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471B1 -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 Google Patents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471B1
KR102270471B1 KR1020200000372A KR20200000372A KR102270471B1 KR 102270471 B1 KR102270471 B1 KR 102270471B1 KR 1020200000372 A KR1020200000372 A KR 1020200000372A KR 20200000372 A KR20200000372 A KR 20200000372A KR 102270471 B1 KR102270471 B1 KR 102270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ing
stopper
fitting
contain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102020000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은, 시밍부를 포함하는 용기의 마개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마개결합부와 끝단부가 가느다란 주입부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분출구를 연장하는 노즐로써, 다단을 이루는 상기 마개결합부와 상기 주입부 사이영역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시밍부에 착탈가능하게 일부가 탄성 끼움 결합되도록 시밍끼움홈이 형성되는 시밍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시밍부에 탄성재의 시밍끼움부가 끼워짐으로써, 특정한 직경에 대한 제약이 없어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EXTENSION NOZZLE FOR EASY STORAGE AND REMOVAL}
본 발명은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시밍부에 결합하여 용기와 함께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 시 분출구를 연장하도록 이루어지는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내용물을 용기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크기의 분출구가 형성되어야 내용물을 용기 내부로 빨리 충전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게 된다.
이렇게 대량생산된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할 때, 용기에 형성된 분출구보다 작은 주입구를 가진 다른 용기로 내용물의 이동을 돕거나,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포장의 용이를 위해 끝이 가느다란 수축 노즐을 따로 구비하여 사용하여왔다.
특히, 자동차 엔진의 연소 효율을 높이거나 자동차 배기가스에 함유된 대기 오염 물질의 농도를 저감하는 등의 목적으로, 주유구를 통해 주입되는 연료 첨가제가 시중에 유통될 때, 첨부된 도면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구에 원활하게 주입하기 위한 연장 노즐을 포함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용기와 함께 보관 및 이동하는데 있어 분실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7010호(공개일: 2017.06.15.)에는 뚜껑 거치가 용이한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뚜껑(10)과 본체(20)로 구비되고 뚜껑(10)이 밀폐 결합되는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은 주연부 하단에 하부 방향으로 결합편(11)이 복수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본체(20)는 상부 외측에 복수개의 지지대(22)로 연결되어 삽입공간(25)을 형성하는 고정테두리(21)로 이루어져 밀폐시 뚜껑(10)을 본체(20) 상부에서 결합하며, 상기 본체(20)의 고정테두리(21) 하부에 측방향으로 거치부(30)가 형성되어 거치시 뚜껑(10)의 결합편(11)을 거치부(30)에 결합하여 뚜껑(10)이 본체(20)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임시 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연장 노즐은 용기의 캡 또는 목에 걸 수 있도록 'C'자 형태(도면상 부호 'b' 부분)로 이루어져 용기와 함께 보관 및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제품이나, 특정한 직경보다 커질 경우 걸어놓은 형태가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노즐 연결부위(도면상 부호 'a' 부분)는, 복수번의 착탈 시 부위도 얇고 피로가 쌓여 쉽게 절단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연장 노즐을 용기에 장착시킬 때, 특정한 직경에 대한 제약이 없되, 용기와 근접하게 보관 및 이동할 때 쉽게 이탈되지 않고, 여러번 착탈해도 내구성 있는 연장 노즐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7010호(공개일: 2017.06.15.)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시밍부에 결합하여 용기와 함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복수번 착탈해도 내구성 있으며, 사용 시 분출구를 연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시밍부를 포함하는 용기의 마개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마개결합부와 끝단부가 가느다란 주입부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분출구를 연장하는 노즐로써, 다단을 이루는 상기 마개결합부와 상기 주입부 사이영역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시밍부에 착탈가능하게 일부가 탄성 끼움 결합되도록 시밍끼움홈이 형성되는 시밍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시밍끼움홈은, 상기 시밍부의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갖거나, 상기 시밍부의 곡률반경 보다 작거나 큰 곡률반경을 갖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개결합부는, 상기 마개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제1 내벽이 외측면에 체결되는 제1 외벽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마개와 맞닿는 두 면에는 개구된 방향으로 쏠리게 돌출 형성되고 탄성재로 이루어진 첨예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결합부가 상기 마개에 억지 끼움 결합될 때, 상기 첨예부들이 압축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마개와 상기 제1 내벽 및 제1 외벽 사이에 더 큰 마찰력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밍끼움부는, 