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063B1 -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063B1
KR102269063B1 KR1020197021737A KR20197021737A KR102269063B1 KR 102269063 B1 KR102269063 B1 KR 102269063B1 KR 1020197021737 A KR1020197021737 A KR 1020197021737A KR 20197021737 A KR20197021737 A KR 20197021737A KR 102269063 B1 KR102269063 B1 KR 10226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failure
remote
resump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026A (ko
Inventor
히데키 시오자키
마사키 히키치
다카하루 우에다
마나토 다카이
도시오 오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20)의 고장 대응에 대한 고객의 양해 사항을 격납한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와,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를 구비하고,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고장 코드 및 고장 부위 정보와,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와,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재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재개가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20)의 제어 장치(200)에 엘리베이터(20)의 고장 사항 또는 운전 상태의 표시·알림을 행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고객의 양해 사항에 입각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를 행할 수 있으므로, 고객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원격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재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엘리베이터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반에 접속되어, 엘리베이터가 고장났을 때에 에러 코드를 포함하는 고장 신호를 발신하는 통신 단말과,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고장 신호를 수신하여 에러 코드에 해당하는 고장 이력 데이터를 검색하여 보수원이 가지는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감시 센터를 구비하고, 보수원이 가지는 휴대 단말이 감시 센터로부터 수신한 에러 코드를 해석하여 고장 원인마다의 복구 내용으로서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복구 지원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고장 복구 지원 시스템은, 보수원이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에 도착하기 전에, 엘리베이터의 고장 내용을 알 수 있어, 건물에 도착 후 곧바로 복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복구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주행 상태를 진단하는 이상 진단 장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있다고 진단되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제어 상수를 변경하여 엘리베이터의 주행 성능을 억제시켜 엘리베이터를 주행시켜, 엘리베이터가 정지되지 않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개 2003-104644호 공보 일본 특개 2000-302349호 공보
그런데,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를 행하는 데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리를 행하는 오너 혹은 보수 관리 회사의 양해하에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래, 엘리베이터에 이상 혹은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 원격 감시 센터 등으로부터 원격으로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복구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고장 중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재개할 수 있는 경미한 고장에도 불구하고, 원격으로 복구하지 못하고, 기술자가 출동하지 않으면 운행 재개할 수 없는 고장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오너 혹은 보수 관리 회사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빌딩의 상황으로부터, 기술자가 현장에 출동하여 엘리베이터의 복구에 임하는 것에 대해서는 양해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의 기능의 일부를 제한하여 운행을 재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양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반대로, 오너 혹은 보수 관리 회사가, 예를 들면, 야간, 휴일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의 기능의 일부를 제한하여 운행을 재개하고, 야간, 휴일의 기술자의 출동을 없게 하여 보수 비용을 저감하고 하고자 하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있다. 전자와 같은 경우에는, 곧바로 기술자를 출동시키는 것이 고객의 양해 사항에 따른 대응이 되어 고객에의 서비스 향상으로 되지만, 후자와 같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기능을 일부 제한하여 운행을 재개하는 쪽이 고객의 양해 사항에 따른 대응이 되어 고객 서비스의 향상으로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고장 복구 지원 시스템에서는, 고객의 양해 사항에 관계없이 운행 재개를 위해서 기술자를 출동시켜 버린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에서는, 고객의 양해 사항에 관계없이 운행 재개를 위해서 엘리베이터의 일부의 기능을 제한해 버린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고객의 양해 사항에 입각하여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를 행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고객의 양해 사항에 입각하여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를 행하여, 고객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은,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를 행하게 하는 원격 운행 재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운행 재개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대응에 대한 고객의 양해 사항을 격납한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와, 고장 코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 양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 변경 사항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 혹은 고장 상태의 표시·알림 사항을 관련지은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기 고장 코드 및 고장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원격 운행 재개 장치는, 상기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고장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고장 코드 및 상기 고장 부위 정보와, 상기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가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사항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의 표시·알림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운행 재개 장치는, 상기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고장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고장 코드 및 상기 고장 부위 정보와, 상기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운행 재개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운행 재개한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의 표시·알림을 행하게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운행 재개 장치는, 상기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고장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고장 코드 및 상기 고장 부위 정보와, 상기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고 운행 재개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고 운행 재개한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상태의 표시·알림을 행하게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반과 상기 고장 신호를 발신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마이크와 가속도 센서와,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서 소리 또는 가속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신 장치에 출력하는 데이터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집기로부터 입력된 소리 또는 가속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기 고장 코드와 상기 고장 부위 정보를 출력해도 된다.
