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324Y1 -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 Google Patents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324Y1
KR200188324Y1 KR2020000000293U KR20000000293U KR200188324Y1 KR 200188324 Y1 KR200188324 Y1 KR 200188324Y1 KR 2020000000293 U KR2020000000293 U KR 2020000000293U KR 20000000293 U KR20000000293 U KR 20000000293U KR 200188324 Y1 KR200188324 Y1 KR 200188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water tank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일
Original Assignee
유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일 filed Critical 유성일
Priority to KR2020000000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3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 B61D5/08Covers or access opening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후된 수도관에서 나오는 녹물과 이물질 등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한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식수를 공급하는 종래의 수도관(1)에 나사가 결속된 물탱크(A) 내부 중앙 바닦에 돌출소켓나사(12)를 형성하여 여과기(B)를 결합할 수 있게하고 물탱크(A) 내부에 여과기(B)를 설치하되 상기여과기(B)는 물이 통과하는 1차여과실(18) 2차여과실(15) 3차여과실(20)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단 중앙에는 물탱크(A)와 나사결합되는 돌출나사(22)가 있어 물탱크(A) 내의 돌출소켓나사(12)와 결합되어 물탱크(A) 안의 물이 여과기(B) 내를 통과하여 정수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Filter water tank}
종래의 수도관은 부식으로 인하여 식수가 오염되 국민의 건강을 해치기 때문에, 여러 가정에서 경제적으로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없을까 하던 중 이 방법이 좋을 것이라 생각.
본 고안은 종래의 수도관에서 녹물등 오염되어 나오는 식수를 물탱크 내에서 물을 여과하여 보내는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이 오염되는 것은 수원지에서 잘못된 경우와 수도관이 노후되어 녹물등 이물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노후된 수도관에서 나오는 식수가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기존의 개인이 사용하는 정수기들이 있으나, 값이 비싸고 관리비가 많이들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개발품은 여러 가정이 공동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원리로서 수도관에서 오염된 물이 물탱크로 유입된 후 물탱크안의 여과장치에서 여과된 후 각 가정으로 공급되게 되어있다.
공동주택을 지을 때 물탱크를 설치하게 되므로 본 개발 물탱크를 설치하면, 개인의 정수기 없이도 정수된 물을 공급받게 된다.
종래의 수도관 파이프에서 고압으로 나온 녹물 등의 오염물이 물탱크 내에서 일부 침전되고, 나머지 일부가 저압으로 여과기를 거처 나가므로 녹물등을 제거토록 하였다. 또 역수압 밸브를 설치하여 여과기내 여과재를 세척할 수 있게하여 여과기의 수명을 높였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구조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물탱크 B- 여과기
1-(종래의)수도파이프 2- 밸 브 3- 뜨개 개폐 밸브
4- 뜨개볼 5- 뚜껑(마개) 6- 공기필터흡배출관
7- 전원쁘럭 8- 투명관 9- 자외선등
10- 배수콕크 11- 물 입구 12- 돌출소켓나사
13- 여과재충전마개 14- 2차 여과통겸 마개
14-1- 격리판고정 소켓 15-2차여과실
16- 여과재 다공판 고정나사 17-1차 여과몸통
17-1- 여과몸통 밑판 17-2-1차 여과몸통 고정 홈
17-3-3 차 여과몸통 고정 홈 17-4- 숫나사
18-1차여과실 19-3차여과몸통 20-3차여과실
21- 여과재 보호망 22-고정나사(숫나사) 23- 여과재 보호망
24- 격리판 25-2차여과재 보호망 26- 배출통로
26-1- 이송파이프 27- 역수압 밸브 28- 파이프
29- 압력 밸브 30- 배출 밸브 31- 급수배관연결부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탱크(A)의 내부에 여과기(B)를 설치하여 물탱크의 물이 여과기(B)에 의해 정수되어 식수로 공급하게 되는 원리다. 종래의 수도관 파이프(1)를 물탱크(A)와 결합되있는 밸브(2)에 나사연결(결합)하고 물탱크(A) 내부의 뜨개개폐밸브(3)와 나사결합하여 수돗물이 물탱크(A) 내로 유입되게 되며, 뜨개볼(4)에 의하여 수위가 조정되며 내부 청소용뚜껑(5)을 상부에 설치하고 물탱크(A) 내부에 진공을 방지하고 곤충 먼지 등을 방지하는 공기필터 부착관(6)을 설치하고 세균을 멸균할 수 있는 멸균등(9)을 필요시 설치할 수 있게 전원쁘럭(7)과 밀폐된 투명관(8)을 한조로 하여 상단에 조립하고 내부 청소콕크(1O)를 맨 하단벽에 설치하고 내부 중앙바닦에 여과기(B)를 부착하도록 돌출소켓나사(12)를 형성하고 나사중앙에 정수배출통로(26)를 형성, 이송파이프(26-1)와 나사결합하고 배출밸브(30)와 연결되어 여과기(B)에서 나온 정수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 물탱크(A) 외부에 설치된 역수압밸브(27)를 설치하여 위에는 수도관 파이프(1) 아래로는 압력밸브(29), 물 이송파이프(26-1)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여과기(B) 내부 청소할 때 사용하는 밸브다. 압력밸브(29)는 물탱크(A) 파이프관(28)과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여과기(B)의 막힘이 있을 때, 물탱크(A) 내의 물을 공급하는 보조역활의 보조밸브이다. 또한 물탱크(A) 내의 여과기(B)는 1차여과실(18) 2차여과실(15) 3차여과실(20)로 구성되어 있으며(편의상 먼저 2차여과실 겸 몸통부터 설명하면) 맨 위에 여과재마개(캡)(13)와 여과기 몸체마개(14) 내부홈에 칸막이 격리판(24)을 밀착하여 끼우고 격리판 고정소켓(14-1)을 나사결합하면 2차여과실(15)이 완성되며 (이를 총칭 2차여과실 겸 몸통이라함) 여과재 보호망(25)은 칸막이 격리판(24) 내에 고정되어 있다. 여과재 충전은 충전마개(캡)(13)를 열고 충전 후 결합하면 된다.
