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256B1 -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256B1
KR102099256B1 KR1020190059342A KR20190059342A KR102099256B1 KR 102099256 B1 KR102099256 B1 KR 102099256B1 KR 1020190059342 A KR1020190059342 A KR 1020190059342A KR 20190059342 A KR20190059342 A KR 20190059342A KR 102099256 B1 KR102099256 B1 KR 10209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liquid storage
recyclable
storage container
dange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희
Original Assignee
고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대희 filed Critical 고대희
Priority to KR1020190059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o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4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walls formed with filling or emptying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화학산업에서 발생되는 유독성의 물질의 저장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 일회성 사용 후 폐기처리에 따른 환경오염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위험물 액체의 유입을 위한 유입공(11)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공 주변에는 다수의 벤트홀(12)이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투입되어 위험물 액체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는 내부비닐(20)과; 상기 내부비닐(20)의 입구부에 연결되되, 용기본체(10)의 유입공(11)과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캡(30)과;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진공을 위하여 벤트홀(12)과 유통이 이루어지는 진공펌프(4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부에 연결되어 내부 위험물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 토출밸브(50)와; 상기 내부비닐(20)의 절개를 위항 토출밸브(50)의 선단부에 구성되는 절개부재(51);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RECYCLING HAZARDOUS LIQUID STORAGE CONTAINER SYSTEM}
본 발명은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의 위험물질이 저장 및 보관되어지는 저장용기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저장용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산업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액체물질이 다뤄지게 되는데 이러한 액체물질은 위험물로 분류되기 때문에 운반 또는 저장 과정에서 별도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저장용기(Drum, IBC탱크)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위험물 저장용기는 유독성분 및 내부오염의 문제로 인해 내부세척이 불가하기 때문에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라 대부분 일회용으로 사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용기의 폐기과정에서 환경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회용으로 저장용기의 사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용기 생산에 따른 비용발생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30151호(2015.06.12.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70287호(2018.06.18.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53427호(2017.05.16.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일회용이 아닌 재사용이 가능한 위험물질 보관용기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위험물질의 보관비용을 절감시킴과 함께 폐기물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 발생을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위험물 액체의 유입을 위한 유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공 주변에는 다수의 벤트홀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투입되어 위험물 액체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는 내부비닐과; 상기 내부비닐의 일측에 연결되되, 용기본체의 유입공과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캡과;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진공을 위하여 벤트홀과 유통이 이루어지는 진공펌프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내부 위험물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 토출밸브와; 상기 내부비닐의 절개를 위항 토출밸브의 선단부에 구성되는 절개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캡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용기본체의 유입공 내벽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됨으로 상호간에 나사체결에 의한 착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위험물 저장용기 시스템은, 화학산업에서 발생되는 유독성의 물질의 저장 후 재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기존 일회성 사용 후 폐기처리에 따른 환경오염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내부비닐만을 교체하여 저장용기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험물 저장용기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저장용기 시스템 일부 분리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저장용기에 내부비닐 결합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저장용기에 내부비닐 결합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저장용기에 내부비닐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내부비닐의 내부 밀착을 위한 진공 구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저장용기에 위험물 액체가 저장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저장용기에 보관되는 위험물 액체의 배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내부비닐을 저장용기로 부터 분리시킨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기 단면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기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은,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위험물 액체의 유입을 위한 유입공(11)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유입공 주변에는 다수의 벤트홀(12)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는 위험물 액체로 부터 용기 내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비닐(20)이 구비되어지게 되며, 상기 내부비닐(20)의 입구부에는 용기본체(10)의 유입공(11)과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캡(30)이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진공을 위하여 벤트홀(12)과 유통이 이루어지는 진공펌프(4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부에 연결되어 내부 위험물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 토출밸브(50)와, 상기 내부비닐(20)의 절개를 위항 토출밸브(50)의 선단부에 구성되는 절개부재(51)가 구성된다.
