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648A - 화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648A
KR20140097648A KR1020130009303A KR20130009303A KR20140097648A KR 20140097648 A KR20140097648 A KR 20140097648A KR 1020130009303 A KR1020130009303 A KR 1020130009303A KR 20130009303 A KR20130009303 A KR 20130009303A KR 20140097648 A KR20140097648 A KR 20140097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go
sprocket
main fram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4909B1 (ko
Inventor
장성환
Original Assignee
김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훈 filed Critical 김기훈
Priority to KR102013000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9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9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10Loading land vehicles using conveyors covering the whole length of vehicle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공간에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단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화물의 상차 또는 하차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함의 바닥에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인입홈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화물을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도록 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단이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적재함의 바닥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 이송장치 {Transf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공간에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단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화물의 상차 또는 하차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수단의 경우 외부 기후 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화물을 보관,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측면이나 후면에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통상적인 컨테이너를 비롯하여, 적재함이 차량에 일체로 형성된 탑차가 그러한 대표적인 예이다.
종래의 탑차는 일반적인 화물 차량의 적재 공간에 밀폐 공간을 이루는 적재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적재함은 적재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밀폐 공간을 이루는 패널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패널은 강성과 강도는 높으면서 중량이 가벼운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 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알루미늄 패널이 외관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고, 적재함의 배면을 이루는 패널은 양측으로 여닫을수 있도록 힌지부재로 연결되어 도어를 이루며, 상기 도어와 바디 프레임 사이에는 잠금수단이 설치되어 도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탑차는 운반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냉장장치나, 냉동장치 등이 설치되기도 하지만 화물의 승차 및 하차에 도움이 되는 장치는 적재함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외에 다른 장치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화물의 승차 및 하차 시에 사용자가 직접 적재함의 내부로 들어가 적재함의 내측 단부로부터 화물을 적재시켜야 하므로 화물의 승차 및 하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많으며, 2인 이상의 작업자가 요구되어 운송비의 절감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재수단의 내부에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이송시스템을 갖춘 탑차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 겨웅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166206호 : 화물차의 화물 상하차 장치 공개특허 제10-2005-0001982 : 탑차용 화물 이송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적재공간 내에서의 화물의 상하차가 용이하고, 적재공간의 잠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 가능한 프레임을 갖는 화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함의 바닥에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인입홈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화물을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도록 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단이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적재함의 바닥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화물이 이송되는 이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양측 측벽부에 각각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에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호 화물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 제1,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제2 회전축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 스프로킷과, 상기 제1, 제2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이송체인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 이송장치는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함의 바닥에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인입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화물을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도록 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단이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적재함의 바닥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호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위운반유닛과, 상기 단위운반유닛들 중 어느 하나의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각각의 단위운반유닛들 중 인접하는 단위운반유닛의 이송부 사이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이송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인입홈에 고정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양측 측벽부에 각각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승강지지부재와,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화물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양측 