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501B1 -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501B1
KR101921501B1 KR1020180059782A KR20180059782A KR101921501B1 KR 101921501 B1 KR101921501 B1 KR 101921501B1 KR 1020180059782 A KR1020180059782 A KR 1020180059782A KR 20180059782 A KR20180059782 A KR 20180059782A KR 101921501 B1 KR101921501 B1 KR 101921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ltration
unit
filter material
contamin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홍
Original Assignee
이세홍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홍,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세홍
Priority to KR102018005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01D24/4621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by nozzles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 material, or by fluids acting in co-current direction with the feed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오염된 여과재를 세척하기 위해 마련되는 부가설비, 예컨대, 여과처리장치 내에서 여과반응을 행한 후, 오염상태로 변화된 여과재를 세척하기 위해 마련되는 역세수 공급수단을, 별도 수도관 연결을 통한 상수 내지 별도 저장공간 내에 충진된 저장수 등의 사용을 필요함 없이, 여과처리되며 배출되는 초기우수 내지 산업용 폐수의 부상유도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순환 세척되게 함으로 써, 여과처리장치 구축의 효율성과 취급성 그리고, 경제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침전조와 여과조가 분리격막에 의해 구획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구획된 여과조 내에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를 더 설치 형성하고;
상기 설치된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의 구성을, 직립 설치구조를 취하는 업 리프팅 유닛과, 상기 업 리프팅 유닛 상부 외경면을 감싸며 결합 설치되는 여과재 분류유닛과, 상기 여과재 분류유닛 하부면으로 연장 연결되는 여과재 마찰유닛과, 상기 업 리프팅 유닛의 하부 외경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오염수 공급유닛으로 형성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Filtration material continuous filtration type filtration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여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재에 의한 흡착작용에 의해 초기우수 내지 산업폐수 등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름 정화되게 하는 여과처리장치에 있어, 상기 흡착 걸름작용에 의해 오염된 여과재를, 별도 마련된 역세수, 예컨대, 상수 내지 저장수 등의 사용을 필요함 없이, 여과처리되는 초기우수 내지 산업폐수의 부상유도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순환 세척되게 하고, 특히, 상수를 역세수로 사용하는 것을 배제되게 함에 따라 역세수 저장수단은 물론, 저장된 역세수를 강제공급 및 분사하는 장치, 예컨대, 역세수 저장탱크, 세척수 공급배관, 분사노즐, 펌프, 콤퓨레셔 등 부가설비의 구축 또한 원천배제되도록 한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물질이라 함은, 비특정 오염원, 면 오염원, 이동 오염원 또는 기타 수질 오염원 등으로 정의된다.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자연현상인 초기우수 발생에 있어, 그 초기우수에 씻기어 유출되는 지표면의 오염물질, 예컨대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 동,식물의 잔여물 등을 의미하고, 그외 또 다른 오염원인으로, 지하차도, 터널, 교량 등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세척시 발생하는 인위적인 오염유출수, 예컨대, 동절기, 도로에 살포되어 잔류하는 염화칼슘과 같은 제설제 성분 등이 포함된 세척용수가 바로 비점오염원에 해당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농업, 임업, 광공업 등의 산업활동 뒤 배출되는 물, 예컨대, 산업폐수에는 인체에 치명적 영향을 주는 발암물질 내지 돌연변이 물질, 예컨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등과 같은 유기계 오염물질, 각종 중금속, 기타 질소나 인 등과 같은 부영양화염류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로 인해, 비점오염물질 내지 산업폐수가 정화되지 못한 채, 강이나 하천 등의 식수원 또는 해수 등에 그대로 유입될 경우 각종 질병유발 및 자연생태계의 파괴 등과 같은,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과 같이 산업화 및 도시화된 현대사회에서는, 상기와 같은 비점오염물질 내지 산업폐수 등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수리학적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내 건전한 물순환 구조를 구축하여, 수 생태 보전과 함께 효율적 유역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각종 여과처리장치 등이 다양한 기술적 구성으로 널리 개발 이용되는 실정이다.