상기 시밍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시밍끼움홈에서 상기 시밍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용기의 측면과 상기 시밍부 사이의 홈에 대응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밍끼움부는, 상기 시밍부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시밍끼움부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마개결합부와 이격 틈을 갖고 상기 시밍부와 같은 곡률반경을 갖거나 상기 시밍부의 곡률반경보다 작거나 큰 연장끼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입부는, 상기 시밍부에 상기 시밍끼움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용기의 측면과 인력이 작용하여 자성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자력부를 마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 노즐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시밍부에 탄성재의 시밍끼움부가 끼워짐으로써, 특정한 직경에 대한 제약이 없어 다양한 크기의 시밍부를 가진 용기에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밍끼움부가 마개결합부와 주입부 사이영역에 마련됨으로써, 수평구조가 아닌 수직구조로 수평공간을 낭비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용기들을 진열 및 보관할 때에도, 단면이 원형인 용기와 이웃하는 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활용하여 그 공간안에 주입부를 위치하게 하고 그 위쪽으로 마개결합부를 위치하게 하여, 시밍부에 장착된 연장 노즐에 의해 용기와 용기 사이에 거리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시중에 유통되는 연장 노즐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을 -z축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인 마개결합홈에 마개가 껴질 때 첨예부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7은 도 2에 도시된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이 시밍부에 끼워져 보관될 때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이 마개에 장착될 때(사용)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의 연장끼움부를 -z축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이 시밍부에 장착되었을 때의 연장끼움부를 -z축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을 -z축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인 마개결합홈에 마개가 껴질 때 첨예부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 및 7은 도 2에 도시된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이 시밍부에 끼워져 보관될 때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이 마개에 장착될 때(사용)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x, y, z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을 기준으로, x축은 연장 노즐이 용기에 결합되는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시밍끼움홈이 형성되는 방향을 지시하고, z축은 내용물의 목적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개략적인 라인으로 나타내거나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고, 원기둥형의 측부와 상단부가 시밍(seaming)된 시밍부 및 1인치 플립캡이나 나사마개 등의 마개를 포함하는 캔(can)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마개'는 분출구를 연장하기 위한 용기의 연결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마개는 억지 끼움 결합 되거나 나사 결합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100)은, 시밍부(13)를 포함하는 용기(10)의 마개(14)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마개결합부(120)와 끝단부가 가느다란 주입부(130)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10)의 분출구(20)를 연장하는 것으로, 용기(10)의 마개(14)에 나사 결합되거나 억지 끼움 결합되는 마개결합부(120), 마개결합부(120)에서 연장 형성되되 연장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주입부(130), 및 마개결합부(120) 일측에 형성되고 용기(10)의 시밍부(13)에 끼움 결합되는 시밍끼움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밍끼움부(110)는, 다단을 이루는 마개결합부(120)와 주입부(130) 사이영역 일측에 마련되고, 시밍부(13)에 착탈가능하게 일부 끼움 결합되도록 시밍끼움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밍끼움홈(111)은, 도 3의 확대된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밍부(13)의 곡률반경(CR)보다 작은 곡률반경(NR)을 갖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시밍끼움홈(111)의 곡률은 시밍부(13)의 곡률보다 크다. 이는, 시밍부(13)에 시밍끼움부(1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원 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시밍끼움홈(111)은 시밍부(13)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시밍끼움홈(111)의 곡률반경과 시밍부(13)의 곡률반경은 소정의 차이를 갖을 수 있고, 서로 같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주입부(130)가 그리는 가상의 원과 시밍끼움홈(111)이 그리는 곡률의 원은 어느 한 점이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장 노즐(100)의 최대 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시밍끼움부(110)는, 도 4의 확대된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2)와 시밍부(13) 사이의 홈에 대응되도록 끼워지는 제2 외벽(113)과, 시밍부(13)를 감싸면서 측부(11)를 따라 주입부(130)로 이어지는 제2 내벽(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내외 구분은, 내용물 이동로(P)를 기준으로 하기로 한다.