화물지지부재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제1,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제2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 스프로킷과, 상기 제1, 제2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이송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구동부는 상기 제1, 제2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연결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제2 회전축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 전달스프로킷과, 상호 연결되는 두 단위운반유닛 중 일측 단위운반유닛의 제2 전달스프로킷과, 타측 단위운반유닛의 제1 전달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전달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체인과 전달체인이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승강 구동할 때, 적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탄력지지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탄력지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로드와, 상기 인출로드의 단부에 설치되는 아이들 스프로킷과, 상기 인출로드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가이드레일과,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2 가이드레일과 제1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엑스링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엑스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엑스링크의 상단 및 하단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상기 엑스링크의 상단에 지지된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화물의 상하차 작업 중에는 적재수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승하여 화물을 이동시키거나 작업 완료후에는 하강하여 적재수단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하여 적재공간을 잠식하지 않음으로써 화물의 상하차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물 이송장치의 단위운반유닛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화물 이송장치의 승강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화물 이송장치의 승강프레임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1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화물 이송장치(10)는 탑차와 같이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수단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물의 상차 또는 하차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화물 이송장치(10)가 설치될수 있도록 적재수단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인입되고 화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인입홈을 형성해 두고, 이 인입홈에 삽입 설치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물 이송장치(10)는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단위운반유닛(100)과, 단위운반유닛(100)의 이송부(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이송구동부(160)와, 각각의 단위운반유닛(100)들을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동력전달부(17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운반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화물을 이송하는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면서 화물을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단위운반유닛(100)을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전체 화물 이송장치(10)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단위운반유닛(100)은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이송부(130)와,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적재수단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11)와, 베이스부(111)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부(114)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부(111)는 지지다리(112)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볼트(113)를 통해 지지다리(112)를 적재수단에 고정시켜 설치한다. 이 베이스부(111)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14)는 화물이 이송되는 방향 즉, 길이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의 베이스부(111)의 양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 측벽부(114)에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슬라이딩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홈(115)은 각 측벽부(114)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딩홈(115)에는 후술하는 지지프레임(120)의 승강지지부재(121)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승강레일(116)이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측벽부(114)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부(130)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승강지지부재(121)와, 상기 승강지지부재(121)와 연결되는 화물지지부재(123)를 포함한다.
승강지지부재(121)는 양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홈(115)의 승강레일(116)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가이드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이송부(130)의 제1, 제2 회전축(131,132)의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화물지지부재(123)는 외측면이 상기 승강지지부재(121)와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화물지지부재(123)의 상단에는 메인프레인의 내측을 향해서 절곡된 절곡부(124)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절곡부(124)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체인가이드돌기(12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인가이드돌기(126)는 상기 두 측벽부(114)가 이격된 이격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이송체인(135)이 제1, 제2 스프로킷(133,134)에서 이탈하지 않고 동력을 전달하도록 가이드한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124)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25)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135)이 상기 관통홀(125)을 통해 절곡부(124)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면서 화물을 이송한다.
