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539Y1 -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539Y1
KR200199539Y1 KR2020000010227U KR20000010227U KR200199539Y1 KR 200199539 Y1 KR200199539 Y1 KR 200199539Y1 KR 2020000010227 U KR2020000010227 U KR 2020000010227U KR 20000010227 U KR20000010227 U KR 20000010227U KR 200199539 Y1 KR200199539 Y1 KR 200199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water
supply pipe
filter
impu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관제
Original Assignee
조관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관제 filed Critical 조관제
Priority to KR2020000010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5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유기물, 세균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수로 사용하는 정수와, 채소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용수를 별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돗물을 단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과, 상기 원수공급관에 설치되는 수압센서와, 원수공급관에 의해 유입되는 원수의 불순물(잔류염소, 냄새)들을 1차 제거하는 여과필터 및 흡착필터와 상기 흡착필터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1차 여과된 정수를 필요에 따라 승압시키는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와 연결되는 연결관은 분기되어져 하나의 연결관은 정수의 미세한 불순물질(중금속, 세균등)을 재차 제거하는 역삼투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역삼투모듈을 통과한 처리수는 저수조에 저장되었다가 생활용수로 이용하며, 분기된 또 하나의 관은 자외선 살균장치에 의해 살균되어 식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하며, 상기 가압펌프와 살균장치는 밸브의 개폐여부에 따른 수압센서에 의해 연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Description

정수장치{WATER PURIFIER}
본 고안은 물에 함유되어있는 중금속, 유기물, 세균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수로 사용하는 정수와 채소등을 세척하기위한 세척용수를 별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돗물을 단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서가압펌프와 살균장치를 수압센서와 연동시켜 절전 및 절수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가정에서 사용되어온 정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수를 공급하는 급수콕 1과 원수를 장치에 공급하는 원수공급관 2와 상기 원수공급관 2에 의해 유입되는 원수의 불순물(잔류염소, 냄새)들을 1차 제거하는 여과필터 3 및 흡착필터 4와 상기 흡착필터 4와 연결관 5로 연결되어 1차 여과된 정수를 필요에 따라 승압시키는 가압펌프 6과 그 가압펌프 6과 연결관 5a로 연결된 공급수 자동차단밸브 7과 상기 공급수 자동차단밸브 7을 통과한 정수의 미세한 불순물질(중금속, 세균등)을 재차 제거하는 역삼투모듈 8과 그 역삼투모듈 8을 통과한 처리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9와 상기 역삼투모둘 8에서 통과하지 못하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위한 배출구 12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정수장치는 급수콕 1로부터 원수공급관 2를 거쳐 장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원수는 먼저 여과필터 3 및 흡착필터 4를 각각 통과하면서 불순물(잔류염소, 냄새)들이 1차 제거된 후 가압펌프 6에의해 보다 높은 압력으로 공급수 자동차단밸브 7의 하단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공급수 자동차단밸브 7를 통과한 정수는 역삼투모듈 8에서 중금속, 세균등의 미세한 불순물이 재차 제거된 후 상기 역삼투모듈 8과 연결되는 처리수 이동관 11을 거쳐 저수조 9에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역삼투모듈 8에서 처리되지 않고 남은 물은 각종 불순물과 같이 농축수 배수관 12를 통해 버려지게 된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정수장치는 역삼투모듈을 거쳐 식수로 사용되는 정수를 얻기 위하여서는 정수보다 많은 양의 물이 폐수로 버려져야 하는 문제를 내포하여 식수 이외의 물로 사용하기위하여서는 물의 낭비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채소, 과일등의 야채를 시식하기위하여 세척할 때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수돗물에 함유되어있는 염소와 다수의 불순물이 내포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게 되므로 야채나 과일의 표면에 남아있는 물기에 함유된 불순물을 먹게되어 위생에 해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야채나 과일을 씻을 때 정수를 사용함으로써 불순물의 시식을 방지하여 청결한 음식을 시식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건강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된 물의 낭비를 막아 수돗물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식수로 사용되는 물을 자외선으로 살균하며, 급수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만 가압펌프 및 자외선등이 점등되도록하여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과, 상기 원수공급관에 설치되는 수압센서와, 상기 원수공급관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불순물(잔류염소, 냄새)들을 1차 제거하는 여과필터 및 흡착필터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1차 여과된 정수를 필요에 따라 승압시키는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와 연결되는 연결관은 분기되어져 하나의 연결관은 정수의 미세한 불순물질(중금속, 세균등)을 재차 제거하는 역삼투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역삼투모듈을 통과한 처리수는 저수조에 저장되었다가 식수로 이용하여, 분기된 또 하나의 관은 자외선 살균장치에 의해 살균되어 생활용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정수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정수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자외선 살균장치의 개략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 2에는 원수공급관에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감지하기위한 센서 10이 설치되며 상기 원수공급관 2에 의해 유입되는 원수의 불순물(잔류염소, 냄새)들을 1차 제거하는 여과필터 3및 흡착필터 4와 상기 흡착필터 4와 연결관 5로 연결되어 1차 여과된 정수를 필요에 따라 승압시키는 가압펌프 6와, 상기 가암펌프 6와 연결관 15a으로 연결되어 정수의 미세한 불순물질을 재차 제거하는 역삼투모듈 8과 상기 역삼투모듈 8을 통과한 처리수를 이동하는 이동관 11은 저수조 9와 연결되어 식수를 저장하며, 상기 가압펌프 6으로부터 분기된 또 하나의 연결관 15b에는 자외선 살균장치 17를 내장하여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을 자외선으로 살균하여 생활용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살균장치 17를 구성하는 살균등은 센서 10과 연동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는 연결관 15b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자외선등 20의 외면이 석영관 21에 의해 감싸여 밀폐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정수장치는 급수콕 1로부터 원수공급관 2를 거쳐 장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원수는 먼저 여과필터 3 및 흡착필터 4를 각각 통과하면서 불순물(잔류염소, 냄새)들이 1차 제거된 후 가압펌프 6에 의해 보다 높은 압력으로 연결관 15a를 통해 역삼투모듈에서 처리되지 않고 남은 물은 각종 불순물과 같이 농축수 배수관 12를 통해 버려지며, 상기 역삼투모듈 8에서 처리되어 정수된 물은 처리수 이동관 11을 통해 저수조 9에 저장되었다가 식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관 15b를 통과하는 처리수는 자외선등 20에서 조사되는 관이 석영관 21을 통과하여 처리수에 조사되므로 처리수에 잔류하는 미생물이 살균된다. 이와같이 살균된 처리수는 야채, 또는 과일을 씻을 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원수공급관 2에 설치되는 압력센서는 원수공급관내에 흐르는 원수의 압렵을 센싱하며 정수된 물을 사용하고자 밸브가 열리면 원수공급관의 원수가 유출되므로 내부압력이 낮아지게되므로 이를 감지하여 가압펌프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살균등을 점등시키며, 밸브가 닫히면 원수공급관내의 물이 유출되지 못하므로 내부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살균등과 가압펌프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정수장치에서 식수와 생활용수를 분리하여 정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야채나 과일등과 같은 채소류들을 정수된 물로 씻어서 먹게되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 2와, 상기 원수공급관 2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원수공급관 2에 의해 유입되는 원수의 불순물(잔류염소, 냄새)들을 1차 제거하는 여과필터 3 및 흡착필터 4와 상기 흡착필터 4와 연결관 5로 연결되어 1차 여과된 정수를 필요에 따라 승압시키는 가압펌프 6과, 상기 가암펌프 6과 열결관 15a로 연결되어 정수의 미세한 불순물질을 재차 제거하는 역삼투모듈 8과 상기 역삼투모듈 8을 통과한 처리수를 이동하는 이동관 11은 저수조 9와 연결되어 식수를 저장하며, 상기 가압펌프 6으로부터 분기된 또 하나의 연결관 15b에는 자외선 살균장치 17을 내장하여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을 자외선으로 살균하여 생활용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밸브 및 가압펌프와 연동됨을 특징으로하는 정수장치.
KR2020000010227U 2000-04-11 2000-04-11 정수장치 KR200199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227U KR200199539Y1 (ko) 2000-04-11 2000-04-11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227U KR200199539Y1 (ko) 2000-04-11 2000-04-11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539Y1 true KR200199539Y1 (ko) 2000-10-02