본 발명은 고객의 양해 사항에 입각하여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를 행하여, 고객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보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100)은 빌딩(10)의 승강로(11)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20)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와 통신하고, 엘리베이터(20)의 복구 동작, 운행 재개 동작을 행하게 하는 원격 운행 재개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의 엘리베이터 칸(22)은, 승강로(11)의 상부 구조(15)로부터 서스펜션 쉬브(29a)와 와이어(23)와 엘리베이터 칸 하부 서스펜션 쉬브(29b)로 매달려 있다. 와이어(23)에는, 엘리베이터 칸(22)의 중량에 대항하는 추(25)가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2)은 승강로(11)의 하부의 피트에 배치된 구동 장치(24)에 의해서 승강 이동한다. 원격 운행 재개 장치(300)가 복구 동작, 운행 재개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엘리베이터(20)는, 1대여도 되고 복수대여도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20)가 복수인 경우에는, 각 엘리베이터(20)는 동일 빌딩(1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빌딩(1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20)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반(210)과 통신 장치(250)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반(210) 및 통신 장치(250)는 내부에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이다. 제어반(210)에는, 빌딩(10)의 각 층에 마련된 승강장 누름 버튼(14), 엘리베이터 칸(22) 내에 마련된 행선지층 버튼(28), 엘리베이터 칸(22)의 내부를 촬상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44)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반(210)은 승강장 누름 버튼(14), 행선지층 버튼(28)으로부터 입력되는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20)의 구동 장치(24)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22)을 승강 구동한다. 또한, 제어반(210)은 빌딩(10)의 각 층에 마련된 도어(13), 엘리베이터 칸(22)에 마련된 도어(26)의 개폐 동작도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칸(22)의 천정에는 가속도 센서(4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22)의 천정과 바닥 아래에는, 엘리베이터(20)의 주행음, 도어(13, 26)의 개폐음, 서스펜션 쉬브(29a), 엘리베이터 칸 하부 서스펜션 쉬브(29b), 와이어(23) 등의 소리를 수집하는 상부 마이크(42), 하부 마이크(43)가 장착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41), 상부 마이크(42), 하부 마이크(43)는, 데이터 수집기(45)에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수집기(45)는 가속도 센서(41), 상부 마이크(42), 하부 마이크(43)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의 1차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통신 장치(250)에 출력한다. 여기서, 1차 처리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석, 음압 레벨 분석 등이다.
원격 운행 재개 장치(300)는 통신 장치(320)와 감시반(330)을 포함하는 원격 감시 센터(310)와, 정보 처리 장치(360)와,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와,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와,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를 포함하고 있다. 원격 감시 센터(310)와 정보 처리 장치(360)와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와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와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는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 서로 인터넷 회선 등에 의해서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장치(250)는 제어반(210)에 접속되어, 제어반(210)으로부터의 출력을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한다. 또한, 통신 장치(250)는 정보 처리 장치(360)가 보수 데이터베이스(370),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를 참조하여 생성한 제어반(210)에 대한 운행 재개 지령을 통신 장치(320),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수신하고, 제어반(210)에 출력한다. 통신 장치(320)는 제어반(210)으로부터의 신호를 통신 장치(250),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수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360)에 출력한다. 또한, 통신 장치(320)는 정보 처리 장치(360)가 생성한 제어반(210)에 대한 운행 재개 지령을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한다. 통신 장치(250, 320)는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기여도 되고 유선 통신을 행하는 기기여도 된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30)는 인터넷 통신망이어도 되고, 전화 회선망이어도 된다.
원격 감시 센터(310)는 정보 처리 장치(360)와 데이터의 수수(授受)를 행하여,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상황, 고장 상황을 감시하는 감시반(330)이 배치되어 있다. 감시반(330)에는,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상황, 고장 상황, 정보 처리 장치(360)로부터의 통지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1)와, 디스플레이(331)의 표시를 조작하는 스위치(33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감시반(330)에는 통신 네트워크(35)를 통해서 서비스 센터(340)와의 통신을 행하는 전화(333)가 구비되어 있다.