상기 이송부(130)는 지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제1, 제2 회전축(131,132)과, 제1, 제2 회전축(131,132)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 스프로킷(133,134)과, 상기 제1, 제2 스프로킷(133,134)을 연결하는 이송체인(135)을 구비한다.
제1, 제2 회전축(131,132)은 지지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스프로킷(133,134)은 상술한 것처럼 각각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132)에 설치되는데, 각각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132)의 양측 단부에 하나씩 두 개가 설치된다. 따라서 단위운반유닛(100)에는 두 개의 제1 스프로킷(133)과 두 개의 제2 스프로킷(134)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송체인(135)은 제1 스프로킷(133)과 제2 스프로킷(134)을 연결하며, 상술한 것처럼 상부는 절곡부(124)의 관통홀(125)을 통과해 절곡부(12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화물이 안착되면 제1 스프로킷(133)과 제2 스프로킷(134)에 걸려 회전하는 이송체인(135)에 의해 화물이 이송체인(135)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부(130)가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132)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132)에 각각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풀리에 걸리는 벨트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승강구동부(140)는 지지프레임(120)을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할 때에는 상기 승강구동부(140)를 통해 지지프레임(120)을 상승시켜 상기 이송부(130)의 상단이 적재수단의 바닥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차 또는 하차되는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상차 또는 하차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하강시켜 적재수단의 바닥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적재된 화물의 하중을 받지 않고, 또 이송부(130)의 돌출에 의해 적재수단에 화물이 적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승강구동부(140)는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141)과, 지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142)과,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제2 가이드레일(142)과 제1 가이드레일(141)에 설치되는 엑스링크(143)와, 엑스링크(143)와 연결되는 액추에이터(148)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레일(141)과 제2 가이드레일(142)은 상하로 이격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엑스링크(143)는 힌지축(146)을 통해 중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회동부재(144)와 제2 회동부재(145)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 회동부재(144)의 상단은 제2 가이드레일(14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하단은 제1 가이드레일(141)에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제2 회동부재(145)는 하단이 제1 가이드레일(14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단이 제2 가이드레일(142)에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가이드레일(141,142)은 각가 메인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 'ㄷ'자형 형강이 적용되었으며, 상기 제1 가이드레일(141)과 제2 가이드레일(142)에 각각 주행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회동부재(144)의 하단과 제2 회동부재(145)의 상단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게 주행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엑스링크(143)는 양측 지지프레임(120)에 각각 상단이 지지되도록 두 개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엑스링크(143)가 제1 회동부재(144)와 제2 회동부재(145)가 각각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제1 회동부재(144)와 제2 회동부재(145)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제2 가이드레일(142)과 제1 가이드레일(141)에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48)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는데, 실린더바디(149)는 메인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있고, 실린더로드(150)가 양측 엑스링크(143)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4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로드(150)가 실린더바디(149)로부터 인출되면 연결로드(147)의 위치가 상승해야 하므로 상기 엑스링크(143)의 상단과 하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인접하는 방향으로 모아지면서 제2 가이드레일(142) 및 지지프레임(120)을 제1 가이드레일(141) 및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방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반대로 실린더로드(150)가 실린더바디(149)로 인입되도록 구동하면 상기 실린더로드(150)와 연결된 연결로드(147)가 하강해야 하므로 엑스링크(143)의 상단과 하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벌어지면서 제2 가이드레일(142)과 지지프레임(120)이 제1 가이드레일(141)과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하방으로 하강하게 한다. 이렇게 승강구동부(140)를 통해 지지프레임(120)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됨으로 필요에 따라 이송부(130)의 상단을 적재수단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각각의 단위운반유닛(100)마다 승강구동부(14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단위운반유닛(100)을 개별적으로 승강 구동시킬 수 있으며, 적재수단에 화물을 상차하는 경우 전체 단위운반유닛(100)의 지지프레임(120)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적재수단의 안쪽부터 화물의 상차를 진행하고, 상차가 진행됨에 따라 화물이 적재된 부분에 대해서는 해당 단위운반유닛(100)의 지지프레임(120)을 하강시켜 해당 단위운반유닛(100)이 설치된 지점에도 화물의 적재가 가능하게 한다. 적재수단에 화물이 가득 적재된 상황에서 하차를 하는 경우에도 하차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적재수단의 입구쪽 단위운반유닛(100)의 지지프레임(120)부터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가면서 하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이송구동부(160) 및 동력전달부(170)는 복수개의 단위운반유닛(100)들이 결합된 후, 각 단위운반유닛(100)의 이송부(130)들을 구동시키고,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구동부(160)는 전체 단위운반유닛(1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운반유닛(100)에 설치되는데, 해당 단위운반유닛(100)의 메인프레인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61)와, 구동모터(161)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스프로킷(162), 제2 회전축(132)에 설치된 종동스프로킷(163), 구동스프로킷(162)과 종동스프로킷(163)을 연결한 연결체인(164)을 포함한다.
