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789B1 -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789B1
KR102274789B1 KR1020190094811A KR20190094811A KR102274789B1 KR 102274789 B1 KR102274789 B1 KR 102274789B1 KR 1020190094811 A KR1020190094811 A KR 1020190094811A KR 20190094811 A KR20190094811 A KR 20190094811A KR 102274789 B1 KR102274789 B1 KR 102274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ginseng
weight
parts
roast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710A (ko
Inventor
문기정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안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안정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안정
Priority to KR102019009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7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양삼을 세척하고 세절하는 제 1단계,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볶는 제 2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3단계, 상기 추출물과 볶은 상기 산양삼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 4단계, 상기 혼합물에 꿀을 혼합하고 숙성하는 제 5단계, 숙성된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wood-cultivated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 또는 화장품으로 활용가능한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양삼이란 산지관리법 제2조제1호에서 정의하고 있는 산지에서 차광막 등 인공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생산되는 삼(건조된 것을 포함)을 말한다. 또한 산양삼은 숲에서, 자연상태 그대로, 장기간(10~20년)에 걸쳐, 청정(무농약, 무비료) 하게 생산하는 임산물로서 임업 및 산촌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자연성 · 청정성이 보장되도록 육성관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산양삼의 주요성분으로는 질소를 함유한 성분이 전체 유기물의 12-16%이며, 약리 효과가 높다고 알려진 사포닌 성분은 3~6%이다. 특히 사포닌은 산양삼의 여러가지 유효성분 중 약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포닌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트리텔펜 및 스테로이드계의 배당체의 총칭으로, 예전에는 비영양물질로 알려졌으나 항암,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밝혀지면서 생리활성물질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한방약에서는 강심제나 이뇨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인삼 사포닌은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는 다른 특이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약리 효능도 특이하여 인산(Ginseng) 배당체(Glycoside)란 의미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부른다.
주로 산양삼은 생으로 섭취하여 가공 식품으로는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9-0060321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의 기호도를 만족시키며, 식품과 화장품에 활용이 가능한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은, 산양삼을 세척하고 세절하는 제 1단계,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볶는 제 2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3단계, 상기 추출물과 볶은 상기 산양삼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 4단계, 상기 혼합물에 꿀을 혼합하고 숙성하는 제 5단계, 숙성된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단계에서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0 내지 100℃에서 30분동안 1차로 볶은 다음, 100 내지 110℃에서 30분동안 2차로 볶은 다음, 110 내지 120℃에서 30분동안 3차로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추출물은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12시간동안 열수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에서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65 내지 75℃에서 5 내지 7시간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단계에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0 내지 30℃에서 24 내지 36시간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에서는 현대인의 기호도에 맞춰 높은 맛과 기능성을 극대화하는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양삼의 다양한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용 방법이 적었으나, 본 발명을 통해 산양삼 가공식품을 다양화하여 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의 제조 순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양삼을 세척하고 세절하는 제 1단계(S1),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볶는 제 2단계(S2), 상기 제 1단계에서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3단계(S3), 상기 추출물과 볶은 상기 산양삼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 4단계(S4), 상기 혼합물에 꿀을 혼합하고 숙성하는 제 5단계(S5), 숙성된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는 제 6단계(S6)로 구성된다.
제 1단계(S1)는 산양삼을 세척하고 세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양삼을 세척하여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세척된 상기 산양삼을 0.5mm 내지 1cm로 세절한다.
제 2단계(S2)는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볶는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0 내지 100℃에서 30분동안 1차로 볶은 다음, 100 내지 110℃에서 30분동안 2차로 볶은 다음, 110 내지 120℃에서 30분동안 3차로 볶는다.
여기서, 상기 산양삼을 90℃ 미만의 온도에서 볶는 경우, 볶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120℃ 초과된 온도에서 볶는 경우 상기 산양삼의 겉이 탄다.
또한, 산양삼을 볶어 각 부분의 수분함량을 균일하게 하고 세포 조직을 적당히 파괴하여 포함된 성물이 잘 우러나오게 한다.
