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812A - 자석 분리기 - Google Patents

자석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812A
KR20110083812A KR1020100003743A KR20100003743A KR20110083812A KR 20110083812 A KR20110083812 A KR 20110083812A KR 1020100003743 A KR1020100003743 A KR 1020100003743A KR 20100003743 A KR20100003743 A KR 20100003743A KR 20110083812 A KR20110083812 A KR 20110083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agnet
chamber
liquid inlet
liqui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현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3812A/ko
Publication of KR20110083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3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 B03C1/0332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us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식성과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증가되고, 지속적인 관리가 용이한 자석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액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액체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챔버와, 상기 액체 유입구에 결합되는 액체 유입관과, 상기 액체 유출구에 결합되는 액체 유출관과,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및 상기 챔버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자석 분리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석 분리기{Magnetic Separator}
본 발명은 자석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 시스템은 다양한 액체 상태의 원료 물질을 저장 탱크로부터 해당 공정의 반응조로 이송하게 된다. 원료 물질은 원료의 생산 과정에서 유입될 수 있는 금속성 이물질과 이송 과정에서 유입될 수 있는 금속성 이물질을 포함하게 된다. 금속성 이물질은 원료와 함께 해당 공정의 반응조로 투입되는 경우에 생산되는 화학 제품의 순도를 저하시키는 등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상기 원료 물질은 반응조로 투입되는 전에 이송되는 과정에서 금속성 이물질이 제거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원료 물질은 이송 경로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는 금속성 이물질 제거 장치를 통과하면서 금속성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러나, 금속성 이물질 제거 장치는 이송되는 액체의 부식성 때문에 지속적인 내부 청소와 관리 및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상기 원료 물질이 강산 또는 강염기를 가지는 경우에, 금속성 이물질 제거 장치는 지속적인 관리가 어렵게 되어 금속성 물질의 제거 효율이 저하되거나,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내부식성과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증가되고, 지속적인 관리가 용이한 자석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석 분리기는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액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액체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챔버와, 상기 액체 유입구에 결합되는 액체 유입관과, 상기 액체 유출구에 결합되는 액체 유출관과,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및 상기 챔버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판상의 링 형상으로 상기 챔버의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가 결합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유입관은 일측이 상기 액체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액체 이송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액체 유출관은 일측이 상기 액체 유출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액체 이송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유입관과 상기 액체 유출관은 상기 액체 이송 라인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체 유입관과 액체 유출관은 각각 상기 액체 이송 라인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3개의 지지바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는 소정 위치에 고정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턱은 적어도 3개의 상기 고정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상의 원이 상기 자석의 외경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턱의 내측에 상기 자석이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은 링 형상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은 외면에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테프론으로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은 링 형상의 전자석과,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테프론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자석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전자석을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연결 케이블이 관통하는 상부 홀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은 상면이 상기 액체 유입구와 액체 유출구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석 분리기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부식에 취약한 자석의 표면에 내부식성 표면층을 형성함으로써 강산 또는 강염기성을 가지는 액체의 이송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석 분리기에 따르면 자석의 교체와 및 내부 세척과 같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석 분리기에 따르면 액체 이송 경로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이송되는 액체의 순간적인 속도 저하를 유도하여 자성 금속성 이물질의 자석에의 흡착 효율과 비자성 금속 이물질의 침강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석 분리기에서 상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기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자석 분리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기(100)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챔버(110), 액체 유입관(120), 액체 유출관(130), 지지부(140), 자석(150) 및 상부 커버(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석 분리기(100)는 배출관(17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 분리기(100)는 액체 이송 라인(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의 중간에 장착되며, 액체 유입관(120)으로부터 챔버(110)로 유입되는 액체가 자석(150)과 접촉되면서 액체에 혼합되어 있는 금속성 자성 이물질이 자석(150)에 부착되어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석 분리기(100)는 금속성 자성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를 액체 유출관(130)을 통하여 챔버(110)의 외부로 유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석 분리기(100)는 액체 이송 라인보다 상대적으로 단면적과 체적이 큰 챔버(110)를 구비하게 되며, 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의 이송 속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석 분리기(100)는 액체가 보다 긴 시간 동안 자석(150)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금속성 자성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자석 분리기(100)는 액체의 이송 속도가 저하되므로 부피를 가지는 비자성 이물질 입자를 챔버(110)의 하부로 낙하시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석 분리기(100)는 챔버(1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커버(160)를 열어서 챔버(110) 내부 청소, 자석(150)의 교체 및 수리를 진행하게 되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챔버(110)는 액체 유입구(112) 및 액체 유출구(11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챔버(110)는 배출구(116)와 플랜지(118)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10)는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챔버(110)는 바람직하게는 원기둥의 중심 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챔버(110)는 이송되는 액체의 이송 양과 속도를 고려하여 적정한 내부 부피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110)는 액체 이송 라인 즉, 액체 유입구(112)의 수직 단면적보다 적어도 10배의 수평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10)의 부피가 너무 작게 되면 액체가 챔버(110)의 내부에서 자석(150)과 접촉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금속성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챔버(110)의 부피가 너무 크게 되면 액체가 챔버(110)의 내부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가되어 액체의 물성 변화를 초래하거나, 액체의 이송을 위하여 필요한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110)는 내측 바닥면이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챔버(110)는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 액체에 의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내부식성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액체 유입구(112)는 챔버(110)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액체 유출구(114)는 챔버(110)의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액체 유입구(112)와 액체 유출구(114)는 중심과 중심을 연결하는 축 상에 위치하도록 챔버(110)에 형성된다. 상기 액체 유입구(112)에는 액체 유입관(120)이 연결되며, 액체 유출구(114)에는 액체 유출관(13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16)는 배출관(170)과 연결된다. 