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983B1 -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 Google Patents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983B1
KR101728983B1 KR1020160076460A KR20160076460A KR101728983B1 KR 101728983 B1 KR101728983 B1 KR 101728983B1 KR 1020160076460 A KR1020160076460 A KR 1020160076460A KR 20160076460 A KR20160076460 A KR 20160076460A KR 101728983 B1 KR101728983 B1 KR 101728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low fiber
fixing plate
fiber membran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제
Original Assignee
김승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제 filed Critical 김승제
Priority to KR102016007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구가 하부 중앙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에 상하단이 각각 거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사막을 포함하는 다수의 멤브레인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하부고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상기 하부고정판(30) 사이에 설치되어 하폐수 내에 산소를 공급하고 상기 중공사막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산기관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하폐수는 상기 중공사막의 외주면에서 중심쪽을 향해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상기 중공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고정판의 상면으로 안내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유지관리비용과 제작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Pressure Type 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가압식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하폐수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하폐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정화하는 수처리 방법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 중공사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중공사막은 무균수, 음용수, 초순수 제조 등 정밀 여과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하/폐수처리, 정화조에서의 고액 분리, 산업폐수에서의 부유 물질 제거, 하천수의 여과, 공업용수의 여과, 및 수영장 물의 여과 등으로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중공사막을 이용한 여과는 그 운전 방식에 따라 가압식 여과와 침지식 여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 가압식 여과는 처리해야 할 하폐수에 압력을 가하여 중공사막 표면의 미세기공을 통해 각종 박테리아와 부유물질의 집합체인 활성슬러지 중의 고형물질들과 물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공사막은 각각의 외측면에 케이싱이 설치되어 케이싱 내부에 하폐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여과 과정이 수행되는데, 중공사막 각각에 케이싱을 설치하다보니 유지관리가 어렵고 설치면적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유지관리비와 제작설치비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출원번호:10-2012-0011839 (공개번호:10-2013-0090592, 발명의 명칭:중공사막체를 이용한 오폐수의 고도처리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지관리비용과 제작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폐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는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구가 하부 중앙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에 상하단이 각각 거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사막을 포함하는 다수의 멤브레인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하부고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하부고정판 사이에 설치되어 하폐수 내에 산소를 공급하고 상기 중공사막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산기관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하폐수는 상기 중공사막의 외주면에서 중심쪽을 향해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상기 중공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고정판의 상면으로 안내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고정판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하폐수가 통과하는 물통과홀이 다수 형성됨과 아울러 다수의 하부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관통홀을 둘러싸는 베이스캡이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멤브레인모듈은 상기 중공사막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관통홀에 삽입되는 하부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판은 다수의 상부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멤브레인모듈은 상기 중공사막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관통홀에 삽입되는 상부고정구와, 상기 상부관통홀을 통하여 상부고정판의 상면에 노출되는 상부고정구의 외측면에 나선결합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너트의 상면에는 정화된 물이 상기 중공사막의 중공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하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시키는 인디케이터가 설치되되;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조임너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정화된 물이 중공사막의 중공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할 때 상측으로 회동하여 중공 상단을 개방하는 커버와; 양단이 상기 커버와 상기 투명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커버가 하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일정 값 이상이면, 압력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가 다수의 중공사막 중 하나 이상의 중공사막 외측면이 슬러지에 의해 폐색된 것으로 파악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중공사막의 중공 내부에는 압력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중공 내부의 압력이 일정 값 미만이면, 압력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가 해당 중공사막의 외측면이 슬러지에 의해 폐색된 것으로 파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는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다수개의 중공사막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우징 내부로 하폐수가 유입되면 다수의 중공사막이 동시에 하폐수를 필터링할 수 있어서, 적은 설치면적으로 많은 양의 하폐수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효율이 우수하고 구조가 단순한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중공사막은 각각의 중공사막 외측에 케이싱을 설치하여 여과기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은 하우징 하나에 케이싱이 없는 다수의 중공사막을 설치하면 되므로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과 제작설치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멤브레인모듈의 설치와 교체과정이 단순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의 멤브레인모듈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로 필터링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에 압력센서가 설치된 모습을 간략하게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의 멤브레인모듈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로 필터링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에 압력센서가 설치된 모습을 간략하게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고정판(20) 및 하부고정판(30)과, 상기 상부고정판(20)과 하부고정판(30)에 상하단이 각각 거치되는 다수의 멤브레인모듈(4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5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덮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원형 또는 사각 통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10)의 측면 일측에는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투시창(11)이 구비되어 있고, 상단 외주면에는 보강앵글(12)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에는 유입구(13)와 배출구(14) 및 하우징(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구(15)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구(13)는 하우징(10)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이 곳을 통해 하폐수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배출구(14)는 하우징(10)의 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이 곳을 통해 정화된 물이 배출된다. 즉 상기 유입구(13)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하폐수는 상기 멤브레인모듈(40)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구(15)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하폐수를 드레인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고정판(20)은 원판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고정판(20)에는 다수의 상부관통홀(2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고정판(30)은 원판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고정판(20)과 하부고정판(3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은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가장 아래의 공간인 하우징(10)의 바닥면과 하부고정판(30) 사이의 공간은 하폐수가 유입되는 공간이고, 중간 공간인 상부고정판(20)과 하부고정판(30) 사이의 공간은 멤브레인모듈(40)에 의하여 필터링이 진행되는 공간이며, 상부 공간인 덮개(60)와 상부고정판(20) 사이의 공간은 상기 멤브레인모듈(40)에 의해 정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하여 흘러가는 공간이다.
