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287B1 -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 Google Patents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287B1
KR101870287B1 KR1020160137477A KR20160137477A KR101870287B1 KR 101870287 B1 KR101870287 B1 KR 101870287B1 KR 1020160137477 A KR1020160137477 A KR 1020160137477A KR 20160137477 A KR20160137477 A KR 20160137477A KR 101870287 B1 KR101870287 B1 KR 101870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xial direction
filtration
plate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463A (ko
Inventor
이현희
이종수
허만성
Original Assignee
중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7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2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rrosive 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01D35/0273Filtering elements with a horizontal or inclined rotation or symmetry axis submerged i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물 운반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반용기의 내부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도 정제된 깨끗한 순수 용제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후공정에서 운반용기로 공급된 용제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4각기둥 형상의 탱크본체인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맨홀뚜껑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수용된 용제의 불순물을 타공관을 갖춘 제1여과부재가 1차로 걸러냄과 더불어, 상기 제1여과부재를 구성하는 타공관의 내부에 조립된 제2여과부재에 의해 원통방향으로 불순물을 2차로 걸러내어 제1여과부재의 축방향과 토출부로 유로를 형성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제1여과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CONTAINER OF DANGEROUS MATERIALS WITH FILTER}
본 발명은 위험물 운반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용기의 내부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도 정제된 깨끗한 순수 용제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후공정에서 운반용기로 공급된 용제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화성 또는 부식성을 가짐으로써 보관 및 운반에 주의를 가져야 하는 위험물을 운반하는 경우 플라스틱 합성수지 재질의 운반용기는 내용물에 의해 용해될 수 있으므로 금속재질의 위험물 운반용기가 사용된다.
종래 위험물 운반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4각기둥 형상의 탱크본체인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맨홀뚜껑부와,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마련되어 내용물을 확인하기 위한 내용물 확인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토출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할 때 상기 내용물 토출부를 열어서 외부로 배출하게 되고, 이때 배관을 이용하여 토출부에서 먼 곳까지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몸통부의 내부를 도색한 경우에 내부 도색이 박리되어 몸통부의 내부에 수용된 용제에 포함될 뿐 아니라, 도색하지 않은 경우에는 부식에 의해 녹슨 것들이 떨어져 나와 용제에 유입됨은 물론, 외부로부터 큰 저장용기에서 용제를 운반용기로 이송 공급할 때에도 외부의 큰 용기로부터 유입된 이물질 등이 내용물 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므로 용제가 오염된 상태로 공급되어 후공정에서 오염물이 부착되어 불량요인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1629호 발명의 명칭 "내용물 확인이 가능한 위험물 운반용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반용기의 내부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도 정제된 깨끗한 순수 용제를 외부로 토출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반용기로 공급된 용제에 의해 후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4각기둥 형상의 탱크본체인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맨홀뚜껑부와,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마련되어 내용물을 확인하기 위한 내용물 확인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수용된 용제의 불순물을 타공관을 갖춘 제1여과부재가 1차로 걸러냄과 더불어, 상기 제1여과부재를 구성하는 타공관의 내부에 조립된 제2여과부재에 의해 원통방향으로 불순물을 2차로 걸러내어 제1여과부재의 축방향과 토출부로 유로를 형성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제1여과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여과수단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는 제1여과수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필터하우징플레이트가 고정되되,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는, 중앙에 관통 형성된 제1나사부를 갖춘 원반플레이트와, 상기 제1여과수단의 하부를 일정깊이 수용하도록 원반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환형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의 제1나사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뿐만 아니라, 원통방향으로 유입되면서 유체가 여과될 수 있도록 된 제1여과부재와, 상기 제1여과부재의 상부로 공급되어 제1여과부재의 내부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제1여과부재의 원주방향으로 유입된 용제가 원주방향으로 재차들어와 축방향으로 유로가 형성하면서 용제의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 형태의 제2여과부재와, 상기 제1여과부재의 상부로 체결되어 상기 제1여과부재의 축방향으로 