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535Y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535Y1
KR200384535Y1 KR20-2005-0004365U KR20050004365U KR200384535Y1 KR 200384535 Y1 KR200384535 Y1 KR 200384535Y1 KR 20050004365 U KR20050004365 U KR 20050004365U KR 200384535 Y1 KR200384535 Y1 KR 200384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cooling tube
stored
seal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에스
Priority to KR20-2005-0004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5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정수필터를 거쳐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냉각통의 내부로 이물질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개선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정수기(200)는 물통(230)의 내부 상부에 진공이 걸리지 않도록 덮개(231)로 물통(230)의 상단부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않고 오히려 덮개(231)에 통기공(231a)을 형성하기도 하기 때문에 물통(230)의 내부로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고, 냉각통(240) 및 물통(230)에 저장된 물을 오랜시간동안 인출하지 않고 방치하면 할수록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한 물의 오염정도가 더욱 심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다수의 정수필터(120)를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냉각통(140)의 내부를 피스톤판(146)을 통해 상부의 공기충전부(A)와 하부의 저수부(W)로 분리하고, 밀폐덮개(144)를 통해 냉각통(140)의 상단부를 완전히 밀폐하는 동시에 밀폐덮개(144)의 하단과 피스톤판(146) 상단의 사이에 압축스프링(147)을 설치하며, 최종 정수필터(120) 유출측 연결관(122)을 히팅블록(160)을 통해 온수측 유출구(142)에 접속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정수필터(120)를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냉각통(140)의 저수부(W)를 피스톤판(146)과 밀폐덮개(144)를 통해 완벽하게 밀폐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이 냉각통(140) 내부에 저장되는 물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맑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정수기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정수기 { a water purifier }
본 고안은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다수의 정수필터를 거쳐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냉각통의 내부로 이물질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는 그 형태에 따라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수도꼭지 부착형과 유리단지에 물을 받아 자연낙하과정에서 정수하는 탁상형(비배관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정수방식에 따라 수도직결식, 자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이온수기식 등으로 나눌 수 있는 바, 대체로 자연여과식과 역삼투압식, 수도직결식이 많이 쓰이고 있다.
상기에서 수도직결식은 수도꼭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하여 물이 마이크로필터 및 은활성탄필터를 거치면서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많은 물을 정수하여야 하므로 필터의 구멍이 커져 바이러스, 중금속, 발암물질(트리할로메탄), 화학오염물질, 미세물질 등의 제거가 어렵고 필터를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역삼투압식은 각종 불순물이 섞여있는 물에 압력을 주어 물이 반투막을 통과할 때 불순물은 걸러주고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 및 미량의 미네랄만을 통과시켜 정수하는 방식으로, 오염물질 뿐 아니라 미네랄까지 제거한다는 점과 수압이 약한 곳에서 워터펌프를 설치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온교환수지식은 첨단소재인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센물을 단물로 바꾸는 장치로서 중금속을 걸러내므로 수도관이 오래된 지역에서 사용하면 좋지만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을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온수기식은 이온수기에 정수기능을 부착하여 정수된 물을 알칼리성과 산성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주로 의료용으로 사용된다.
본 고안은 상기 여과방식을 불문하고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물을 침전필터, 살균필터, 이온필터, 카본필터, 멤브레인필터, 세라믹필터 등의 다수의 정수필터(filter)를 통해 정화하는 정수기에 관계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정수기는 대개 본체의 내부에 원수공급밸브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정수필터 및 각 정수필터를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통이 설치되고, 본체의 외부 전면에 냉각통의 정화된 물을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콕크가 설치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아울러 상기 정수기에 있어서는 냉각통에 저장되는 정화된 물을 냉각하여 차가운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통의 외부 둘레에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코일을 설치하고, 냉각통에서 인출되는 물을 가열하여 뜨겁게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통의 온수측 유출구에 히팅블록을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통(24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냉각통(240)의 상부에 물통(230)을 설치하고, 설치되는 물통(230)의 내부 상부 일측에 제어장치를 통해 원수 급수밸브(29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플로트스위치(280)를 설치하고, 물통(230)의 상단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덮개(231)를 설치한 형태의 종래의 정수기(200)는 물통(230)의 내부 상부에 진공이 걸리지 않도록 덮개(231)로 물통(230)의 상단부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않고 오히려 덮개(231)에 통기공(231a)을 형성하기도 하기 때문에 물통(230)의 