구동모터(161)는 사용자가 컨트롤하는 제어부(미도시)의 구동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도록 구동축이 회전하며 이에 의해 구동스프로킷(162)이 회전하고, 상기 연결체인(164)과 종동스프로킷(163)을 통해 동력이 제2 회전축(132)에 전달되어 제2 회전축(132)이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종동스프로킷(163)이 제2 회전축(132)에 설치되어 있으나, 종동스프로킷(163)은 이와는 달리 제1 회전축(13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동력전달부(170)는 제1 회전축(131)에 설치된 제1 전달스프로킷(171)과, 인접하는 타측 단위운반유닛(100)의 제2 전달스프로킷(172)에 설치되는 제2 전달스프로킷(172)과, 제1 전달스프로킷(171)과 제2 전달스프로킷(172)을 연결하는 전달체인(173)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부(170)는 인접하는 두 단위운반유닛(100)의 이송부(130) 사이의 동력 전달을 하게 되며, 복수개의 단위운반유닛(100)들을 일렬로 체결하더라도 상기 동력전달부(170)에 의해 각 단위운반유닛(100)들의 이송부(130)에 구동모터(161)의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전체 단위운반유닛(100)의 이송부(130)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처럼 구동모터(161)는 전체 단위운반유닛(100) 중 최전방 또는 최후방의 단위운반유닛(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동모터(161)가 설치되는 단위운반유닛(100)의 제1 전달스프로킷(171) 또는 제2 전달스프로킷(172) 중 하나는 상기 종동스프로킷(163)의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송구동부(160)와 동력전달부(170)의 연결체인(164)과 전달체인(173)의 장력 유지를 위해 탄력지지부(18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단위운반유닛(100)들은 상술한 것처럼 지지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기 승강구동부(140)에 의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송구동부(160)가 설치되어 있는 단위운반유닛(100)의 경우 상기 구동스프로킷(162)과 종동스프로킷(163) 사이의 거리가 가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단위운반유닛(100)들도 각각 개별적으로 지지프레임(120)들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므로 일측과 타측 단위운반유닛(100)들의 지지프레임(120)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달체인(173)에 의해 연결된 제1 전달스프로킷(171)과, 제2 전달스프로킷(172)들 사이의 이격거리도 가변된다.
따라서 연결체인(164) 및 전달체인(173)은 각각 구동스프로킷(162)과 종동스프로킷(163) 사이의 이격거리 및 제1 전달스프로킷(171)과 제2 전달스프로킷(172)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벌어진 상태에서도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력지지부(180)에 의해 각각 지지프레임(120)의 승강 구동에 따른 스프로킷들 사이의 이격거리의 변화에 대하여 연결체인(164)과 전달체인(173)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탄력지지부(180)는 각각 하우징(181)과, 상기 하우징(181)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로드(182)와, 이 인출로드(182)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아이들스프로킷(183)과, 상기 인출로드(182)를 하우징(181)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8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인출로드(182)는 아이들스프로킷(183)이 상기 구동스프로킷(162)과 종동스프로킷(163) 또는 제1 전달스프로킷(171)과 제2 전달스프로킷(17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설치된다.
구동스프로킷(162)과 종동스프로킷(163) 사이의 거리 또는 제1 전달스프로킷(171)과 제2 전달스프로킷(172) 사이의 이격거리가 짧을 때에는 인출로드(182)가 탄성부재(184)에 의해 인출되고, 반대로 구동스프로킷(162)과 종동스프로킷(163) 사이의 거리 또는 제1 전달스프로킷(171)과 제2 전달스프로킷(172) 사이의 이격거리가 길어지도록 지지프레임(120)이 승강 구동하면 인출로드(182)가 하우징(181)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삽입되면서 체인의 장력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이송구동부(160)와 동력전달부(170)에 각각 설치되는 탄력지지부(180)는 설치 위치와 인출로드(182)가 인출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할 뿐 기본적인 구성과 원리는 동일하므로 함께 설명하고 동일 번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화물 이송장치(1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적재공간에 설치된 후 승강구동부(140)에 의해 지지프레임(120)이 상승되어 이송체인(135)의 상부가 적재수단의 바닥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화물의 하면 또는 화물을 지지하는 파레트(P)를 지지하여 이송체인(135)이 적재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면서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이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10)는 복수개의 단위운반유닛(100)들을 화물이 이송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고, 각각의 단위운반유닛(100)들의 지지프레임(120)을 개별적으로 승강구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이송구동부(160)가 설치된 최후방의 단위운반유닛(100)만 단독으로 설치되도록 화물 이송장치(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20)은 전체 적재수단의 길이에 맞게 전후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전체 화물 이송장치(10)의 지지프레임(120)이 일체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화물 이송장치
100; 단위운반유닛
110; 메인프레임
111; 베이스부 112; 지지다리
113; 고정볼트 114; 측벽부
115; 슬라이딩홈 116; 승강레일
120; 지지프레임
121; 승강지지부재 122; 가이드홈
123; 화물지지부재 124; 절곡부
125; 관통홀 126; 체인가이드돌기
130; 이송부
131; 제1 회전축 132; 제2 회전축
133; 제1 스프로킷 134; 제2 스프로킷
135; 이송체인
140; 승강구동부