상기 배출구(116)는 챔버(110)의 하면에 추적되는 이물질을 배출관(170)을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116)는 오목하게 챔버(110)의 내측 바닥면에서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16)는 효율적으로 내부에 축적되는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랜지(118)는 판상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챔버(110)의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18)는 상부 커버(160)와 결합되어 챔버(110)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액체 유입관(120)은 일측이 챔버(110)의 액체 유입구(112)에 결합되며 타측이 액체 이송 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액체 유입관(120)은 바람직하게는 내경이 액체 이송 라인의 내경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 유입관(120)은 액체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액체 이송 라인과의 사이에 와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액체 유입관(120)은 액체 이송라인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유출관(130)은 일측이 챔버(110)의 액체 유출구(114)에 결합되며 타측이 액체 이송 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액체 유출관(130)은 바람직하게는 내경이 액체 이송 라인의 내경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 유출관(130)은 액체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액체 이송 라인과의 사이에 와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액체 유출관(130)은 중심 축이 액체 유입관(120)의 중심 축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는 불필요한 와류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챔버(1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 유출관(130)은 액체 이송 라인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0)는 바 형상의 지지바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챔버(110)의 내측면에서 내부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140)는 적어도 3개의 지지바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40)는 상면에 위치하는 자석(15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140)는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안착되는 자석(150)의 외경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턱(142)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턱(142)은 적어도 3개의 고정턱(142)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상의 원이 자석(15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고정턱(142)의 내측에 자석(150)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40)는 자석(150)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140)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자석(150)은 영구 자석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자성이 강한 희토류 영구 자석으로 형성된다. 상기 자석(150)은 외측면에 전체적으로 내부식성을 갖는 보호층(152)이 형성된다. 상기 자석(150)은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자석(15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이 챔버(110)의 내측면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소정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석(150)은 자력에 의하여 이송되는 액체에 포함되어 있는 자성 금속 이물질을 흡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석(150)은 자성 금속 이물질을 액체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석(150)은 표면에 자성 금속 이물질이 너무 많이 흡착된 경우에 챔버(110)로부터 분리하여 흡착된 자성 금속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석(150)은 내경이 외경의 40 ~ 60%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석(150)의 내경이 너무 작게 되면 액체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비자성 금속 이물질 또는 비금속 이물질이 챔버(110)의 내부로 낙하하는데 지장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자석(150)은 내경이 너무 크게 되면 자석(150)의 부피가 감소되어 자성 금속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감소된다.
상기 자석(150)은 바람직하게는 상면이 액체 유입구(112) 및 액체 유출구(11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가 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석(150)은 액체 유입구(112)로부터 유입되는 액체의 흐름을 직접적으로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보호층(152)은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테프론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152)은 각각의 자석(15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52)은 다수개의 자석(150)이 적층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표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층(152)은 액체가 강산성 또는 강염기성인 경우에도 자석(15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층(152)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경우에, 보호층(152)은 상대적으로 취성이 약한(brittle) 자석(150)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커버(160)는 소정 두께의 원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챔버(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챔버(110)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상부 커버(160)는 챔버(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18)에 볼트 및 너트(도면에 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커버(160)는 챔버(110)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자석(150)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 챔버(110)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160)는 판상의 부직포 또는 고무로 형성되는 팩킹(162)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팩킹은 챔버(110)의 플랜지(118)와 상부 커버(160) 사이에 위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플랜지(118)와 상부 커버(160) 사이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배출관(170)는 챔버(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16)에 결합되며, 챔버(110)의 하면에 축적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배출관(170)은 개폐 밸브(172)를 더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관(170)은 챔버(110)의 내부에 이물질이 많이 축적된 경우에 개폐 밸브(172)를 열어서 내부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기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기(200)는, 도 3을 참조하면, 챔버(110), 액체 유입관(120), 액체 유출관(130) 및 지지부(140), 자석(250) 및 상부 커버(2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석 분리기(200)는 배출관(17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기(200)는 자석(250)과 상부 커버(26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2의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기(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기(200)는 도 1 내지 2의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자석(250)은 전자석(252)과 케이스(254) 및 연결 케이블(25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자석(250)은 연결 케이블(256)을 통하여 전자석(252)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자력을 발생하여 액체에 포함되어 있는 자성 금속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전자석(252)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도록 코일이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자석(252)은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자석(150)과 동일한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252)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전자석(252)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252)은 도 1의 자석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전자석(252)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54)는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테프론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전자석(252)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254)는 상부에 연결 케이블(256)이 유입되는 케이스 홀(254a)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54)는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54)는 전자석(252)의 형상에 따라 전체적으로 하나의 케이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54)는 다수의 전자석(252)을 각각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케이블(256)은 일반적인 전력 케이블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케이블(256)은 외면에 내부식성이 강한 테프론과 같은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케이블(256)은 플렉서블하게 형성되어 전자석(252)을 챔버(110)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 케이블(256)은 일측이 전자석(2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 케이블(256)은 케이스(254)에 형성되는 케이스 홀(254a)을 통하여 전자석(252)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 케이블(256)은 상부 커버(260)에 형성되는 상부 홀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연결 케이블(256)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기를 전자석(252)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연결 케이블(256)은 외부가 내부식성이 있는 테프론과 같은 재질로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커버(260)는 전체적으로 도 1에 따른 상부 커버(16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다만, 상기 상부 커버(260)는 챔버(110)의 내부로 관통되는 상부 홀(262)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홀은 연결 케이블(256)이 관통되어 외부로 유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케이블(256)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상부 홀과 연결 케이블(256)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틈은 별도의 접착제 또는 그리스와 같은 물질로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틈은 팩킹 부재와 같은 실링 부재를 사용하여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자석 분리기
110: 챔버 120: 액체 유입관
130: 액체 유출관 140: 지지부
150: 자석 160: 상부 커버

