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605A -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 Google Patents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605A
KR20220040605A KR1020200123489A KR20200123489A KR20220040605A KR 20220040605 A KR20220040605 A KR 20220040605A KR 1020200123489 A KR1020200123489 A KR 1020200123489A KR 20200123489 A KR20200123489 A KR 20200123489A KR 20220040605 A KR20220040605 A KR 20220040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m
liner bag
drain pipe
dange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희
Original Assignee
(주)딥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딥블루 filed Critical (주)딥블루
Priority to KR102020012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605A/ko
Publication of KR2022004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4Linings
    • B65D2590/043Flexible liners
    • B65D2590/046Bladders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캡과 결합되는 상부니플과 드레인 배관에 결합되는 하부니플 및 내부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라이너 백을 설치하고, 상기 라이너 백의 설치에 따라 내부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험물이 내부 컨테이너의 내벽에 접촉됨을 방지함으로써, 위험물 운반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는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은 내부 컨테이너의 상부에는 위험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상부캡,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하부측에는 수용된 위험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배관 및 상기 드레인 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배관의 유로를 단속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위험물 운반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라이너 백으로서, 상기 라이너 백은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름, 상기 필름의 상부측에 형성된 주입공 주변을 상기 상부캡에 결합시키는 상부니플; 및 상기 필름의 하부측에 형성된 배출공 주변을 상기 드레인 배관에 결합시키는 하부니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LINER-BAG FOR CONTAINER OF DANGEROUS MATERIALS}
본 발명은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캡에 결합되는 상부니플과 드레인 배관에 결합되는 하부니플 및 내부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라이너 백을 설치하고, 상기 라이너 백의 설치에 따라 내부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험물이 내부 컨테이너의 내벽에 접촉됨을 방지함으로써, 위험물 운반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는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화학 산업에서, 위험물 운반용 용기 또는 팔레트 컨테이너(일반적으로 "중간 벌크 컨테이너" 또는 "IBC" 라고도 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IBC" 또는 "위험물 운반 용기를 혼용하여 기재한다)는 내부 컨테이너(1a), 상기 내부 컨테이너(1a)를 둘러싸고 서로 용접된 수평 및 수직의 로드를 갖는 격자 프레임(1b) 및 상기 내부 컨테이너(1a)가 안착되고 상기 격자 프레임(1b)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직사각형 베이스 팔레트(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위험물 운반 용기는 위험물 허가증을 얻기 위해, 구조 유형 검사를 받고,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내부 압력 시험, 낙하 시험, 적재 하중 시험, 진동 테이블에서의 진동시험 등과 같은 상이한 하중 상태에 관한 시험들을 통과해야 한다.
즉, 위험물 운반 용기는 다양한 시험을 통해 적합판정을 받은 것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서, 제조하는 과정에서 적합판정에 대한 다양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위험물 운반 용기일지라도 수용되는 위험물의 종류에 따라 유독성분 및 내부오염의 문제로 인해 내부세척이 불가한 위험물을 운반한 경우에는 재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재사용이 불가한 위험물이 수용되어 운반된 용기는 1회 사용 후 폐기되어야 한다.
부연하면, 큰 비용을 들여 제조된 위험물 운반 용기라도 수용된 위험물에 따라 1회 사용 후에는 이를 폐기해야 하는 것으로, 제조 및 폐기에 큰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폐기시에도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로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등록특허공보 제10-2099256호에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상기 기술은 일측에 위험물 액체의 유입을 위한 유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공 주변에는 다수의 벤트홀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투입되어 위험물 액체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는 내부비닐과; 상기 내부비닐의 입구부에 연결되되, 용기본체의 유입공과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캡과;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진공을 위하여 벤트홀과 유통이 이루어지는 진공펌프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내부 위험물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 토출밸브와; 상기 내부비닐의 절개를 위하여 토출밸브의 선단부에 구성되는 절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용기본체에 벤트홀을 형성하기 위해서 임의의 가공이 요구되는바, 용기본체의 가공은 용기본체의 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엄밀히 제한하고 있다. 또한, 내부비닐을 절개시키는 절재부재에 의해 내부비닐에 수용된 위험물이 의도하지 곳으로 유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위험물이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될 수 있어, 내부비닐에 의한 위험물이 용기 내벽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2042326호에 파레트 컨테이너용 내부 라이너 및 파레트 컨테이너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컨테이너 벽을 구비하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내부 컨테이너; 및 내부 라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라이너는 - 이송 대상 제품을 수납할 수 있고, 일측에 개방단을 가진 얇은 벽의 유연성 필름; - 상기 파레트 컨테이너의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벽의 개구에 상기 필름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사이드에서 상기 필름의 개방단에 고정될 수 있는 어댑터; 및 - 이송 대상 제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이드에 대향되는 상기 어댑터의 제2 사이드에 고정될 수 있는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필름, 상기 어댑터 및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치수적으로 안정한 내부 컨테이너로부터 분리된 미리 조립된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어셈블리의 상기 필름은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벽의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내부 영역 속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조립된 어셈블리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상기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 밀폐되게 밀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필름, 어댑터 및 밸브 조립체가 미리 조립된 어셈블리로 구성됨에 따라 위험물 용기의 사용 후에는 필름, 어댑터 및 밸브 조립체가 어셈블리로 구성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험물 용기에 위험물을 투입시키는 개구부와 필름을 결합시키는 구성이 부재하여 필름을 위험물 용기의 상부측에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99256호(2020. 