보수 데이터베이스(370)는 엘리베이터(20)의 사양이나 검사, 보수, 수리, 운전 등의 이력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에는 엘리베이터(20)의 고장 대응에 대한 고객의 양해 사항이 격납되어 있다.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는, 엘리베이터(20)의 기종마다, 고장 코드와,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재개 양태와, 엘리베이터(20)의 제어 변경 사항과,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상태 혹은 고장 상태의 표시·알림 사항이 관련지어져 격납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내부에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이다. 정보 처리 장치(360)에는,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제어반(210)이 출력하는 고장 신호가 통신 장치(250, 320),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입력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신호가 입력되면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운행 재개 지령을 생성한다. 생성된 운행 재개 지령은, 통신 장치(250, 320)와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제어반(210)에 입력되어, 엘리베이터(20)에 운행 재개 동작을 실행시킨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에는,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 검사 이력 데이터(372),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 변조 이력 데이터(375),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 고장 이력 데이터(377), 운전 이력 데이터(378)가 격납되어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서,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 검사 이력 데이터(372),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 변조 이력 데이터(375),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 고장 이력 데이터(377), 운전 이력 데이터(378)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기종, 제조일, 제조 번호, 설치 빌딩의 명칭, 보수 계약자, 특정 계약 사항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수 계약자에는, 예를 들면, 오너의 명칭 혹은 보수 관리 회사의 명칭 등의 데이터가 격납되고, 또한, 특정 계약 사항에는, 예를 들면, 보수 계약자와의 계약 플랜이 저가 계약인 등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검사 이력 데이터(372)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기술자(350)가 현지에서 행한 검사의 일시, 검사 항목, 검사 결과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검사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20)의 도어(13, 26)의 개폐 상태의 검사, 각 층의 정지 위치의 검사(층 바닥(12)과 엘리베이터 칸(22)의 바닥(27)의 높이 어긋남량의 점검), 와이어(23)의 검사, 주행 속도의 검사 등이다. 또한, 검사 결과에는, 검사의 결과, 이상이 발견되었는지 여부나,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청소 등의 보수 작업이 필요 혹은 곧 부품 교환이 필요함 등이 입력되고 있다.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기술자(350)가 현장에서 행한 엘리베이터(20)의 보수 작업 일시, 보수 작업 항목, 보수 작업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수 작업 항목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상태의 점검, 엘리베이터(20)의 도어 레일의 청소, 도 1에 나타내는 구동 장치(24)에의 급유, 엘리베이터(20)의 브레이크의 조정 등이다. 보수 작업 결과에는, 점검, 청소, 급유, 조정 등을 실시한 실적이 입력되고 있다.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원격 점검 일시, 원격 점검 항목, 원격 점검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20)의 원격 점검은, 예를 들면, 1개월에 1회 등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서,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10)에 의해서 실시된다.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10)은,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20)의 엘리베이터 칸(22)을 소정의 층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시에 엘리베이터(20)에 장착된 각종의 센서에 의해서 운전 성능(가속도, 이상음의 유무), 도어 개폐, 브레이크, 비상용 배터리, 외부 연락 장치 등에 이상이 없는지를 점검한다. 그 점검 결과를 통신 장치(250, 320),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360)로부터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에 격납하는 것이다. 또한, 원격 점검은 원격 감시 센터(31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변조 이력 데이터(375)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변조 발생 일시, 변조 항목, 변조 대응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20)의 변조란, 기술자(350)에 의한 검사, 점검, 보수 작업, 혹은 원격 점검의 결과가 이상 값에는 이르지 않지만, 그 엘리베이터(20)의 통상 값보다도 변화해 있는 것과 같은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주행 속도의 검사를 행한 결과, 허용값 내에 들어가 있지만, 전회 점검시, 혹은 그 엘리베이터(20)의 현재까지의 검사 결과의 값으로부터의 차이가 큰 것과 같은 경우에, 변조 항목 중에 「주행 속도」라고 기록된다.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수리 공사 일시, 수리 공사 항목, 수리 공사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수리 공사란, 와이어(23)의 교환, 행거 롤러 교환, 브레이크 패드 교환, 제어 기판 교환, 릴레이 교환 등의 부품 교환에 의한 복구 공사이다. 따라서, 수리 공사 항목에는, 「와이어 교환」, 「행거 롤러 교환」, 「브레이크 패드 교환」 등의 교환 부품의 명칭이 입력되고, 수리 공사 결과의 란에는, 「수리 공사 종료」, 「재수리 필요」 등의 사항이 입력된다.
고장 이력 데이터(377)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고장 발생 일시, 고장 코드, 복구 방법, 복구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고장 코드란,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제어반(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숫자 혹은 숫자와 영문자를 조합한 코드이다. 고장 코드의 종류는, 예를 들면, 1000종류 정도이다. 복구 방법의 항목에는, 예를 들면, 기술자(350)가 출동하여 검사, 점검, 복구를 행했을 경우에는 「기술자 출동」과 같이 입력된다. 또한, 복구 방법의 항목에는, 예를 들면,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100)에 의해서 복구되었을 경우에는 「원격 복구」와 같이 입력된다. 복구 결과의 항목에는, 엘리베이터(20)가 복구되어 운행 재개되었을 경우에는, 「복구」와 같이 입력된다. 또한, 복구 결과의 항목에는, 엘리베이터(20)를 원격 복구할 수 없었을 경우에는, 「실패」와 같이 입력된다.
