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194B1 -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194B1
KR102271194B1 KR1020200109625A KR20200109625A KR102271194B1 KR 102271194 B1 KR102271194 B1 KR 102271194B1 KR 1020200109625 A KR1020200109625 A KR 1020200109625A KR 20200109625 A KR20200109625 A KR 20200109625A KR 102271194 B1 KR102271194 B1 KR 102271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water
spac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진
Original Assignee
김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진 filed Critical 김학진
Priority to KR102020010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4중으로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으로 분리되고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관 형태의 제1 필터, 정수를 저장하여 하우징 내부의 수압을 유지하고, 제2 필터, 제3 필터 및 여과재가 구비되어 원수의 불순물을 반복적으로 여과하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에 유체가 충전되므로, 하우징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필터의 개방된 양단을 밀폐하도록 삽입되는 제1 필터고정판 및 제2 필터고정판이 구비되므로, 정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물탱크가 구비되어 정수를 저장하므로, 하우징 내부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출수구와 연결된 물탱크의 내부에 제2 필터, 제3 필터 및 여과재가 구비되므로, 여과 작업을 복수 회 실시할 수 있어 정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으로 분리되므로, 하우징 내부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장치 {Filter device}
본 발명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하우징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4중으로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장치에 있어, 내부에 물을 수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결로현상이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왔다. 또한, 필터를 사용함에 따라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필터에 축적되므로, 필터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터의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에서는 필터 하우징을 이중으로 구비하여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단열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정수 필터를 개시한 바 있으나, 이는 필터가 냉장고 등 차가운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필터 내부에 발생하는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의 결로현상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으며 하우징이 이중으로 구비되어 필터의 교체가 불편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원 발명을 통해, 결로현상을 최소화하고, 하우징 내부의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필터장치를 개시하도록 한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7663호 (2018.01.23. 공개)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9279호 (2012.03.08.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필터장치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정수 효과를 극대화한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우징 내부의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으로 분리되고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관 형태의 제1 필터, 정수를 저장하여 하우징 내부의 수압을 유지하고, 제2 필터, 제3 필터 및 여과재가 구비되어 원수의 불순물을 반복적으로 여과하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에 유체가 충전되므로, 하우징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필터의 개방된 양단을 밀폐하도록 삽입되는 제1 필터고정판 및 제2 필터고정판이 구비되므로, 정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탱크가 구비되어 정수를 저장하므로, 하우징 내부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구와 연결된 물탱크의 내부에 제2 필터, 제3 필터 및 여과재가 구비되므로, 여과 작업을 복수 회 실시할 수 있어 정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으로 분리되므로, 하우징 내부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1 필터, 제1 필터고정판 및 제2 필터고정판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1 필터, 제1 필터고정판 및 제2 필터고정판을 나타낸 분리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내부에서 물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나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서술하는 "일단"은 도 1의 왼쪽 방향을 의미하며, "타단"은 "일단"의 반대 편으로 도 1의 오른쪽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부(E)가 형성되어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여 원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는 제1 필터(200) 및 정수 된 물을 저장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원수를 재여과하는 물탱크(300)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필터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하우징(100)의 일단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1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구(121)가 구비된다. 입수구(111) 및 출수구(121)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입수구(111)에는 입수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는 입수차단밸브(V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출수구(121)에는 출수구(121)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차단하는 출수차단밸브(V2) 및 하우징(100) 내부에 유입된 액체 또는 기체를 배출하는 퇴수밸브(V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원기둥 및 다각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후술할 제1 필터 등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된다. 도 3에는 하우징(100)의 외형이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장치가 설치될 공간의 크기 및 모양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부(E)가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하우징(100)의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 사이에 공간부(E)가 형성되어, 하우징(100)은 외부표면층, 공간부(E), 내부표면층의 삼중 구조를 갖도록 구비된다. 형성된 공간부(E)는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가 채워지는 구성으로, 하우징(100)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한다.
결로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는 하우징(10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S1) 및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S2)가 더 구비되고, 공간부(E)의 내측에 제1 온도센서(S1) 및 제2 온도센서(S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열선(L)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온도센서(S1)의 측정값이 제2 온도센서(S2)의 측정값보다 높은 경우, 열선(L)이 작동함으로써 공간부(E) 내부에 채워진 유체를 가열하여 하우징(100)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최소화한다.