04. 03.) 등록특허공보 제10-2042326호(2019. 11. 0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험물 운반 용기의 내부에 필름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라이너 백의 제거에 따라 위험물 운반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는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위험물 운반 용기의 변형없이 그 내부에 필름을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필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은 내부 컨테이너의 상부에는 위험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상부캡,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하부측에는 수용된 위험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배관 및 상기 드레인 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배관의 유로를 단속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위험물 운반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라이너 백으로서, 상기 라이너 백은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름, 상기 필름의 상부측에 형성된 주입공 주변을 상기 상부캡에 결합시키는 상부니플; 및 상기 필름의 하부측에 형성된 배출공 주변을 상기 드레인 배관에 결합시키는 하부니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니플은 상기 상부캡의 내부 하측으로 돌출되고 밀봉캡이 결합되는 밀봉캡결합부의 외주연에 밀착 결합되는 실링몸체; 및 상기 실링몸체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니플은 상기 필름을 관통하고 상기 드레인 배관의 내주연에 끼워지는 배출몸체; 및 상기 배출몸체의 내측 선단에 연장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부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험물 운반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위험물이 내부 컨테이너 내벽에 직접 접촉됨을 방지함으로써, 내부 컨테이너의 내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결국 위험물 운반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장점이 있다.
또한, 라이너 백의 재설치에 따라 위험물 운반 용기의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자원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폐기에 따른 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폐기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위험물 운반용 용기(IBC)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반 용기용 따른 라이너 백이 적용된 위험물 운반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반 용기용 따른 라이너 백에 적용된 상부캡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에 적용된 상부니플과 하부니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 백이 위험물 운반 용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먼저 '재활용' 및 '재사용'의 용어부터 정의한다.
자원의 순환 방법에는 재사용과 재활용이 있다. 재사용(reuse)은 쓰고 버린 물건을 손질하여 그 용도대로 다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재활용(recycling)은 쓰고 버린 물건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방법으로 손질하고 다른 방식으로 되살려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재사용과 재활용을 비교하여 보면, 재활용은 쓰고 버린 물건에 새로운 자원을 투입하여 손질을 해야 하는 반면, 재사용은 이러한 과정을 특별히 거치지 않고 그 용도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위험물 운반 용기에 라이너 백을 설치하고 사용 후, 상기 라이너 백을 제거한 후 다시 새로운 라이너 백을 상기 위험물 운반 용기에 설치하여, 위험물 운반 용기를 그대로 다시 사용하는 것이므로 '재사용'에 해당되고, 이에, 재사용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부캡에 결합되는 상부니플과 드레인 배관에 결합되는 하부니플 및 위험물 운반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라이너 백을 설치하고, 상기 라이너 백의 설치에 따라 내부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험물이 내부 컨테이너의 내벽에 접촉됨을 방지함으로써, 위험물 운반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는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반 용기용 따른 라이너 백이 적용된 위험물 운반 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위험물 운반 용기(1)의 주요 구성은 블로우 성형 방식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벽을 갖는 내부 컨테이너(10), 내부 컨테이너(10)를 외부에서 지지하고 보호하도록 둘러싸는 금속 재질의 격자 프레임(20) 및 내부 컨테이너(10)가 상부에 위치되고 격자 프레임(20)에 연결되는 베이스 팔레트(3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내부 컨테이너(10)의 상부에는 위험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상부캡(40)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반 용기용 따른 라이너 백에 적용된 상부캡의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캡(40)은 내부 나사산을 갖는 원통형 외벽(41), 상부측을 마감하는 상부판(42), 상기 상부판(42)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내부 나사산을 갖으며 상기 상부판(42)의 하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봉캡결합부(43), 상기 상부판(42)에 상하 관통되어 형성되는 진공흡착통공(44) 및 상기 밀봉캡결합부(4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밀봉캡결합부(43)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밀봉캡(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원통형 외벽(41)은 위험물 운반 용기의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고, 라이너 백이 상기 위험물 운반 용기의 내부에 설치된 후 상기 밀봉캡결합부(43)를 통해 위험물(액체)을 상기 위험물 운반 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라이너 백에 주입한 다음, 밀봉캡(45)을 상기 밀봉캡결합부(43)에 나사 결합하여 주입된 위험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되게 한다.