이때, 체결캡(3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30a)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용기본체(10)의 유입공(11) 내벽면에는 암나사산(11a)이 형성됨으로 상호간에 나사체결에 의한 착탈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재(51)는 일측에 톱날부(51a)가 형성된 링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토출밸브(50)를 용기본체(1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내부비닐(20)의 절개가 이루어지게 되며, 토출밸브(50) 내부에는 내부비닐(20)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코일스프링(52)이 구비된다.
또한, 진공펌프(40)에는 용기본체(10)의 유입공(11)과 연결이 이루어지는 커넥터(41)가 연결 구성되되, 상기 커넥터(41)에는 벤트홀(12)과 대응되는 부위에 벤트공(42)이 형성된다.
한편, 용기본체(10)에는 내용물의 온도, 압력,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됨으로서, 외부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저장 내용물의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3은 토출밸브(50)가 장착될 부위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위험물 저장용기 시스템은 먼저 내부비닐(20)을 용기본체(10) 내부에 장착시키는 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유입공(11)을 통해 내부비닐(20)을 투입시킨 후 체결캡(30)을 유입공(11)에 나사체결하여 결합시킴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초기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공(11) 부위에 진공용 커넥터(41)를 연결 설치하게 되면, 벤트홀(12)과 벤트공(42)이 상호 일치되는 형태로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진공펌프(40)를 구동시키게 되면 용기본체(10) 내부에 흡기력이 작용되어짐으로서 도 7에서와 같이 내부비닐(20)이 용기 내벽면에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비닐(20)의 밀착이 이루어지게 되면 위험물 이송파이프(60)를 연결하여 액체상태의 위험물질이 유입공(11)을 통해 용기본체(10) 내부에 저장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유입된 위험물질은 도 8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내부비닐(20)에 보관이 이루어짐으로서 용기본체(10)의 내벽면 오염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후, 내부 보관 위험물질을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용기본체(10) 일측에 토출밸브(50)를 연결 설치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마감판(13)을 분리시킨 후 해당 위치에 결합시키게 되면, 선단부에 구성된 절개부재(51)의 톱날부(51a)에 의해 내부비닐(20)의 해당 부위가 절개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보관 위험물질이 토출밸브(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코일스프링(52)은 내부비닐(20)이 토출밸브(50)의 유로를 막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용기본체(10) 내부에 저장되어졌던 위험물질의 배출이 완료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체결캡(30)을 분리시켜서 내부비닐(20)을 제거하게 되며, 이후 새로운 내부비닐(20)로 교체 장착하여 용기본체(10)의 재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화학산업에서 발생되는 유독성의 물질의 저장 후 재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기존 일회성 사용 후 폐기처리에 따른 환경오염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내부비밀만을 교체하여 저장용기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용기본체(10)의 내벽면에는 다수의 통공(14a)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4a)은 벤트홀(12)과 연통되는 내부흡기공간(14)과 연결되며, 상기 통공(14a)에는 내부비닐(20)이 내부흡기공간(1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브러시(15)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진공펌프(40) 동작에 따른 용기본체(10)의 내부 진공이 다수의 통공(14a)을 통해 내부 벽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작용되어짐으로서 내부비닐(20)의 벽면 밀착력이 증대되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가이드브러시(15)가 각 통공(14a)에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내부비닐(20)이 내부흡기공간(14)으로 빨려들어감으로 인한 진공 불균일 현상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용기본체(10)의 내벽면에는 내부비닐(20)의 점착 및 내오염성 향상을 위한 내부 코팅층(16)이 형성된다.
