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423A -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423A
KR20140103423A KR1020130016739A KR20130016739A KR20140103423A KR 20140103423 A KR20140103423 A KR 20140103423A KR 1020130016739 A KR1020130016739 A KR 1020130016739A KR 20130016739 A KR20130016739 A KR 20130016739A KR 20140103423 A KR20140103423 A KR 20140103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ipe
valve
tub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765B1 (ko
Inventor
원영식
Original Assignee
원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식 filed Critical 원영식
Priority to KR102013001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765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04B37/16Means for nullifying unswept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02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evacuating by absorption or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유해물질을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피부와 접촉이 없이 유해물질을 흡입 제거하여 작업자의 피부를 보호하며, 유해물질이 채워진 원통관을 분리하여 세정한 다음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의 영구적으로 원통관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제1 밸브를 가지는 흡입관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 공기 배출관이 구비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통관의 내주면에 선접촉을 하면서 원통관을 따라 이동하는 체크볼과; 상기 제1 공기 배출관과 분리 가능하게 분리형 커넥터로 밀봉되게 연결되며, 제2 밸브를 가지는 제2 공기 배출관과; 상기 제2 공기 배출관에 연결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와 연결되어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Potable vacuum inha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유해물질을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피부와 접촉이 없이 유해물질을 흡입 제거하여 작업자의 피부를 보호하며, 유해물질이 채워진 원통관을 분리하여 세정한 다음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의 영구적으로 원통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장 등에서 액상의 유해물질이 빈번하게 누출되어 상수원을 오염시키거나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다. 특히 무색의 자극성 액체로 공기 중에서 발연하는 유독성 물질인 불산 누출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액상의 유해물질의 누출은 유해물질을 탱크롤리에 옮기는 과정이나, 또는 탱크롤리의 유해물질을 공장의 저장탱크로 옮기는 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제품의 제조 공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나 노후화 된 공장 시설로 인하여 액상 유해물질의 누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유해물질이 누출되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걸레나 흡착포 등을 이용하여 액상 유해물질을 닦아내어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걸레나 흡착포로 액상 유해물질을 닦아내어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걸레나 흡착포를 사용하여 유해물질을 닦아낼 경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됨에 따라 액상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가 유해물질에 장시간 동안 노출됨으로써,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유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걸레나 흡착포를 이용하여 유해물질을 닦아내는 과정에서 유해 유해물질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피부에 치명적인 상처를 주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유해물질을 닦아낸 걸레나 흡착포 등을 일반 폐기물과 함께 처리함으로써, 유해물질이 하수에 유입되어 상수원을 오염시키거나 토양에 침투되어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있었고, 또한 걸레나 흡착포 등을 소각 처리할 경우에는 유해물질에 포함된 유해 성분이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57785호 “진공흡입장치”(2011. 06. 0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의 유해물질이 누출되면 유해물질을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하고, 작업자의 피부와 접촉이 없이 유해물질을 흡입 제거하며, 유해물질이 채워진 원통관을 분리하여 세정한 다음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원통관의 내부에 체크볼을 구비함에 따라 회수된 유해물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통관의 양측 단부를 체크볼이 밀착되게 반구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세정액을 통해 원통관을 세정한 다음 원통관의 내부에 세정액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통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1 공기 배출관에 제3 밸브를 더 구비함에 따라 유해물질의 누출을 좀 더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통관의 외주연에 별도의 세정액 투입관을 구비하여 원통관의 세정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일측 