이에, 일반적인 종래 여과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침전조와 여과조를 월류격막에 의해 구획 형성하고, 구획된 여과조 내에 여과필터를 수용 설치하며, 재차, 여과반응에 의해 오염된 여과필터를 역세척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과조 내에 고압의 세척수와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배관라인을 구축하고, 여기에 더하여, 구축된 배관라인을 통해 역세수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구성, 예컨대, 수도관 연결을 통해 역세수를 공급하는 상수공급수단 내지 역세수를 저장하는 탱크, 기타 펌프, 콤프레셔 등을 필수구성요소로 연계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과처리장치는, 오염된 여과필터를 세척처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역세수 공급설비, 예컨대, 상수공급수단 내지 역세수 저장탱크, 펌프, 콤프레셔 등의 구성을 필수적으로 연계구축해야 함에 따라 과다한 설치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이러한 역세수 공급수단의 연계설치로 인해 여과처리장치의 설비구축작업을 매우 번잡하고 난해하게 함은 물론, 그로 인해, 설비비용을 과다소모되게 하는 등, 이용효율성 및 취급성, 그리고, 경제성 모두를 극히 저하되게 하는 문제점 또한 있다.
한편, 최근 발표된 대한민국 환경부의 상수도설계기준에 의하면, 급수관(수도관)의 오염을 예방하고자, 역세척 설비가 필요한 여과처리장치를 구축함에 있어, 그 여과처리장치에 역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 중, 특히, 수도관과의 직접연결을 통한 상수의 사용을 법률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현실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법률적 제약으로 인해, 기존 수도관 연결을 통해 상수를 세척수로 이용하던 여과처리설비들은, 역세수 공급설비의 변경이 불가피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여과처리설비는 수도관 연결을 통해 상수를 역세수로 사용하지 못할 경우, 상수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역세수, 예컨대, 빗물 또는 지하수 등을 보관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역세수 저장탱크를 구비해야 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역세수 저장탱크가 구비될 경우, 저장된 역세수를 여과조 내로 공급하여 세척작업을 행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부가 설비,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 전기, 계장, 배관설비 등의 구축 또한 필연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효율성과 취급성 그리고 경제성 저하의 폐단이 지속적으로 상존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역세척 설비가 필요한 종래 여과처리장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된 여과재를 세척하기 위해 마련되는 부가 설비, 예컨대, 여과처리장치 내에서 여과 반응을 행한 후, 오염상태로 변화된 여과재를 세척하기 위해 마련되는 역세수 공급수단을, 별도 수도관 연결을 통한 상수 내지 별도 저장공간 내에 충진된 저장수 등의 사용을 필요함 없이, 여과처리되며 배출되는 초기우수 내지 산업용 폐수의 부상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순환 세척되게 함으로 써, 여과처리 장치 구축의 효율성과 취급성 그리고 경제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된 여과재를 세척하기 위해 마련되는 역세수 공급수단, 그중에서도 특히, 수도관과의 직접연결을 통해 상수를 이용하였던 기존의 역세수 공급방식을 원천배제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수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아울러, 상수도관의 오염원인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침전조와 여과조가 분리격막에 의해 구획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구획된 여과조 내에 여과재 유도부상 세척장치를 더 설치 형성하고;
