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727B1 -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727B1
KR102366727B1 KR1020210156366A KR20210156366A KR102366727B1 KR 102366727 B1 KR102366727 B1 KR 102366727B1 KR 1020210156366 A KR1020210156366 A KR 1020210156366A KR 20210156366 A KR20210156366 A KR 20210156366A KR 102366727 B1 KR102366727 B1 KR 102366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iquid
disposed
main body
lid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21015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일측 면이 개방되고, 유입구로 유입된 도포액이 토출구로 배출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방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뚜껑부의 일측 면에 배치되어, 상기 뚜껑부와 상기 본체부의 체결 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에 포함된 금속 성분의 불순물이 부착되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COATING LIQUID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도포액 점도 조절 장치에 부착되어, 도포액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비아 인쇄 및 코팅 작업 시 잉크 및 코팅액을 사용한다. 이때, 잉크와 코팅액은 도포액이라 통칭되고, 인쇄 및 코팅은 도포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통칭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포액은 시간이 지날수록 용매가 증발해서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도포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포액은 휘발성이 강한 용제를 섞어 도포액의 점도를 도포 작업에 적합한 범위 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포액의 점도를 도포 작업에 적합한 범위 내로 유지시키기 위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바가지 등 용기를 사용해 용제를 도포액에 부어주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용제를 붓는 양에 따라, 도포액은 점도가 일정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변동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는, 용제를 조금씩 자주 붓지 않고 30~40분에 한 번씩 붓거나 하는 경우, 용제를 처음 부었을 때는 도포액이 점도가 너무 묽어지고, 시간이 지나 다시 섞을 때가 되면 점도가 높아져 점도의 변동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도포액의 점도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나, 도포 작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는 도포 작업의 불량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도포 작업 결과물의 퀄리티(quality)가 낮아지게 되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포액의 점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도포액 점도 조절 장치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4291호(2015년 11월 27일자 등록)가 있다. 본 선행 기술은 도포액 점도 자동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관여 없이도 도포액의 점도를 간접적으로 산출하여 도포액의 점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선행 기술은 사용자의 태만으로 인한 점도 조절 실패로 도포액이나 필름 등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도포액 점도 자동 조절 장치는 도포액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가 없어, 도포액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포액에는 금속 가루 및 무기안료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도포액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은 인쇄 불량을 야기시킬 수 있어, 도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4291호 (2021. 11. 08. 등록)
본 발명은 도포액 점도 조절 장치의 토출부에 부착되어, 도포액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도포액을 형성할 수 있는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 면이 개방되고, 유입구로 유입된 도포액이 토출구로 배출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방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뚜껑부의 일측 면에 배치되어, 상기 뚜껑부와 상기 본체부의 체결 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에 포함된 금속 성분의 불순물이 부착되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는 도포액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도포액 내의 자성 이물질 및 비자성 이물질을 제거하여, 도포액 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는 자석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는 도포액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확산될 수 있으며, 정체되는 도포액 없이 도포액이 토출구를 통해 모두 배출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뚜껑부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도포액 점도 조절 장치(미도시)의 토출부에 부착되어, 도포액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도포액이 통과하면서 도포액 내의 이물질이 자석부(122) 및 필터부(140)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부(110), 본체부(110)와 결합되는 뚜껑부(120), 본체부(110)와 뚜껑부(120)를 밀폐하는 체결부(130), 도포액 내의 비금속성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부(140), 도포액을 본체부(110)의 내부에 골고루 확산시키는 확산부(150), 자석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상하이동부(160) 및 도포액을 회전시키는 회전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일측으로는 도포액이 유입되고 타측으로는 도포액이 배출될 수 있다. 즉, 본체부(110)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도포액은 본체부(110)를 통과하며 필터링되어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몸체(111), 도포액이 유입되는 유입구(112), 필터링된 도포액이 배출되는 토출구(113) 및 본체부(1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1)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되, 일측 면이 개방될 수 있다. 