탈구를 억제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무릎골을 안정화시킬 경우, 무릎골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나, 수술 후에 무릎골과 그 주변에 퇴행성관절염에 동반하는 골극(osteophyte)의 출현이 쉽게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한편, 무릅관절내의 반월판(MENISCUS)은 쿠션역할을 하며, 동시에 마찰로 인한 통증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반월판은 무릎관절을 이루는 중요한 주조이나 대부분 전십자인대 파열의 증례에서 변성(두께의 변화나 파열)하며 통증과 퇴행성관절염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반월판이 손상이나 변화가 되면 보행에 불편을 느낄 뿐만 아니라 퇴행성관절염으로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시술법에 의한 치료가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줄이기 위해 견공(犬公)의 대퇴골(Femur)과 경골(Tibia) 사이에서 골극(osteophyte)을 동반한 퇴행성관절염의 재발을 조금이라도 방지하고, 견공의 무릎관절을 안정화시키고 관절을 좀 더 견고하게 지지하며, 퇴행성관절염의 발생을 억제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견공의 무릎관절 내의 인공반월판으로 쿠션 역할을 하며, 동시에 마찰로 인한 통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견공이 관절의 통증을 느끼는 원인인 골증식체(osteophyte)와 반월판을 제거한 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실리콘 재질의 인공반월판과 비흡수성 다선조 또는 단선조 봉합사를 이용하여 전십자 또는 후십자인대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주어 자유롭고 안정된 보행을 이루게 하고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할 수 있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수술대상인 견공의 무릎관절 부위를 무균으로 수술준비를 한 다음 멸균한 점착 스프레이(Spray)를 도포하고 그 위에 멸균한 플라스틱드레이프(Plastic Drape)를 피부에 밀착시켜 무릎관절환부만을 노출하고 덮는 전처치단계와; 상기 무릎관절환부를 통해 노출된 피부를 절개하여 시야를 확보하고 경골의 골두를 포함한 반월판을 수술적으로 제거한 후 절개면을 평활하게 정리하고 봉합사가 들어갈 구멍을 대퇴골과 경골에 뚫어 형성하되, 외측 상관절융기 부위에서 융기 사이 오목으로 전십자인대의 기시점에 만들어진 구멍과, 경골의 전십자인대부착점에서 내측 경골면으로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천공단계와; 수술적으로 제거한 반월판의 위치에 의료용 실리콘 인공반월판을 맞춰놓고 고정핀으로 인공반월판을 경골에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복수 또는 단선 중 어느 하나의 봉합사로 미리 천공된 대퇴골과 경골의 구멍을 통해 대퇴골과 경골을 고정하는 인공십자인대 형성단계; 및 상기 노출된 피하조직 및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 봉합시술단계를 포함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수술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전십자인대 수복을 통한 인공 반월판에 있어서, 경골의 골두를 포함한 수술적으로 제거된 반월판의 절개면을 평활하게 정리한 면에 실리콘제이며 고정수단으로 인공반월판을 고정하는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견공의 전십자인대 파열에 따른 간소화된 인공 반월판을 고정하고 비흡수성 다선조 또는 단선조 봉합사를 이용하여 전십자 또는 후십자인대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주어 골극(osteophyte)을 동반한 퇴행성관절염의 재발을 조금이라도 방지하고, 무릎관절을 안정화시키고 관절을 좀 더 견고하게 지지하며, 퇴행성관절염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연골을 이용한 외과수술인 수복법을 적용하여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하고 전십자인대 파열 치료를 위한 보다 나은 수술을 완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술단계를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인공반월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환부를 시술하는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환부를 시술하는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환부를 시술하기 위해 수술준비하는 상태의 사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파열된 전십자 인대나 반월판을 제거하기 위한 시술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술단계를 공정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인공반월판을 개략인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환부를 시술하는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내고,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환부를 시술하는 상태를 측면도로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환부를 시술하기 위한 수술준비상태 사진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파열된 전십자 인대나 반월판을 제거하는 상태를 시술사진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술을 위한 전처치단계[S1]와 천공단계[S2], 고정단계[S3], 인공십자인대형성단계[S4] 및 봉합시술단계[S5]로 구성된다.
먼저 수술준비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대상인 견공(犬公)의 수술할 다리를 위로 한 횡와위로 환견(患犬)의 자세를 취하고, 무릎관절 부위를 무균으로 수술준비를 한다. 마지막으로 점착 스프레이(Spray)를 도포하고 그 위에 멸균한 플라스틱드레이프(Plastic Drape)(10)를 피부에 밀착시켜 무릎관절환부(12)만을 노출하게 덮는다.