제1 온도센서(S1) 및 제2 온도센서(S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온도센서(S1) 및 제2 온도센서(S2)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열선(L)은 여러 구간으로 분할되어 각 구간마다 서로 다른 제1 온도센서(S1) 및 제2 온도센서(S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경우, 필터장치가 대형으로 제작되더라도 각 구간별로 측정된 제1 온도센서(S1) 및 제2 온도센서(S2)의 측정값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열선(L)이 각 구간별로 작동하여 공기층(E)을 가열함으로써 결로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필터(2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입수구(111)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필터(200)는 복수개의 미세한 통공부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통콩부의 지름보다 큰 입자를 포집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통공부는 0.0001μm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필터(200)는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단 중 어느 한 쪽만이 개구 된 원통 또는 다각상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양단은 모두 밀폐되고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필터(200)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1 필터(200)는 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하기 위해 복수개의 주름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1 필터, 제1 필터고정판 및 제2 필터고정판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1 필터, 제1 필터고정판 및 제2 필터고정판을 나타낸 분리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필터(200)가 양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실시되는 경우, 개방된 양단을 밀폐하기 위해 제1 필터(200)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필터고정판(210) 및 제1 필터(200)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 필터고정판(210)이 더 구비된다.
제1 필터고정판(210)은 제1 필터(200)의 개방된 일단에 삽입되어 밀폐하고 제1 필터(200)의 내부 공간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공간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필터고정판(210)은 제1 필터(200)의 단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원수가 제1 필터(200)의 개방된 일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판부(211) 및 제1 판부(211)의 타면에 제1 필터(200)의 단면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 필터(200)의 일단에 삽입되어 제1 필터(200)를 지지하는 제1 고정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판부(211)는 제1 필터(200)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판부(211)는 제1 필터(200)의 단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필터(200)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면 족하다. 제1 판부(211)는 제1 필터(200)의 개방된 일단을 완전히 밀폐하기 위해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등 원수가 통과할 수 없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수가 통과하며 여과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미세한 통공부를 갖는 다공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12)는 제1 필터(200)의 일단에 삽입되어 제1 필터(2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제1 고정부(212)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타단이 밀폐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1 고정부(212)가 삽입된 제1 필터(200)를 통과한 정수가 제1 고정부(212)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여 제1 필터(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고정부(212)는 제1 필터(200)와 유사하게 복수개의 미세한 통공부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통공부의 지름보다 큰 입자를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 고정부(212)는 제1 필터(200)의 내부 공간을 지지하면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비되면 족하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타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타단이 밀폐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갖지 않되 다공재질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필터고정판(220)은 제1 필터(200)의 개방된 타단에 삽입되어 밀폐하고 제1 필터(200)의 내부 공간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공간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2 필터고정판(200)은 하우징(100)의 단면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정수가 제1 필터(200)를 거치지 않고 후술할 물탱크(3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판부(221) 및 제2 판부(221)의 일면에 제1 필터(200)의 단면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1 필터(200)의 타단에 삽입되어 제1 필터(200)를 지지하는 제2 고정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판부(221)는 제1 필터(200)의 개방된 타단을 밀폐하고, 물탱크(300)가 형성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판부(221)는 하우징(100)의 단면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필터(200)의 개방된 타단을 밀폐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면 족하다. 제2 판부(221)가 하우징(100)의 단면의 내주면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경우, 물탱크(300)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격벽이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2 판부(221)는 원수가 제1 필터(200)를 거치지 않고 물탱크(3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필터(200)의 개방된 타단과 대응하지 않는 부분은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등 원수가 통과할 수 없는 재질로 구비되고, 제1 필터(200)를 통해 1차적으로 여과된 원수가 물탱크(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 필터(200)의 개방된 타단과 대응하는 일 부분은 다공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판부(221)는 제1 필터(200)를 거치지 않더라도 원수가 통과하며 여과된 이후 물탱크(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전체가 복수개의 미세한 통공부를 갖는 다공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22)는 제1 필터(200)의 타단에 삽입되어 제1 필터(2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제2 고정부(222)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일단이 밀폐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2 고정부(222)가 삽입된 제1 필터(200)를 통과한 정수가 제2 고정부(222)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여 물탱크(3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 고정부(222)는 제1 필터(200)와 유사하게 복수개의 미세한 통공부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통공부의 지름보다 큰 입자를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고정부(220)는 제1 필터(200)의 내부 공간을 지지하면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비되면 족하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타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타단이 밀폐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갖지 않되 다공재질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탱크(300)는 제1 필터(200)의 타단과 출수구(121) 사이에 구비되어, 정수를 저장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2 필터고정판(220)이 구비됨에 따라 제2 필터고정판(220)의 제2 판부(221)가 물하우징(100) 내부의 공간을 분할함으로써 물탱크(300)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탱크(300)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을 하우징(100)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하여, 제2 필터고정판(220)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물탱크(300)가 형성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물탱크(300)의 내부에는 원수의 정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제2 필터(310), 제3 필터(320) 및 여과재(330)가 더 구비된다.
