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827B1 -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827B1
KR102274827B1 KR1020210039336A KR20210039336A KR102274827B1 KR 102274827 B1 KR102274827 B1 KR 102274827B1 KR 1020210039336 A KR1020210039336 A KR 1020210039336A KR 20210039336 A KR20210039336 A KR 20210039336A KR 102274827 B1 KR102274827 B1 KR 10227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ading
loading box
door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희
Original Assignee
삼성공항물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공항물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공항물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6Devices for loading or unloading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roller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0Loading cover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 상하차시 작업자가 적재함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적재함의 전면 끝까지 화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거나, 전면에 적재된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함의 입구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 상하차시 작업자가 적재함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적재함의 전면 끝까지 화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거나, 전면에 적재된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함의 입구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탑차와 같은 운송 차량에 밀폐 구조를 갖는 적재함을 구비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운송 차량의 적재함은 강철, 알루미늄, 경합금,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적재함의 후면에 여닫이 형태의 도어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운송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열고 작업자가 적재함 내에 화물을 실은 다음 적재함 전면 즉 적재함의 내부 깊숙히까지 화물을 이동시켜야 하고, 적재함에 실은 화물을 내리고자 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화물을 적재함의 입구부까지 끌어낸 다음 지게차 또는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하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무게가 무거운 화물을 적재함의 전면까지 이송시켜야 하고, 실린 화물을 하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적재함 내에 올라가 화물을 입구부까지 이송시켜 끌어내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화물의 상하차 방법은 작업자가 적재함 내에 직접 들어가 화물을 필요한 위치까지 밀어넣거나, 끌어내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적재함 바닥에 베어링을 깔아 설치한 다음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설치된 베어링이 바닥에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베어링이 돌출된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함 입구부에 적재시킨 다음 작업자가 화물을 밀어 베어링의 회전력을 이용해 화물을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되게 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상승시켰던 베어링을 하강시켜 화물이 적재함의 바닥에 적재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더라도 작업자가 화물을 적재함의 전면 끝까지 이송시키거나 적재함의 전면 끝에 적재된 화물을 입구부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적재함 내부로 들어가 직접 사람의 힘으로 밀고 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제한된 적재함의 내부 공간에서 작업자가 직접 적재함을 밀고 당기는 작업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운송 가격이 증가하는 또 다른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97648호(2014.08.07)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 상하차시 작업자가 적재함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적재함의 전면 끝까지 화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거나, 전면에 적재된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함의 입구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을 상하차하기 위한 화물 상하차 장치로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화물의 상하차시 상하 이동하는 승강 롤러; 상기 적재함의 바닥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롤러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설치 위치와 중첩되는 위치에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적재함의 일단부의 상기 바닥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롤러는 상기 구동부의 설치 위치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적재함의 일단부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롤러는 상기 화물의 상차시 상기 적재함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재함의 외부에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화물의 하차시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켜 상기 적재함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상기 승강 롤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 적재시 상기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롤러는 상기 적재함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롤러는 상기 승강 롤러의 복수개의 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고정하는 잠금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모듈은, 한 쌍의 상기 도어 각각에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로드; 상기 회전 로드에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핸들; 및 상기 도어 핸들이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 핸들을상기 도어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핸들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어 핸들이 안착되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상기 도어락에 연결되는 시건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물 상하차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 상하차시 작업자가 적재함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적재함의 전면 끝까지 화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거나, 전면에 적재된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함의 