몸체(111)는 내부에 도포액이 유입된 후,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몸체(111)는 각진 부분이 없도록 상측 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입된 도포액이 고이지 않고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111)의 하측 면은 토출구(113)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포액이 배출되지 않고 고이는 것이 없도록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11)의 하측 면은 토출구(113) 방향으로 내리막 경사부가 형성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2)는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되되, 몸체(1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2)는 도포액 점도 조절 장치(미도시)의 토출부에 연결되어, 도포액 점도 조절 장치에서 배출된 도포액이 몸체(11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13)는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되되, 몸체(111)의 하측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13)는 몸체(111)로 유입된 도포액이 여과된 후 배출될 수 있다. 토출구(113)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토출구(113)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필터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투명부(114)는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투명부(114)는 몸체(111)의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투명부(114)는 사용자가 후술할 뚜껑부(120)를 개방하여 본체부(110)의 내부를 관찰하지 않고도 몸체(111)의 내부를 관찰하여, 후술할 필터부(140) 및 자석부(122)의 이물질 여과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투명부(114)를 통해 몸체(111)의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뚜껑부(120)를 개방하지 않고도 필터부(140)의 교체 시기 및 후술할 커버부(122a)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뚜껑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의 (a)는 상하이동부(160)의 판재(162)가 상승된 상태이고, 도 4의 (b)는 상하이동부(160)의 판재(162)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의 개방면에 배치되어, 본체부(110)를 개폐할 수 있다. 즉,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의 상측에 형성된 개방면과 동일하거나 더 큰 단면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10)를 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의 개방면에 배치되는 상판(121), 상판(121)의 일측 면에 배치되는 자석부(122) 및 상판(121)의 상측에 배치되어 뚜껑부(120)를 걸 수 있는 걸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121)은 본체부(110)의 개방면과 동일하거나, 더 큰 단면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개방면을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상판(121)의 하측 둘레에는 패킹부(미도시)가 형성되어, 본체부(110)와 뚜껑부(120)가 밀폐될 수 있다. 또는, 상판(121)과 본체부(110)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즉, 상판(121)은 본체부(110)의 개방면을 밀폐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자석부(122)는 뚜껑부(120)의 상판(121)의 일측 면에 배치되어, 뚜껑부(120)를 본체부(110)에 체결 시, 본체부(1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석부(122)는 상판(121)의 하측 면에 배치되어, 도포액에 포함된 자성이 있는 금속 성분의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부(122)는 외주면에 배치되는 커버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석부(122)는 전부 또는 일부에 네오디움 자석(Neodymium Magnet)이 사용될 수 있다. 자석부(122)는 본체부(110)에 인입된 후, 도포액이 본체부(110)에 유입되면 도포액 내에 포함된 금속 가루와 같은 자성체 물질이 표면에 부착되어 도포액 내의 자성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커버부(122a)는 자석부(122)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도포액 내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자석부(122)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2a)는 자석부(122)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부(122a)는 전부 또는 일부가 비닐, 라텍스 및 니트릴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2a)는 전부 또는 일부에 탄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미도시)는 커버부(122a)를 자석부(122)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자석부(122)는 자력이 강한 자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석부(122)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22a)는 자석부(122)의 표면에 배치되어, 이물질 제거 시, 커버부(122a)를 벗기면서 이물질이 동시에 제거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걸이부(123)는 상판(121)의 상측에 배치되어, 뚜껑부(120)를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걸이부(123)는 다수 개가 배치되어, 뚜껑부(120)를 걸었을 때, 뚜껑부(120)가 기울지 않고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걸이부(123)는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100)가 도포액 점도 조절 장치(미도시)에 장착된 상태에서 측면 또는 상측에 배치된 고리(미도시)에 걸려,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이부(123)는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100)가 고중량으로 형성되고, 도포액이 유입되면 더욱 무게가 무거워지기 때문에, 유입구(112)에 과도하게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걸이부(123)는 뚜껑부(120)를 본체부(110)에서 분리 시, 뚜껑부(120)를 용이하게 보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걸이부(123)는 커버부(122a)의 교체 시, 사용자가 뚜껑부(120)를 걸어 놓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걸이부(123)는 유입구(112)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고, 커버부(122a)를 용이하게 교체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130)는 본체부(110)와 뚜껑부(120)가 연결된 외주면에 배치되어, 본체부(110)와 뚜껑부(12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체결부(130)는 원형 클램프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40)는 토출구(113)에 배치되어, 도포액의 배출 시 도포액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필터부(140)는 자석부(122)를 통해 제거되기 어려운 비자성체인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140)는 소모품으로, 도포액 내에 포함된 이물질이 가득 적층되면 새로운 필터부(140)로 교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140)는 토출구(113)에 장착되는 원통형 부재인 체결부재(141),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홀이 배치된 여과홀(142) 및 체결부재(141)의 내측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14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141)는 일측 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출구(113)에 장착될 수 있다. 체결부재(141)는 토출구(113)의 단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 토출구(113)의 본체부(110) 방향에 장착될 수 있다.