용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여과수단은,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와 제1여과부재의 사이 및 상기 제1여과부재와 뚜껑의 사이에 환형의 실링패드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여과부재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의 제1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축방향 하부에 숫나사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타공관이 축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타공관하부끼움부를 갖춘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형성된 타공관하부끼움부로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타공관과;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축방향 상부에는 상기 뚜껑이 체결되는 뚜껑체결나사가 형성되고, 축방향 하부에는 상기 타공관의 상부가 일정길이 끼워져 고정되는 타공관상부끼움부와, 상기 타공관의 직경보다 크게 원주방향으로 플랜지가 돌출됨과 더불어 이 플랜지에는 상부에서 끼워지는 회전수단이 안착되어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회전조작홈이 형성된 상부체결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토출부는,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와 일단이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관과, 상기 배관의 타단에 연결된 볼밸브와, 상기 볼밸브와 체결조립되는 캄록커플링을 포함하되, 상기 볼밸브와 캄록커플링의 사이에 일단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됨과 더불어 캄록커플링의 축방향으로 수용되는 한편, 상기 제1여과수단을 통해 배출된 용제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재차 걸러내어 배출할 수 있도록 제2여과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여과수단은, 상기 캄록커플링의 축방향으로 수용되어 상기 볼밸브를 통해 용제가 캄록커플링으로 공급되면 원통방향으로 용제가 유입되면서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제3여과부재와, 상기 제3여과부재의 축방향 내부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제3여과부재의 원주방향으로 유입된 용제가 원주방향으로 재차들어와 축방향으로 유로가 형성하면서 용제의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 형태의 제4여과부재와, 상기 제3여과부재의 볼밸브쪽 일단부로 돌출되어 구비된 거치대체결숫나사에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캄록커플링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캄록커플링의 단부에 거치되는 한편, 상기 볼밸브쪽에서 캄록커플링쪽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축방향이동방지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체결숫나사에 체결되어 축방향이동방지거치대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된 거치대고정부재와, 상기 제3여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에 끼워져 캄록커플링의 내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실링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여과부재는, 축 방향 중심에 볼밸브쪽으로 돌출된 거치대체결숫나사를 갖춘 원판과 이 원판의 외주면에서 볼밸브반대쪽으로 환형으로 돌출된 수용부를 갖춘 상부판과, 상기 수용부에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된 타공관과, 상기 타공관의 타단부가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축방향 중심으로는 유체가 배출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으로는 상기 실링부재가 끼워져 안착되는 실링부재안착홈이 형성된 하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판과 제4여과부재 및 하부판과 제4여과부재의 사이에 환형의 실링패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에 의하면, 운반용기의 내부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도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된 제1여과수단에 의해 정제된 깨끗한 순수 용제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후공정에서 운반용기로 공급된 용제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에 의하면, 제1여과수단을 통과하여 운반용기를 구성하는 몸통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용제를 한 번 더 정제할 수 있도록 볼밸브와 캄록커플링의 사이에 고정되는 제2여과수단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정제된 깨끗한 용제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어서 운반용기로 공급된 용제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반용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여과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제1여과수단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탱크본체에 용접되는 필터하우징플레이트와 실링패드가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여과수단이 캄록커플링에 삽입되어 볼밸브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제2여과수단이 캄록커플링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여과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100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4각기둥 형상의 탱크본체인 몸통부(1100)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맨홀뚜껑부(1200)와,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마련되어 내용물을 확인하기 위한 내용물 확인부(1300)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토출부(14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맨홀뚜껑부(1200)의 맨홀을 열어서 탱크본체인 몸통부(1100)에 화학 약품인 용제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맨홀뚜껑부(1200)의 맨홀을 닫은 후 상기 토출부(1400)를 통해서 