한편, 상기 하부고정판(30)에는 다수의 물통과홀(31)이 형성되고, 다수의 하부관통홀(32)이 형성되며, 저면에 베이스캡(33)이 구비된다.
상기 물통과홀(3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4각 형태의 구멍으로써, 상기 유입구(13)를 통하여 유입된 하폐수가 하우징(10)의 바닥면과 하부고정판(30) 사이의 공간에 점점 차오르다가 이 물통과홀(31)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고정판(20)과 하부고정판(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하부관통홀(32)은 상기 멤브레인모듈(4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상기 베이스캡(33)은 상기 하부관통홀(32)을 둘러싸도록 하부고정판(30)의 저면에 볼록하게 설치된다. 즉 베이스캡(33)은 하부고정판(30)의 저면에서 하부관통홀(32)을 둘러쌈으로써 산기관(50)을 통해 산소 공급시에 물의 와류현상으로 인해 멤브레인모듈(40)의 하단부가 하부관통홀(32)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멤브레인모듈(40)은 중공사막(41)과, 상기 중공사막(41)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고정구(42)와, 상기 중공사막(41)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고정구(43)와, 상기 상부고정구(43)에 체결되는 조임너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공사막(41)은 둥근 원기둥 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중공(4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사막(41)은 실질적으로 하폐수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고정구(42)는 상기 중공사막(4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관통홀(3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수용부(42a)와, 상기 수용부(42a)의 저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42b)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42a)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된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공사막(41)의 하단 부분을 둘러싼다. 이러한 수용부(42a)는 그 직경이 상기 하부관통홀(32)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2b)는 상기 하부관통홀(32)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캡(33)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상부고정구(43)는 상기 중공사막(41)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관통홀(2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대직경부(43a)와, 상기 대직경부(43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소직경부(43b)로 구성된다.
상기 대직경부(43a)는 중공사막(41)의 상단 외주면 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상부관통홀(21)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부관통홀(21)에 상부고정구(43)를 설치했을 때 상부고정판(20)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기 소직경부(43b)는 상기 중공사막(41)의 상단 외주면 부분을 둘러싸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관통홀(21)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부관통홀(21)을 통해 상부고정판(20) 상면에 노출된다.
상기 조임너트(44)는 상기 상부고정판(20)의 상면에 노출되는 상부고정구(43)의 소직경부(43b) 외측면에 나선결합된다. 이러한 조임너트(44)는 상기 상부관통홀(21)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판(20)의 상면에 접한다.
상기 산기관(50)은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상기 하부고정판(30) 사이에 설치되어 하폐수 내에 산소를 공급함과 아울러 중공사막(41)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앵글(51)을 설치하고, 이 앵글(51) 위에 산기관(50)을 설치하여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일정거리 이격시킨다. 그리고, 산기관(50)에 형성되는 다수의 산기홀(50a)은 상기 하부고정판(30)의 물통과홀(31)과 일직선상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산기홀(50a)을 통해서 분출되는 산소가 상기 멤브레인모듈(40)이 설치된 공간에 직접적으로 유입되고 중공사막(41)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할 수 있다.
상기 덮개(60)는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강앵글(12)에 볼팅되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하폐수를 필터링하는 멤브레인모듈(40)의 중공사막(41)에 의해 정화된 물이 상기 중공사막(41)의 중공(41a)을 통해 상측으로 정상적으로 유동하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인티케이터(70)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인디케이터(70)는 투명관(71)과, 상기 투명관(71) 내부에 설치되는 커버(72)와, 상기 투명관(71)과 커버(72)를 연결하는 스프링(73)으로 구성된다.