운전 이력 데이터(378)에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엘리베이터(20)의 기종, 제어반(210)으로부터 운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 일시,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상태가 격납되어 있다. 운전 상태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20)가 N층(N은 정수, 이하 동일)을 정지하지 않도록 하는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N층 부정지 운전중」과 같은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기종, 제조일, 제조 번호와 같은 엘리베이터(20)를 특정하는 사항과, 보수에 대한 오너, 보수 관리 회사 등의 고객와의 양해 사항이 격납되어 있다. 여기서, 고객와의 양해 사항에는, 예를 들면, 원격 복구를 행하는 것에 양해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원격 복구 가능」과 같은 데이터가 격납된다. 원격 운행 재개를 행하는 것에 양해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 「원격 운행 재개 가능」과 같은 데이터가 격납된다. 원격 운행 재개에 있어서, 고장 상태를 표시·알림하여 엘리베이터(20)의 운전을 행하는 것에 대하여 고객의 양해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고장 상태 표시 운전 가능」과 같은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원격 운행 재개에 있어서,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엘리베이터(20)의 운전을 행하는 것에 대하여 고객의 양해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일부 기능 제한 운전 가능」과 같은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또한, 원격 운행 재개가 성공했을 경우에, 휴일, 야간에 기술자(350)의 파견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원격 운행 재개 성공시에는 휴일, 야간의 출동 불필요」와 같은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는, 엘리베이터(20)의 기종마다, 고장 코드와,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재개 양태와, 엘리베이터(20)의 제어 변경 사항과,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상태 혹은 고장 상태의 표시·알림 사항이 관련지어져 격납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장 코드란,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제어반(210) 또는 통신 장치(250)로부터 출력되는 숫자 혹은 숫자와 영문자를 조합한 코드이다. 도 5에는 고장 코드 「0001」부터 고장 코드 「0006」을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 격납되어 있는 고장 코드는, 고장 발생시의 상태인 채로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재개가 가능한 고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어(13, 26)를 개폐할 수 없게 된 경우와 같이, 그대로인 상태에서는 운행 재개할 수 없고, 도어(13, 26)의 개폐 불능 상태의 복구 동작이 필요한 고장과 같은 경우에 출력되는 고장 코드 「1001」은,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는 격납되어 있지 않다.
이하, 도 5에 기재된 고장 코드 「0001」부터 「0006」에 대해 설명한다.
(1) 고장 코드 「0001」(승강장 누름 버튼 ON 고장)은, 도 1에 나타내는 승강장 누름 버튼(14)이 ON 고장(ON 상태가 계속되는 고장)인 경우에 발신되는 고장 코드이다.
(2) 고장 코드 「0002」(행선지층 버튼 ON 고장)은,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20)의 엘리베이터 칸(22) 내에 장착된 행선지층 버튼(28)의 ON 고장(특정 층의 ON 상태가 계속되는 고장)인 경우에 발신되는 고장 코드이다.
(3) 고장 코드 「0003」(주행중의 이음(異音) 발생)은, 엘리베이터(20)의 주행중에 이음의 발생이 있었을 경우에 발신되는 고장 코드이다.
(4) 고장 코드 「0004」(도어 개폐시의 이음 발생)은, 엘리베이터(20)의 도어(13, 26)의 개폐중에 이음이 발생했을 경우에 송신되는 고장 코드이다.
(5) 고장 코드 「0005」는, 엘리베이터(20)의 주행중에 가속도 혹은 진동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송신되는 고장 코드이다.