입구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의 동작 과정을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를 사용하여 화물을상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를 사용하여 화물을 하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를 포함하는 차량(10)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의 개략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차량(10)의 적재함(30)에 화물(50)을 상하차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화물(50) 운반을 위한 화물 차량(10)(이하 '차량(10)'이라고 함)은 차량(10)의 운행을 위한 운전석 및 운적석의 후방에 탑재되어 화물(50)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차량(10)의 적재함(30)에 상하차하기 위한 장치로서, 승강 롤러(130), 구동부(140) 및 고정 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함(30)은 차량(10)의 운적석 후방에 구비되며, 화물(50)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재함(30)은 강철, 알루미늄, 경합금,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재함(3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차량(10)의 바퀴의 상부에는 고정 프레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적재함(30)의 바닥(110)에는 이송 작업의 편의 및 화물(50)의 안정적인 보관을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롤러(130)는 적재함(30)의 바닥(110)에 길이 방향으로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화물(50)의 상하차시 상하 이동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적재함(30)의 바닥(110)에는 승강 롤러(1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홀(미도시)이 적재함(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홀(미도시)에 승강 롤러(130)가 수용되어 화물(50)의 상하차시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화물(50)의 이송시에는 상승하고 화물(50)이 적재된 상태에서는 수용홀(미도시)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승강 롤러(130)는 화물(50)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후술할 구동부(140)에 의해 자동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용홀(미도시)의 상부에는 커버 플레이트(1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115)는 승강 롤러(130)의 상승시에는 오픈되어 승강 롤러(130)가 적재함(30)의 바닥(110) 상부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하고, 승강 롤러(130)가 하강하여 수용홀(미도시)에 수용되는 경우 수용홀(미도시)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승강 롤러(130)가 회전함에 따라 화물(50)의 적재함(30)으로의 상차 또는 적재함(30)으로부터 하차시 화물(50)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적재함(30)의 바닥(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 롤러(13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40)는 적재함(30)의 바닥(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 롤러(130)를 구동하여 승강 롤러(130)가 바닥(1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상하 이동시킨다. 구동부(140)는 액츄에이터, 모터, PCB 등 다수의 기계, 전자 장비를 포함하는데, 차량(10) 외부로 구동부(140)가 노출되는 경우 외부 환경에 의해 고장이 날 우려가 높아지므로 적재함(30)의 바닥(110)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구동부(140)가 차량(10) 외부 환경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때, 구동부(140)는 적재함(30)의 일단부의 바닥(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일단부란 차량(10)의 전면을 의미할 수 있다. 구동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또는 엔진 등의 전원부가 차량(10)의 전면부에 구비되므로, 구동부(140)를 적재함(30)에서 차량(10)의 가장 전면 쪽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전원 공급을 위한 급전 라인 등의 배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
고정 롤러(150)는 구동부(140)의 설치 위치와 중첩되는 위치에 적재함(30)의 바닥(11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롤러(150)는 적재함(30)의 전면부의 바닥(110)면에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롤러(150)는 승강 롤러(130)와 달리 적재함(30)의 바닥(110)면에 노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승강 롤러(130)는 구동부(140)의 설치 위치와 중첩되지 않도록 적재함(30)의 일단부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롤러(150)는 구동부(140)의 설치 위치와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롤러(130)는 구동부(140)에 의해 작동되어야 하므로 구동부(140)가 설치되는 적재함(30)의 일단부와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하고, 공간적 제약에 의해 승강 롤러(130)가 구비되지 못하는 적재함(30)의 일단부에는 고정 롤러(150)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구동부(140)에 의해 승강 롤러(130)가 설치되지 못하는 적재함(30)의 일단부에 고정 롤러(150)를 설치함으로써, 상차되는 화물(50)이 적재함(30)의 전면부의 끝까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하차시 전면부에 위치하던 화물(50)이 안정적으로 적재함(3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고정 롤러(150)는 승강 롤러(130)의 복수개의 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고정편(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편(170)은 적재함(30)의 바닥(110)에 승강 롤러(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화물(50) 적재시 화물(50)을 고정시키도록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물(50)이 상차되어 적재된 후 승강 롤러(130)가 수용홀(미도시)으로 하강하고 커버 플레이트(115)가 수용홀(미도시)을 덮은 경우라도 적재함(30)의 바닥(110)의 재질, 차량(10)의 운행 속도 등에 의해 적재된 화물(50)이 움직일 수 있는데, 고정편(170)이 화물(50)의 이송되어 적재되면 돌출되어 화물(50)의 타단을 지지함으로써 차량(10) 운행 중 화물(5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를 사용하여 화물(50)을 상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를 사용하여 화물(50)을 하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화물(50)의 상차 및 하차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화물(50)의 상차시 작업자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140)가 작동되며 적재함(30)의 바닥(110)의 내부의 수용홀(미도시) 하부에 위치하던 승강 롤러(130)(도 3의 a 참고)가 상승한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15)가 이동하여 수용홀(미도시)을 개방하고 커버 플레이트(115)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개방면으로 승강 롤러(130)가 이동하여 바닥(110)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다(도 3의 b 참고).