또한, 상기 진공흡착통공(44)은 라이너 백이 상기 위험물 운반 용기의 내부에 설치된 후, 진공펌프(또는 석션장치) 등을 이용하여 위험물 운반 용기의 내벽과 라이너 백의 필름(60) 사이에 잔존하는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상기 필름(60)이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내벽에 밀착시키기 위한 형성된 것으로서, 진공펌프의 흡입라인이 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컨테이너(10)의 하부측에는 수용된 위험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배관(12)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배관(12)에는 상기 드레인 배관(12)의 유로를 단속하는 드레인 밸브(50)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라이너 백은 필름(60), 상부니플(70) 및 하부니플(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름(60)은 내부 컨테이너(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내부에 위험물을 수용시킴으로서, 상기 내부 컨테이너(10)의 내벽에 위험물의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필름(6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름(60)의 형상은 상기 내부 컨테이너(10)의 내부 내벽에밀착되도록 상기 내부 컨테이너(1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용량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접힘에 의한 중첩 손실분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내부 컨테이너(10)의 내부 용량보다 상대적으로 큰 용량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60)의 상부에는 상부캡(40)에 대응되는 주입공(6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드레인 배관(12)에 대응되는 배출공(62)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에 적용된 상부니플과 하부니플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의 (a)는 상부니플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하부니플의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니플(70)은 상기 필름(60)의 상부측에 형성된 주입공(61) 주변을 상기 상부캡(4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캡(40)의 내부 하측으로 돌출되고 밀봉캡(45)이 결합되는 밀봉캡결합부(43)의 외주연에 밀착 결합되는 실링몸체(71) 및 상기 실링몸체(7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플랜지(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첨부된 도 5의 (b)를 참조하면, 하부니플(80)은 상기 필름(60)의 하부측에 형성된 배출공 주변을 상기 드레인 배관(12)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필름(60)을 관통하고 상기 드레인 배관(12)의 내주연에 끼워지는 배출몸체(81) 및 상기 배출몸체(81)의 내측 선단에 연장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부플랜지(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몸체(81)의 선단은 테이퍼를 형성하여 상기 드레인 배관(12)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쉽게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니플(80)은 상기 내부 컨테이너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PE 재질로 구성되어, 열 융착에 의해 상기 드레인 배관(12)에 점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 백이 위험물 운반 용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라이너 백의 필름(60)은 내부 컨테이너(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니플(70)을 이용하여 필름(60)의 주입공(61) 주변을 상부캡(40)의 밀봉캡결합부(43)에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상부니플(70)의 실링몸체(71) 내주면과 상기 밀봉캡결합부(43)의 외주면 사이에 필름(60)이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니플(70)을 상기 밀봉캡결합부(4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밀어넣어 필름(60)의 주입공(61) 주변이 상기 밀봉캡결합부(43)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상기 필름(60)의 주입공(61)과 밀봉캡결합부(43)가 연통되게 된다.
필름(60)의 하부 배출공(62)에는 하부니플(80)이 상기 필름(6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어 상기 하부니플(80)의 배출몸체(81)가 드레인 배관(12)의 내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니플(80)의 하부플랜지(82)는 상기 필름(60)의 내부면에 접촉되게 되고, 상기 하부플랜지(82)가 내부 컨테이너(10)의 내벽에 면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름(60) 내부에 수용되는 위험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니플(80)의 배출몸체(81)의 길이는 상기 드레인 배관(1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니플(80)의 배출몸체(81)는 상기 드레인 배관(12)에 끼워져 삽입된 상태에서 그 선단이 드레인 배관(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된 상기 배출몸체(81)의 선단은 절단하여 상기 드레인 배관(12)의 길이와 동일하게 맞춤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니플(80)의 배출몸체(81)가 드레인 배관(12)에 끼워지고 그 선단이 절단된 후, 상기 배출몸체(81)에 열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배출몸체(81)가 상기 드레인 배관(12)에 점착되도록 하여 일체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열 융착에 의해 상기 배출몸체(81)가 상기 드레인 배관(12)에 점착된 상태에서는, 다시 열을 인가하면서 인력 등의 외부력에 의해 상기 배출몸체(81)가 상기 드레인 배관(12)에서 떨어지게 된다. 즉 영 융착에 의한 접착은 열 융착 방식으로 제거됨에 따라 설치 및 제거가 쉽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하부니플(80)이 상기 드레인 배관(12)에 설치된 후, 상기 드레인 배관(12)의 끝단에는 드레인 밸브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험물 운반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위험물이 내부 컨테이너 내벽에 직접 접촉됨을 방지함으로써, 내부 컨테이너의 내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결국 위험물 운반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장점이 있다.