(6) 고장 코드 「0006」은, 특정 층에서 엘리베이터(20)의 엘리베이터 칸(22)의 바닥(27)의 높이와 승강장의 층 바닥(12)의 높이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었을 경우에 송신되는 고장 코드이다.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의 운행 재개 양태의 항목에는, 「일부 기능 제한 운전」, 「고장 상태 표시 운전」 등의 사항이 격납된다. 여기서,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이란, 예를 들면, 특정 층의 정지 기능을 제한하여 엘리베이터(20)를 운전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운전 양태를 말한다. 또한, 「고장 상태 표시 운전」이란, 예를 들면, 승강장 누름 버튼(14)이 ON 고장나 매회 특정 층에 상시 정지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매회 0층에 정지하지만, 통상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와 같이, 엘리베이터(20)의 고장의 상태를 표시·알림하면서 엘리베이터(20)를 운전하도록 하는 운전 양태를 말한다.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의 제어 변경 사항의 항목에는, 앞서 설명한 운전 양태가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인 경우에 변경하는 엘리베이터(20)의 제어 사항이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고장 코드가 「0001」(승강장 누름 버튼 ON 고장) 또는, 고장 코드가 「0002」(행선지층 버튼 ON 고장)로, 운전 양태가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인 경우, 제어 변경 사항에는 엘리베이터(20)가 특정 층에 정지되지 않게 엘리베이터(20)의 제어를 변경하는 「서비스층 중단」이 격납되어 있다. 고장 코드가 「0003」(주행중의 이음 발생)의 경우에는, 정격 속도(최고 속도)를 저감시켜 주행하는 「정격 속도 저감」이 격납되어 있다. 고장 코드 「0004」(도어 개폐시의 이음 발생)인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도어(13, 26)의 개폐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엘리베이터(20)의 제어 사항을 변경하는 「도어 개폐 속도 저감」이 격납되어 있다. 고장 코드 「0005」(주행중 가속도 이상/진동 발생)인 경우에는, 정격 속도(최고 속도)를 저감시켜 주행하는 「정격 속도 저감」이 격납되어 있다. 고장 코드 「0006」(특정 층에서의 단차 발생)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20)가 특정 층에 정지되지 않게 제어 사항을 변경하는 「서비스층 중단」이 격납되어 있다.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의 표시·알림 사항에는, 엘리베이터(20)가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한되고 있는 기능의 표시·알림 사항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의 표시·알림 사항에는, 엘리베이터(20)가 「고장 상태 표시 운전」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20)의 고장 상황의 표시·알림 사항이 격납되어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면서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 격납되어 있는 표시·알림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장 코드 「0001」(승강장 누름 버튼 ON 고장)이고 운행 재개 양태 「일부 기능 제한 운전」, 제어 변경 사항 「서비스층 중단」인 경우, 표시·알림 사항에는, 엘리베이터(20)의 서비스를 정지하고 있는 특정 층(N층)의 표시·알림을 행하는 「N층 UP 버튼 이용 불가」가 격납되어 있다. 또한, 고장 코드 「0001」이고 운행 재개 양태 「고장 상태 표시 운전」인 경우, 표시·알림 사항에는, 누름 버튼이 고장나 있는 층(N층)의 표시·알림을 행하는 「N층 UP 버튼 고장」이 격납되어 있다. 고장 코드 「0002」(행선지층 버튼 ON 고장)이고 운행 재개 양태 「일부 기능 제한 운전」, 제어 변경 사항 「서비스층 중단」인 경우, 표시·알림 사항에는 「N층 행선지층 버튼 이용 불가」가 격납되어 있다. 또한, 고장 코드 「0002」이고 운행 재개 양태 「고장 상태 표시 운전」인 경우, 표시·알림 사항에는 「N층 상시 정지」가 격납되어 있다.
고장 코드가 「0003」(주행중의 이음 발생)이고 운행 재개 양태가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인 경우에는, 정격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제어를 변경하여 운전하고 있는 것을 표시·알림하는 「정격 속도 저감 운전중」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고장 코드가 「0003」이고 운행 재개 양태가 「고장 상태 표시 운전」인 경우에는, 주행중에 이음이 발생되고 있는 것을 표시·알림하는 「주행중 이음 발생중」이 격납되어 있다.
고장 코드 「0004」(도어 개폐시의 이음 발생)이고 운행 재개 대응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인 경우에는, 도어(13, 26)의 개폐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엘리베이터(20)의 제어 사항을 변경하여 운전하고 있는 것을 표시·알림하는 「도어 개폐 속도 저감 운전중」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고장 코드 「0004」이고 운행 재개 대응 「고장 상태 표시 운전」인 경우에는, 도어 개폐시에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표시·알림하는 「도어 개폐시 이음 발생」이 격납되어 있다.
고장 코드 「0005」(주행중 가속도 이상/진동 발생)인 경우로, 운행 재개 양태가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인 경우에는, 정격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제어를 변경하여 운전하고 있는 것을 표시·알림하는 「정격 속도 저감 운전중」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고장 코드 「0005」인 경우로, 운행 재개 양태가 「고장 상태 표시 운전」인 경우에는, 주행중에 가속도 이상 혹은 진동이 발생되고 있는 것을 표시·알림하는 「주행중 가속도 이상/진동 발생」이 격납되어 있다.