또한, 시밍끼움부(110)는, 시밍부(13)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되 시밍끼움홈(111)에서 시밍부(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10)의 측면(즉, 측부(11))과 시밍부(13) 사이의 홈에 대응되는 걸림돌기(1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걸림돌기(114)는 제2 내벽(112)에서 돌출형성되어 제2 외벽(113)과 함께 시밍부(13)를 보다 완전하게 감싸는 역할을 하여, 시밍부(13)에서 시밍끼움부(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개결합부(120)는, 도 4의 확대된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4)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제1 내벽(122)이, 마개(14)의 외측면에 체결되는 제1 외벽(123)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제1, 2 내벽(122, 112) 및 제1, 2 외벽(123, 113)은 'H'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한쪽은 시밍부(13)가 끼어지도록, 다른 한쪽은 마개(14)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마개결합부(120)와 마개(14)가 맞닿은 각각의 두 면에는 개구된 방향으로 쏠리게 돌출 형성되되 탄성재로 이루어진 첨예부(124, 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벽(122)에 형성된 첨예부(124)는, 마개결합부(120)가 마개(14)에 억지 끼움 결합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탄성변형)되면서(도면상 부호'124'') 마개(14)와 제1 내벽(122) 및 제1 외벽(123) 사이에 더 큰 마찰력을 발생시켜 마개(14)와 마개결합부(120)의 결합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첨예부(124, 125)가 개구된 방향쪽으로 쏠린 형상인 이유는, 도면상 z방향으로 마개(14)를 인입할 때 인입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인입이 다소 어렵지만 인입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마개(14)와 마개결합부(120)의 결합력을 보다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첨예부(124, 125)는, 마개(14)와 맞닿는 제1 내벽(122)과 제1 외벽(123)에 형성되는 위치를 달리하여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점 형태일 수 있고, 내주원을 따라 선 형태의 원을 그리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점 형태로 형성될 때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마개에도, 억지 끼움 결합하는 마개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개(14)와 마개결합부(120)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나사산도 첨예부(124, 125)와 같이 개구된 방향으로 쏠리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주입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밍부(13)에 시밍끼움부(110)가 체결되었을 때, 용기(10)의 측면(측부(11))과 인력이 작용하여 자성 결합되도록 측부(11) 형상에 대응되는 자력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용기(10)는 철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된 것이어야 한다.
용기(10)의 재질이 철을 포함하지 않을 때에는, 자력부(131)는 실리콘재질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이때에는 용기(10)의 표면과 마찰력을 높여 측부(11)와 주입부(130)와의 접촉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주입부(130)와 용기(10)가 연결되어 있어 더 안정적으로 시밍부(13)에 연장 노즐(100)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마개결합부(120), 시밍끼움부(110), 주입부(13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용기(10)를 진열하여 보관할 때에는, 이웃한 4개의 용기(10), 즉, 서로 붙어있는 용기(10)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용기간 이격공간(S)이 형성된다.