여과홀(142)은 필터부(140)의 체결부재(141)에 배치되고, 다수 개의 홀이 배치될 수 있다. 여과홀(142)은 체결부재(141)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필터부(140)를 통과하는 도포액에 포함된 비자성체인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포액 내에 포함된 자성체인 이물질은 자석부(122)에 부착되고, 나머지 도포액은 토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면서, 비자성체인 이물질이 필터부(140)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나사산(143)은 체결부재(141)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토출구(113)에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나사산(143)은 원기둥 형상의 체결부재(141)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토출구(113)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어, 회전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나사산(143)은 필터부(140)를 간편하게 교체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140)는 소모품이므로. 이물질이 소정 정도 이상 적층되어 도포액의 배출 속도가 감소되면, 장착되어 있던 필터부(140)를 회전시켜 제거 후 새로운 필터부(140)를 회전시켜 장착시키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필터부(140)를 탈착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140)의 나사산(143)은 체결부재(141)의 내주연에 형성되고, 토출구(113)는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토출구(113)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필터부(140)의 나사산(143)과 토출구(113)의 나사산이 배치되는 위치는 각각이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것이면 무방하며, 배치되는 위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확산부(150)는 본체부(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도포액을 전체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확산부(150)는 유입구(112)와 마주보는 위치의 본체부(110)의 일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입구(112)로 유입된 도포액은 확산부(150)에 의해 본체부(110)의 내측에 전체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산부(150)는 판형 부재인 지지부재(151), 지지부재(151)에 부착되고 한 쌍의 가압판(153)이 연결되는 힌지부(152), 힌지부(152)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판(153) 및 가압판(153)과 지지부재(151)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51)는 본체부(110)의 내측 벽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몸체(111)의 벽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51)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힌지부(152) 및 탄성부재(154)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152)는 지지부재(151)의 상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가압판(153)이 끼움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152)는 가압판(153)이 상하로 회동되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가압판(153)은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힌지부(152)에 끼움 배치되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가압판(153)은 유입된 도포액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포액이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판(153)은 한 쌍이 힌지부(152)를 사이에 두고 양 측으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가압판(153)은 본체부(110)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도포액이 본체부(110)의 전체 공간으로 퍼져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4)는 가압판(153)과 지지부재(151)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판(153)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54)는 양 측의 가압판(153)에 각각 형성되되, 한 개 또는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4)는 가압판(153)의 하측과 지지부재(151)의 상측에 배치되어, 도포액의 유동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되면서 도포액의 압력을 높이고, 도포액이 고르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하이동부(160)는 뚜껑부(120)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자석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판재(162)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하이동부(160)는 자석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판재(162)가 상하 이동되어, 커버부(122a)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이동부(160)는 판재(16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161) 및 자석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판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61)는 뚜껑부(120)의 상판(121)을 관통하게 배치되어, 판재(16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린더(161)는 모터와 연결된 유압실린더가 사용되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판재(16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161)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판재(162)는 뚜껑부(120)의 상판(121)의 하측에 배치되고, 실린더(16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재(162)는 자석부(122)가 관통될 수 있는 개방부(162a)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162a)는 자석부(122)의 외주면과 동일한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판재(162)는 도포액이 본체부(110)에 유입되어 여과 시에는 상판(121)에 부착되고, 도포액의 여과 후 자석부(122)에 씌워진 커버부(122a)를 교체 시에는 실린더(161)에 의해 하측으로 하강되어, 사용자가 커버부(122a)를 직접 벗기는 번거로움 없이 교체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강력한 자석에 의해 자석부(122)의 표면에 강력하게 부착된 이물질을 사용자가 제거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고, 사용자의 손에 이물질 및 도포액이 묻는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판재(162)가 배치되어, 커버부(122a)와 함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부(170)는 뚜껑부(120)의 내측 및 외측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된 도포액이 토출구(113)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도포액을 유도할 수 있다. 회전부(170)는 도포액이 강한 힘으로 유입 시, 본체부(110)의 상측에 유입된 도포액이 하측으로 하강되지 않고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70)는 회전되어 도포액의 배출 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날개부(171), 날개부(17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172) 및 날개부(171)와 배터리(17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171)는 상하이동부(160)의 판재(162)의 하측 중심부에 배치되어, 뚜껑부(120)와 본체부(110)의 체결 시 본체부(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171)는 중심축(171a), 중심축(171a)에 연결된 날개(171b) 및 연결부(173)와 연결되어 전력을 전달받는 연결돌기(171c)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171)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도포액이 유입 시 작동되어 도포액이 하측 토출구(113)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중심축(171a)은 날개부(171)의 중심에 배치되어, 배터리(172)에서 전달받은 전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날개(171b)는 중심축(171a)의 둘레에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날개(171b)는 중심축(171a)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어, 본체부(110) 내의 도포액을 하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연결돌기(171c)는 중심축(171a)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이동부(160)의 판재(162)를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돌기(171c)는 판재(162)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후술할 연결부(173)의 연결홈(173a)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돌기(171c)는 충전 단자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돌기(171c)는 배터리(172)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전달받아 중심축(171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돌기(171c)는 판재(162)가 상측에 배치될 때는 연결부(173)의 연결홈(173a)에 결합되어, 배터리(172)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반면, 연결돌기(171c)는 판재(162)가 하측으로 하강될 때는 연결부(173)의 연결홈(173a)에서 탈락되어, 배터리(172)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즉, 연결돌기(171c)는 상하이동부(16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결 및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72)는 뚜껑부(120)의 상판(12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172)는 연결부(173)에 의해 날개부(171)와 연결되어, 날개부(171)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터리(172)는 방수 처리될 수 있다.