고장 코드 「0006」(특정 층에서의 단차 발생)이고 운행 재개 양태가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20)가 특정 층(N층)에 정지되지 않게 제어 사항이 변경되어 있는 것을 표시·알림하는 「N층 이용 불가」가 격납되어 있다. 또한, 고장 코드 「0006」이고 운행 재개 양태가 「고장 상태 표시 운전」인 경우에는, 특정 층(N층)에 단차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표시·알림하는 「N층에 단차 발생」이 격납되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20)로부터 고장 신호가 발신되었을 경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고장 코드 「0001」부터 「0006」, 「1001」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고장 코드 「1001」은, 도어(13, 26)가 열림 불능, 혹은 닫힘 불능인 경우와 같이, 도어 관련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이다. 또한,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100)은 상기 이외의 부분에 관한 고장 코드가 발신되었을 경우에도 대응 가능하다.
도 2 및 도 6의 스텝 S1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의 제어반(210)은, 이하와 같이,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도 6의 스텝 S102로 진행하여, 고장 코드와 고장 부위 정보를 발신한다.
(1) 제어반(210)은, 승강장 누름 버튼(14)이 ON 상태를 소정 횟수(예를 들면, 10회 정도) 혹은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분 정도) 검출하면, 도 6의 스텝 S101에서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반(210)은 도 6의 스텝 S102에서 승강장 누름 버튼(14)의 ON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 「0001」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반(210)은 도 6의 스텝 S102에서 승강장 누름 버튼(14)이 ON 고장으로 된 특정 층, 예를 들면, N층(N은 정수)과 UP/DN 버튼의 구별을 고장 부위 정보 「N층 UP 버튼」과 같이 출력한다.
(2)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 칸(22)이 도어 개폐 가능한 도어 존을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행선지층 버튼(28)의 당해 층상의 ON를 소정 횟수(예를 들면, 10회 정도) 검출했을 경우에는, 도 6의 스텝 S101에서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반(210)은 도 6의 스텝 S102에서 행선지층 버튼(28)의 ON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 「0002」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반(210)은, 도 6의 스텝 S102에서 ON 고장으로 된 행선지층, 예를 들면, N층(N은 정수)을 고장 부위 정보 「N층」으로서 출력한다.
(3)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44)로 엘리베이터 칸(22)의 바닥(27)과 층 바닥(12)의 사이에 높이의 어긋남을 검출했을 경우, 도 6의 스텝 S101에서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반(210)은 도 6의 스텝 S102에서 특정 층에서의 단차 발생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 「0006」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반(210)은 도 6의 스텝 S102에서 고장 부위 정보로서 단차가 발생된 특정 층(예를 들면, N층)을 출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41)로 검출한 가속도와, 상부 마이크(42), 하부 마이크(43)로 검출한 소리의 데이터는 데이터 수집기(45)로 주파수 분석, 음압 레벨 분석 등의 1차 처리가 된 후, 통신 장치(250)에 출력된다. 통신 장치(250)는 데이터 수집기(45)로부터 입력된 가속도, 소리 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고장이 발생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과 함께, 고장 코드, 고장 부위 정보를 출력한다.
통신 장치(250)는 데이터 수집기(45)로부터 입력된 주행중의 소리의 데이터에 이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6의 스텝 S101에서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통신 장치(250)는, 이음의 데이터가 입력된 것이 주행중인 경우에는, 도 6의 스텝 S102에서 주행중의 이상음 발생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 「0003」을 출력한다. 또한, 통신 장치(250)는, 데이터 수집기(45)로부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분석 결과, 음압 레벨 분석의 결과로부터 이하와 같이 이음의 발생 부위를 특정한다.
(1) 상승, 하강의 대략 전역에 걸쳐 통상보다도 큰 소리가 검출되고, 또한, 하부 마이크(43)에 있어서 현저한 이상음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이음의 발생 부위를 엘리베이터 칸 하부 서스펜션 쉬브(29b)로 특정한다.
(2) 승강로(11)의 상단부에 배치된 서스펜션 쉬브(29a)에 가까워질수록 통상보다도 큰 이음이 검출되고, 또한, 상부 마이크(42)에 있어서 현저한 이상음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이음의 발생 부위를 서스펜션 쉬브(29a)로 특정한다.
(3) 상부 마이크(42), 하부 마이크(43) 모두 동등 레벨의 이상음을 시간차로 검출했을 경우에는, 이음의 발생 부위를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레일의 이음매로 특정한다.