상기 설치된 여과재 유도부상 세척장치의 구성을, 직립 설치구조를 취하는 업 리프팅 유닛과, 상기 업 리프팅 유닛 상부 외경면을 감싸며 결합 설치되는 여과재 분류유도유닛과, 상기 여과재 분류유닛 하부면으로 연장 연결되는 여과재 마찰유닛과, 상기 업 리프팅 유닛의 하부 외경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오염수 공급유닛으로 형성되게 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 장치는, 오염된 여과재를 역세척 함에 있어, 별도의 역세수 공급수단, 예컨대, 수도관 연결을 통한 상수의 사용 내지 저장탱크 내에 충진된 저장수 등의 사용을 필요함 없이, 여과처리되며 배출되는 초기우수 내지 산업용 폐수의 부상 유도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순환 세척되게 한 것으로, 이는, 여과처리 장치 구축에 따른 설비작업의 효율성과, 구축된 설비를 운영함에 따른 취급성, 그리고, 설비 비용을 절감 되게하는 경제성 모두를 만족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는, 오염된 여과재를 세척하기 위한 기존의 다양한 역세수 공급방식에 있어, 특히, 수도관과의 직접연결을 통한 상수의 사용을 원천 배제되게 한 것으로, 이는, 불필요한 수자원의 낭비는 물론, 상수도관의 오염원인을 근본적으로 예방되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의 이 실시예 내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의 이 실시예 단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침전조(100)와 여과조(200), 그리고, 여과조(200) 내로 설치되는 업 리프팅 유닛(1)과, 여과재 분류유닛(2)과, 여과재 마찰유닛(3)과, 오염수 공급유닛(4)으로 이루어진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침전조(100)는, 초기우수 내지 산업용 폐수 등의 오염수를 외부로부터 최초 유입되게 하여, 그 유입 오염수에 포함된 고형슬러지를 1차 형태로 침전 처리하는 소정용량의 저장 공간부 구성인바, 이와 같은, 침전조(200)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측면에 침전 처리된 오염수를 후술하는 여과조(200) 내에 상향류 방식으로 흐름 전달하는 오염수 유입배관(101)을 연결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침전조(100)는, 저장 공간부 상부 측에 오염수 유입배관(101)을 연결 형성한 상향류 전달구조에 한정되는 아니며, 또 다른 이 실시예 구성으로, 침전조(100) 내측 공간부를 도 4 및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월류격막(102)에 의해 구획 형성하여, 침전 처리된 오염수를 후술하는 여과조(200)에 하향류 흐름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을 아니다.
또한, 상기 여과조(200)는, 전술한 침전조(100)를 통해 1차 형태로 침전처리된 오염수를, 2차 형태로 여과처리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인바, 이와 같은, 여과조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100)의 일측면에 분리격막(D)에 의해 구획된 소정용량의 공간부 구성으로 형성되고, 그와 같은, 공간부 구성의 여과조(200) 내측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재(F)를 분산 수용시킨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여과조(200)내로 수용되는 여과재(F)는, 오염수에 포함된 각종 미세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통상의 여과수단으로서, 이러한, 여과재(F)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유리분말과, 활성탄분말과, 황토분말과, 산화철분말과, 알루미늄 분말로 혼합 형성된 흡착소재에, 탄소환원제와 산화제 또는, 셀페이트 등의 산화성분들이 함유된 기포형성제를 첨가혼합하여, 고온 및 고압 소성가공에 의해 비중 1.2 이하, 예컨대, 오염수의 와류 및 유동작용에 의해 부상될 수 있는 작은 알갱이 형태로 성형하여 이용한다.