용제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요지구성으로 상기 몸통부(110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제1여과수단(1500)이 설치되는바, 상기 몸통부(1100)의 내부에 수용된 용제의 불순물을 타공관을 갖춘 제1여과부재가 1차로 걸러냄과 더불어, 상기 제1여과부재를 구성하는 타공관의 내부에 조립된 제2여과부재에 의해 원통방향으로 불순물을 2차로 걸러내어 제1여과부재의 축방향과 토출부(1400)로 유로를 형성하여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의 제1여과부재와 제2여과부재에 의해 불순물이 순차적으로 걸러져서 순수한 용제를 토출부(1400)로 배출하게 되므로 후공정에서 용제의 오염에 의한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을 도 1 내지 도 6를 참조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통부(1100)의 하부에는 제1여과수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가 고정되되,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는, 중앙에 관통 형성된 제1나사부(1111a)를 갖춘 원반플레이트(1111)와,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의 하부를 일정깊이 수용하도록 원반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된 환형 수용부(1112)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의 제1나사부(1111a)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뿐만 아니라, 원통방향으로 유입되면서 유체가 여과될 수 있도록 된 제1여과부재(1510)와, 상기 제1여과부재의 축방향 상부로 공급되어 제1여과부재의 내부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제1여과부재의 원주방향으로 유입된 용제가 원주방향으로 재차 들어와 축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하면서 용제의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 형태의 제2여과부재(1520)와, 상기 제1여과부재의 상부로 체결되어 상기 제1여과부재의 축방향으로 용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뚜껑(15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은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의 제1나사부(1111a)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맨홀뚜껑부(1200)를 열고 오염된 제1여과수단(1500)을 분리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제1여과부재(1510)에 체결된 뚜껑(1530)을 열고 제2여과부재(1520)를 분해할 수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재(1510)의 청소 및 제2여과부재(1520)의 교환이 가능하여 적은 비용으로 용제의 불순물을 제거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제1여과부재(1510)와 제2여과부재(1520)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은,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와 제1여과부재(1510)의 사이 및 상기 제1여과부재(1510)와 뚜껑(1530)의 사이에 환형의 실링패드(154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패드(1540)에 의해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을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뚜껑(1530)을 제1여과부재(1510)에 견고하게 체결하여 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여과부재(1510)는, 하부판(1511)과 타공관(1512) 및 상부체결판(151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부판(1511)과 타공관(1512) 및 상부체결판(1513)가 조립된 제1여과부재(1510)에 의해 상부체결판(1513)의 축중심으로 제2여과부재(1520)이 조립되고, 상기 하부판(1511)과 타공관(1512) 및 상부체결판(1513)의 축중심은 물론 타공관의 방사방향으로 유체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1511)은,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1511a)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의 제1나사부(1111a)에 체결되도록 축방향 하부에 숫나사부(1511b)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타공관(1512)이 축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타공관하부끼움부(1511c)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판(1511)이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이 착탈가능하게 되고, 상기 타공관(1512)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여과부재(1520)를 통과한 후 관통구멍(1511a)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공관(1512)은,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형성된 타공관하부끼움부(1511c)로 하단이 끼워져 용접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체결판(1513)은,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1513a)이 형성되는 한편, 축방향 상부에는 상기 뚜껑(1530)이 체결되는 뚜껑체결나사(1513b)가 형성되고, 축방향 하부에는 상기 타공관의 상부가 일정길이 끼워져 용접등으로 고정되는 타공관상부끼움부(1513c)와, 상기 타공관(1512)의 직경보다 크게 원주방향으로 플랜지(1513d)가 돌출됨과 더불어 이 플랜지(1513d)에는 상부에서 끼워지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수단이 안착되어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오뚜기 모양의 장공인 회전조작홈(1513e)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맨홀뚜껑부(1200)의 맨홀을 열고 복수개의 회전조작홈(1513e)으로 도시되지 않은 걸고리 형태의 회전수단을 각각 끼워서 건 다음 회전 조작하여 상기 상부체결판(1513)과 타공관(1512) 및 하부판(1511)으로 이루어진 제1여과부재(1510)가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의 제1나사부(1111a)에서 분리되어 맨홀뚜껑부(1200)를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서 탱크본체인 몸통부(1100)의 내부에서 가스에 의해 중독되어 질식되는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여과부재(1510)를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의 