141; 제1 가이드레일 142; 제2 가이드레일
143; 엑스링크 144; 제1 회동부재
145; 제2 회동부재 146; 힌지축
147; 연결로드 148; 액추에이터
149; 실린더바디 150; 실린더로드
160; 이송구동부
161; 구동모터 162; 구동스프로킷
163; 종동스프로킷 164; 연결체인
170; 동력전달부
171; 제1 전달스프로킷 172; 제2 전달스프로킷
173; 전달체인
180; 탄력지지부
181; 하우징 182; 인출로드
183; 아이들스프로킷 184; 탄성부재
P; 파레트

Claims (6)

  1.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함의 바닥에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인입홈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화물을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도록 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단이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적재함의 바닥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화물이 이송되는 이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양측 측벽부에 각각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에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호 화물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 제1,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제2 회전축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 스프로킷과, 상기 제1, 제2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이송체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3.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함의 바닥에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인입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화물을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도록 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단이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적재함의 바닥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호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위운반유닛과;
    상기 단위운반유닛들 중 어느 하나의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각각의 단위운반유닛들 중 인접하는 단위운반유닛의 이송부 사이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이송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인입홈에 고정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양측 측벽부에 각각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승강지지부재와,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화물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양측 화물지지부재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제1,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제2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 스프로킷과, 상기 제1, 제2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이송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구동부는 상기 제1, 제2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연결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제2 회전축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 전달스프로킷과, 상호 연결되는 두 단위운반유닛 중 일측 단위운반유닛의 제2 전달스프로킷과, 타측 단위운반유닛의 제1 전달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전달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인과 전달체인이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승강 구동할 때, 적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탄력지지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탄력지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로드와, 상기 인출로드의 단부에 설치되는 아이들 스프로킷과, 상기 인출로드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가이드레일과,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2 가이드레일과 제1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엑스링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엑스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엑스링크의 상단 및 하단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상기 엑스링크의 상단에 지지된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KR1020130009303A 2013-01-28 2013-01-28 화물 이송장치 KR101444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303A KR101444909B1 (ko) 2013-01-28 2013-01-28 화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303A KR101444909B1 (ko) 2013-01-28 2013-01-28 화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648A true KR20140097648A (ko) 2014-08-07
KR101444909B1 KR101444909B1 (ko) 2014-10-02

Family

ID=5174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303A KR101444909B1 (ko) 2013-01-28 2013-01-28 화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90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015B1 (ko) * 2018-01-12 2018-07-13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CN109720895A (zh) * 2019-02-18 2019-05-07 江西中钰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货车车厢货物装卸装置