한편, 상기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300)는, 여과조(200) 내에서 여과 반응을 통해 오염된 여과재(F)를, 여과 처리된 오염수와 함께 부상시켜, 그 오염된 여과재(F)를 연속 세척되게 함과 동시에, 여과처리된 오염수는 외부로 배출하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지구성인바;
이와 같은,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300)에 있어, 상기 업 리프팅 유닛(1)은,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은 막힘되고, 하단면은 개방된 소정 길이의 직립 파이프구성으로 하여, 그 파이프 구성의 상부 외경면에 상,하 다단 관통구조의 월류유도공(111)(111')을 형성한 업 리프트관(11)을 기초구성으로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업 리프트관(11)의 하단 외경면에 소정 면적의 원판구성, 예컨대, 원추형 날개막(12)을 결합 형성하며, 재차, 상기 구축된 업 리프트관(11)의 내경 중앙부에 얇은 파이프구조의 에어공급관(13)을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관통구조로 설치 형성하고, 그와 같이, 설치 형성된 에어공급관(13)의 상단부를 연장시켜 외부에 별도 마련된 압축공기 발생장치(C)와 연결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업 리프팅 유닛(1)에 있어, 상기 에어공급관(13)은, 업 리프트관(11) 내경에 수직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이 실시예 구성으로, 도 4 및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업 리프트관(11)에 있어, 원추형 날개막(12) 형성부위 하단 중앙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설치구조로 에어공급관(13')을 수평설치하고. 그와 같이, 수평 설치되는 에어공급관(13')을 여과조(200)의 외측 일면으로 관통 연장시켜 외부에 별도 마련된 압축공기 발생장치(C')와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단순한 설계변경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300)에 있어, 상기 여과재 분류유닛(2)은, 전술한 업 리프트관(1)의 월류유도공(111)(111') 형성부위를 수용하는 원형의 내통 구성으로,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경면에 제1 분류배출공(211)을 관통 형성하고, 하단면에 개방된 제1 순환유도로(212)를 형성한 제1 월류유도관(21)을 구성시키며;
상기 제1 월류유도관(21)의 외경면을 감싸는 원형의 중간통 구성으로, 도 3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면에 상,하 높이를 달리하는 다단구성의 제2 분류배출공(221)을 형성하고, 하단면에 개방된 제2 순환유도로(222)를 형성한 제2 월류유도관(22)을 구성시키며;
재차, 상기 제2 월류유도관(22)의 외경면을 감싸는 원형의 외통 구성으로,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배기공(231)을 형성하고, 하단면에 막힘된 요홈구조의 수로(232)를 형성하며, 수로 일측면에 배수관(233)을 더 연결형성한 여과오염수 배출관(23)을 구성하여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300)에 있어, 상기 여과재 마찰유닛(3)은,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성으로, 전술한 업 리프트관(11)의 외경면 둘레에 이격된 공간구성의 여과재 세척부(311)를 구비되게 하는 형태로하여 세척유도관(31)을 설치 형성하고, 재차, 상기 여과재 세척부(311)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망 구조를 취하는 나선 계단형의 흐름 유도수단, 예컨대, 충격마찰 베플판(32)을 결합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300)에 있어, 상기 오염수 공급유닛(4)은,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침전조(100)로부터 1차 침전처리된 오염수를 유도하는 침전오염수 유도배관(41)을 형성하고, 상기 침전오염수 유도배관(41)을 통해 유도되는 침전오염수를 여과조(200) 내로 분산 공급하기 위해, 전술한 업 리프트관(11)의 하부 외경면 둘레를 감싸며 결합 형성되게 한 원통형 구성의 침전오염수 분산유도관(42)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침전오염수 분산유도관(42)의 하부 외경면 일측과 타측면에 소정길이를 갖는 수평 연장구성으로 침전오염수 배출관(43)을 형성하고, 침전오염수 배출관(43) 외경면 둘레에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다수개의 관통 배열구성으로 분산배출공(431)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오염수 공급유닛(4)은, 침전조(100)에서 1차 침전처리된 오염수를 여과조(200)내로 전달하는 수단인바,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침전조(100)가 전술한 바와 같은 이 실시예의 구성, 예컨대, 침전조(100)의 내측 공간부에 월류격막(102)을 구획 형성하고, 그에 따라, 침전 처리된 오염수를 여과조(200) 내에 하향류 흐름방식으로 전달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오염수의 전달수단인 상기 오염수 공급유닛(4)의 구성을 배제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의 결합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도 1로 바와 같이, 침전조(100)와, 여과조(200)가 분리격막(D)에 의해 구획 형성된 여과처리장치를 기초 구성으로 하여, 상기 구획된 여과조(200) 내측면에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300)를 설치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300)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설치구조를 취하는 업 리프팅 유닛(1)의 상부 외경면을 감싸는 구성으로 여과재 분류유닛(2)을 결합 설치하고;
상기 여과재 분류유닛(2) 하부면에,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재 마찰유닛(3)을 연장 연결구성으로 결합 설치하며;
연속하여,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업 리프팅 유닛(1)의 하부 외경면에 밀착되며 감싸는 구성으로 오염수 공급유닛(4)을 결합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를 구현한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의 사용기능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여과처리를 요하는 오염수는, 최초 오염수 유입배관(101)을 통해 침전조(100)로 유입되고, 유입 오염수에 포함된 고형의 슬러지는 1차 형태로 침전조(100) 내에 침전처리된다.