이후 승강 롤러(130)가 회전함에 따라 화물(50)이 적재함(30)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로 이송되며, 승강 롤러(130)는 구동부(14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적재함(30)의 일단부에는 구동부(140) 설치에 의한 공간적 제약에 의해 승강 롤러(130)가 설치되지 못하며, 승강 롤러(130)가 설치되지 못하는 공간에 고정 롤러(15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롤러(150)는 구동부(140)의 설치 위치와 중첩되는 위치에 적재함(30)의 바닥(110)에 설치되며, 상차되어 적재함(30) 내부로 이송되는 화물(50)이 적재함(30)의 일단부의 끝까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탑차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50)은 대부분 대형, 고중량의 화물(50)이므로, 고정 롤러(150)가 없는 경우 적재함(30)의 일부에 롤러가 구비되지 않는 빈 공간이 생기게 되어 화물(50)의 안정적인 이송이 어려울 뿐 아니라, 승강 롤러(130)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승강 롤러(130)에 화물(50)에 의한 하중이 집중되어 승강 롤러(130)의 파손 위험이 생기게 되므로 고정 롤러(150)를 구비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다.
이때, 적재함(30)의 타단부에는 가이드 롤러(16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60)는 적재함(30)의 바닥(11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화물(50) 상차시 화물(50)이 원활하게 적재함(30) 내부로 유입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화물(50)의 상차시 승강 롤러(130)는 적재함(30)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적재함(30)의 입구부(타단부)에 위치하는 승강 롤러(130)의 높이가 적재함(30)의 전면부(일단부)에 위치하는 승강 롤러(130)의 높이에 비해 α만큼 높게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승강 롤러(130)가 적재함(30)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로 하향 경사지도록하여 화물(50)이 원활하게 적재함(30)의 일단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화물(50)의 상차가 완료되면 구동부(140)가 작동하여 승강 롤러(130)를 바닥(110)의 수용홀(미도시)에 다시 위치시키고, 커버 플레이트(115)가 수용홀(미도시)의 개구면을 커버하며, 고정편(170)이 바닥(110)으로부터 돌출되어 화물(50)의 단부를 지지하여 화물(5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승강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190)는 적재함(30)의 외부에 차량(10)에 설치되며, 구동됨에 따라 적재함(30)을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승강부(190)는 적재함(30)의 외부의 일단부 측에 설치되며, 구동됨에 따라 적재함(30)의 일단부를 승강시킨다.
도 5를 참고하면, 승강부(190)는 화물(50)의 하차시 적재함(30)의 일단부를 승강시켜 적재함(30)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승강 롤러(130)가 적재함(3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하향 경사지도록하여 화물(50)이 원활하게 적재함(30)의 타단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화물(50)의 하차시 커버 플레이트(115)가 개방되고 구동부(140)에 의해 승강 롤러(130)가 화물(5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적재함(30)의 바닥(110)으로부터 돌출되며, 고정편(170)이 적재함(30)의 바닥(110) 내부로 매몰되어 화물(5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승강부(190)가 작동되어 적재함(30)의 일단부를 상승시키며, 적재함(30)의 일단부가 상승됨에 따라 적재함(3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함으로써 화물(50)이 적재함(30)의 타단부로 이송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차시에는 상차시와 같이 승강 롤러(130)에 의해 경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승강부(190)에 의해 적재함(30)을 승강시켜 경사를 만드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는 화물(50)의 상차시에는 적재함(30)이 비어있어 승강 롤러(130)를 이용하여 이송을 위한 경사를 만드는 것이 어렵지 않으나 하차시에는 승강 롤러(130)를 이용하여 경사를 만드는 경우 화물(50)의 무게에 의해 승강 롤러(130)나 구동부(140)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으므로 적재함(30)을 상승시킴으로써 화물(50)의 이송에 필요한 경사를 만드는 것이다.