제 3단계(S3)는 상기 제 1단계에서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12시간동안 열수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물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상기 추출 시의 용매로 작용하기에 물의 양이 부족하여 원활한 추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70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상기 추출물의 농도가 과도하게 옅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80℃ 미만에서 열수추출하는 경우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기 어렵거나 추출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며, 100℃ 초과하여 열수추출하는 경우 높은 온도로 인해 맛이 변질되거나 이로운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10시간 미만으로 열수추출하는 경우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기 어려우며, 12시간 초과하여 열수추출하는 경우 이미 유효성분이 다 추출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작업 시간이 소모된다.
제 4단계(S4)는 상기 추출물과 상기 제 2단계에서 볶은 상기 산양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고, 상기 혼합물을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65 내지 75℃에서 5 내지 7시간동안 가열하여 상기 혼합물을 슬러리 상태로만든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볶은 상기 산양삼과 상기 추출물이 섞이고 슬러리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65℃ 미만에서 가열하는 경우 가열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며, 75℃ 초과하여 가열하는 경우 높은 온도로 인해 맛이 변질되거나 이로운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5시간 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이 슬러리 상태가 아니며 상기 산양삼이 충분히 분해되지 않았으며, 7시간 초과하여 가열하는 경우 이미 상기 혼합물이 슬러리 상태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작업 시간이 소모된다.
제 5단계(S5)는 상기 혼합물을 꿀과 혼합하고 숙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꿀 30 중량부를 혼합한다. 그리고 20 내지 30℃에서 24 내지 36시간동안 숙성한다.
또한, 20℃ 미만에서 숙성하는 경우 숙성시간이 과도하게 걸리며, 30℃ 초과하는 경우 맛이 변질될 수 있다.
24시간 미만으로 숙성하는 경우 숙성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으며, 36시간 초과하여 숙성하는 경우 이미 숙성이 완료된 상태로 불필요한 작업 시간이 소모된다.
제 6단계(S6)는 숙성된 상기 혼합물을 여과한다. 구체적으로, 숙성된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여 불순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하는 본 발명인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의 실험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1. 관능평가 - 1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조한 실시예를 기초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추출물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맞는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조성물의의 맛, 향, 색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t scale)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9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105℃에서 9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115℃에서 9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85℃에서 30분동안 볶고,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비교예 5]
비교예 5는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고, 12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구분 전반적인 기호도
비교예 1 6.58 6.27 6.38 6.41
비교예 2 6.11 6.74 6.65 6.50
비교예 3 6.21 6.35 6.77 6.44
비교예 4 6.84 6.60 6.91 6.78
비교예 5 6.03 6.17 6.22 6.14
실시예 1 8.50 8.50 8.50 8.50
상술한 표 1에서와 같이, 비교예 5와 같이 높은 온도에서 산양삼을 볶는 경우 겉만 타고 속은 익지 않으며, 비교예 4와 같이 낮은 온도에서 산양삼을 볶는 경우 충분히 익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 1의 경우 산양삼의 고유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고 산양삼이 속부터 서서히 익혀져 맛이 부드러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관능평가 - 2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조한 실시예를 기초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조성물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맞는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추출물의 맛, 향, 색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t scale)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6은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5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6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8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9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구분 전반적인 기호도
비교예 6 6.38 6.15 6.57 6.36
실시예 2 6.23 6.74 6.28 6.41
실시예 3 8.50 8.50 8.50 8.50
실시예 4 6.03 6.11 5.98 6.04
실시예 5 6.38 6.01 6.00 6.13
상술한 표 2에서와 같이, 비교예 6과 실시예 2의 경우는 볶은 상기 산양삼이 충분히 우러나지 않아 깊은 맛을 느끼기 어려웠으며, 실시예 4와 실시예 5의 경우는 상기 산양삼이 눌러붙어 탄맛이 과도하여 섭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예 3의 경우 상기 산양삼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우러나고, 슬러리 상태가 되어 숙성이 균일하게 되어 맛, 향, 색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3. 관능평가 - 3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조한 실시예를 기초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조성물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맞는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추출물의 맛, 향, 색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t scale)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7은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실시예 8]
실시예 8은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실시예 9]
실시예 9는 산양삼을 세척하고 1cm로 세절한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볶고, 105℃에서 30분동안 볶고, 115℃에서 30분동안 볶는다.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한다.