제2 필터(310)는, 하우징(10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물탱크(300)의 내측 일면에 설치되어 제1 필터(200)를 통과해 물탱크(300)로 유입된 원수를 2차적으로 여과하는 구성이다.
제3 필터(320)는 하우징(10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물탱크(300)의 내측 타면에 설치되어 물탱크(300)로부터 출수구(121)로 이동하는 정수를 최종적으로 재여과하는 구성이다.
여과재(330)는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2 필터(310)와 제3 필터(320)의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제2 필터(310)에 의해 여과되어 물탱크(300)의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재여과하는 구성이다. 여과재(330)가 구비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정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여과재(330)는 활성탄 및 카본블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하우징(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120)이 고정장치(101)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 본원 발명에 따른 필터치의 하우징(100)은 일단에 입수구(111)가 구비되고, 타단이 개방된 제1 하우징(110) 및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 출수구(121)가 구비된 제2 하우징(120)으로 구성되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해, 제1 하우징(110)의 타단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부에 요홈을 갖는 제1 고정장치(101a) 및 제 2 하우징(110)의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외부에 요철을 갖는 제2 고정장치(101b)가 더 구비된다. 제1 고정장치(101a)의 요홈에 제2 고정장치(101b)의 요철이 삽임됨으로써,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일체로 결합된다. 제1 고정장치(101a)의 요홈 및 제2 고정장치(101b)의 요철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분리 또는 일체로 결합시킴으로 하우징(100) 내부의 제1 필터(200), 제2 필터(310), 제3 필터(320) 및 여과재(3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내부에서 물이 정수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도 7에서는 물의 흐름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도면 부호를 제외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원수가 하우징(100)의 일단에 구비된 입수구(111)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원수는 제1 필터(200)의 내부로 이동하며 1차적으로 여과되며, 제2 필터(310)를 통과하여 물탱크(300)로 이동하며 2차적으로 여과된다. 물탱크(300)에 저장된 정수의 잔여 미생물 등의 오염물질을 물탱크(300) 내부에 구비된 여과재(330)가 3차적으로 흡착하고, 제3 필터(320)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여과된 정수가 출수구(121)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는 최소 4번의 여과를 실시하므로, 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하우징
101a : 제1 고정장치 101b : 제2 고정장치
110 : 제1 하우징 120 : 제2 하우징
111 : 입수구 121 : 출수구
V1 : 입수차단밸브 V2 : 출수차단밸브
V3 : 퇴수밸브 200 : 제1 필터
210 : 제1 필터고정판 211 : 제1 판부
212 : 제1 고정부 220 : 제2 필터고정판
221 : 제2 판부 222 : 제2 고정부
300 : 물탱크 310 : 제2 필터
320 : 제3 필터 330 : 여과재
E : 공간부 L : 열선
S1 : 제1 온도센서 S2 : 제2 온도센서

Claims (6)

  1. 일단에 입수구(111)가 구비되고, 타단에 출수구(121)가 구비되는 원기둥 및 다각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구(11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관 형상의 제1 필터(200); 및
    상기 제1 필터(200)의 타단과 상기 출수구(1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구(121)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정수의 수압을 유지하는 물탱크(300)를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300)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300)의 내측 일면에 설치되는 제2 필터(310);
    상기 하우징(10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300)의 내측 타면에 설치되는 제3 필터(320); 및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상기 제2 필터(310)와 상기 제3 필터(320)의 사이에, 활성탄 및 카본블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여과재(3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벽 내부에 공간부(E)가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E)에 기체 또는 액체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111)에는 상기 입수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원수를 차단하는 입수차단밸브(V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출수구(121)에는 상기 출수구(121)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정수를 차단하는 출수차단밸브(V2)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유입된 액체 또는 기체를 배출하는 퇴수밸브(V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200)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필터고정판(210) 및 상기 제1 필터(200)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 필터고정판(2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필터고정판(210)은,
    상기 제1 필터(200)의 단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수가 상기 제1 필터(200)의 개방된 일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판부(211); 및