Family

ID=1965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227U KR200199539Y1 (ko) 2000-04-11 2000-04-11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5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79B1 (ko) 2010-01-05 2010-06-28 박홍규 해수 및 지하수, 상수도 고도 정수장치
KR100980359B1 (ko) 2007-12-06 2010-09-06 고영남 복합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간이급수장치
KR100998664B1 (ko) 2010-04-20 2010-12-06 주식회사 성일엔텍 수위 감응형 살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359B1 (ko) 2007-12-06 2010-09-06 고영남 복합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간이급수장치
KR100966079B1 (ko) 2010-01-05 2010-06-28 박홍규 해수 및 지하수, 상수도 고도 정수장치
KR100998664B1 (ko) 2010-04-20 2010-12-06 주식회사 성일엔텍 수위 감응형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CN103771644A (zh) 一种多功能净水装置
KR0152144B1 (ko)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장치
CN201271534Y (zh) 前端预处理器
KR100278516B1 (ko) 정수장치
KR200199539Y1 (ko) 정수장치
KR100191863B1 (ko) 역삼투압 정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5138660U (zh) 清洗系统及自清洗净水器
KR0135464Y1 (ko) 정수기의 살균통 정수순환장치
KR20050032168A (ko) 자외선 살균장치 및 활성탄소섬유 여과장치를 구비한간이정수처리장치 및 정수처리공정
KR20010038557A (ko) 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KR19990015493U (ko) 정수장치
KR100496766B1 (ko) 나선형 배플 장착 자외선 접촉장치 및 이를 이용한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 시스템
JPH067650A (ja) 浄水給水器の殺菌装置
KR100988466B1 (ko) 코크에 부착되는 제균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0576256B1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CN213680069U (zh) 一种新型直饮水快速净化杀菌装置
CN203999241U (zh) 一种多功能净水装置
KR0168318B1 (ko) 정수기의 폐수처리시 소음감소장치
JP2739270B2 (ja) 浄水処理装置の濾過部における滞留水での雑菌の繁殖防止方法
KR200143602Y1 (ko) 정수기의 폐수 재활용 시스템
KR20050112742A (ko) 요오드 살균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N2709423Y (zh) 多功能净水器
CN2738689Y (zh) 新型饮水机
KR0156716B1 (ko) 정수기용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