상기 투명관(71)은 명칭 그대로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재질의 관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조임너트(44)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72)는 상기 투명관(71)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공사막(41)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물이 상기 중공사막(41)의 중공(41a)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할 때 그 정화된 물에 밀려 상측으로 회동한다. 이렇게 커버(72)가 상측으로 회동함으로써 막고 있던 중공(41a) 상단을 개방한다. 커버(72)가 상측으로 회동을 한 상태가 유지되면 중공사막(41)이 정상적으로 하폐수를 필터링하여 정화된 물을 중공(41a)을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필터링을 해야 하는 하폐수를 계속 공급하고 있는데 다수의 중공사막(41)에서 어느 하나의 중공사막(41)에 설치된 커버(72)가 상측으로 회동을 하지 않고 있다면, 이것은 중공사막(41)의 외측면이 슬러지에 의해 폐색되어 정상적으로 필터링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중공사막(41)의 외측면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거나 해당 중공사막(41)을 교체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72)에는 다수의 투수홀(72a)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사막(41)을 교체하지 않고 중공사막(41)의 외측면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하기 위하여 필터링되어 배출된 물을 역으로 공급하여 역세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이러한 역세를 위해 상기 투수홀(72a)을 통해 깨끗한 물을 중공사막(41)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스프링(73)은 양단이 상기 투명관(71) 내측면과 상기 커버(72)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스프링(73)은 상기 커버(72)가 하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중공사막(41)의 중공(41a)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는 정화된 물이 없거나 아주 적은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73)이 커버(72)를 하측으로 잡아당겨 커버(72)가 중공사막(41)의 중공(41a) 상단을 밀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디케이터(70)에 의한 시각적 확인을 통해 중공사막(41) 표면의 폐색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압력센서(80)를 통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압력이나 중공사막(41)의 중공(41a) 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중공사막(41)의 폐색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압력센서(80)를 설치하여 중공사막(41)의 폐색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력센서(80)를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압력센서(80)에 의해 하우징(10) 내부의 압력이 측정되면, 이 압력의 측정값이 상기 압력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C)에 전송된다. 제어부(C)에 전송된 하우징(10) 내부의 압력이 일정 값 이상이 되면 제어부(C)는 다수의 중공사막(41) 중 하나 이상의 중공사막(41) 외측면이 슬러지에 의해 폐쇄된 것으로 파악한다. 이렇게 제어부가 파악하면 부저나 램프와 같은 별도의 표시수단을 통해 외부에 경고를 보내어 중공사막(41)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중공사막(41)의 중공(41a) 내부에 압력센서(80)를 설치하여 중공사막(41)의 폐색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력센서(80)를 중공사막(41)의 중공(41a)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압력센서(80)에 의해 중공사막(41)의 중공(41a) 내부 압력이 측정되면, 이 압력의 측정값이 상기 압력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C)에 전송된다. 제어부(C)에 전송된 중공(41a) 내부의 압력이 일정 값 미만이 되면 제어부(C)는 압력센서(80)가 설치된 해당 중공사막(41)의 외측면이 슬러지에 의해 폐쇄된 것으로 파악한다. 이렇게 제어부(C)가 파악하면 부저나 램프와 같은 별도의 표시수단을 통해 외부에 경고를 보내어 중공사막(41)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를 이용하여 하폐수를 정화하는 방법 및 정화된 물이 배출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10)의 유입구(13)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하폐수가 유입되면, 이 하폐수는 점점 차올라 하부고정판(30)의 물통과홀(31)을 통해 멤브레인모듈(40)이 설치된 공간으로 유입된다.
멤브레인모듈(40)이 설치된 공간, 즉 상부고정판(20)과 하부고정판(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하폐수는 상기 중공사막(41)의 외주면에서 중심쪽을 향해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즉 하폐수는 중공사막(41)을 측면에서 중앙쪽으로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정화된다. 이렇게 정화된 물은 중공사막(41)의 중공(41a)으로 유입된 후 중공(41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중공사막(41)의 중공(41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물은 상부고정판(20)의 상면으로 안내된 후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된다.