이때, 내부 코팅층(16)은 윤활성 향상을 위한 실리콘아크릴수지 30~50중량%, 밀착력 저하를 위한 굴패각분말 10~30중량%, 티타늄의 산화물인 이산화티탄 10~30중량%, 내오염 특성을 갖는 규산소다 10~30중량%, 이산화티탄의 산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필렌글리콜 1~10중량%, 윤활성 재료인 세레신 왁스 1~5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내부 코팅층(16)의 구성을 이루게 되면, 내부비닐(20)이 진공 흡입력으로 인해 용기본체(10) 내벽면에 장시간 접촉에 따른 점착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내부에서 일부 유출되어지더라도 내부 코팅층(16)으로 인해 오염물질의 용기본체(10) 내벽면 부착현상이 최소화 되어질 수 있게 되며 간단한 물세척으로 오염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위험물 저장용기 시스템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용기본체(10)에는 내용물의 온도, 압력, 중량 등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됨으로서, 외부 또는 원거리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저장 내용물의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시스템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용기본체 11 : 유입공
12 : 벤트홀 13 : 마감판
20 : 내부비닐 30 : 체결캡
40 : 진공펌프 41 : 커넥터
42 : 벤트공 43 : 진공안내관
50 : 토출밸브 51 : 절개부재
52 : 코일스프링 60 : 위험물 이송파이프

Claims (10)

  1. 일측에 위험물 액체의 유입을 위한 유입공(11)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공 주변에는 다수의 벤트홀(12)이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투입되어 위험물 액체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는 내부비닐(20)과;
    상기 내부비닐(20)의 입구부에 연결되되, 용기본체(10)의 유입공(11)과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캡(30)과;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진공을 위하여 벤트홀(12)과 유통이 이루어지는 진공펌프(4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부에 연결되어 내부 위험물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 토출밸브(50)와;
    상기 내부비닐(20)의 절개를 위하여 토출밸브(50)의 선단부에 구성되는 절개부재(51);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캡(3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30a)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용기본체(10)의 유입공(11) 내벽면에는 암나사산(11a)이 형성됨으로 상호간에 나사체결에 의한 착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재(51)는 일측에 톱날부(51a)가 형성된 링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토출밸브(50)를 용기본체(1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내부비닐(20)의 절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출밸브(50) 내부에는 내부비닐(20)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코일스프링(5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40)에는 용기본체(10)의 유입공(11)과 연결이 이루어지는 커넥터(41)가 연결 구성되되, 상기 커넥터(41)에는 벤트홀(12)과 대응되는 부위에 벤트공(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에는 내용물의 온도, 압력,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됨으로서, 외부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저장 내용물의 정보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벽면에는 다수의 통공(14a)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4a)은 벤트홀(12)과 연통되는 내부흡기공간(14)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통공(14a)에는 내부비닐(20)이 내부흡기공간(1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브러시(15)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벽면에는 내부비닐(20)의 점착 및 내오염성 향상을 위한 내부 코팅층(16)이 형성되되, 상기 내부 코팅층(16)은 실리콘아크릴수지, 굴패각분말, 이산화티탄, 규산소다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코팅층(16)에는 프로필렌글리콜 및 세레신 왁스가 추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KR1020190059342A 2019-05-21 2019-05-21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KR10209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42A KR102099256B1 (ko) 2019-05-21 2019-05-21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42A KR102099256B1 (ko) 2019-05-21 2019-05-21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256B1 true KR102099256B1 (ko) 2020-05-15

Family

ID=7067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342A KR102099256B1 (ko) 2019-05-21 2019-05-21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2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2358A (zh) * 2021-02-20 2021-06-22 四川观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危险品仓储取存管理一体化系统