이때, 수술 동안에도 무균적으로 조작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 다음, 대퇴골원위부의 외측 피부를 절개하고, 전십자인대를 분리한 후 관절낭을 절개한다.
대퇴골원위단을 노출하여 경골(20)과 대퇴골(30)의 관절 사이를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가능한 최대한 벌려준다.
다음에 관절 속을 검사한다. 이때 파열된 전십자인대를 의료용기구(메스 등)을 이용하여 모두 절개를 한다. 여기서 내측을 절개함으로써 연골 등 관절 속을 관찰하는데 용이할 것이다.
이렇게 수술 시야가 확보되면 생리식염수로 충분히 관절 내를 세척한다.
상기 천공단계[S2]는 무릎관절환부(12)를 통해 노출된 피부를 절개하여 시야를 확보하고 경골(20)의 골두를 포함한 반월판을 수술적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절개면을 평활하게 정리하고 봉합사가 들어갈 구멍(22a)(22b)을 대퇴골(30)과 경골(20)에 뚫어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구멍(22a)(22b)은, 외측 상관절융기 부위에서 융기 사이 오목으로 전십자인대의 기시점에 만들어진 구멍(22a)과, 경골(20)의 전십자인대부착점에서 내측 경골면으로 형성된 구멍(22b)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단계[S3]는 수술적으로 제거한 반월판의 위치에 의료용 실리콘 인공반월판(40)을 맞춰놓고 고정핀(50)으로 인공반월판(40)을 경골(20)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인공십자인대형성단계[S4]는 복수 또는 단선 중 어느 하나의 봉합사(42)로 미리 천공된 대퇴골(30)과 경골(20)의 구멍(22a)(22b)을 통해 대퇴골(30)과 경골(20)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인공십자인대형성단계[S4]는 대퇴골(30)에 만들 구멍(22a)에 2열의 봉합사를 통과시키고 경골(20)에 만든 구멍(22b)에도 통과된 2열의 봉합사에 봉합사고정수단을 연결한 후 봉합사를 견인하여 긴장력 강화상태로 매듭하는 단계이다.
봉합시술단계[S5]는 상기 노출된 피하조직 및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 단계인 것이다.
한편 봉합사(42)는 폴리에스터코팅봉합사나 나이론봉합사 중 어느 하나이고, 소형견일 경우 0~1mm이고, 중형견일 경우 2~3mm이고, 대형견일 경우 4~5mm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봉합사(42)는 운동능력이 높고 뒷다리가 약간 펴진 견종에서는 사이즈 5mm인 실을 2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십자인대 수복을 통한 인공반월판(40)은 경골(20)의 골두를 포함한 수술적으로 제거된 반월판의 절개면을 평활하게 정리한 면에 실리콘제이며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인공반월판(40)은 도 2에서와 같이 실리콘판체(44) 하부에 의료용나사못(46)이 직각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의료용나사못(46)은 고정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고 경골(20)에 나선결합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공반월판(40)은 실리콘판체(44) 하부에 양발을 가지는 의료용 고정핀(50)이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리콘판체(44)의 하부에 의료용나사못(46)과 의료용고정핀(50)을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경골선단의 배치되는 실리콘판체(44)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술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치리단계[S1]를 통해 수술대상인 무릎관절 부위를 멸균하여 무균화하여 멸균한 플라스틱드레이프(Plastic Drape)(10)를 피부에 밀착시켜 무릎관절환부(12)만을 노출한다.(도5)
다음으로 대퇴골원위부의 외측 피부를 절개하고 대퇴네갈래근을 분리한 후 관절낭을 절개하고, 대퇴골원위단을 노출하여 경골(20)과 대퇴골(30)의 관절사이를 시야가 확보되도록 벌려준다.
그리고 외측 관절을 절개하고 이어서 내측에도 관절을 절개한다. 이렇게 내측을 절개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반월판등 관절 속을 관찰하는데 용이한 것이다.
이어서 관절 속을 검사한다. 이때에 파열된 전십자인대를 모두 절제한다. 또한 반월(특히 내측반월)판이 손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부분을 함께 절제한다.
이때 센리트렉터 또는 호만리트렉터를 사용하면 시야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며 시술하기 용이할 것이다.