1차여과실(18)은 1차여과통(17) 상단에 나사(17-4)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은 민짜로 되어있어 여과통 받침과(17-1) 상부 돌출부(17-2)에 강제밀어 끼우고 접착하면 완성되고 여과통받침판(17-1) 밑부분 중앙에 물탱크(A) 내부 돌출소켓나사(12)와 결합하는 나사(22)가 돌출 형성되어있다. 또 3차 여과통(19)을 삽입할 수 있는 돌출(17-3) 홈이 있다.
3차여과실(20)은 3차여과통(19) 윗 부분은 나사(16)로 되어있고 밑은 여과통받침판(17-1) 내부중앙 돌출홈(17-3)에 삽입접착으로 완성되며 1차 3차 여과실(18,20) 내 바닦에 여과재 보호망(21)을 깔고 1차 여과실(18) 활성탄 3차여과실(20) 천연옥석 여과재를 충전하고, 여과재 보호망(23) 고정나사(16)에 고정하고, 2차여과실 몸통을 여과통(17) 상단 나사(17-4)에 결합시켜 여과기(B)가 완성되는 구조이며 여과기(B) 하부 돌출나사(22)를 물탱크(A) 내부 돌출소켓나사(12)와 결합하면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가 완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수도관파이프(1)로부터 식수를 공급받은 밸브(2)는 물탱크(A) 내로 물을 유입시켜 여과기(B) 내의 1차여과실(활성탄)(18) 2차여과실(활성탄)(15) 3차여과실(천연옥)(20)을 통과하는 동안 정수되어 깨끗한 물이 나오게 된다. 여과기(B) 막힘이 있을시는 압력밸브(29)가 개폐되어 물을 공급하게 되며 공기필터(6)를 장치하여 벌레나 먼지등을 막을 수 있게 했다.
여과기(B) 내부 여과재세척은 밸브(2) 배기밸브(30)를 잠그고 배출콕크(10)를 열고 물탱크(A) 내 물을 완전히 뺀 후, 역수압 밸브(27)를 열면 수도관의 물이 높은 수압으로 파이프관(28) 압력밸브(29) 파이프관(26-1) 통로(26) 3차여과실(20) 2차여과실(15) 1차여과실(18) 순으로 역수하여 여과재를 요동시켜 세척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노후된 수도관에서 녹물등 이물질들을 여과기에서 정수하여 물을 먹게되므로 녹물을 먹지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도관으로부터 식수를 공급받는 여과기내장식수용물탱크(A)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내장식수용물탱크(A)의 내부바닥에 돌출소켓(12)을 설치하고 돌출소켓(12) 내부하단에 물배출통로(26)를 형성한 것과 여과기통(B)을 소켓결합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내장식수용물탱크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여과기내장식수용물탱크(A) 내의 여과기통(B) 내부역세정작업시 필요한 역수압밸브(27)와 압력밸브(2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내장식수용물탱크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여과기통(B)은 충전마개(13) 여과통마개(14) 고정소켓(14-1) 격리판(24) 여과재보호망(25)이 결합되어 2차여과실(15)을 형성한 것과 하단으로 여과통받침판(17-1) 1차여과통(17) 3차여과통(19) 여과재보호망(21) 여과재보호망(23)이 결합되어 1차여과실(18) 3차여과실(20)이 형성 각 실에 여과재를 충전하여 결합하므로서 여과기통(B)이 완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물탱크내에 소켓결함하므로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내장 식수용물탱크의 구조
KR2020000000293U 2000-01-06 2000-01-06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KR200188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293U KR200188324Y1 (ko) 2000-01-06 2000-01-06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293U KR200188324Y1 (ko) 2000-01-06 2000-01-06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324Y1 true KR200188324Y1 (ko) 2000-07-15

Family

ID=1963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293U KR200188324Y1 (ko) 2000-01-06 2000-01-06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287B1 (ko) * 2016-10-21 2018-06-25 중경산업 주식회사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287B1 (ko) * 2016-10-21 2018-06-25 중경산업 주식회사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RU24292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итьевой воды
KR20200083779A (ko) 기능성소재가 구비된 정수기용 정수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KR200188324Y1 (ko)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CN202116352U (zh) 一种超滤净水器
CN100352769C (zh) 饮水机专用净水器
CN205473032U (zh) 方便清理的净水器
CN105271553A (zh) 多功能家用净水器
WO2019024802A1 (zh) 一种水净化保质系统
CN2447039Y (zh) 小型饮用水净化、紫外线杀菌过滤器
CN203668172U (zh) 净水机
CN108773950A (zh) 一种新型净水设备
CN2671661Y (zh) 一体式净水器
KR20100137638A (ko) 정수필터장치
CN220703338U (zh) 一种可反冲清洗的家用净水器
CN201071306Y (zh) 一种免拆洗自来水净水器
CN219217651U (zh) 一种定时反冲洗渗透净水机
CN215327285U (zh) 水路板及净水机
CN221045811U (zh) 一种超滤膜滤芯组件
CN211570283U (zh) 一种速热饮水机水质过滤装置
KR200257574Y1 (ko)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CN211215687U (zh) 一种反冲洗净水装置
KR200428145Y1 (ko) 수도관 연결용 정수기
KR960007675Y1 (ko) 보조 정수기
KR101196616B1 (ko) 수처리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