각각의 용기(10)에 각각의 연장 노즐(100)을 장착하면, 주입부(130)가 용기간 이격공간(S)에 인입되어 위치하게 되고, 마개결합부(120)는 측부(11)의 최상단보다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용기(10)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도 연장 노즐(100)에 의한 장애 없이 진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주입부(130)의 최대 직경은 용기간 이격공간(S)이 만들 수 있는 원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100)의 작용을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밍부(13)에 시밍부(13)와 곡률반경을 달리하는 시밍끼움부(110)가 끼워져있다. 이때, 제2 내벽(112)에 형성된 걸림돌기(114)가 시밍부(13)와 측부(11) 사이의 홈에 1차적으로 걸리고, 상단부(12)와 시밍부(13) 사이에 제2 외벽(113)이 2차적으로 끼워진다. (도 4 참고)
이로써, 시밍끼움부(1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결합력 증가는 물론, 제2 외벽(113) 및 제2 내벽(112)이 시밍부(13)를 완전 감싸게 되어, 잦은 유동이 있을 시에도 시밍끼움부(110)가 시밍부(13)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닿은 복수개의 용기(10)가 진열 및 보관될 때에도, 각각의 용기(10)에 연장 노즐(100)을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대량생산 후 제품의 포장 및 보관, 그리고 운송 중 분실되거나 하는 문제가 방지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구(20)를 연장하기 위해 연장 노즐(100)을 사용할 때에는, 시밍부(13)에서 시밍끼움부(110)를 제거하고, 제1 내벽(122) 및 제1 외벽(123) 사이에 마개(14)의 종류에 따라 억지 끼움 결합시키거나 나사 결합 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10)의 시밍부(13)에 탄성재의 시밍끼움부(110)가 끼워짐으로써, 특정한 직경에 대한 제약이 없어 다양한 크기의 시밍부(13)를 가진 용기(10)에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밍끼움부(110)가 마개결합부(120)와 주입부(130) 사이영역에 마련됨으로써, 수평구조가 아닌 수직구조로 연장 노즐(100)의 최대 단면 너비를 최소화하여 수평공간을 낭비하지 않게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용기(1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하여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단면이 원형인 용기(10)와 이웃하는 용기(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활용하여 그 공간안에 주입부(130)를 위치하게 하고 그 위쪽으로 마개결합부(120)를 위치하도록 하면, 연장 노즐(100)에 의해 용기(10)와 이웃한 용기(10) 사이에 거리낌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100)의 연장끼움부(140)를 -z축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이 시밍부(13)에 장착되었을 때의 연장끼움부(140)를 -z축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100)은, 연장끼움부(140)를 더 구비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연장끼움부(140)는, 시밍부(13)와 시밍끼움부(110)의 결합력을 더 높이기 위해 시밍끼움부(110)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되, 마개결합부(120)와 이격 틈(d)을 갖고, 시밍끼움홈(111)이 곡률이 0인 직선 형태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즉, 곡률이 0인 연장끼움부(140)는 직선의 시밍끼움홈(1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9의 확대된 도는 -x 방향으로 바라본 정면도로, 마개결합부(120)와 연장끼움부(140)는 각각 시밍끼움부(110)와는 연결되어 있되, 서로 각각은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끼움부(140)는, 시밍끼움부(110)와 같은 이유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끼움부(140)의 최대 연장 길이는, 마개결합부(120)의 단면 너비 안 범위에서만 연장될 수도 있고, 도 9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너비 밖 범위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로써, 연장 노즐(100)이 용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밍끼움부(110)의 탄성복원력(도면상 'F1' 화살표)과 연장끼움부(140)의 탄성복원력(도면상 'F2' 화살표)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작용하여, 시밍부(13)의 외측과 내측에서 동시에 시밍부(13)를 가압하니 연장 노즐(100)과 용기(10)의 결합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연장끼움부(140)의 연장되는 길이나, 곡률을 형성하는 방향이나, 곡률의 정도는 용도나 편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100)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110 : 시밍끼움부 111 : 시밍끼움홈
112 : 제2 내벽 113 : 제2 외벽
114 : 걸림돌기
120 : 마개결합부 121 : 마개결합홈
122 : 제1 내벽 123 : 제1 외벽
124 : 첨예부 125 : 첨예부
130 : 주입부 131 : 자력부
140 : 연장끼움부
10 : 용기 11 : 측부
12 : 상단부 13 : 시밍부
14 : 마개
20 : 분출구
P : 내용물 이동로 S : 용기간 이격공간
d : 이격 틈

Claims (7)

  1. 시밍부를 포함하는 용기의 마개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마개결합부와 끝단부가 가느다란 주입부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분출구를 연장하는 노즐로써,
    다단을 이루는 상기 마개결합부와 상기 주입부 사이영역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시밍부에 착탈가능하게 일부가 탄성 끼움 결합되도록 시밍끼움홈이 형성되는 시밍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결합부는,
    상기 마개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제1 내벽이 외측면에 체결되는 제1 외벽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마개와 맞닿는 두 면에는 개구된 방향으로 쏠리게 돌출 형성되고 탄성재로 이루어진 첨예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결합부가 상기 마개에 억지 끼움 결합될 때,