내부로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고, 냉각통(240) 및 물통(230)에 저장된 물을 오랜시간동안 인출하지 않고 방치하면 할수록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한 물의 오염정도가 더욱 심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본체의 내부에 다수의 정수필터 및 냉각통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다수의 정수필터를 거치는 과정에서 정화되어 냉각통에 저장되는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각통의 내부를 상부의 공기충전부와 하부의 저수부로 분리하는 피스톤판을 냉각통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냉각통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밀폐덮개와 피스톤판의 사이에 압축스프링을 설치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 및 도 3b에는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본체(110)의 내부에 원수공급밸브(190)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정수필터(120) 및 각 정수필터(120)를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통(140)이 설치되고, 본체(110)의 외부 전면에 냉각통(140)의 물을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콕크(151)(152)가 설치되며, 냉각통(140)에 저장되는 정화된 물을 냉각하여 차가운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통(140)의 외부 둘레에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코일(143)이 설치되고, 냉각통(140)에서 인출되는 물을 가열하여 뜨겁게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통(140)의 온수측 유출구(142)에 히팅블록(160)이 설치되는 정수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140)의 내부를 상부의 공기충전부(A)와 하부의 저수부(W)로 분리하는 피스톤판(146)을 냉각통(140)의 내부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냉각통(140)의 상단부를 완전히 밀폐하도록 냉각통(140)의 상단에 밀폐덮개(144)를 설치하는 동시에 밀폐덮개(144)의 하단과 피스톤판(146) 상단의 사이에 압축스프링(147)을 설치하며, 최종 정수필터 유출측 연결관(122)을 히팅블록(160)을 통해 온수측 유출구(142)에 접속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다른 실시예는 냉각통 밀폐덮개(144)의 내부 상단 중앙에 별도의 제어장치를 통해 원수공급밸브(19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감지스위치(180)를 설치하고, 피스톤판(146)의 상단 중앙에 상기 수위감지스위치(180)의 스위치돌기(18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돌기(182)를 설치하여 냉각통(140) 내부의 물이 일정수위에 이른 경우 원수공급밸브(190)를 밀폐하여 냉각통(140)으로 더 이상의 정화된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 형태를 갖는다.
한편 도시된 각 실시예는 최종 정수필터 유출측 연결관(122)의 선단에 T접속관(123)을 설치하고, T접속관(123)의 일단부에 드레인밸브(124)를 설치하여 냉각통(140)을 청소할 때에 냉각통(140) 내부의 물을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형태를 갖으며, 아울러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냉각통(140)의 외부 둘레에 단열재통(170)을 설치함은 물론 밀폐덮개(144)의 외부 둘레에도 단열재캡(174)을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41은 냉수측 유출구, 145는 구획판, 144a 및 146a는 밀폐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정수기(100)에 있어서는 원수공급밸브(19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각 정수필터(120)를 거쳐 정화되고, 정화된 물이 최종 정수필터 유출측 연결관(122)과 접속된 온수측 유출구(122)를 통해 냉각통(140)의 내부 하부의 저수부(W)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동시에 냉각코일(143)에 의해 냉각되며, 본체(110) 외부에서 냉수 배출콕크(151)를 작동시킬 경우 냉수측 유출구(141)를 통해 냉각통 저수부(W) 하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고, 온수 배출콕크(152)를 작동시킬 경우 온수측 유출구(142)를 통해 유출되는 냉각통 저수부(W) 상부의 물이 히팅블록(160)에 의해 가열되어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냉각통(140)의 물이 외부로 인출되면 새로이 정화된 물이 냉각통(140) 내부로 유입되어 냉각통(140)에는 항상 일정수위의 물이 저장될 수 있게 되는 바, 도 2 및 도 3a, 도 3b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수위감지스위치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냉각통(140)의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피스톤판(146)이 상승하면서 저수부(W)의 수위가 올라가게 되면 피스톤판(146) 상부의 공기충전부(A)의 용적이 줄어들게 되면서 그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공기충전부(A)의 압력과 정수된 물의 유입압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면 냉각통(140) 내부로 더 이상 정화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며,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냉각통 밀폐덮개(144)의 하단 중앙에 수위감지스위치(180)가 설치된 경우에는 냉각통(140)의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피스톤판(146)이 상승하면서 저수부(W)의 수위가 올라가게 되어 피스톤판(146) 상단 중앙의 작동돌기(182)가 수위감지스위치(180)의 스위치돌기(181)에 접촉되어 수위감지스위치(180)를 작동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원수공급밸브(190)가 밀폐되므로 냉각통(140) 내부로 더 이상 정화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냉각통(140)의 상단부가 밀폐덮개(144)를 통해 완전히 밀폐되고, 냉각통(140) 내부 하부의 저수부(W)도 피스톤판(146)에 의해 완벽하게 밀폐되므로 냉각통(140)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이 냉각통(140) 내부로 침투할 수 없게 되고, 그에 따라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정수필터(120)를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냉각통(140)의 내부를 피스톤판(146)을 통해 상부의 공기충전부(A)와 하부의 저수부(W)로 분리하고, 밀폐덮개(144)를 통해 냉각통(140)의 상단부를 완전히 밀폐하는 동시에 밀폐덮개(144)의 하단과 피스톤판(146) 상단의 사이에 압축스프링(147)을 설치하며, 최종 정수필터(120) 유출측 연결관(122)을 히팅블록(160)을 통해 온수측 유출구(142)에 접속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정수필터(120)를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냉각통(140)의 저수부(W)를 피스톤판(146)과 밀폐덮개(144)를 통해 완벽하게 밀폐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이 냉각통(140) 내부에 저장되는 물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맑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정수기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a는 동 실시예의 냉각통 물 공급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3b는 동 실시예의 냉각통 최고수위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냉각통 물 공급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4b는 동 실시예의 냉각통 최고수위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정수기 110 : 본체