구분 전반적인 기호도
비교예 7 6.98 7.01 6.59 6.86
실시예 6 6.55 6.78 6.81 6.71
실시예 7 8.50 8.50 8.50 8.50
실시예 8 6.00 5.95 6.23 6.06
실시예 9 5.90 6.00 6.13 6.01
상술한 표 3에서와 같이, 꿀이 3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숙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산양삼의 쓴맛이 과도하며, 꿀이 30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과발효 되어 맛이 변성되거나 단맛이 과도한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7의 경우, 상기 산양삼과 꿀이 조화를 이루면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 : 산양삼 세척 단계
S2 : 산양삼 볶는 단계
S3 : 세척 및 세절된 산양삼을 열수추출하여 추출물 획득 단계
S4 : 추출물과 볶은 산양삼을 혼합한 혼합물 가열 단계
S5 : 혼합물에 꿀을 추가하여 숙성 단계
S6 : 혼합물 여과 단계

Claims (5)

  1. 산양삼을 세척하고 세절하는 제 1단계;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볶는 제 2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3단계;
    상기 추출물과 볶은 상기 산양삼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 4단계;
    상기 혼합물에 꿀을 혼합하고 숙성하는 제 5단계;
    숙성된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단계에서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을 95℃에서 30분동안 1차로 볶은 다음, 105℃에서 30분동안 2차로 볶은 다음, 115℃에서 30분동안 3차로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추출물은 세척 및 세절된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에서 11시간동안 열수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4단계에서
    볶은 상기 산양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5단계에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25℃에서 30시간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94811A 2019-08-05 2019-08-05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 KR102274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811A KR102274789B1 (ko) 2019-08-05 2019-08-05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811A KR102274789B1 (ko) 2019-08-05 2019-08-05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10A KR20210016710A (ko) 2021-02-17
KR102274789B1 true KR102274789B1 (ko) 2021-07-08

Family

ID=7473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811A KR102274789B1 (ko) 2019-08-05 2019-08-05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7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272B1 (ko) * 2012-06-15 2014-09-24 (주)바이오벤 인삼 유효성분의 추출방법
KR20170101583A (ko) * 2016-02-29 2017-09-06 이기훈 산양산삼 꿀 절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5287B1 (ko) 2017-11-24 2019-12-16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발효산양삼과 숙성도라지를 이용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10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214B1 (ko)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CN102742861A (zh) 特种野猪腊肉的加工方法
KR101131295B1 (ko) 자색고구마 막걸리 제조 방법
CN104719870A (zh) 一种番薯芝麻通络酱及其制备方法
KR20120119205A (ko) 삼채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2274789B1 (ko) 산양삼 추출물 제조방법
KR20190044189A (ko) 여주와 돼지감자 추출물이 함유된 닭갈비 소스의 제조방법
KR101261134B1 (ko)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미김
JP4095414B2 (ja) グアバケチャ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CN102150802B (zh) 一种槟榔增香剂的制备方法
CN107319060A (zh) 一种葛根速溶茶颗粒的加工方法
KR102005795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CN106070893A (zh) 一种凉茶的制作方法
CN105394674A (zh) 一种芝麻补血明目莲藕果冻及其制备方法
CN105532850A (zh) 一种糖水黄桃罐头的制备方法
KR20170085182A (ko) 닥나무 성분 함유 무가당 감자떡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0694A (ko) 새싹인삼을 이용한 발효숙성 잎차 및 그 제조방법
CN110522024A (zh) 玛卡人参片的生产工艺
KR20140146475A (ko) 삼채냉면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삼채냉면
CN111418885B (zh) 一种加热卷烟制品
KR100646521B1 (ko) 탈삽 및 연화처리에 의한 감말랭이 제조방법
KR102533356B1 (ko) 천년초를 함유한 조청의 제조방법
KR102378785B1 (ko) 흑도라지 편강의 제조방법
KR101291187B1 (ko)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기능성 홍삼 된장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홍삼 된장
KR102548785B1 (ko) 산양삼 및 산양도라지의 잎과 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차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