이어, 고형슬러지가 침전처리된, 침전오염수는 재차, 오염수 공급유닛(4), 예컨대, 침전오염수 유도배관(41)과, 침전오염수 분산유도관(42)과, 침전오염수 배출관(43)을 통해 순차적으로 유도 흐름되며 여과조(200)로 공급되고, 공급되는 침전오염수는, 여과조(200)내에 분산 수용된 여과재(F)에 의해 여과처리된다.
이때, 침전오염수를 여과처리한 여과재(F)는, 여과반응에 의해 오염되는 것인바, 이에, 여과반응 과정에 있어, 에어공급관(13)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여과조(200) 하부에 다량의 버블이 발생하며 침전오염수에 와류 내지 유동 외력이 부여되고, 그 부여된 와류 내지 유동 외력에 의해 여과재(F)는 부상한다.
이후, 부상하는 여과재(F)는, 여과조(200)로 유입되는 침전오염수의 수위 상승작용에 따라 업 리프트관(11)을 통해 동반 상승하며, 업 리프트관(11)의 상부 월류유도공(111)(111')을 통해 여과재 분류유닛(2)으로 흐름 이동되고, 흐름 이동되는 여과재(F)와 침전오염수는, 제1 배플관(21)과, 제2 배플관(22)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비중차이에 의한 자동분류, 예컨대, 여과재(F)는 제1 순환유도로(211) 및 제2 순환유도로(222)를 통해 낙하하여 여과재 마찰유닛(3)으로 전달되고, 침전오염수는, 여과재(F)와의 반응에 의해 여과처리된 상태로 여과오염수 배출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 순환유도로(211) 및 제2 순환유도로(222)를 통해 낙하하여 여과재 마찰유닛(3)으로 전달되는 여과재(F)는, 세척유도관(31)의 여과재 세척부(311)를 경유하며, 충격마찰 베플판(32)에 의한 마찰작용과, 여과조(200)내 수위가 상승되는 침전오염수와의 충돌작용에 의해 여과재(F)에 흡착된 오염물질이 연속적으로 세척되게 함으로써, 일련의 기능을 행하게 된다.
1 : 업 리프팅 유닛 2 : 여과재 분류유닛
3 : 여과재 마찰유닛 4 : 오염수 공급유닛
11 : 업 리프트관 12 : 원추형 날개막
13 : 에어공급관 21 : 제1 월류유도관
22 : 제2 월류유도관 23 : 여과오염수 배출관
31 : 세척유도관 32 : 마찰유도 베플판
41 : 침전오염수 유도배관 42 : 침전오염수 분산유도관
43 : 침전오염수 배출관 100 : 침전조
200 : 여과조 300 :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
F : 여과재

Claims (5)

  1. 초기오염수가 유입되는 침전조(100)와, 여과재(F)가 분산수용된 여과조(200)가 분리격막(D)에 의해 구획 형성된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된 여과조(200) 내측면에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300)를 더 설치 형성하고, 상기 설치 형성된 여과재 부상 세척장치(300)의 구성을 직립 설치구조를 취하는 업 리프팅 유닛(1)과, 상기 업 리프팅 유닛(1) 상부 외경면을 감싸며 결합 설치되는 여과재 분류유닛(2)과, 상기 여과재 분류유닛(2) 하부면으로 연장 연결되는 여과재 마찰유닛(3)과, 상기 업 리프팅 유닛(1)의 하부 외경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오염수 공급유닛(4)으로 형성한 여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분류유닛(2)은, 업 리프트관(1)의 월류유도공(111)(111') 형성부위를 수용하는 원형의 내통 구성으로 상부 외경면에 제1 분류배출공(211)을 관통 형성하고, 하단면에 개방된 제1 순환유도로(212)를 형성한 제1 월류유도관(21)과;
    상기 제1 월류유도관(21)의 외경면을 감싸는 원형의 중간통 구성으로, 외경면에 상,하 높이를 달리하는 다단구성의 제2 분류배출공(221)을 형성하고, 하단면에 개방된 제2 순환유도로(222)를 형성한 제2 월류유도관(22)과;
    상기 제2 월류유도관(22)의 외경면을 감싸는 원형의 외통 구성으로, 상부면에 배기공(231)을 형성하고, 하단면에 막힘된 요홈구조의 수로(232)를 형성하며, 수로 일측면에 배수관(233)을 더 연결형성한 여과오염수 배출관(23)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 리프팅 유닛(1)은, 상단면이 막힘되고 하단면은 개방된 직립 파이프구성을 취하며, 그 파이프 구성의 상부 외경면에 다단 관통구조의 월류유도공(111)(111')을 형성한 업 리프트관(11)과;
    상기 업 리프트관(11)의 하단 외경면에 결합 형성되는 원추형 날개막(12)과;
    상기 업 리프트관(11)의 내경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설치되는 에어공급관(13)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마찰유닛(3)은, 상,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 구성으로, 업 리프트관(11)의 외경면 둘레에 이격된 공간구성의 여과재 세척부(311)를 형성하며 설치되는 세척유도관(31)과,
