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762Y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762Y1
KR200279762Y1 KR2019990008202U KR19990008202U KR200279762Y1 KR 200279762 Y1 KR200279762 Y1 KR 200279762Y1 KR 2019990008202 U KR2019990008202 U KR 2019990008202U KR 19990008202 U KR19990008202 U KR 19990008202U KR 200279762 Y1 KR200279762 Y1 KR 200279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utlet
water
straw
water sof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803U (ko
Inventor
권정자
Original Assignee
권정자
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자, 정성훈 filed Critical 권정자
Priority to KR2019990008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762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8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762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이온교환수지(1)가 채워진 원통형 케이스(2)내에 복수의 자석(6)이 끼워지면서 한쪽 선단에는 필터(14)가 결합된 스트로우(7)가 내설되고, 상기 케이스(2)가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7)는 입구(21)와 출구(22)를 갖춘 캡(11)에 장착되고, 이 캡(11)에는 제 1연결부(17)와 제 2연결부(18)를 갖춘 너트(12,13)가 끼워지며, 상기 출구(22)에는 제 2필터(15)가 설치되되, 상기 제 1필터(14)와 제 2필터(15)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23)를 매개로 각각 상기 스트로우(7)의 선단과 상기 출구(2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어, 필터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ener}
본 고안은 연수(軟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터의 교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복수의 필터를 거쳐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에 대한 여과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자화처리된 물속에 이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에 간단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킨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소 또는 가정용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은 정화된 식수(食水)이기는 하나 수은이나 납, 아연, 크롬 및 마그네슘과 같은 중금속 성분 및, 각종 불순물이 함유된 경수(硬水)이기 때문에 비누가 잘 풀리지 않을 뿐더러 피부에도 좋지 못하다.
따라서, 물속의 중금속물질을 제거하여 거친 센물을 피부에 해를 주지 않는 부드러운 물, 즉 연수로 바꾸어 주면 온천수와 같이 인체에 좋은 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바, 이 같이 경수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물질과 불순물을 흡착제거하여 부드러운 물로 바꾸어주는 장치가 연수기이다.
한편, 이러한 연수기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 대표적인 구성을 일례를 들어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교환수지(1)가 채워진 원통형 케이스(2)의 상부선단에 손잡이(3)가 형성된 뚜껑(4)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2)에는 상단부에 필터(5)를 갖추고서 외주연에 복수의 자석(6)이 끼워진 스트로우 (7)가 내설되는 한편, 상기 케이스(2)의 하부선단에는 주름관형태를 이루고서 상기 스트로우(7)와 연결된 입구(8) 및 출구(9)가 나란히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구(8)로 유입된 물이 스트로우(7)를 통해 들어와서 자석(6)의 자력에 의해 자화(磁化)처리된 다음 필터(5)에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필터(5)에서 분사된 자화된 물은 이온교환수지(1)를 통해 물에 함유된 중금속성분이 흡수 및 제거된 상태로 케이스(2) 하부에 모여진 다음 출구(9)를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연수기(10)는 물속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이 필터(5)에서 걸러지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필터(5)를 교체하여야 하나 필터(5)가 스트로우 (7)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연수기용으로 별도로 제조한 것이기 때문에 교체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사용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이온교환수지(1)에 물때(scaling)가 끼게 되므로 물이 이온교환수지(1)를 통과하면서 오히려 이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입구(8)와 출구(9)를 케이스(2)에 직접 연결해야 하므로 체결작업이 까다롭고 케이스(2) 내부를 청소할 때에도 분리하기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터를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이온교환된 물을 다시 여과하도록 하여 이물질 여과성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케이스로부터 스트로우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킨 연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를 개략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너트부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의 단면도,
도 5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1의 대응도이다.