또한, 라이너 백의 재설치에 따라 위험물 운반 용기의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자원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폐기에 따른 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폐기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내부 컨테이너 12: 드레인 배관
20: 격자 프레임 30: 베이스 팔레트
40: 상부캡 41: 원통형 외벽
42: 상부판 43: 밀봉캡결합부
44: 진공흡착통공 45: 밀봉캡
50: 드레인 밸브 60: 필름
61: 주입공 62: 배출공
70: 상부니플 71: 실링몸체
72: 상부플랜지 80: 하부니플
81: 배출몸체 82: 하부플랜지

Claims (3)

  1. 내부 컨테이너(10)의 상부에는 위험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상부캡(40), 상기 내부 컨테이너(10)의 하부측에는 수용된 위험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배관(12) 및 상기 드레인 배관(12)에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배관(12)의 개폐를 단속하는 드레인 밸브(50)를 포함하는 위험물 운반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라이너 백으로서,
    상기 라이너 백은,
    상기 내부 컨테이너(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름(60);
    상기 필름(60)의 상부측에 형성된 주입공(61) 주변을 상기 상부캡(40)에 결합시키는 상부니플(70); 및
    상기 필름(60)의 하부측에 형성된 배출공(62) 주변을 상기 드레인 배관(12)에 결합시키는 하부니플(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니플(70)은,
    상기 상부캡(40)의 내부 하측으로 돌출되고 밀봉캡(45)이 결합되는 밀봉캡결합부의 외주연에 밀착 결합되는 실링몸체(71); 및
    상기 실링몸체(7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플랜지(7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니플(80)은,
    상기 필름(60)을 관통하고 상기 드레인 배관(12)의 내주연에 끼워지는 배출몸체(81); 및
    상기 배출몸체(81)의 내측 선단에 연장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부플랜지(8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KR1020200123489A 2020-09-24 2020-09-24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KR20220040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489A KR20220040605A (ko) 2020-09-24 2020-09-24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489A KR20220040605A (ko) 2020-09-24 2020-09-24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605A true KR20220040605A (ko) 2022-03-31

Family

ID=8093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489A KR20220040605A (ko) 2020-09-24 2020-09-24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60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26B1 (ko) 2015-02-06 2019-11-07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파레트 컨테이너용 내부 라이너 및 파레트 컨테이너
KR102099256B1 (ko) 2019-05-21 2020-05-15 고대희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26B1 (ko) 2015-02-06 2019-11-07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파레트 컨테이너용 내부 라이너 및 파레트 컨테이너
KR102099256B1 (ko) 2019-05-21 2020-05-15 고대희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8325B1 (ko) 차폐 구조체
AU2016399197B2 (en) Inliner for a pallet container
KR102099256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위험물 액체 저장용기 시스템
JP6622313B2 (ja) パレットコンテナ用のインナーライナー及びパレットコンテナ
KR20220040605A (ko) 위험물 운반 용기용 라이너 백
EP2644527B1 (en) Bag with attached mouth me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said bag
JP4813323B2 (ja) 液体薬品の分配装置
KR102431254B1 (ko) 내측 라이닝을 갖는 플라스틱 라이너
JP2017505265A (ja) 分配システムのための継手と継手アダプタおよび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KR100973707B1 (ko) 유체공급장치
US20200317402A1 (en) Nestable drum system
KR20230010914A (ko) 위험물 용기용 라이너백 어셈블리
US11459155B2 (en) Pallet container with drainage tube
JP2011126606A (ja) 液体薬品用ペール缶
JP4678492B2 (ja) タンクコンテナ用内袋、タンクコンテナ用内袋の製造方法及びタンクコンテナ用内袋の装着方法
KR20220166632A (ko) 위험물 용기용 캡
JP2005298024A (ja) 液体の充填方法及び装置
CN1155267A (zh) 清洗容器外侧的方法和装置
EP1401740B1 (en) Device for the bulk supply of polymers
KR102398443B1 (ko) 용기 내 이물 제거 장치
KR0174994B1 (ko) 케미컬 운반용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케미컬 공급장치
KR950003764Y1 (ko) 화물운송 보호용 에어백
JP2011136770A (ja) 液体薬品の分配方法
KR20110114407A (ko) 유체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