KR20190088656A (ko) * 2018-01-19 2019-07-29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KR20190088655A (ko) * 2018-01-19 2019-07-29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이송컨베이어용 장력조절장치
CN110758991A (zh) * 2019-11-13 2020-02-07 安徽金赫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工流水线用自动化传输设备
CN110921191A (zh) * 2019-10-25 2020-03-27 浙江省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钢板升降输送机构
KR102274827B1 (ko) 2021-03-26 2021-07-08 삼성공항물류 주식회사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13330273A (zh) * 2019-01-24 2021-08-31 株式会社高迎科技 检查装置用移送机构、检查装置及利用其的对象物检查方法
CN113582067A (zh) * 2021-07-22 2021-11-02 苏州阿波罗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货叉式的循环升降机
CN114476621A (zh) * 2022-01-28 2022-05-13 唐德顺 一种输送机及智慧仓储系统
CN114560283A (zh) * 2022-02-10 2022-05-31 成都利君环际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物料运载系统
KR102588783B1 (ko) 2023-04-13 2023-10-12 이도희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
CN117774137A (zh) * 2024-02-27 2024-03-29 福建盛达机器股份公司 一种多面加工生产线和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437A (ja) * 1992-09-12 1994-04-05 Daiwa House Ind Co Ltd ベルトコンベア装置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015B1 (ko) * 2018-01-12 2018-07-13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KR20190088656A (ko) * 2018-01-19 2019-07-29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KR20190088655A (ko) * 2018-01-19 2019-07-29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이송컨베이어용 장력조절장치
CN113330273B (zh) * 2019-01-24 2023-11-21 株式会社高迎科技 检查装置用移送机构、检查装置及利用其的对象物检查方法
CN113330273A (zh) * 2019-01-24 2021-08-31 株式会社高迎科技 检查装置用移送机构、检查装置及利用其的对象物检查方法
US11921151B2 (en) 2019-01-24 2024-03-05 Koh Young Technology Inc. Jig for inspection apparatus,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set
US11867747B2 (en) 2019-01-24 2024-01-09 Koh Young Technology Inc. Transfer apparatus for inspection apparatus, inspection apparatus, and object inspection method using same
CN109720895A (zh) * 2019-02-18 2019-05-07 江西中钰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货车车厢货物装卸装置
CN109720895B (zh) * 2019-02-18 2024-04-30 江西中钰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货车车厢货物装卸装置
CN110921191A (zh) * 2019-10-25 2020-03-27 浙江省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钢板升降输送机构
CN110758991A (zh) * 2019-11-13 2020-02-07 安徽金赫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工流水线用自动化传输设备
KR102274827B1 (ko) 2021-03-26 2021-07-08 삼성공항물류 주식회사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13582067A (zh) * 2021-07-22 2021-11-02 苏州阿波罗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货叉式的循环升降机
CN114476621B (zh) * 2022-01-28 2023-07-21 唐德顺 一种输送机及智慧仓储系统
CN114476621A (zh) * 2022-01-28 2022-05-13 唐德顺 一种输送机及智慧仓储系统
CN114560283A (zh) * 2022-02-10 2022-05-31 成都利君环际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物料运载系统
KR102588783B1 (ko) 2023-04-13 2023-10-12 이도희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
CN117774137A (zh) * 2024-02-27 2024-03-29 福建盛达机器股份公司 一种多面加工生产线和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909B1 (ko)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909B1 (ko) 화물 이송장치
KR102155617B1 (ko) 물품 수납 설비
US10618732B2 (en) Article transfer device
US11027917B2 (en) Rail-bound transport robot with lifting platform
US8967403B2 (en) Hoist apparatus and hoist transporting system
CN106904450B (zh) 一种集装箱自动装车机
CN210028818U (zh) 一种智能高效的仓储系统
CN110155754B (zh) 大型货车无托盘自动装车机
CN111056198A (zh) 货架、自动售货机、货物运输系统以及货架的取货方法
CN105883278B (zh) 货物运载系统、货物运载箱及用于货物集中装卸的装置
CN109081023A (zh) Agv小车及其与机台的对位方法
CN112299065A (zh) 整车装车系统
CN111559602A (zh) 一种出料系统及出料方法
CN108820668B (zh) 一种仓储自动取料机
CN208666159U (zh) 一种agv小车
CN111056335A (zh) 一种自动装卸机器
JP2006016203A (ja) 垂直搬送機
CN213864486U (zh) 卸货装置
CN208666158U (zh) 一种升降式agv小车
CN113291689A (zh) 提升机及仓储系统
CN110733844A (zh) 轿厢、箱式物流传输系统、箱式物流传输方法
CN117550302B (zh) 一种受力均衡的嵌入式集装箱自动装卸车装置、控制方法
JP2020111428A (ja) 工場内荷搬送装置
CN214355702U (zh) 一种传送装置及车辆
CN220765892U (zh) 一种适用于托盘装卸的叉臂输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