1 --- 이온교환수지, 2 --- 케이스,
3 --- 손잡이, 4 --- 뚜껑,
5 --- 필터, 6 --- 자석,
7 --- 스트로우, 8,21 --- 입구,
9,22 --- 출구, 10,24 --- 연수기,
11 --- 캡, 12,13 --- 너트,
14 --- 제 1필터, 15 --- 제 2필터,
17 --- 제 1연결부, 18 --- 제 2연결부,
19 --- 걸림턱, 23 --- 필터연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온교환수지가 채워진 원통형 케이스내에 복수의 자석이 끼워지면서 한쪽 선단에는 필터가 결합된 스트로우가 내설되고, 케이스가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연수기에 있어서, 스트로우는 입구와 출구를 갖춘 캡에 장착되고, 이 캡에는 제 1연결부와 제 2연결부를 갖춘 너트가 끼워지며, 출구에는 제 2필터가 설치되되, 제 1필터와 제 2필터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를 매개로 각각 스트로우의 선단과 출구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를 개략 도시한 단면도로서 종래 구조를 도시한 도 5와 동일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는 바,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온교환수지(1)가 채워진 원통형 케이스(2)의 상부선단에 손잡이(3)가 형성된 뚜껑(4)이 나사결합되며 하부선단에는 캡(11)이 나사결합되고 이 캡(11)을 매개로 너트(12,13)가 나사결합된다. 한편, 케이스(2)내에는 캡(11)을 매개로 상부선단에 제 1필터(14)를 갖추고서 외주연에 복수의 자석(6)이 끼워진 스트로우(7) 및 제 2필터(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12,13)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제 1연결부(17)와 제 2연결부(18)가 구비되고, 상기 캡(11)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과, 외경이 다른 걸림턱(19)이 형성된 본체(20)에 소정간격을 두고 입구(21)와 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필터(14,15)는 공지된 금속망이 설치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필터연결부(23)를 매개로 각각 상기 스트로우(7)의 선단과 출구(22)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2)의 하단에 형성된 설치구멍(도시되지 않음)을 매개로 오-링(O-ring: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밀봉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캡(11)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입구(21)와 출구(22)에 제 2연결부(18)를 나사결합하여 제 1너트(12)와 제 2너트(13)를 각각 연결하는 한편, 상기 입구(21)와 출구(22)를 매개로 스트로우(7)와 제 2필터(15)를 각각 나사결합하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24)가 사용상태로 조립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12,13)에 형성된 제 1연결부(17)를 매개로 유입배관(도시되지 않음)과 유출배관(도시되지 않음)을 각각 연결하게 되면, 입구(2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스트로우(7)를 지나면서 그 외주연에 끼워진 자석(6)에 의해 자화처리되게 된다.
그리고, 자화된 물속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이 제 1필터(14)를 매개로 1차로 걸러지게 되고 이온교환수지(1)를 경유하여 케이스(2) 하단으로 침전된 물이 출구 (22)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데, 침전된 물이 제 2필터(15)를 거쳐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물이 2차로 걸러진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되게 되어 물속에 이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캡(11)으로부터 너트(12,13)들을 분리하게 되면 상기 스트로우 (7)와 제 2필터(15)를 케이스(2)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바, 즉 상기 스트로우(7)와 제 2필터(15)가 캡(11)에 형성된 입구(21)와 출구(22)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어서 케이스(2)에서 캡(11)을 분리하면 스트로우(7) 및 제 2필터(15)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들(14,15)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캡(11)에서 스트로우(7)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스트로우(7) 내면에 끼는 물때도 쉽게 세척할 수 있게 되고, 스트로우(7)의 교체작업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연수기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여과가 필요한 물탱크나 생수통 등에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에 의하면 필터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온교환된 물을 다시 여과한 다음 사용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이물질 여과성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케이스에서 스트로우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 교환이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이온교환수지(1)가 채워진 원통형 케이스(2)내에 복수의 자석(6)이 끼워지면서 한쪽 선단에는 필터(14)가 결합된 스트로우(7)가 내설되고, 상기 케이스(2)가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7)는 입구(21)와 출구(22)를 갖춘 캡(11)에 장착되고, 이 캡(11)에는 제 1연결부(17)와 제 2연결부(18)를 갖춘 너트(12,13)가 끼워지며, 상기 출구(22)에는 제 2필터(15)가 설치되되, 상기 제 1필터(14)와 제 2필터(15)는 나사산이 형성된 필터연결부(23)를 매개로 각각 상기 스트로우(7)의 선단과 상기 출구(2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 삭제
KR2019990008202U 1999-05-14 1999-05-14 연수기 KR200279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202U KR200279762Y1 (ko) 1999-05-14 1999-05-14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202U KR200279762Y1 (ko) 1999-05-14 1999-05-14 연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03U KR20000020803U (ko) 2000-12-15
KR200279762Y1 true KR200279762Y1 (ko) 2002-06-26

Family

ID=54762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202U KR200279762Y1 (ko) 1999-05-14 1999-05-14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7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370B1 (ko) * 2002-01-25 2004-09-04 정승훈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03U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56475U (zh) 一种台式大流量净水器
KR200279762Y1 (ko) 연수기
JP5578272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TWI770852B (zh) 過濾器附件
CN109091943B (zh) 净水装置和热水器
KR200257574Y1 (ko)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KR200328073Y1 (ko) 연수기
CN210320663U (zh) 一种进出水管组件及电热水器
CN216295785U (zh) 一种复合滤芯超滤净水器
KR0133567Y1 (ko) 휴대용 정수기
KR102069803B1 (ko) 직수식 정수기
CN213965416U (zh) 一种农村饮水安全专用臭氧水处理一体机
RU21057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KR19980034319U (ko) 필터교환용 필터 케이스구조
CN214182118U (zh) 一种便于清洗的水质过滤罐
CN210133945U (zh) 家庭分质供水装置
CN211635459U (zh) 一种改进型管式精密过滤器
CN209829312U (zh) 一种带滤芯寿命显示的花洒
CN213375374U (zh) 一种阻垢前置过滤器
CN113371857B (zh) 一种活性炭基复合净水器
CN210945217U (zh) 一种新型pp棉滤芯装置
KR20000010270U (ko) 수도꼭지 결합용 소형 정수기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JP3753820B2 (ja) 浄水器
KR200157235Y1 (ko) 정수기용 메쉬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