제1나사부(1111a)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인출한 다음, 상기 상부체결판(1513)에 체결된 뚜껑(1530)을 돌려서 제1여과부재(1510)에서 뚜껑(1530)을 분리한 뒤, 상기 제2여과부재(1520)를 제1여과부재(1510)의 상부체결판(1513)을 통해 인출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하여 조립하게 되면 용제의 불순물을 제거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부(1400)는 도 1과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와 일단이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관(1410)과, 상기 배관의 타단에 연결된 볼밸브(1420)와, 상기 볼밸브와 체결조립되는 캄록커플링(14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요지구성으로는, 상기 볼밸브(1420)와 캄록커플링(1430)의 사이에 일단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됨과 더불어 캄록커플링의 축방향으로 수용되는 한편,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을 통해 배출된 용제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한번 더 걸러내어 배출할 수 있도록 제2여과수단(160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여과수단(1600)에 의해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을 통해 배출된 용제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한번 더 걸러내어 배출할 수 있어서 더욱 확실하게 정제된 깨끗한 용제를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운반용기로 공급된 용제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제2여과수단(160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캄록커플링(1430)의 축방향으로 수용되어 상기 볼밸브(1420)를 통해 용제가 캄록커플링으로 공급되면 원통방향으로 용제가 유입되면서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제3여과부재(1610)와, 상기 제3여과부재의 축방향 내부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제3여과부재의 원주방향으로 유입된 용제가 원주방향으로 재차 들어와 축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면서 용제의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 형태의 제4여과부재(1620)와, 상기 제3여과부재(1610)의 볼밸브(1420)쪽 일단부로 돌출되어 구비된 후술하는 거치대체결숫나사(1611a)에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캄록커플링(143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캄록커플링의 단부에 거치되는 한편, 상기 볼밸브쪽에서 캄록커플링쪽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축방향이동방지거치대(1630)와, 상기 거치대체결숫나사(1611a)에 체결되어 축방향이동방지거치대(163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된 거치대고정부재(1640)와, 상기 제3여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에 끼워짐과 더불어 캄록커플링의 내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실링부재(165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을 통해서 배출된 용제 속에 포함된 불순물이 상기 배관(1410)관 볼밸브(1420) 및 캄록커플링(1430)의 축방향으로 배출될 때 상기 거치대고정부재(1640)과 제3여과부재(1610) 및 제4여과부재(1620)를 통해 배출되면서 이물질이 한 번 더 걸러내어 더욱 확실하게 정제된 깨끗한 용제를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운반용기로 공급된 용제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여과부재(1610)는, 축 방향 중심에 볼밸브쪽으로 돌출된 거치대체결숫나사(1611a)를 갖춘 원판(1611b)과, 이 원판의 외주면에서 볼밸브반대쪽으로 환형으로 돌출된 수용부(1611c)를 갖춘 상부판(1611)과, 상기 수용부에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관(1612)과, 상기 타공관의 타단부가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축방향 중심으로는 유체가 배출되는 관통구멍(1613a)이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으로는 상기 실링부재(1650)가 끼워져 안착되는 실링부재안착홈(1613b)이 형성된 하부판(161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판(1611)쪽으로 유입되는 용제는 타공관(1612)의 외주면 쪽에서 축 중심쪽으로 들어와서 상기 제4여과부재(1620)를 통과한 다음 상기 하부판(1613)의 관통구멍(1613a)로 배출되게 된다.
또 상기 제2여과수단(1600)을 상기 볼밸브(1420)과 캄록커플링(1430)의 사이에서 분리한 후, 새로운 제2여과수단(1600)을 교체하여 조립하게 되면 매우 깨끗한 용제를 후공정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축방향이동방지거치대(163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 중심에 상기 거치대체결숫나사(1611a)가 끼워지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거나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조립부(1631)와, 이 조립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등각도에 설치되어 상기 캄록커플링(1430)의 단부에 걸리도록 된 이동방지지지부(16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축방향이동방지거치대(1630)의 조립부(1631)가 제3여과부재(1610)의 상부판(1611)에 돌출된 거치대체결숫나사(1611a)에 조립되어 거치대고정부재(1640)에 의해 고정된 후, 도 8과 같이 상기 제2여과수단(1600)을 캄록커플링(1430)에 조립하고 나서 도 1 및 도 7과 같이 볼밸브(1420)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제2여과수단(1600)의 축방향이동방지거치대(1630)가 볼밸브(1420)와 캄록커플링(1430)의 체결부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토출부(1400)의 배관(1410)을 통해 배출된 용제가 상기 이동방지지지부(1632)와 이동방지지지부(1632)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제3여과부재(1610)와 캄록커플링(1430)의 사이로 유체가 이동한 뒤 제3여과부재(1610)의 타공관(1612)을 통해 축방향으로 유입되고, 이후 상기 제4여과부재(1620)의 외주면에서 축중심으로 유입되어 축방향으로 배출되게 되면서 용제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더욱 깨끗하게 하므로 후공정에 불량 발생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판(1611)과 제4여과부재(1620) 및 하부판(1613)과 제4여과부재(1620)의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곳에 환형의 간격유지부재(166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부재(1660)에 의해 상기 타공관(1612)의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경우 상기 제4여과부재(1620)의 설치높이에 따라 조립하게 되므로 상기 타공관(1612)을 통과한 유체가 제4여과부재(1620)로 들어오지 않고 곧 바로 하부판(1613)의 관통구멍(1613a)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용제의 품질에 신뢰성을 줄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1100: 몸통부