(4) 승강로(11)의 하부의 피트에 가까워짐에 따라 통상보다도 큰 이음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음의 발생 부위를 구동 장치(24)로 특정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250)는, 도 6의 스텝 S102에서 고장 부위 정보로서, 「엘리베이터 칸 하부 서스펜션 쉬브(29b)」, 「서스펜션 쉬브(29a)」, 「가이드 레일 이음매」, 「구동 장치(24)」를 출력한다.
통신 장치(250)는, 도어(13, 26)의 개폐 동작중에 이음의 발생을 검출했을 경우, 도 6의 스텝 S101에서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도 6의 스텝 S102에서 도어 개폐중의 이상음 발생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 「0004」를 출력한다. 또한, 통신 장치(250)는, 데이터 수집기(45)로부터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 분석 결과, 음압 레벨 분석의 결과로부터 이하와 같이 이음의 발생 부위를 특정한다.
(1) 어느 층에 있어서도 공통해서 통상보다도 큰 이음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이음의 발생 부위를 엘리베이터 칸(22)의 도어(26)로 특정한다.
(2) 어느 층에서 통상보다도 큰 이음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이음의 발생 부위를 그 층의 승강장의 도어(13)로 특정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250)는, 도 6의 스텝 S102에서 고장 부위 정보로서, 「엘리베이터 칸(22)의 도어(26)」, 「N층의 승강장의 도어(13)」를 출력한다.
통신 장치(250)는, 데이터 수집기(45)로부터 입력된 가속도의 데이터 혹은 진동의 데이터에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6의 스텝 S101에서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통신 장치(250)는 도 6의 스텝 S102에서 가속도의 이상이 발생한 것이 스타트시인지, 정지시인지 등의 정보를 고장 부위 정보로서 출력한다.
또한, 제어반(210)은, 도어(13, 26)가 열림 불능, 혹은 닫힘 불능으로 되었을 경우, 도 6의 스텝 S101에서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반(210)은 도 6의 스텝 S102에서 도어 관련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 「1001」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반(210)은 도 6의 스텝 S102에서 열림 고장 혹은 닫힘 고장난 도어가 엘리베이터 칸(22)의 도어(26)인 경우, 고장 부위 정보로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출력한다.
한편,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반(210) 및 통신 장치(250)는, 스텝 S101의 처음으로 되돌아가 엘리베이터(20)의 감시를 계속한다.
통신 장치(250)는 제어반(210)으로부터 고장 코드 및 고장 부위 정보가 입력되거나, 통신 장치(250)가 고장 코드 및 고장 부위 정보를 출력하면, 도 2 및 도 6의 스텝 S10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장 코드, 고장 부위 정보 및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및 고장 발생 일시를 포함하는 고장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30)에 발신한다. 도 2 및 도 6의 스텝 S10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 감시 센터(310)의 통신 장치(320)는,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서 통신 장치(250)가 발신한 고장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 장치(320)는, 고장 신호를 수신하면, 고장 신호에 포함되는 고장 코드, 고장 부위 정보,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및 고장 발생 일시를 정보 처리 장치(360)에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입력된 고장 코드, 고장 부위 정보,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고장 발생 일시를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의 고장 이력 데이터(377)에 격납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6의 스텝 S10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에 발생한 고장이 원격 복구로 복구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360)는, 입력된 고장 코드가 도어(13, 26)에 관한 고장인 「1001」인 경우, 「도어 회로 리셋+도어 고(高)토크 개폐」의 복구 동작에 의해서 복구할 수 있는 고장이라고 판정하고, 도 6의 스텝 S105에서 YES로 판정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360)는, 예를 들면, 입력된 고장 코드가 「0001」 내지 「0006」과 같이, 기술자(350)를 출동시켜 고장난 부품을 교환 혹은 조정하지 않으면 복구할 수 없는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인 경우, 도 6의 스텝 S105에서 NO로 판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6의 스텝 S105에서 YES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 6의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원격 복구 실행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기종, 제조일, 제조 번호, 보수 계약자, 특정 계약 사항을 취득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취득한 사양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엘리베이터(20)가 원격 운행 재개 장치(300)로부터의 복구 지령에 의해서 원격 복구 동작이 가능한 사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사 이력 데이터(372),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 변조 이력 데이터(375),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 고장 이력 데이터(377)를 참조하여, 최근, 엘리베이터에 이상이나 변조의 발생이 없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보수 계약자가 원격 복구를 양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확인은,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의 양해 사항에 「원격 복구 가능」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지 여부로 판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엘리베이터(20)가 원격 복구 동작이 가능한 기종이며, 최근, 이상이나 변조의 발생이 없고, 보수 계약자가 원격 복구를 양해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어 회로 리셋+도어 고토크 개폐」와 같은 복구 지령을 제어반(210)에 발신하여, 제어반(210)의 복구 동작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6의 스텝 S107에서 원격 복구에 성공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여, 원격 복구에 성공하면 고장의 복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원격 복구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도 6의 스텝 S108로 진행하여, 제어반(210)에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정지, 아나운스 실행 지령을 출력한다. 