단부에는 제1 밸브를 가지는 흡입관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 공기 배출관이 구비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통관의 내주면에 선접촉을 하면서 원통관을 따라 이동하는 체크볼과; 상기 제1 공기 배출관과 분리 가능하게 분리형 커넥터로 밀봉되게 연결되며, 제2 밸브를 가지는 제2 공기 배출관과; 상기 제2 공기 배출관에 연결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와 연결되어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의 상기 원통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배출관은 제1 공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제3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의 상기 원통관은, 원통관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세정밸브를 가지는 세정액 투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액상의 유해물질을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피부와 접촉이 없이 유해물질을 흡입 제거하여 작업자의 피부를 보호하며, 유해물질이 채워진 원통관을 분리하여 세정한 다음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의 영구적으로 원통관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원통관의 내부에 체크볼을 구비함에 따라 회수된 유해물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관의 양측 단부를 체크볼이 밀착되게 반구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세정액을 통해 원통관을 세정한 다음 원통관의 내부에 세정액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정액의 잔류로 인해 유해물질의 흡입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통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1 공기 배출관에 제3 밸브를 더 구비함에 따라 유해물질의 누출을 좀 더 예방하여 안전성을 좀 더 향상시킨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관의 외주연에 별도의 세정액 투입관을 구비하여 원통관의 세정을 좀 더 용이하게 함으로써 원통관의 청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바닥 등으로 누출되는 액상의 유해물질에 접촉되어 유해물질을 흡입 저장하는 흡입 저장수단과, 상기 흡입 저장수단에 진공압을 걸어주는 공기 흡입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저장수단은 일측 단부에 제1 밸브(111)를 가지는 흡입관(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 공기 배출관(12)이 구비되는 원통관(1)과, 상기 원통관(1)의 내부에 구비되어 원통관(1)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체크볼(2)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흡입수단은 상기 제1 공기 배출관(12)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밸브(31)를 가지는 제2 공기 배출관(3)과, 상기 제2 공기 배출관(3)에 연결되는 챔버(4)와, 상기 챔버(4)와 연결되어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5)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통관(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저장하는 저장탱크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원통관(1)은 액상의 유해물질에 대하여 내식성이 강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또는 유리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관(1)은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는 제1 밸브(111)를 가지는 흡입관(11)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흡입관(11)은 개방 단부가 액상의 유해물질과 직접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밸브(111)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레버(미도시됨)의 조작을 통해 흡입관(11)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관(1)의 타측 단부에는 제1 공기 배출관(12)이 구비되는데, 제1 공기 배출관(12)에는 제1 공기 배출관(12)을 개폐하는 제3 밸브(1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밸브(121)는 원통관(1)의 내부에 채워진 유해물질의 누출을 좀 더 예방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분리형 커넥터(C)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밸브(121)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레버(미도시됨)의 조작을 통해 제1 공기 배출관(12)을 개폐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통관(1)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상기 체크볼(2)이 밀착되게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 하면 원통관(1)의 양측 단부를 반구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세정액을 통해 원통관(1)을 세정한 다음에, 상기 체크볼(2)이 원통관(1)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완전히 밀착됨으로 원통관(1)의 내부에 잔류된 세정액이 거의 다 배출된다. 