이때, 승강 롤러(130)가 설치되지 못하는 공간에 고정 롤러(150)를 설치하여 적재함(30)의 전면에 적재된 화물(50)을 안정적으로 적재함(30)의 입구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탑차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50)은 대부분 대형, 고중량의 화물(50)이므로, 고정 롤러(150)가 없는 경우 적재함(30)의 일부에 롤러가 구비되지 않는 빈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적재함(30)의 일단부에 승강 롤러(130)를 구비하여 화물(50)의 원활한 이송을 돕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50) 상하차시 작업자가 적재함(30)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적재함(30)의 전면 끝까지 화물(50)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거나, 전면에 적재된 화물(50)을 안정적으로 적재함(30)의 입구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잠금 모듈(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모듈(200)은 적재함(30)의 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15)에 구비되어 도어(15)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잠금 모듈(200)은 회전 로드(210), 도어 핸들(230) 및 체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 모듈(200)은 한 쌍의 도어(15) 각각에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로드(210), 회전 로드(210)에 제1방향과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귑되는 도어 핸들(230) 및 도어 핸들(230)이 제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어 핸들(230)을 도어(15)체 체결하는 체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경우 제1방향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 제2방향은 지면과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회전 로드(2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으로 도어(15)에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도어 핸들(230)은 작업자가 파지하여 도어(15)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구성으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로드(210)의 일단부에 제2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체결부(250)는 도어 핸들(230)이 제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어 핸들(230)을 도어(15)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251) 및 걸림바(2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51)는 도어(15)의 일부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도어 핸들(230)을 지지하고, 걸림바(253)는 본체(251)에 도어(15)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힌지 운동 가능하도록 탄성 결합되어 회전되는 도어 핸들(230)을 체결하여 도어 핸들(230)을 도어(15)에 고정시켜 도어(15)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고정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70)는 도어(15)에 구비되어 체결부(250)와 함께 도어 핸들(230)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70)는 도어 핸들(230)이 안착되도록 도어(15)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271) 및 고정 플레이트(271)이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27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271)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도어 핸들(230) 회전시 도어 핸들(230)을 지지하고, 회전 플레이트(273)는 고정 플레이트(27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 함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271)에 안착된 도어 핸들(230)을 수용한다. 이때, 고정 플레이트(271) 및 회전 플레이트(273)에는 후술할 시건 케이블(291)이 관통되도록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70) 및 체결부(25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부(270)와 체결부(250)는 한 쌍의 도어(15)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상 왼쪽의 도어(15)에 고정부(270)가 구비되면, 오른쪽의 도어(15)에 체결부(250)가 구비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270)외에 체결부(250)를 구비함으로써 도어(15)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차량(10)에 적재된 화물(50)의 도난을 감시하거나 도어(15)의 강제 오픈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락(290) 및 시건 케이블(2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290)은 도어(15)의 일측에 설치되고, 시건 케이블(291)은 도어락(290)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락(290)은 디지털 전자 장비로서 시건 케이블(291)이 연결되며 비밀 번호의 입력에 따라 시건 케이블(291)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건 케이블(291)의 일단이 도어락(290)에 고정되고 타단이 도어(15)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271) 및 회전 플레이트(273)를 관통하여 도어락(290)에 연결됨으로써 시건 케이블(291)의 잠금이 이루어지며, 정당한 비밀 번호가 도어락(290)에 입력되는 경우 시건 케이블(291)의 연결이 해제된다.
시건 케이블(291)이 고정 플레이트(271) 및 회전 플레이트(273)를 관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도어락(290)으로부터 시건 케이블(291)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는한 도어(15)를 오픈할 수 없으므로, 제3자에 의한 도어(15)의 강제 오픈이나 화물(50)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어락(290)에는 자물쇠(293)가 연결될 수 있다. 도어락(290)에는 도어락(290)의 비밀번호 패드를 커버하는 패드 커버(29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패드 커버(292)가 비밀번호 패드를 커버할 때 자물쇠(293)에 의해 잠금되어 비밀 보호 패드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어락(290)의 작동에 의해 시건 케이블(291)의 연결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자물쇠(293)를 비밀번호 또는 열쇠에 의해 열고 패드 커버(292)를 오픈하여 도어락(290)의 비밀번호 패드를 노출시키고, 비밀번호 패드를 통해 정당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락(290)과 시건 케이블(291)의 연결을 해제한 후 도어 핸들(230)을 회전시켜 비로서 도어(15)를 열수 있으므로. 도어락(290) 및 자물쇠(293)에 의해 보안을 이중으로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항공 화물 운송용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데, 항공 화물 운송용 차량(10)의 특성상 보안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차량(10)의 적재함(30)을 임의로(강제로) 오픈하여 정해진 화물(50) 외에 다른 화물을 무단 적재하거나 폭탄과 같은 위험 물품을 적재된 화물(50) 사이에 몰래 설치하는 경우, 세관 통관 문제나 항공기 운송 중 폭발 사고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반 차량(10)에 의한 화물(50) 운송에 비해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화물 상하차 장치(100)에 이중 잠금 수단으로서 체결부(250) 및 고정부(270)를 이용하고, 이중 보안 수단으로서 도어락(290) 및 자물쇠(293)를 이용함으로써, 화물 운송을 위한 차량의 안전성 및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화물 상하차 장치(100)를 포함하는 차량(10)을 개시하며,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화물 상하차 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10)은, 화물(50) 차량(10)의 적재함(30)에 화물(50) 상하차시 작업자가 적재함(30)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적재함(30)의 전면 끝까지 화물(50)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거나, 전면에 적재된 화물(50)을 안정적으로 적재함(30)의 입구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함(30)을 개폐하는 도어(15)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어(15)의 잠금 보안을 강화하여 제3자에 의한 도어(15)의 강제 오픈이나 화물(5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차량 15: 도어
