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574Y1 -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 Google Patents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574Y1
KR200257574Y1 KR2019980017041U KR19980017041U KR200257574Y1 KR 200257574 Y1 KR200257574 Y1 KR 200257574Y1 KR 2019980017041 U KR2019980017041 U KR 2019980017041U KR 19980017041 U KR19980017041 U KR 19980017041U KR 200257574 Y1 KR200257574 Y1 KR 200257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auxiliary head
filter
c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039U (ko
Inventor
손상훈
Original Assignee
손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훈 filed Critical 손상훈
Priority to KR2019980017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57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574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한 수도꼭지 보조헤드에 있어서, 연결관과 보조헤드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수도물을 안내할수 있는 투명관을 연결되게 장착하고, 투명관은 상부 캡과 하부캡으로 나누며, 투명관내에는 여과망에 의해 감싸진 활성탄 필터가 내장되고, 상기 상부캡 하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 나사산과 하부캡의 나사홈 사이에 고무패킹을 삽입후 나사식으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수도물을 여과시켜 식수로 사용할수 있고, 또한 별도의 크기가 큰 정수기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 부담이 적고, 사용하기 편리하다.

Description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본 고안은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수도꼭지 보조헤드에 수도물을 여과시켜 식수로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수도꼭지 보조헤드(1)에는 수도물의 토출형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전환장치(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보조헤드(1)의 상단은 수도꼭지(3)와 연결되는 연결관(2)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2)내에는 수도꼭지(3)와 고정되도록 조임볼트(4)를 설치하며, 보조헤드(1)의 하단내에는 전환장치(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어 보조헤드(1)하단을 좌우 회전시킴에 따라 샤워식으로 나오거나 직수로 곧바로 흘러 나오게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도꼭지 보조헤드(1)는 여과기능이 없으므로 수도물중에 함유 가능성 높은 각종 세균등과 같은 유기물에 의한 오염이 심각한데 그 원인은 각 가정에 연결된 수도관이 노후됨에 따라 유기물이 침입하거나 수저장 탱크내의 각종 미생물 즉, 대장균,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균등과 같은 각종 전염성 세균 및 박테리아 등에 의한 것으로 이 때문에 인체가 해를 입게되고 이러한 오염물질에 의한 냄새 및 맛 등에 의해 음용시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각 가정에는 수도꼭지(3)에 정수기(미도시)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가격이 고가일 뿐 아나라 식기 청소기등을 할 때도 불필요하게 여과기를 거쳐 물이 나오게 되어 있어 정수기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출한 실용신안공보 95-1526호(명칭:수도꼭지용 정수기)에 의하면 수도꼭지에 접속가능하게 한 정수기 케이스 내에 수도수의 정수처리를 하는 필터유닛을 수납하여 되는 수도꼭지용 정수기에 있어서, 동필터유닛의 상류측부에 수도수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막을각 위치에 설치함과 동시에 동 필터유닛에 투수(透水)가능한 덮개를 통하여 필터막을 착탈 자유로이 장착한 것이고, 또한 수도꼭지에 붙인 정수기 케이스를 한쪽에 블록하게 내어 그 블록한 부분에 필터유닛을 가로상태로 수납하고 동유닛의 상류측부에 투수 가능한 덮개를 통하여 수도수 중의 불술물을 제거하는 1차 펄터막을 고정하여 수도수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 필터를 계속 교체해주여야 하고, 정수기 케이스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수도꼭지에 장착시 또 다른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에서 여과된 다량의 물은 필터 표면에 불결하게 퇴적된 잔여물에 세균이 번식하여 여과수를 2차 오염시키므로 또다른 문제점을 야기 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연결관과 보조헤드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수도물을 안내할수 있는 투명관을 연결되게 장착하고, 상기 투명관은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나누며, 투명관내에는 여과망에 의해 감싸진 활성탄 필터가 내장되고, 상기 상부캡 하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 나사산과 하부경의 나사홈사이에 고무패킹을 삽입후 나사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수도물을 여과시켜 식수로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수도꼭지 보조헤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의 투명관 분해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수도꼭지 보조헤드 102 : 연결관
103 : 수도꼭지 104 : 투명관
105 : 상부캡 105a: 나사산
106 : 하부캠 106a: 나사홈
105b,106b:단턱 107 : 여과망
108 : 활성탄 필터 109 : 고무패킹
110 : 경사홈 111 : 조임볼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도꼭지(103)와 연결되는 연결관(102)을 구비한 수도꼭지 보조헤드(10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2)과 보조헤드(101)사이에 수직방향으로수도물을 안내할수 있는 투명관(104)을 연결되게 장착하고, 상기 투명관(104)은 상부캡(105)과 하부캡(106)으로 나누며, 투명관(104)내에는 여과망(107)에 의해 감싸진 활성탄 필터(108)가 내장되고, 상기 상부캡(105)하단에 나사산(105a)을 형성하여 이 나사산(105a)과 하부캡(106)의 나사홈(106b)사이에 고무패킹(109)을 삽입후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05)과 하부캡(106)의 각각에는 활성탄 필터(108)를 고정하기 위한 단턱(105b),(106b)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캡 단턱(106b)의 영역을 벗어나는 곳에 여과된 물이 보조헤드(101)로 안내될수 있도록 경사홈(110)을 형성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의 작동상태를 도 2 및 도 3 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2 는 본 고안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를 보인 실시예 구성도 이고, 도 3 은 도 2 에서의 필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단면도 이다.
먼저, 도 3 에 도시한 바와같이 투명관(104)은 상부캡(105)과 하부캡(106)으로 나누고, 이 분리된 상태에서 여과망(107)에 의해 감싸진 활성탄 필터(108)를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캡(105)하단에는 나사산(105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나사산(105a)과 하부캡(106)의 나사홈(106a)사이에 고무페킹(109)을 삽입후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투명관(104)은 연결관(102)과 수도꼭지 보조헤드(101)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수도물을 안내할수 있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관(104)의 상단에 연결된 연결관(102)을 수도꼭지(103)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102)내에는 수도물의 수압에 의해 투명관(104)과 보조헤드(101)가 빠지지 않도록 조임볼트(111)로 고정한다.
이렇게 고정한 후 수도물을 사용하면 정수되지 않은 물이 연결관(102)을 통해 투명관(104)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상기 투명관(104)내에는 여과망(107)에 의해 감싸진 활성탄 필터(108)가 상부캡(105)과 하부캡(106)의 각각에 형성된 단턱(105b),(106b)에 고정되어 있어, 수도물의 수압에도 움직이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정수되지 않은 물이 상기 활성탄 필터(108)를 통과하게 되고, 통과된 물은 여과망(107)을 지나 불순물을 제거후 하부캡(106)에 여과된 물이 보조헤드(101)로 안내될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홈(110)에 의해 보조헤드(101)로 안내된다.
참고로 상기 활성탄 필터(108)는 활성탄의 분자 흡착작용에 의하여 불순물, 냄새 및 색소 등을 제거하며, 특히 소독용 잔류염소의 제거기능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후 여과된 물은 보조헤드(101)내에 설치된 전환장치(미도시)에 의해 샤워식으로 나오거나 직수로 곧바로 흘러 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관(104)은 내부가 유관으로 식별할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시 필터의 상태를 확인하여 투명관(104)의 교체 시기를 알수 있다.
본 고안은 수도물을 여과시켜 식수로 사용할수 있고, 또한 별도의 크기가 큰 정수기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설치가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 부담이 적고,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도꼭지(103)와 연결되는 연결관(102)을 구비한 수도꼭지 보조헤드(10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2)과 보조헤드(101)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수도물을 안내할수 있는 투명관(104)을 연결되게 장착하고, 상기 투명관(104)은 상부캡(105)과 하부캡(106)으로 나누며, 투명관(104)내에는 여과망(107)에 의해 감싸진 활성탄 필터(108)가 내장되고, 상기 상부캡(105)하단에 나사산(105a)을 형성하여 이 나사산(105a)과 하부캡(106)의 나사홈(106b)사이에 고무패킹(109)을 삽입후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05)과 하부캡(106)의 각각에는 활성탄 필터(108)를 고정하기 위한 단턱(105b),(106b)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캡 단턱(106b)의 영역을 벗어나는 곳에 여과된 물이 보조헤드(101)로 안내될수 있도록 경사홈(1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KR2019980017041U 1998-09-08 1998-09-08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KR200257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041U KR200257574Y1 (ko) 1998-09-08 1998-09-08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041U KR200257574Y1 (ko) 1998-09-08 1998-09-08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039U KR20000006039U (ko) 2000-04-06
KR200257574Y1 true KR200257574Y1 (ko) 2002-08-08