따라서 원통관(1)의 세정후 세정액이 원통관(1)의 내부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정액의 잔류로 인해 유해물질의 흡입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원통관(1)은 원통관(1)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세정밸브(131)를 가지는 세정액 투입관(13)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세정밸브(131)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레버(미도시됨)의 조작을 통해 세정액 투입관(13)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원통관(1)의 외주연에 별도의 세정액 투입관(13)을 구비함으로써, 원통관(1)의 세정을 좀 더 용이하게 하여 원통관(1)의 청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크볼(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관(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흡입수단에서 흡입 압력인 진공압이 걸리게 되면, 흡입 압력으로 후퇴하면서 액상의 유해물질을 빨아드리는 피스톤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체크볼(2)은 상기 원통관(1)과 마찬가지로, 액상의 유해물질에 대하여 내식성이 강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또는 유리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볼(2)은 상기 원통관(1)의 내주면에 선접촉을 하면서 원통관(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 하면 상기 체크볼(2)의 상기 원통관(1)의 내주면과 선접촉을 하면서 이동되어야 액상의 유해물질을 빨아드리는 진공 압력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체크볼(2)의 둘레가 원통관(1)의 내주면에 선접촉을 하면서 이동되게 함으로써, 원통관(1)의 내부에 회수되어 채워지는 유해물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공기 배출관(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기 배출관(12)의 분리 가능하게 분리형 커넥터(C)로 밀봉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공기 배출관(12)과 상기 챔버(4)를 밀봉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2 공기 배출관(3)에는 제2 밸브(3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 밸브(31)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레버(미도시됨)의 조작을 통해 제2 공기 배출관(3)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분리형 커넥터(C)는 상기 제1 공기 배출관(12)과 제2 공기 배출관(3)을 상호 밀봉되게 연결하고 상호 분리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챔버(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공기 배출관(3)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5)의 작동을 통해 내부를 진공 상태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원통관(1)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일정하면서 안정적으로 걸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챔버(4)는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펌프(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4)와 연결되어 상기 챔버(4)에 채워지는 공기는 물론 상기 원통관(1)에 채워진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원통관(1)에 진공압을 걸리게 하여 상기 체크볼(2)을 후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프(5)는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것으로, 팬을 이용하는 등의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펌프(5)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펌프(5)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를 사용하여 누출된 액상의 유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먼저 흡입관(11)의 제1 밸브(1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관(11)이 하부로 위치되게 휴대용 진동 흡입장치를 경사지게 세우거나 수직으로 세운다. 그러면 원통관(1)의 내부에 구비된 체크볼(2)이 중력으로 인하여 하부로 낙하된 위치를 유지한다.
다음 상기 흡입관(11)을 누출된 액상의 유해물질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펌프(5)를 작동시키면 챔버(4)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챔버(4)의 내부는 진공 상태를 이룬다.
다음 상기 제1 공기 배출관(12)의 제3 밸브(121) 및 제2 공기 배출관(3)의 제2 밸브(31)를 개방하면, 상기 챔버(4)가 진공 상태를 이룸에 따라 원통관(1)의 공기를 챔버(4)의 내부로 빨아드리면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됨으로써, 원통관(1)의 내부에서는 진공압력이 걸리게 된다. 아울러 상기 원통관(1)에 내부에서 진공압력이 걸리는 과정에서도 펌프(5)가 작동됨으로써 원통관(1)의 내부에서는 진공압력이 계속적으로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통관(1)의 내부에 걸리는 진공압으로 인하여 상기 원통관(1)의 하부에 위치된 체크볼(2)이 상부로 후퇴 이동됨으로써, 흡입관(11)으로부터 액상의 유해물질이 흡입되어 원통관(1)의 내부에 채워진다.
다음 상기 원통관(1)의 체크볼(2)이 완전히 후퇴되어 원통관(1)의 내부에 유해물질이 완전히 채워지면 펌프(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흡입관(11)의 제1 밸브(111)와 제1 공기 배출관(12)의 제3 밸브(121) 및 제2 공기 배출관(3)의 제2 밸브(31)를 닫음으로써, 액상의 유해물질의 흡입 회수를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상기와 같이 액상의 유해물질을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흡입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액상의 유해물질을 흡입 회수한 다음, 원통관(1)에 채워진 액상의 유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공기 배출관(12)과 제2 공기 배출관(3)의 사이를 밀봉되게 연결하는 분리형 커넥터(C)를 분리 조작하여 제1 공기 배출관(12)과 제2 공기 배출관(3)을 분리한다.
다음 원통관(1)을 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세정밸브(131)를 열고 제1 밸브(111) 또는 제3 밸브(12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채워진 유해물질을 배출시킨다.
