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877Y1 -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877Y1
KR200181877Y1 KR2019990027015U KR19990027015U KR200181877Y1 KR 200181877 Y1 KR200181877 Y1 KR 200181877Y1 KR 2019990027015 U KR2019990027015 U KR 2019990027015U KR 19990027015 U KR19990027015 U KR 19990027015U KR 200181877 Y1 KR200181877 Y1 KR 200181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water supply
reservoi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구
Original Assignee
김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구 filed Critical 김찬구
Priority to KR2019990027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8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수/온수의 토출이 가능한 냉/온 정수기에 적용되어 정수조와 저수조를 연결하기 위한 급수부재의 구조를 개선함과 더불어 저수조커버에 대해서는 상이한 치수의 저수조에도 결합가능하도록 개선한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도수를 정수하여 저장하는 정수조와, 그 정수조에 대해 급수부재를 매개하여 수로연통되도록 설치되면서 그 상단에는 저수조커버가 결합되는 저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수기에서, 상기 급수부재는 그 상단에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는 나사형상부가 형성된 급수관본체와, 상기 정수기의 하단 내부와 외부에서 상기 급수관 본체에 삽착되는 제 1 및 제 2의 수밀링 및, 상기 정수기의 하단 외부에서 상기 급수관 본체의 나사형상부에 조임결합되는 결합볼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수조커버의 중앙에는 상기 급수관 본체의 지지를 위한 제 1 및 제 2의 급수관지지부가 그 저수조커버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저수조커버의 외주변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저수조결합홈이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Purified water reservoir connecting apparatus for purifier}
본 고안은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정수기에 부가되어 정수조로부터의 정수를 저수조에 급수하기 위한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도관에 직결되어 수도수를 정수하여 토출밸브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상태로 제공하도록 된 냉/온수 정수기가 널리 보급되는 상황이다.
그러한 정수기는 수도수가 급수되면 예컨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프리필터라든지 염소성분이나 유기화학물질 또는 세균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기본필터, 중금속과 독극성 화학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되고 그 여과된 물이 정수조에 저장되어 에컨대 자외선 살균램프에 의해 살균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정수조에 수용된 정수는 급수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온수 및 냉수 저수조에 급수되는 바, 그 저수조에 저수된 정수는 디스펜서로서의 냉수/온수 토출밸브를 통해 토수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참조부호 1로 표시된 정수조는 케이스(2)의 상측에 재치되고, 그 케이스(2)의 내부에는 상기 정수조(1)로부터의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3)가 설치된다. 상기 정수조(1)는 급수부재(4)를 통해 상기 저수조(3)에 정수를 급수하게 되는 바, 그 급수부재(4)는 상기 정수조(1)와 상기 저수조(3)의 사이에 삽설되는 급수관(5)과, 상기 정수조(1)의 하단(1a)의 내측에는 상기 급수관(5)의 외주변에 수밀적으로 설치되는 제 1의 커버(6)와 제 1의 수밀링(7)이 제공되고 그 정수조(1)의 하단(1a)의 외측에는 상기 제 1의 커버(6) 및 제 1의 수밀링(7)에 대응하여 제 2의 수밀링(8)과 제 2의 커버(9)가 제공되며, 상기 제 1의 커버(6) 및 제 1의 수밀링(7)과 상기 제 2의 수밀링(8) 및 제 2의 커버(9)에 의해 상기 급수관(5)은 상기 정수조(1)의 하단(1a)을 수밀적으로 관통하도록 배설된다.
또, 상기 급수관(5)으로부터 급수되는 정수를 수용하는 저수조(3)의 상단에는 그 저수조(3)내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더불어 그 저수조(3)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저수조커버(10)가 결합되고, 그 저수조커버(10)의 중앙은 관통되어 상기 급수관(5)이 연설되게 된다.
도 2는 상기 저수조커버(10)의 사시도로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상기 저수조커버(10)의 중앙에는 상기 저수조커버(10)의 일방향으로 돌설되면서 관통된 형태의 급수관지지부(10a)가 형성되고, 그 저수조커버(10)의 외주변에는 상기 저수조(3)의 상측단에 삽입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절곡부(10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조(1)로부터 연설되는 급수관(5)이 상기 저수조커버(10)의 급수관지지부(10a)를 관통하여 연설됨에 따라 상기 정수조(1)로부터 상기 급수관(5)을 매개하여 상기 저수조(3)에 정수가 공급된다. 또, 상기 저수조커버(10)의 외주변에 형성된 절곡부(10b)에 의해 정의되는 요홈에 상기 저수조(3)의 상측단을 끼움고정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저수조(3)내로의 이물질의 유입이라든지 그 저수조(3)로부터의 누수가 방지되게 된다.