    상기 여과재 세척부(311)로 결합 형성되는 나선 계단형 망 구조의 충격마찰 베플판(32)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 공급유닛(4)은, 침전조(100)로부터 1차 침전처리된 오염수를 유도하는 침전오염수 유도배관(41)과;
    상기 침전오염수 유도배관(41)을 통해 유도되는 침전오염수를 여과조(200) 내로 분산 공급하기 위해 업 리프트관(11)의 하부 외경면 둘레를 감싸며 결합 형성되게 한 원통형 구성의 침전오염수 분산유도관(42)과;
    상기 침전오염수 분산유도관(42)의 하부 외경면 일측과 타측면에 수평 연장구조로 형성되는 침전오염수 배출관(4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침전오염수 배출관(43)은, 그 외경면 둘레에 다수개의 분산배출공(431)을 더 관통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KR1020180059782A 2018-05-25 2018-05-25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KR101921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82A KR101921501B1 (ko) 2018-05-25 2018-05-25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82A KR101921501B1 (ko) 2018-05-25 2018-05-25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501B1 true KR101921501B1 (ko) 2018-11-26

Family

ID=6460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82A KR101921501B1 (ko) 2018-05-25 2018-05-25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5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310A (ja) 2002-03-12 2003-09-16 Takuma Co Ltd 上向流移動床式砂ろ過器の運転監視方法および上向流移動床式砂ろ過器
KR101826085B1 (ko) * 2016-11-02 2018-02-06 (주)대신환경기술 무반류 연속세정 상향류 여과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310A (ja) 2002-03-12 2003-09-16 Takuma Co Ltd 上向流移動床式砂ろ過器の運転監視方法および上向流移動床式砂ろ過器
KR101826085B1 (ko) * 2016-11-02 2018-02-06 (주)대신환경기술 무반류 연속세정 상향류 여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00714B1 (ko)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KR200417011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874063B1 (ko) 스크린과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US20050263448A1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113989B1 (ko)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186604B1 (ko) 활성바이오 담체를 이용한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2291828B1 (ko) 이동형 정수처리장치
KR102382837B1 (ko) 오폐수용 사이클론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수질 감시장치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0931522B1 (ko) 미생물접촉재와 메쉬망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921501B1 (ko) 여과재 연속 세척형 여과처리장치
KR100719944B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CN101952015A (zh) 废水处理设备和处理废水的方法
KR101846252B1 (ko) 설비구조 및 여과기능을 개선시킨 비점오염원 단계별 저감장치
US20050167372A1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392662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KR20170011353A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