다음은 생리식염수로 충분히 관절 내를 세척하고 경골(20)의 골두를 포함한 반월판을 수술적으로 제거한 후 절개면을 평활하게 정리한다.
그리고, 도3b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인대를 대체할 봉합사(42)가 들어갈 구멍(22a)(22b)을 대퇴골(30)과 경골(20)에 뚫는다.
이때 외측상관절유기부위에서 융기사이 오목으로 구멍(22a)을 만든다(전십자인대의 기시점)
또한 경골(20) 전십자인대 부착점에서 내측 경골면으로 구멍(22b)을 만든다.
여기서 구멍(22b)의 위치는 전십자인대가 부착하는 지점으로 한다.
이렇게 구멍(22a)(22b)이 완성되면 도 3c와 도 4c와 같이 의료용 실리콘 인공반월판(40)을 수술적으로 제거한 반월판의 위치에 맞추어 놓고, 도 3d와 도4d와 같이 고정핀(50)으로 인공반월판(40)을 경골(20)에 강력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다선조 또는 단선조 봉합사(42)를 미리 형성한 대퇴골(30)과 경골(20)의 구멍(22a)(22b)에 통과시키고(도3e 및 도4e) 통과된 2열의 봉합사에 봉합사 보정장치(토글핀 등)를 연결하고 처음 구멍에도 같은 보정장치를 연결한다.
이 후 도 3f 및 도 4f와 같이 봉합사(42)를 견인하여 긴장력을 강화 및 유지시키고 매듭하여 전십자인대의 기능을 수 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봉합사(42)로 대퇴골(30)과 경골(20)에 고정하여 완성되는 인공십자인대를 만들어준다.
따라서 피하조직 및 피부를 봉합함으로써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즉, 견공의 전십자인대 파열에 따른 간소화된 인공반월판을 고정하고 비흡수성 다선조 또는 단선조 봉합사를 이용하여 전십자 또는 후십자인대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주어 골극(osteophyte)을 동반한 퇴행성관절염의 재발을 방지하고, 무릎관절을 안정화시키고 관절을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퇴행성관절염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10; 플라스틱드레이프 12; 무릎관절환부
20; 경골 22a,22b; 구멍
30; 대퇴골 40; 인공반월판
42; 봉합사 50; 고정핀
S1; 전처치단계 S2; 천공단계
S3; 고정단계 S4; 인공십자인대형성단계
S5; 봉합시술단계

Claims (8)

  1. 전십자인대 수복을 통한 퇴행성 관절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인공 반월판 수술을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술대상인 무릎관절 부위를 무균으로 수술준비를 한 다음 멸균한 점착 스프레이(Spray)를 도포하고 그 위에 멸균한 플라스틱드레이프(Plastic Drape)(10)를 피부에 밀착시켜 무릎관절환부(12)만을 노출하고 덮는 전처치단계[S1]와;
    상기 무릎관절환부(12)을 통해 노출된 피부를 절개하여 시야를 확보하고 경골(20)의 골두를 포함한 반월판을 수술적으로 제거한 후 절개면을 평활하게 정리하고 봉합사가 들어갈 구멍(22a)(22b)을 대퇴골(30)과 경골(20)에 뚫어 형성하되, 외측 상관절융기 부위에서 융기 사이 오목으로 전십자인대의 기시점에 만들어진 구멍(22a)과, 경골(20)의 전십자인대부착점에서 내측 경골면으로 형성된 구멍(22b)을 포함하는 천공단계[S2]와;
    수술적으로 제거한 반월판의 위치에 의료용 실리콘 인공반월판(40)을 맞춰놓고 고정핀(50)으로 인공반월판(40)을 경골(20)에 고정하는 고정단계[S3]와;
    복수 또는 단선 중 어느 하나의 봉합사(42)로 미리 천공된 대퇴골(30)과 경골(20)의 구멍(22a)(22b)을 통해 대퇴골(30)과 경골(20)을 고정하는 인공십자인대 형성단계[S4]; 및
    상기 노출된 피하조직 및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 봉합시술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수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십자인대형성단계[S4]는 대퇴골(30)에 만들 구멍(22a)에 2열의 봉합사를 통과시키고 경골(20)에 만든 구멍(22b)에도 통과된 2열의 봉합사에 봉합사고정수단을 연결한 후 봉합사를 견인하여 긴장력 강화상태로 매듭한 것을 더 포함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수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42)는 폴리에스터코팅봉합사나 나이론봉합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수술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42)는 소형견일 경우 0~1mm이고, 중형견일 경우 2~3mm이고, 대형견일 경우 4~5mm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수술방법.