그런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5)을 상기 정수조(1)의 하단(1a)에 수밀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급수부재(4)는 상기 정수조(1)의 내부에서 상기 제 1의 커버(6) 및 제 1의 수밀링(7)을 상기 급수관(5)에 삽착하고나서 그 정수조(1)의 하단(1a)의 외측에서 상기 제 2의 수밀링(8) 및 제 2의 커버(9)를 삽착해야함에 따라 그 수밀결합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3)의 상측에 결합되는 저수조커버(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급수관지지부(10a)는 해당하는 저수조커버(10)의 일측방향으로만 돌설된 상태임에 따라 그 저수조(3)내의 수압이 상승되어 그 저수조커버(10)가 예컨대 상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면 상기 급수관(5)의 이탈가능성이 상존할 뿐만 아니라, 그 저수조(3)의 외주변에 형성된 절곡부(10b)는 단지 하나만이 형성됨에 따라 저수조(3)의 치수에 대한 범용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수조와 저수조를 연결하기 위한 급수부재의 구조를 개선함과 더불어 저수조커버는 상이한 치수의 저수조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도록 개선한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수를 정수하여 저장하는 정수조와, 그 정수조에 대해 급수부재를 매개하여 수로연통되도록 설치되면서 그 상단에는 저수조커버가 결합되는 저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재는 그 상단에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는 나사형상부가 형성된 급수관본체와, 상기 정수기의 하단 내부와 외부에서 상기 급수관 본체에 삽착되는 제 1 및 제 2의 수밀링 및, 상기 정수기의 하단 외부에서 상기 급수관 본체의 나사형상부에 조임결합되는 결합볼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수조커버의 중앙에는 상기 급수관 본체의 지지를 위한 제 1 및 제 2의 급수관지지부가 그 저수조커버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저수조커버의 외주변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저수조결합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르면 정수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급수관본체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의 하측에 제 1의 수밀링을 결합하고나서 상기 정수기의 하단 외부에서 상기 제 2의 수밀링을 삽착하여 결합볼트부로 조임결합하게 되면 상기 정수기의 하단에 급수부재가 수밀적으로 결합된다.
그 상태에서, 저수조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저수조커버의 제 1 또는 제 2의 저수조결합홈을 상기 저수조와 결합하고나서 그 저수조커버의 중앙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급수관지지부의 관통공에 상기 급수관 본체를 결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급수관 본체에 대한 이탈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저수조커버의 범용성이 확보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수조커버의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를 구성하는 급수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를 구성하는 저수조커버의 단면도,
도 5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를 구성하는 급수부재와 저수조커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정수조, 2: 케이스,
3: 저수조, 4: 급수부재,
5: 급수관, 10: 저수조커버,
20: 급수부재, 21: 급수관 본체,
26: 결합볼트부, 30: 저수조커버,
30a,30b: 제 1, 제 2의 급수관지지부,
31: 제 1의 저수조결합홈, 32: 제 2의 저수조결합홈.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에 포함되는 급수부재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저수조커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저수조연결장치에서 참조부호 20으로 표시된 급수부재는 급수관 본체(21)의 상단에 스토퍼기능을 갖는 헤드부(22)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헤드부(22)의 하측에 일정한 폭으로 나사형상부(23)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22)의 하측에서 상기 나사형상부(23)의 외측에는 예컨대 러버(Rubber)재의 제 1의 수밀링(24)이 결합된다.
또, 상기 급수부재(20)에는 정수조의 하단 외측에서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 2의 수밀링(25)이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나사형상부(23)에 치합되어 해당하는 급수부재(20)를 상기 정수조의 하단 외측에서 수밀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부(26)도 포함된다.