    상기 첨예부들이 압축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마개와 상기 제1 내벽 및 제1 외벽 사이에 더 큰 마찰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밍끼움홈은,
    상기 시밍부의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갖거나, 상기 시밍부의 곡률반경 보다 작거나 큰 곡률반경을 갖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밍끼움부는,
    상기 시밍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시밍끼움홈에서 상기 시밍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용기의 측면과 상기 시밍부 사이의 홈에 대응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밍끼움부는,
    상기 시밍부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시밍끼움부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마개결합부와 이격 틈을 갖고 상기 시밍부와 같은 곡률반경을 갖거나 상기 시밍부의 곡률반경보다 작거나 큰 곡률반경을 가진 연장끼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시밍부에 상기 시밍끼움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용기의 측면과 인력이 작용하여 자성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자력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노즐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KR1020200000372A 2020-01-02 2020-01-02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KR102270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372A KR102270471B1 (ko) 2020-01-02 2020-01-02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372A KR102270471B1 (ko) 2020-01-02 2020-01-02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471B1 true KR102270471B1 (ko) 2021-06-29

Family

ID=7662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372A KR102270471B1 (ko) 2020-01-02 2020-01-02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4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0241A (ja) * 1998-04-23 1999-11-02 Earth Chem Corp Ltd 噴霧器のロングノズル
JP2002037360A (ja) * 2000-07-24 2002-02-06 Earth Chem Corp Ltd エアゾール噴霧装置
JP2005125266A (ja) * 2003-10-27 2005-05-19 Mitani Valve Co Ltd 噴出器用噴出釦、噴出器用長尺噴射ノズル、噴出装置、および噴出器
KR20100008131A (ko) * 2008-07-15 2010-01-25 조제복 캡수용부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
KR20170067010A (ko) 2015-12-07 2017-06-15 김종대 뚜껑 거치가 용이한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0241A (ja) * 1998-04-23 1999-11-02 Earth Chem Corp Ltd 噴霧器のロングノズル
JP2002037360A (ja) * 2000-07-24 2002-02-06 Earth Chem Corp Ltd エアゾール噴霧装置
JP2005125266A (ja) * 2003-10-27 2005-05-19 Mitani Valve Co Ltd 噴出器用噴出釦、噴出器用長尺噴射ノズル、噴出装置、および噴出器
KR20100008131A (ko) * 2008-07-15 2010-01-25 조제복 캡수용부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
KR20170067010A (ko) 2015-12-07 2017-06-15 김종대 뚜껑 거치가 용이한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4839B2 (en) Universal fit bottle cap
US5927566A (en) One-piec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110284541A1 (en) Handled Bottle
US4805814A (en) Container for liquids having a mounting boss for storage of a removable dispenser
US5819984A (en) Package with storage and plug retention features
NZ234796A (en) Dispenser with deformable side walls; fluid dispensed via valve in bottom wall
TWI598272B (zh) Re-fill the container with the plug and refill method
CN100526168C (zh) 容器密封装置
JP6183847B2 (ja) 詰替え容器用栓体
KR102270471B1 (ko) 보관 및 착탈이 용이한 연장 노즐
JP2018062372A (ja) インク補給容器
JP7158883B2 (ja) パウチパック用ホルダ及びパウチパック
US3142404A (en) Container closure with removable section
EP0666225B1 (en) Thin-walled container and a container set comprising at least two containers
CN111746904B (zh) 储液瓶
US5669519A (en) Jug having a secondary bottle in the handle opening
RU2715716C1 (ru) Пакет в сборе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водного раствора мочевины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системе селективного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ля обработки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одного раствора мочевины
US7516871B2 (en) Package comprising a pressure-deformable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919309A (en) Cap for collapsible bottles and the like
EP0412390A1 (en) Bottom delivery package
JP3533703B2 (ja) 液体用詰め替え容器
CN207859757U (zh) 墨瓶
CA2247623A1 (en) Extruted fluted insert dispensing tube
JP3019617U (ja) 合成樹脂製液体収納容器における注出ノズルの密閉装置
EP3400174B1 (en) Assembly comprising a plastic container for holding fluids, comprising a lock and ke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