120 : 정수필터 122 : 최종 정수필터 유출측 연결관
123 : T접속관 140 : 냉각통
142 : 온수측 유출구 143 : 냉각코일
144 : 밀폐덮개 146 : 피스톤판
147 : 압축스프링 151, 152 : 배출콕크
160 : 히팅블록 170 : 단열재통
174 : 단열재캡 180 : 수위감지스위치
181 : 스위치돌기 182 : 작동돌기
190 : 원수공급밸브

Claims (4)

  1. 본체(110)의 내부에 원수공급밸브(190)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정수필터(120) 및 각 정수필터(120)를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통(140)이 설치되고, 본체(110)의 외부 전면에 냉각통(140)의 물을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콕크(151)(152)가 설치되며, 냉각통(140)에 저장되는 정화된 물을 냉각하여 차가운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통(140)의 외부 둘레에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코일(143)이 설치되고, 냉각통(140)에서 인출되는 물을 가열하여 뜨겁게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통(140)의 온수측 유출구(142)에 히팅블록(160)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140)의 내부를 상부의 공기충전부(A)와 하부의 저수부(W)로 분리하는 피스톤판(146)을 냉각통(140)의 내부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냉각통(140)의 상단부를 완전히 밀폐하도록 냉각통(140)의 상단에 밀폐덮개(144)를 설치하는 동시에 밀폐덮개(144)의 하단과 피스톤판(146) 상단의 사이에 압축스프링(147)을 설치하며, 최종 정수필터 유출측 연결관(122)을 히팅블록(160)을 통해 온수측 유출구(142)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통 밀폐덮개(144)의 내부 상단 중앙에 별도의 제어장치를 통해 원수공급밸브(19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감지스위치(180)를 설치하고, 피스톤판(146)의 상단 중앙에 상기 수위감지스위치(180)의 스위치돌기(18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돌기(182)를 설치하여 냉각통(140) 내부의 물이 일정수위에 이른 경우 원수공급밸브(190)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최종 정수필터 유출측 연결관(122)의 선단에 T접속관(123)을 설치하고, T접속관(123)의 일단부에 드레인밸브(124)를 설치하여 냉각통(140)을 청소할 때에 냉각통(140) 내부의 물을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냉각통(140)의 외부 둘레에 단열재통(170)을 설치함은 물론 밀폐덮개(144)의 외부 둘레에도 단열재캡(17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20-2005-0004365U 2005-02-18 2005-02-18 정수기 KR200384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65U KR200384535Y1 (ko) 2005-02-18 2005-02-18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65U KR200384535Y1 (ko) 2005-02-18 2005-02-18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396A Division KR100621058B1 (ko) 2005-02-18 2005-02-18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535Y1 true KR200384535Y1 (ko) 2005-05-16

Family

ID=4368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365U KR200384535Y1 (ko) 2005-02-18 2005-02-18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5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90Y1 (ko) 2006-12-08 2012-05-02 김대운 냉이온정수기용 냉각조
CN114917652A (zh) * 2022-06-10 2022-08-19 袁芳 一种多级回流防堵塞的水环式真空泵及净水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90Y1 (ko) 2006-12-08 2012-05-02 김대운 냉이온정수기용 냉각조
CN114917652A (zh) * 2022-06-10 2022-08-19 袁芳 一种多级回流防堵塞的水环式真空泵及净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058B1 (ko) 정수기
KR101094567B1 (ko) 음수기
US8114286B2 (en) Water treatment device
KR101269438B1 (ko) 필터카트리지가 장착된 냉온 살균정수꼭지
JP2008264780A (ja) 水処理装置。
KR200384535Y1 (ko) 정수기
CN104829024A (zh) 净水设备的过滤系统和具有其的净水设备
KR100439730B1 (ko)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CN104039714B (zh) 净水滤筒以及净水器
CN105626906B (zh) 一种组合式废水阀
KR200260159Y1 (ko)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CN111348792B (zh) 一种蒸馏净水机
KR200405857Y1 (ko) 냉이온수기용 냉수통
KR20020021228A (ko) 정수기의 냉각장치
KR200327037Y1 (ko) 절전 기능을 구비한 냉온 이온 정수기
KR102040685B1 (ko) 수처리장치
KR200213800Y1 (ko) 정수기의 냉각장치
KR200255484Y1 (ko) 이온 냉온정수기
KR101647647B1 (ko) 고탁도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KR100993892B1 (ko)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CN208617588U (zh) 一种净水设备用过滤装置
KR100576256B1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KR20130131965A (ko)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KR200257574Y1 (ko)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KR20220153290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