Claims (8)

  1.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액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액체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챔버와,
    상기 액체 유입구에 결합되는 액체 유입관과,
    상기 액체 유출구에 결합되는 액체 유출관과,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및
    상기 챔버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판상의 링 형상으로 상기 챔버의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가 결합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입관은 일측이 상기 액체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액체 이송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액체 유출관은 일측이 상기 액체 유출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액체 이송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유입관과 상기 액체 유출관은 상기 액체 이송 라인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입관과 액체 유출관은 각각 상기 액체 이송 라인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3개의 지지바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는 소정 위치에 고정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턱은 적어도 3개의 상기 고정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상의 원이 상기 자석의 외경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턱의 내측에 상기 자석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링 형상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은 외면에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테프론으로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링 형상의 전자석과,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테프론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자석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전자석을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연결 케이블이 관통하는 상부 홀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면이 상기 액체 유입구와 액체 유출구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기.
KR1020100003743A 2010-01-15 2010-01-15 자석 분리기 KR20110083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743A KR20110083812A (ko) 2010-01-15 2010-01-15 자석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743A KR20110083812A (ko) 2010-01-15 2010-01-15 자석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812A true KR20110083812A (ko) 2011-07-21

Family

ID=4492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743A KR20110083812A (ko) 2010-01-15 2010-01-15 자석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38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573A (ko) * 2016-06-13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조리기기
KR102366727B1 (ko) * 2021-11-15 2022-02-23 김진영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573A (ko) * 2016-06-13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조리기기
KR102366727B1 (ko) * 2021-11-15 2022-02-23 김진영 도포액 이물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62159B (zh) 一种湿法高梯度强磁选机
KR102166626B1 (ko) 응축물 제거 장치
KR20110083812A (ko) 자석 분리기
US5118416A (en) Permanent magnetic power cell circuit for treating fluids to control iron pipes
KR200394729Y1 (ko) 마그네틱 필터
CN102718366A (zh) 一种污水处理系统
KR20120020898A (ko) 용수에 함유된 입자상 철분 제거 장치 및 방법
CN103553189B (zh) 浸没式磁环分离设备
KR20050061507A (ko) 디젤엔진 연로를 위한 마그네틱 컨디셔닝 장치
CN215609862U (zh) 一种磁性过滤器
KR100950093B1 (ko) 공급수의 여과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JP4323444B2 (ja) 酸素および水素の発生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装置
CN201006358Y (zh) 高精度过滤装置
KR101087706B1 (ko) 전자장 수처리 장치
CN108017124B (zh) 立式电磁静电污水净化装置
EP0048272A1 (en) ELECTROMAGNETIC FILTER WITH REMOVABLE COIL.
CN211651765U (zh) 磁翻板液位计的进水除铁装置与进水总成
CN215855366U (zh) 一种立式循环水电离过滤装置
KR102337066B1 (ko) 수도계량기용 자화수기
US10875033B2 (en) Removal of ferromagnetic material from a fluid stream
CN218810676U (zh) 一种循环水电磁混合过滤装置
CN211920988U (zh) 一种组合式水质磁化器及水质磁化装置
KR100767008B1 (ko) 자장을 이용한 배관용 고착물 제거 및 방지장치
US11873237B2 (en) Fluid conditioning systems and methods
CN220690227U (zh) 一种无卡阻的磁性浮子液位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