10: 하우징 11: 투시창
12: 보강앵글 13: 유입구
14: 배출구 15: 배수구
20: 상부고정판 21: 상부관통홀
30: 하부고정판 31: 물통과홀
32: 하부관통홀 33: 베이스캡
40: 멤브레인모듈 41: 중공사막
41a: 중공 42: 하부고정구
42a: 수용부 42b: 돌출부
43: 상부고정구 43a: 대직경부
43b: 소직경부 44: 조임너트
50: 산기관 50a: 산기홀
51: 앵글 60: 덮개
70: 인디케이터 71: 투명관
72: 커버 72a: 투수홀
73: 스프링 80: 압력센서
C: 제어부

Claims (7)

  1.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3)가 하부에 설치되고, 정화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4)가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구(15)가 하부 중앙에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부관통홀(21)이 형성된 상부고정판(2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하폐수가 통과하는 물통과홀(31)이 형성됨과 아울러 다수의 하부관통홀(32)이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하부관통홀(32)을 둘러싸는 베이스캡(33)이 구비된 하부고정판(30)과;
    내부에 중공(41a)이 형성된 중공사막(41)과, 상기 중공사막(4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관통홀(32)에 삽입되는 하부고정구(42)와, 상기 중공사막(41)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관통홀(21)에 삽입되는 상부고정구(43)와, 상기 상부관통홀(21)을 통하여 상부고정판(20)의 상면에 노출되는 상부고정구(43)의 외측면에 나선결합되는 조임너트(44)로 이루어진 다수의 멤브레인모듈(40)과;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상기 하부고정판(30) 사이에 설치된 산기관(50)과;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덮개(60)와;
    상기 조임너트(44)의 상면에 설치되어 정화된 물이 상기 중공사막(41)의 중공(41a)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하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시키는 인디케이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하폐수는 상기 중공사막(41)의 외주면에서 중심쪽을 향해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상기 중공(41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고정판(20)의 상면으로 안내된 후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인디케이터(70)는 상기 조임너트(44)의 상면에 설치되는 투명관(71)과;
    다수의 투수홀(72a)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관(71)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정화된 물이 중공사막(41)의 중공(41a)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할 때 상측으로 회동하여 중공(41a) 상단을 개방하는 커버(72)와;
    양단이 상기 커버(72)와 상기 투명관(71)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커버(72)가 하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압력센서(80)가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80)에 의해 측정된 하우징(10) 내부의 압력이 일정 값 이상이면, 압력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C)가 다수의 중공사막(41) 중 하나 이상의 중공사막(41) 외측면이 슬러지에 의해 폐색된 것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공사막(41)의 중공(41a) 내부에는 압력센서(80)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80)에 의해 측정된 중공(41a) 내부의 압력이 일정 값 미만이면, 압력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C)가 해당 중공사막(41)의 외측면이 슬러지에 의해 폐색된 것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KR1020160076460A 2016-06-20 2016-06-20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KR101728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460A KR101728983B1 (ko) 2016-06-20 2016-06-20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460A KR101728983B1 (ko) 2016-06-20 2016-06-20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983B1 true KR101728983B1 (ko) 2017-04-20

Family

ID=5870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460A KR101728983B1 (ko) 2016-06-20 2016-06-20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7220A1 (fr) * 2018-01-31 2019-08-02 Fondation D'entreprise Veolia Environnement Module pour la filtration d'eau, procede de filtration, procede de lavage et installation de filtration corresponda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6764A1 (en) * 2009-08-11 2011-02-17 Yen-Liang Lin Replaceabl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JP2011110498A (ja) * 2009-11-26 2011-06-09 Kobelco Eco-Solutions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水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6764A1 (en) * 2009-08-11 2011-02-17 Yen-Liang Lin Replaceabl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JP2011110498A (ja) * 2009-11-26 2011-06-09 Kobelco Eco-Solutions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水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7220A1 (fr) * 2018-01-31 2019-08-02 Fondation D'entreprise Veolia Environnement Module pour la filtration d'eau, procede de filtration, procede de lavage et installation de filtration correspondants
WO2019149709A1 (fr) * 2018-01-31 2019-08-08 Fondation D'entreprise Veolia Environnement Module pour la filtration d'eau, procede de filtration, procede de lavage et installation de filtration correspond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4654B2 (en) In-home water treatment system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KR0152144B1 (ko)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장치
US7241380B2 (en) Ultraviolet treatment unit and septic tank system
KR101728983B1 (ko) 고도처리용 하폐수 가압식 여과기
KR101029589B1 (ko) 다중 스트로 여과막을 구비한 복합 수처리 장치
KR20120053854A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KR101393533B1 (ko) 다양한 산기 방식이 적용된 드래프트 튜브형 끈상 미생물 접촉 여재 정화 장치를 이용한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 방법
KR100196745B1 (ko) 유동형 tio2 코팅 충전물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모듈
KR20130001044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425907B1 (ko) 유연성 섬유사 필터 모듈을 이용한 정밀 여과장치
KR101469634B1 (ko)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KR20090089776A (ko) 양방향 유로관 및 그를 이용한 블록형 정수 장치
CN205294913U (zh) 污水除氯用的预过滤装置
KR101935878B1 (ko) 상향류식 모래여과기의 제어 장치
CN103626316A (zh) 一种用于受重金属污染饮用水源的应急处理装置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CN220642683U (zh) 纯水水箱
CN207918629U (zh) 分散点源污水处理系统
RU2292307C2 (ru) Колонна электрофлотосорбционная кэфс-1
KR100500967B1 (ko) 정수 시스템
KR101921501B1 (ko)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KR101142721B1 (ko) 분리막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KR101412852B1 (ko) 세디먼트 필터
KR100539055B1 (ko) 이온 정수기의 알칼리수 냄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