30: 적재함 50: 화물
100: 화물 상하차 장치 110: 바닥
113: 삽입홈 115: 커버 플레이트
130: 승강 롤러 140: 구동부
150: 고정 롤러 160: 가이드 롤러
170: 고정편 190: 승강부
200: 잠금 모듈 210: 회전 로드
230: 도어 핸들 250: 체결부
251: 본체 253: 걸림바
270: 고정부 271: 고정 플레이트
273: 회전 플레이트 290: 도어락
291: 시건 케이블 292: 패드 커버
293: 자물쇠

Claims (10)

  1.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을 상하차하기 위한 화물 상하차 장치로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화물의 상하차시 상하 이동하는 승강 롤러;
    상기 적재함의 바닥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롤러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설치 위치와 중첩되는 위치에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적재함의 일단부의 상기 바닥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롤러는 상기 구동부의 설치 위치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적재함의 일단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롤러는 상기 화물의 상차시 상기 적재함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외부에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화물의 하차시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켜 상기 적재함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상기 승강 롤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 적재시 상기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롤러는 상기 적재함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롤러는 상기 승강 롤러의 복수개의 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고정하는 잠금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모듈은,
    한 쌍의 상기 도어 각각에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로드;
    상기 회전 로드에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핸들; 및
    상기 도어 핸들이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 핸들을 상기 도어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핸들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어 핸들이 안착되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상기 도어락에 연결되는 시건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10. 제1항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210039336A 2021-03-26 2021-03-26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274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36A KR102274827B1 (ko) 2021-03-26 2021-03-26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36A KR102274827B1 (ko) 2021-03-26 2021-03-26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827B1 true KR102274827B1 (ko) 2021-07-08

Family

ID=7689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336A KR102274827B1 (ko) 2021-03-26 2021-03-26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783B1 (ko) 2023-04-13 2023-10-12 이도희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160U (ko) * 1996-11-05 1998-08-05 이관기 화물자동차의 화물 상, 하차용 로울러 장치
KR20020015155A (ko) * 2000-08-21 2002-02-27 진병연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적재및 하차방법
KR20090030042A (ko) * 2007-09-19 2009-03-2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KR20140097648A (ko) 2013-01-28 2014-08-07 김기훈 화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160U (ko) * 1996-11-05 1998-08-05 이관기 화물자동차의 화물 상, 하차용 로울러 장치
KR20020015155A (ko) * 2000-08-21 2002-02-27 진병연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적재및 하차방법
KR20090030042A (ko) * 2007-09-19 2009-03-2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KR20140097648A (ko) 2013-01-28 2014-08-07 김기훈 화물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783B1 (ko) 2023-04-13 2023-10-12 이도희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7800B2 (en) Cargo handling system for aircraft compartments
KR102274827B1 (ko)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4221536A (en) Method of handling baggage
US20220194627A1 (en) Trailer for aviation container transportation
CN109795811B (zh) 用于车辆运输的集装箱
US7954220B2 (en) Method of using an aircraft brake assembly container
CN106458075A (zh) 用于夹持、移动和放置货板的夹持器
JP2020505300A (ja) 貨物積載システム
WO2008030786A2 (en) Attachment device for moving cargo containers
WO2019229844A1 (ja) 貨物コンテナ
US6966741B2 (en) Tipping apparatus for intermodal container
KR101677690B1 (ko) 차량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KR102480405B1 (ko)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KR20170097982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RU2445248C2 (ru)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в грузовой контейнер,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набор из грузового контейнера и опорной рамы
CN109455516A (zh) 行李搬运系统
CN221660855U (zh) 一种翼开启厢式物流车
CN109747671B (zh) 一种铁路货物专用搬运车
JPH0642399U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積荷の搬送装置
US10526024B2 (en) Powered side panel system
KR200327911Y1 (ko) 화물 차량의 화물 적재용 운반장치
KR20140016551A (ko) 화차 겸용 암롤박스
JP3187658B2 (ja) 航空機貨物搬送車両のエンジンルーム出し入れ装置
KR100836320B1 (ko) 트럭의 테일 게이트 승하강 장치
US20170349084A1 (en) Locking Mechanism For Roll Off Hoist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