KR20220040605A (ko) 2020-09-24 2022-03-31 (주)딥블루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KR20220146026A (ko) * 2021-04-23 2022-11-01 윤대성 각질 제거기
KR20220166632A (ko) 2021-06-10 2022-12-19 (주)딥블루 위험물 용기용 캡
KR20220167814A (ko) * 2021-06-14 2022-12-22 백은주 액체화장품용 재활용 용기
KR20230010914A (ko) 2021-07-13 2023-01-20 (주)딥블루 위험물 용기용 라이너백 어셈블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47Y1 (ko) * 2001-11-07 2002-02-21 이영현 착탈식 보관용기
KR20090011605U (ko) * 2009-10-27 2009-11-16 최문수 이중 구조의 용기 뚜껑
JP2014111467A (ja) * 2012-12-05 2014-06-19 Sekisui Fuller Co Ltd シーリング材充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30151B1 (ko) 2014-08-29 2015-06-19 주식회사 동성하이켐 대용량 위험물 운반용기
GB2527322A (en) * 2014-06-17 2015-12-23 Pet Engineering & Services S R L Pre-formed container with a flexible liner
JP2016519022A (ja) * 2014-02-12 2016-06-30 サンビーム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unbeam Products, Inc. 拡張可能部を備えた保存容器
KR101870287B1 (ko) 2016-10-21 2018-06-25 중경산업 주식회사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47Y1 (ko) * 2001-11-07 2002-02-21 이영현 착탈식 보관용기
KR20090011605U (ko) * 2009-10-27 2009-11-16 최문수 이중 구조의 용기 뚜껑
JP2014111467A (ja) * 2012-12-05 2014-06-19 Sekisui Fuller Co Ltd シーリング材充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519022A (ja) * 2014-02-12 2016-06-30 サンビーム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unbeam Products, Inc. 拡張可能部を備えた保存容器
GB2527322A (en) * 2014-06-17 2015-12-23 Pet Engineering & Services S R L Pre-formed container with a flexible liner
KR101530151B1 (ko) 2014-08-29 2015-06-19 주식회사 동성하이켐 대용량 위험물 운반용기
KR101870287B1 (ko) 2016-10-21 2018-06-25 중경산업 주식회사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605A (ko) 2020-09-24 2022-03-31 (주)딥블루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CN113012358A (zh) * 2021-02-20 2021-06-22 四川观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危险品仓储取存管理一体化系统
CN113012358B (zh) * 2021-02-20 2022-08-26 四川观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危险品仓储取存管理一体化系统
KR20220146026A (ko) * 2021-04-23 2022-11-01 윤대성 각질 제거기
KR102505541B1 (ko) * 2021-04-23 2023-03-03 윤대성 각질 제거기
KR20220166632A (ko) 2021-06-10 2022-12-19 (주)딥블루 위험물 용기용 캡
KR20220167814A (ko) * 2021-06-14 2022-12-22 백은주 액체화장품용 재활용 용기
KR102507957B1 (ko) * 2021-06-14 2023-03-09 백은주 액체화장품용 재활용 용기
KR20230010914A (ko) 2021-07-13 2023-01-20 (주)딥블루 위험물 용기용 라이너백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256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CN108367840B (zh) 重新填装容器
TWI607931B (zh) 基於襯缸的運送及分配系統
KR101538892B1 (ko) 용기 보호를 위한 커버 조립체
WO2005068220A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spray guns and the like
BR112019005611B1 (pt) Tambor de cabeça fechada, revestimento interno para a inserção no mesmo,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o mesmo
JP2014231362A (ja) エアレス容器
AR034285A1 (es) Una entrada de aire, un cierre para dicha entrada de aire y un envase que comprende dicha entrada de aire y a dicho cierre para dicha entrada de aire
JP6568070B2 (ja) 分配システムのための継手と継手アダプタおよび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US9217342B2 (en) Collecting container for lubricants
CN201470640U (zh) 清洗电池外壳的超声波容器
EP2398717A1 (en) A container assembly and a cap assembly for a container
EP3616796B1 (en) Eco-friendly pumping device using the vacuum principle
KR102593716B1 (ko) 진공 원리를 이용한 친환경 흡상 장치
EP1097882B1 (en) Fluid containing system
KR20230010914A (ko) 위험물 용기용 라이너백 어셈블리
CN103934160A (zh) 一种led直管灯涂料装置
CN210455774U (zh) 一种用于喷码机墨水瓶的瓶盖及喷码机墨水瓶
KR20140103423A (ko)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KR102476269B1 (ko) 분리형 용기
EP4116215A1 (en) Replaceable container
KR200323812Y1 (ko) 액체 충전기
CN112193606A (zh) 工业油桶
KR20090007782U (ko) 물 오염 방지용 생수용기(容器)
JP2024052015A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