또, 도 4에 도시된 상기 저수조커버(30)는 그 중앙의 상측과 하측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형성된 급수관지지부(30a,30b)가 형성되고, 그 급수관지지부(30a,30b)의 내부는 상기 급수관 본체(21)가 삽입되는 관통공(30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커버(30)의 외주변에서 하측에는 제 1의 저수조결합홈(31)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제 1의 저수조결합홈(31)의 외주변에서 상기 저수조커버(30)의 상측에는 제 2의 저수조결합홈(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저수조커버(30)의 외주변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1의 저수조결합홈(31)은 비교적 작은 직경의 저수조에 대한 결합에 적용되는 반면, 상기 저수조커버(30)의 상측에서 상기 제 1의 저수조결합홈(31)의 외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2의 저수조결합홈(32)은 비교적 큰 직경의 저수조에 대한 결합에 적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에 의하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재(30)의 헤드부(22)의 외주에 제 1의 수밀링(24)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정수기(40)의 내부로부터 상기 급수관 본체(21)를 상기 정수기(4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정수기(40)의 하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 2의 수밀링(25)을 삽착하고나서 상기 결합볼트부(26)를 상기 급수관 본체(21)의 나사형상부(22)에 조임결합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정수기(40)의 하단에 대한 수밀성이 확보되는 상태로 상기 급수부재(40)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커버(30)는 그 외주변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제 1의 저수조결합홈(31) 또는 제 2의 저수조결합홈(32)을 저수조(50)의 직경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고나서 상기 저수조커버(30)의 중앙에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된 급수관지지부(30a,30b)의 관통공(30c)을 통과하도록 상기 급수관 본체(21)의 하단을 끼움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커버(30)의 중앙에 형성된 급수관지지부(30a,30b)는 그 상측과 하측에서 일정한 높이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상기 저수조(50)의 수압이 상승되어 상기 저수조커버(30)가 예컨대 상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도 상기 급수관 본체(21)가 상기 저수조커버(30)의 관통공(30c)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는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바, 예컨대 상기 저수조커버(30)의 외주변에 형성되는 저수조결합홈은 상기 저수조(50)의 직경에 대해 보다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에 따르면 정수조와 저수조를 연결하기 위한 급수부재를 구성하는 급수관 본체의 상측에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결합볼트부에 의한 수밀결합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급수부재에 대한 연결설치가 보다 수월해지게 된다. 또한, 저수조커버의 중앙에 형성되는 급수관지지부를 그 저수조커버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급수관 본체의 이탈이 극력 억제되며, 그 저수조커버의 상/하측 외주단에는 상호 다른 치수의 저수조결합홈이 복수로 형성됨에 따라 저수조의 직경에 대한 범용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수도수를 정수하여 저장하는 정수조와, 그 정수조에 대해 급수부재를 매개하여 수로연통되도록 설치되면서 그 상단에는 저수조커버가 결합되는 저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재는 그 상단에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는 나사형상부가 형성된 급수관본체와, 상기 정수기의 하단 내부와 외부에서 상기 급수관 본체에 삽착되는 제 1 및 제 2의 수밀링 및, 상기 정수기의 하단 외부에서 상기 급수관 본체의 나사형상부에 조임결합되는 결합볼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수조커버의 중앙에는 상기 급수관 본체의 지지를 위한 제 1 및 제 2의 급수관지지부가 그 저수조커버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커버의 외주변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저수조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
KR2019990027015U 1999-12-03 1999-12-03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 KR200181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015U KR200181877Y1 (ko) 1999-12-03 1999-12-03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015U KR200181877Y1 (ko) 1999-12-03 1999-12-03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877Y1 true KR200181877Y1 (ko) 2000-05-15

Family

ID=1959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015U KR200181877Y1 (ko) 1999-12-03 1999-12-03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8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81Y1 (ko) 2008-12-17 2012-04-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81Y1 (ko) 2008-12-17 2012-04-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1877Y1 (ko) 정수기의 저수조연결장치
CN101479015B (zh) 净水器系统和用于该系统的过滤元件
KR101009654B1 (ko) 정수필터장치
KR100494595B1 (ko) 정수기의 필터 장치
KR102557680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KR920005912B1 (ko) 정수기
KR20170136238A (ko) 활성탄소섬유필터가 구비된 샤워기
KR200257574Y1 (ko)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KR20040037823A (ko) 정수기의 필터 장치
KR101728983B1 (ko)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JP3900047B2 (ja) 水浄化カートリッジ
KR200202974Y1 (ko) 정수기의 휠터 카트리지 장착장치
KR20000010270U (ko) 수도꼭지 결합용 소형 정수기
JP2003285052A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KR200207677Y1 (ko) 정수기용 세라믹 필터 어셈블리
KR200320277Y1 (ko) 정수기능을 갖는 생수통
KR0133567Y1 (ko) 휴대용 정수기
RU2113410C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водоочис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фляга"
KR200157235Y1 (ko) 정수기용 메쉬 커플러
KR200231480Y1 (ko) 수돗물의 정수장치
KR100397874B1 (ko) 정수용 취수밸브장치
KR0185810B1 (ko) 정수용 이중실린더형 중공사막 카트리지
JPH073790U (ja) 浄水器
KR100760021B1 (ko) 정수필터
KR0168275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