  5.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42)는 운동능력이 높고 뒷다리가 약간 펴진 견종에서는 사이즈 5mm인 실을 2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수술방법.
  6.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통한 인공 반월판에 있어서,
    경골(20)의 골두를 포함한 수술적으로 제거된 반월판의 절개면을 평활하게 정리한 면에 실리콘제이며 고정수단으로 인공반월판(4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반월판(40)은 실리콘판체(44) 하부에 의료용 나사못(46)이 직각상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반월판(40)은 실리콘판체(44) 하부에 양발을 가지는 의료용 고정핀(50)이 수직방향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KR1020100028020A 2010-03-29 2010-03-29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 KR101145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020A KR101145651B1 (ko) 2010-03-29 2010-03-29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020A KR101145651B1 (ko) 2010-03-29 2010-03-29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679A KR20110108679A (ko) 2011-10-06
KR101145651B1 true KR101145651B1 (ko) 2012-05-24

Family

ID=4532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020A KR101145651B1 (ko) 2010-03-29 2010-03-29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46B1 (ko) * 2011-11-10 2014-02-05 조규만 경골 고평부 함몰 골절제술을 이용한 전십자 인대 단열의 치료
KR101308309B1 (ko) * 2012-03-22 2013-09-17 조규만 장골 골절에서 내고정 및 개방정복을 위한 굴절 접근법
KR101439944B1 (ko) * 2013-02-18 2014-09-12 주식회사 한국동물의과학연구소 소동물의 전십자인대단열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스케폴드를 이용한 경골조면전진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756A (ja) 2001-03-16 2002-09-24 Yoshio Koga 膝関節の前十字靱帯再建手術用器具およびその再建靱帯脛骨側固定器具
US20050055100A1 (en) 2003-09-08 2005-03-10 Lewis Ralph Harrison Total knee replacement for dogs
JP2005103272A (ja) 2003-09-29 2005-04-21 Ethicon Inc 膝関節の前十字靭帯を置換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756A (ja) 2001-03-16 2002-09-24 Yoshio Koga 膝関節の前十字靱帯再建手術用器具およびその再建靱帯脛骨側固定器具
US20050055100A1 (en) 2003-09-08 2005-03-10 Lewis Ralph Harrison Total knee replacement for dogs
JP2005103272A (ja) 2003-09-29 2005-04-21 Ethicon Inc 膝関節の前十字靭帯を置換する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679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et al. Suspensory versus interference screw fixation for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n a translational large-animal model
US7896901B2 (en) Tissue fixation device
Ahn et al.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he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US20090018654A1 (en) Double socket acl reconstruction
Moatshe et al. Anatomic fibular col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Fink et al.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 ribbon-like graft with a C-shaped tibial bone tunnel
Abermann et al. MCL reconstruction using a flat tendon graft for anteromedial and posteromedial instability
KR101145651B1 (ko) 견공의 전십자인대 수복을 위한 인공반월판 및 그 수술방법
WO2016049081A1 (en) Tendon and ligament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9820786B2 (en) Knee hinge fix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thereof
US20140222148A1 (en) Bridge button for ligament reconstruction
US20230329869A1 (en) Soft glenoid awning and related repair procedures
BARTLETT Arthroscopic repair and augmenta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 cadaver knees
RU2325863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азрыва сухожилия двуглавой мышцы плеча при повреждениях в дистальной его части
DO LE et al. A novel distal biceps rupture repair technique utilizing a biocomposite scaffold
RU2370231C1 (ru) Способ артроскопической реконструкции частично поврежденной передней крестообразной связки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KR102274925B1 (ko) 의료용 포착겸자
Sherief et al. Use of Leeds–Keio Connective Tissue Prosthesis (L–K CTP) for reconstruction of deficient extensor mechanism with total knee replacement
Shetty et al. Open anatomical coracoclavicular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 tendon graft with an Endobutton loop
US20170196678A1 (en) Tendon and ligament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2401226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Ligament Reconstruction
Parate et al. A surgical technique for posterolateral placement of interference screw accurately in tibial tunnel in sing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RU2216292C1 (ru)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вывихов акромиального конца ключицы
Dancy et al. Minimally Invasive Quadriceps Tend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he Quadriceps Tendon Harvest Guide System
RU2204346C2 (ru) Способ артроскопической фиксации одной из повреждённых крестообразных связок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к другой, неповреждённой, крестообразной связк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