    상기 제1 판부(211)의 타면에 상기 제1 필터(200)의 단면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필터(200)의 일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필터(200)를 지지하는 제1 고정부(212)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2 필터고정판(220)은,
    상기 하우징(100)의 단면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정수가 상기 제1 필터(20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물탱크(3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판부(221); 및
    상기 제2 판부(221)의 일면에 상기 제1 필터(200)의 단면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필터(200)의 타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필터(200)를 지지하는 제2 고정부(222)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S1);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S2);
    상기 공간부(E)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온도센서(S1) 및 상기 제2 온도센서(S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온도센서(S1) 및 상기 제2 온도센서(S2)의 측정값이 일치하도록 상기 공간부(E)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선(L)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일단에 상기 입수구(111)가 구비되고, 타단이 개방된 제1 하우징(110) 및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 상기 출수구(121)가 구비된 제2 하우징(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타단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부에 요홈을 갖는 제1 고정장치(101a) 및 상기 제 2 하우징(110)의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외부에 요철을 갖는 제2 고정장치(101b)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장치(101)의 요홈에 상기 제2 고정장치(101b)에 요철이 삽입되어,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KR1020200109625A 2020-08-28 2020-08-28 필터장치 KR102271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25A KR102271194B1 (ko) 2020-08-28 2020-08-28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25A KR102271194B1 (ko) 2020-08-28 2020-08-28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194B1 true KR102271194B1 (ko) 2021-06-29

Family

ID=7662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625A KR102271194B1 (ko) 2020-08-28 2020-08-28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1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44B1 (ko) * 2007-03-02 2007-11-28 유영진 정수기 필터의 설치구조
KR200459279Y1 (ko) 2010-09-28 2012-03-22 주식회사 피코그램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원터치방식의 정수시스템
KR20180007663A (ko) 2016-07-13 201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 필터
KR20190121079A (ko) * 2018-04-17 2019-10-25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44B1 (ko) * 2007-03-02 2007-11-28 유영진 정수기 필터의 설치구조
KR200459279Y1 (ko) 2010-09-28 2012-03-22 주식회사 피코그램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원터치방식의 정수시스템
KR20180007663A (ko) 2016-07-13 201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 필터
KR20190121079A (ko) * 2018-04-17 2019-10-25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0686B2 (en) Filter cartridge support
JP5902754B2 (ja) 濾過装置
KR102277142B1 (ko) 옥습기 여과장치
KR20170012523A (ko) 필터 어셈블리, 필터 요소 및 액체 여과 방법
US9139452B2 (en) Water filter assembly
KR102271194B1 (ko) 필터장치
KR102558256B1 (ko) 투명한 하우징을 갖는 옥외 정수기
KR100621058B1 (ko) 정수기
US2507818A (en) Oil filter
JPH0871541A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100859067B1 (ko) 공기 여과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1082965B1 (ko) 압축공기 정화기
KR20090113104A (ko) 계곡수 여과장치
JP6476150B2 (ja) 微小気泡発生装置
CN210764772U (zh) 一种节水型锅炉
KR200384535Y1 (ko) 정수기
RU218040U1 (ru) Фильтр газовый низкого давления
CN209554843U (zh) 十字形管式微滤膜及废水处理设备
KR200257574Y1 (ko)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RU129836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воды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AU2004283514A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purifying a cryogenic liquid
RU24870U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их сред
KR20030081620A (ko) 유수 분리장치
RU18758U1 (ru) Фильтрационный модуль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ов от масляных аэрозолей и влаг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