Family

ID=6952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041U KR200257574Y1 (ko) 1998-09-08 1998-09-08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5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810B1 (ko) * 2019-05-21 2019-08-19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KR102371303B1 (ko) * 2019-10-29 2022-03-04 한 의 박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039U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7805A (en) Rechargeable water filter
KR0152144B1 (ko)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장치
KR200257574Y1 (ko)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CN101479015B (zh) 净水器系统和用于该系统的过滤元件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CN104039714B (zh) 净水滤筒以及净水器
KR101009654B1 (ko) 정수필터장치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KR100499804B1 (ko) 정수기의 필터 연결 장치
KR200384535Y1 (ko) 정수기
CN214808852U (zh) 一种净水设备
KR100576256B1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KR200202974Y1 (ko) 정수기의 휠터 카트리지 장착장치
KR102557680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JPH01262983A (ja) 浄水器
CN108773950A (zh) 一种新型净水设备
KR200199539Y1 (ko) 정수장치
CN209835707U (zh) 一种水质处理器用的壳体结构
KR200181877Y1 (ko)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
CN2561776Y (zh) 一种净水器的内置式结构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KR200188324Y1 (ko)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KR200279762Y1 (ko) 연수기
KR200156052Y1 (ko) 정수기의 물저장 및 급수장치
CN2228902Y (zh) 超滤纯水家用饮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