1110: 필터하우징플레이트 1111: 원반플레이트
1111a: 제1나사부 1112: 수용부
1200: 맨홀뚜껑부 1300: 내용물 확인부
1400: 토출부 1410: 배관
1420: 볼밸브 1430: 캄록커프링
1500: 제1여과수단 1510: 제1여과부재
1511: 하부판 1512: 타공판
1513: 상부체결판 1520: 제2여과부재
1530: 뚜껑 1540: 실링패드
1600: 제2여과수단 1610: 제3여과부재
1611: 상부판 1612: 타공관
1613: 하부판 1620: 제4여과부재
1630: 축방향이동방지거치대 1640: 거치대고정부재
1650: 실링부재 1660: 간격유지부재

Claims (8)

  1. 내용물을 수용하는 4각기둥 형상의 탱크본체인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맨홀뚜껑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토출부를 포함하는 위험물 운반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10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수용된 용제의 불순물을 타공관을 갖춘 제1여과부재가 1차로 걸러냄과 더불어, 상기 제1여과부재를 구성하는 타공관의 내부에 조립된 제2여과부재에 의해 원통방향으로 불순물을 2차로 걸러내어 제1여과부재의 축방향과 토출부로 유로를 형성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제1여과수단(1500)이 설치되되,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는 제1여과수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가 고정되되,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는, 중앙에 관통 형성된 암나사인 제1나사부(1111a)를 갖춘 원반플레이트(1111)와, 상기 제1여과수단의 하부를 일정깊이 수용하도록 원반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환형 수용부(1112)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의 제1나사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뿐만 아니라, 원통방향으로 유입되면서 유체가 여과될 수 있도록 된 제1여과부재(1510)와,
    상기 제1여과부재의 상부로 공급되어 제1여과부재의 내부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제1여과부재의 원주방향으로 유입된 용제가 원주방향으로 재차 들어와 축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면서 용제의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 형태의 제2여과부재(1520)와,
    상기 제1여과부재의 상부로 체결되어 상기 제1여과부재의 축방향으로 용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뚜껑(1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수단(1500)은,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1110)와 제1여과부재(1510)의 사이 및 상기 제1여과부재와 뚜껑(1530)의 사이에 환형의 실링패드(15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재(1510)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의 제1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축방향 하부에 숫나사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타공관이 축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타공관하부끼움부를 갖춘 하부판(1511)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형성된 타공관하부끼움부로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타공관(1512)과,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축방향 상부에는 상기 뚜껑이 체결되는 뚜껑체결나사가 형성되고, 축방향 하부에는 상기 타공관의 상부가 일정길이 끼워져 고정되는 타공관상부끼움부와, 상기 타공관의 직경보다 크게 원주방향으로 플랜지가 돌출됨과 더불어 이 플랜지에는 상부에서 끼워지는 회전수단이 안착되어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회전조작홈이 형성된 상부체결판(15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1400)는,
    상기 필터하우징플레이트와 일단이 연통되는 배관(1410)과 조립된 볼밸브(1420)와,
    상기 볼밸브와 체결조립되는 캄록커플링(1430)을 포함하되,
    상기 볼밸브와 캄록커플링의 사이에 일단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체결고정됨과 동시에 캄록커플링의 축방향으로 수용되는 한편, 상기 제1여과수단을 통해 배출된 용제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3여과부재의 외주면에서 축 중심으로 유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제3여과부재의 축 중심에 설치된 제4여과부재의 외주면에서 축 중심을 거쳐 축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여 용제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재차 걸러내어 배출할 수 있도록 제2여과수단(160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수단(1600)은,
    상기 캄록커플링의 축방향으로 수용되어 상기 볼밸브를 통해 용제가 캄록커플링으로 공급되면 원통방향에서 축중심으로 용제가 유입되면서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제3여과부재(1610)와,
    상기 제3여과부재의 축방향 내부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제3여과부재의 외주면에서 유입된 용제가 축 중심방향으로 재차 들어와 축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면서 용제의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 형태의 제4여과부재(1620)와,