연결부(173)는 배터리(172)와 날개부(171)를 연결하는 라인으로, 뚜껑부(120)의 상판(121)을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173)는 충전 케이블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73)는 연결돌기(171c)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연결홈(173a)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부(173)는 방수 기능을 포함하여 도포액의 접촉 시에도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홈(173a)은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어, 연결돌기(171c)가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홈(173a)은 충전 단자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돌기(171c) 및 연결홈(173a)은 상하이동부(160)의 둘레에 튜브 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연결돌기(171c) 및 연결홈(173a)의 형상 및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돌기(171c)가 연결홈(173a)에 삽입되어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이상과 같은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10)의 유입구(112)는 도포액 점도 조절 장치(미도시)의 토출부에 연결되어, 도포액 점도 조절 장치에서 배출된 도포액이 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도포액 내에 포함된 자성 이물질은 자석부(122)의 표면에 부착되어 1차로 제거될 수 있다. 도포액은 하측에 배치된 토출구(113)로 이동되고, 토출구(113)에 장착된 필터부(140)에 의해 도포액 내의 비자성 이물질이 2차로 제거될 수 있다.
이때, 확산부(150)는 유입구(112)에서 유입된 도포액에 의해 가압판(153)이 상하로 이동되며 본체부(110)의 내측에 전체적으로 퍼질 수 있다. 동시에, 회전부(170)가 회전되며 도포액을 하측 토출구(113)가 배치된 방향으로 유도시킬 수 있다.
도포액이 전부 여과된 후에는 뚜껑부(120)를 본체부(110)에서 분리하고, 실린더(161)를 작동시켜 자석부(122)의 표면에 배치된 커버부(122a)를 자석부(122)로부터 분리시킨다. 토출구(113)에 결합된 필터부(140)는 회전시켜 제거한다. 제거한 커버부(122a) 및 필터부(140)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여, 도포액의 여과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도포액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자석부(122)에 의해 도포액 내의 자성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고, 토출구(113)에 장착된 필터부(140)에 의해 도포액 내의 비자성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자석부(122)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의 자석부(122)는 강력한 자성을 갖는 자석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상하이동부(160)를 배치하여 적은 힘으로도 사용자가 자석부(122)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도포액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확산될 수 있으며, 정체되는 도포액 없이 도포액이 토출구(113)를 통해 모두 배출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확산부(150)에 의해 도포액이 본체부(11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확산될 수 있고, 회전부(170)에 의해 도포액이 토출구(113)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즉, 도포액 내의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포액이 본체부(110)의 내측에 전체적으로 확산 및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110: 본체부
111: 몸체 112: 유입구
113: 토출구 114: 투명부
120: 뚜껑부 121: 상판
122: 자석부 122a: 커버부
123: 걸이부 130: 체결부
140: 필터부 141: 체결부재
142: 여과홀 143: 나사산
150: 확산부 151: 지지부재
152: 힌지부 153: 가압판
154: 탄성부재 160: 상하이동부
161: 실린더 162: 판재
162a: 개방부 170: 회전부
171: 날개부 171a: 중심축
171b: 날개 171c: 연결돌기
172: 배터리 173: 연결부
173a: 연결홈

Claims (7)

  1. 일측 면이 개방되고, 유입구(112)로 유입된 도포액이 토출구(113)로 배출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개방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110)를 개폐하는 뚜껑부(120);
    일측 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113)에 배치되되, 상기 토출구(113)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포액의 배출 시, 상기 도포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되는 필터부(140); 및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유입구(112)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을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에 확산시키는 확산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120)는,
    상기 뚜껑부(120)의 일측 면에 배치되어, 상기 뚜껑부(120)와 상기 본체부(110)의 체결 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에 포함된 금속 성분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자석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140)는,
    다수 개의 홀이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되는 여과홀(142); 및
    상기 필터부(14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113)의 내주연에 회전 결합되는 나사산(143);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150)는,