다음 세정밸브(131)에 의해 개방된 세정액 투입관(13) 또는 제1 공기 배출관(12)에 세정액을 투입하여 원통관(1)을 세정하여 원통관(1)의 세정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세정된 원통관(1)을 상기 분리형 커넥터(C)의 연결 조작을 통해 다시 상기 제2 공기 배출관(3)에 연결함으로써, 원통관(1)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는 유해물질이 채워진 원통관(1)을 분리하여 세정한 다음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의 영구적으로 원통관(1)을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원통관
11 : 흡입관
111 : 제1 밸브
12 : 제1 공기 배출관
121 : 제3 밸브
13 : 세정액 투입관
131 : 세정밸브
2 : 체크볼
3 : 제2 공기 배출관
31 : 제2 밸브
4 : 챔버
5 : 펌프
C : 분리형 커넥터

Claims (3)

  1. 일측 단부에는 제1 밸브(111)를 가지는 흡입관(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 공기 배출관(12)이 구비되는 원통관(1)과;
    상기 원통관(1)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통관(1)의 내주면에 선접촉을 하면서 원통관(1)을 따라 이동하는 체크볼(2)과;
    상기 제1 공기 배출관(12)과 분리 가능하게 분리형 커넥터(C)로 밀봉되게 연결되며, 제2 밸브(31)를 가지는 제2 공기 배출관(3)과;
    상기 제2 공기 배출관(3)에 연결되는 챔버(4)와;
    상기 챔버(4)와 연결되어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관(1)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배출관(12)은 제1 공기 배출관(12)을 개폐하는 제3 밸브(1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있어서,
    상기 원통관(1)은,
    원통관(1)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세정밸브(131)를 가지는 세정액 투입관(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KR1020130016739A 2013-02-18 2013-02-18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KR101437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739A KR101437765B1 (ko) 2013-02-18 2013-02-18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739A KR101437765B1 (ko) 2013-02-18 2013-02-18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423A true KR20140103423A (ko) 2014-08-27
KR101437765B1 KR101437765B1 (ko) 2014-09-11

Family

ID=5174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739A KR101437765B1 (ko) 2013-02-18 2013-02-18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3710A (zh) * 2018-07-17 2020-01-24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复合弹簧推拉式真空注液机及注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407A (ja) * 1991-08-27 1993-03-02 Tokyo Gas Co Ltd 浴槽の自動洗浄装置
JPH11193800A (ja) * 1997-12-26 1999-07-21 Shimizu Corp 揚水装置
JP3669943B2 (ja) * 2001-06-14 2005-07-13 アロカ株式会社 分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3710A (zh) * 2018-07-17 2020-01-24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复合弹簧推拉式真空注液机及注液方法
CN110723710B (zh) * 2018-07-17 2021-05-14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复合弹簧推拉式真空注液机及注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765B1 (ko)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9391B1 (en) Multilayered bladder and carbon scrubber for storage tank
KR102099256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SE529693C2 (sv) Steril spruta
CN101121056A (zh) 使用一次性收集袋的医用负压吸引装置
CN108697817A (zh) 用于服务用水供应单元的处理方法
JP2018537656A5 (ko)
KR101437765B1 (ko)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KR101522658B1 (ko) 일체형 지중시설물 청소 및 점검장치
KR101538925B1 (ko) 케미컬 진공 청소기
KR101666704B1 (ko) 집진기
JP6277358B2 (ja) ベーパ回収装置、ベーパ回収方法、及び、タンクの洗浄方法
JP3925762B2 (ja) ウェーハ収納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ウェーハケース
KR101584540B1 (ko) 대형 식품용기 자동 세척장치
JP2001174586A (ja) 放射性ダストの捕集方法および捕集装置
CN201073497Y (zh) 使用一次性收集袋的医用负压吸引装置
US20070012375A1 (en) Waste-liquid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KR101468797B1 (ko) 휴대용 진공 흡입장치
CN110548651B (zh) 胶筒及具有其的喷胶机
JP458981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殺菌洗浄方法
KR101613098B1 (ko) 배관 철거용 중성화 장치의 저장용기 부스
JP2010253399A (ja) 汚染表面清掃方法
CN206448914U (zh) 一种有害液体输转车的动力装置
TW202043663A (zh) 轉接頭以及自動更換轉接頭裝置
KR101749930B1 (ko) 고정밀 디스펜서 노즐용 석션 청소장치
CN206448226U (zh) 一种有害液体输转车的正压式清水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