    상기 제3여과부재의 볼밸브쪽 일단부로 돌출되어 구비된 거치대체결숫나사에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캄록커플링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캄록커플링의 단부에 거치되는 한편, 상기 볼밸브쪽에서 캄록커플링쪽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축방향이동방지거치대(1630)와,
    상기 거치대체결숫나사에 체결되어 축방향이동방지거치대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된 거치대고정부재(1640)와,
    상기 제3여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에 끼워져 캄록커플링의 내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실링부재(16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여과부재(1610)는,
    축 방향 중심에 볼밸브쪽으로 돌출된 거치대체결숫나사를 갖춘 원판과 이 원판의 외주면에서 볼밸브반대쪽으로 환형으로 돌출된 수용부를 갖춘 상부판(1611)과,
    상기 캄록커플링 쪽에 설치된 상기 상부판의 수용부에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된 타공관(1612)과,
    상기 캄록커플링 쪽에 설치된 타공관의 타단부가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축방향 중심으로는 유체가 배출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으로는 상기 실링부재가 끼워져 안착되는 실링부재안착홈이 형성된 하부판(16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611)과 제4여과부재(1620) 및 하부판(1613)과 제4여과부재(1620)의 사이에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간격유지부재(16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KR1020160137477A 2016-10-21 2016-10-21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KR101870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477A KR101870287B1 (ko) 2016-10-21 2016-10-21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477A KR101870287B1 (ko) 2016-10-21 2016-10-21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463A KR20180044463A (ko) 2018-05-03
KR101870287B1 true KR101870287B1 (ko) 2018-06-25

Family

ID=6224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477A KR101870287B1 (ko) 2016-10-21 2016-10-21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256B1 (ko) 2019-05-21 2020-05-15 고대희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593Y1 (ko) * 2020-01-23 2021-11-10 이행월 액체 믹싱탱크의 교반장치
KR102366727B1 (ko) * 2021-11-15 2022-02-23 김진영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324Y1 (ko) * 2000-01-06 2000-07-15 유성일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JP2003154217A (ja) 2001-11-20 2003-05-27 Osaka Gas Chem Kk 浄化器
KR200402273Y1 (ko) * 2005-09-07 2005-11-29 (주)레베산업 이중 필터장치
KR101558997B1 (ko) 2014-06-26 2015-10-1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씨 에어 브리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324Y1 (ko) * 2000-01-06 2000-07-15 유성일 여과기 내장 식수용 물탱크
JP2003154217A (ja) 2001-11-20 2003-05-27 Osaka Gas Chem Kk 浄化器
KR200402273Y1 (ko) * 2005-09-07 2005-11-29 (주)레베산업 이중 필터장치
KR101558997B1 (ko) 2014-06-26 2015-10-1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씨 에어 브리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256B1 (ko) 2019-05-21 2020-05-15 고대희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463A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287B1 (ko)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US4735716A (en) Quick-change filter cartridge and head therefor
JP3924167B2 (ja) フィルタ・バルブ装置
RU2248836C2 (ru) Сменный фильтр, способный повторно перерабатываться, и емкость под давлением
US4948505A (en) Quick-change filter cartridge and head therefor
US4877521A (en) Quick-change filter cartridge and head therefor
KR970007645B1 (ko) 이중구조 필터용기
US5607582A (en) Filter system for liquids
US6712967B2 (en) Liquid filter assembly with concentric filter sleeves of bag-type media
CA3019782C (en) Convertible filtration system
US4169793A (en) Tank drain assembly for swimming pool filters
JPH0155886B2 (ko)
US8864865B2 (en) Air filter element, filter housing and filter arrangement
US20170368479A1 (en) Liquid Recovery Filter
KR101100378B1 (ko) 연결장치
CN101091862B (zh) 吸附柱
US6238560B1 (en) Collapsible filter element assembly
KR102200192B1 (ko) 고압 분리기 세정 방법 및 장치
ES2659687T3 (es) Estructura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acoplamiento y dos bridas de conexión
US4535997A (en) Sealing system
US8557185B2 (en) Pressure vessel arrangement comprising an external pressure vessel and at least one insert basket
US20050188774A1 (en) Sampling device and sampling method
US20140110333A1 (en) Solid from liquid separation apparatus
EP3733541A2 (en) Nestable drum system
US8840073B2 (en) Le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