    힌지부(152);
    상기 힌지부(152)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판형 부재가 상기 힌지부(152)에 끼움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도포액을 확산시키는 가압판(153); 및
    상기 가압판(153)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액의 유동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되는 탄성부재(154);를 포함하는,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20)는,
    상기 뚜껑부(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뚜껑부(120)를 걸어서 고정하는 걸이부(123);를 포함하는,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원형 클램프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뚜껑부(120)를 밀폐하는 체결부(130);를 더 포함하는,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가 육안으로 관찰되는 투명부(114);를 포함하는,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122)는,
    상기 자석부(122)의 외주면을 커버하여, 스크래치로부터 상기 자석부(122)를 보호하는 커버부(122a);를 포함하는,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10156366A 2021-11-15 2021-11-15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366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366A KR102366727B1 (ko) 2021-11-15 2021-11-15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366A KR102366727B1 (ko) 2021-11-15 2021-11-15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727B1 true KR102366727B1 (ko) 2022-02-23

Family

ID=8049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366A KR102366727B1 (ko) 2021-11-15 2021-11-15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7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5878A1 (en) * 1981-05-25 1982-12-01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magnetic and non-magnetic solid particles from a liquid
KR100918827B1 (ko) * 2009-02-11 2009-09-25 조정호 자석과 필터를 이용한 자화 정수기 구조 및 그 방법
KR20110083812A (ko) * 2010-01-15 2011-07-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자석 분리기
KR20150063725A (ko) * 2013-12-02 2015-06-10 박향은 마그네틱 필터 하우징
KR101574291B1 (ko) 2014-08-28 2015-12-03 상연산업(주) 도포액 점도 자동 조절 장치
KR20180044463A (ko) * 2016-10-21 2018-05-03 중경산업 주식회사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5878A1 (en) * 1981-05-25 1982-12-01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magnetic and non-magnetic solid particles from a liquid
KR100918827B1 (ko) * 2009-02-11 2009-09-25 조정호 자석과 필터를 이용한 자화 정수기 구조 및 그 방법
KR20110083812A (ko) * 2010-01-15 2011-07-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자석 분리기
KR20150063725A (ko) * 2013-12-02 2015-06-10 박향은 마그네틱 필터 하우징
KR101574291B1 (ko) 2014-08-28 2015-12-03 상연산업(주) 도포액 점도 자동 조절 장치
KR20180044463A (ko) * 2016-10-21 2018-05-03 중경산업 주식회사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1710A (en) Cytocentrifuge
US5637214A (en) Filter assembly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U650274B2 (en) Dispersal valve and canister
EP0065878B1 (e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magnetic and non-magnetic solid particles from a liquid
US9209062B1 (en) Removable spin chamber with vacuum attachment
US10710105B2 (en) Disposable cleaning-free paint pot
KR102366727B1 (ko)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WO2016186384A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87348B1 (ko) 액상세포 검사를 위한 멤브레인 필터 용기
KR930019248A (ko) 액체-고체 추출장치 및 그것의 사용방법
US3800956A (en) Vessel for chemical action
US3206031A (en) Liquid dispenser for the purification and filtration of water
JPH06327909A (ja) 液体用カプセル型フィルタ装置
EP4146599B1 (en) Filtration device for liquids
KR102273536B1 (ko) 액상 세포 도말용 필터용기
CN114148100A (zh) 一种多色自动加墨印章
JP4391147B2 (ja) 液体回収機能付きスピンコーター
EP0031195A1 (en) Fluid strainer or filter
CN221557663U (zh) 一种维护便捷的过滤装置
CN221049355U (zh) 一种防滴漏墨水瓶
CN214031697U (zh) 一种带有过滤功能的油漆灌装设备
KR20230104487A (ko) 원심 롤 필터 프레스
CN111924932B (zh) 油水分离机掀开式外罩装置
CN216987718U (zh) 一种降低气味泄露的废液桶
CN212171674U (zh) 一种基于画册印刷的色彩管理用配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