제어반(210)은 이 지령에 의해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을 정지하고,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스피커 등으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이 정지된 것을 아나운스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원격 감시 센터(310)에 기술자(350)의 파견이 필요한 것을 통지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엘리베이터(20)가 원격 복구 동작이 불가능한 기종인 경우 혹은 최근, 이상이나 변조의 발생이 있었을 경우, 보수 계약자가 원격 복구를 양해하지 않은 경우에는,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100)에 의한 복구보다도 기술자(350)를 빌딩(10)에 파견하는 쪽이 좋다고 판정하고,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운행 재개 불가의 통지를 출력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6의 스텝 S105에서 NO로 판정했을 경우, 도 7의 스텝 S109로 진행하여, 원격 운행 재개가 가능한 고장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기종, 제조일, 제조 번호, 보수 계약자, 특정 계약 사항을 취득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취득한 사양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엘리베이터(20)가 원격 운행 재개 장치(300)로부터의 운행 재개 지령에 의해서 원격 운행 재개 동작이 가능한 사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엘리베이터(20)가 원격 운행 재개 동작이 불가능한 기종인 경우에는, 도 2 및 도 7의 스텝 S1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운행 재개 불가를 통지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사 이력 데이터(372),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 변조 이력 데이터(375),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 고장 이력 데이터(377)를 참조하여, 이하의 (a)~(f)에 대해서 확인한다.
(a) 엘리베이터(20)가 최근의 검사에서 조정 고침 지시가 있던 것임.
(b) 엘리베이터(20)가 최근 혹은 당일에 보수 계획이 있어 조정 미스의 가능성이 예측되는 것임.
(c) 원격 점검으로 엘리베이터(20)에 이상의 진단 결과가 있었음.
(d) 최근, 엘리베이터(20)에 변조의 발생이 있었음.
(e) 엘리베이터(20)가 최근, 수리 공사가 실시되었음.
(f) 엘리베이터(20)가 최근, 같은 고장 코드에 의한 고장 신호를 발신하였음.
그리고, 상기 (a)~(f)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60)는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100)에 의한 운행 재개보다도 기술자(350)를 빌딩(10)에 파견하는 쪽이 좋다고 판정하고, 도 7의 스텝 S109에서 NO로 판정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7의 스텝 S1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60)는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운행 재개 불가의 통지를 출력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보수 계약자가 원격 운행 재개를 양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의 양해 사항에 「원격 운행 재개 가능」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보수 계약자가 원격 운행 재개를 행하는 것을 양해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여 도 7의 스텝 S109에서 NO로 판정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7의 스텝 S1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60)는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운행 재개 불가의 통지를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로부터 원격 감시 센터(310)에 출력된 원격 운행 재개 불가의 통지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 감시 센터(310)의 디스플레이(331)에 표시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8의 스텝 S1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반(210)에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정지, 아나운스 실행 지령을 출력한다. 제어반(210)은 이 지령에 의해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을 정지하고,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스피커 등으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이 정지된 것을 아나운스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원격 감시 센터(310)에 기술자(350)의 파견이 필요한 것을 통지한다.
원격 감시 센터(310)의 감시자(334)는, 전화(333)에 의해서 도 2 및 도 8의 스텝 S1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빌딩(10) 인근의 서비스 센터(340)에 기술자(350)를 빌딩(10)에 파견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스텝 S109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사 이력 데이터(372),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373),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374), 변조 이력 데이터(375),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376), 고장 이력 데이터(377)를 참조하여 이하의 (g)~(m)에 대해서 확인한다.
(g) 엘리베이터(20)가 원격 운행 재개 장치(300)로부터의 운행 재개 지령에 의해서 운행 재개 동작이 가능한 사양임.
(h) 엘리베이터(20)가 최근의 검사에서 조정 고침 지시가 있던 것은 아님.
(i) 엘리베이터(20)가 최근, 혹은 당일에 보수 계획이 없어 조정 미스의 가능성이 예측되는 것은 아님.
(j) 원격 점검으로 엘리베이터(20)에 이상의 진단 결과가 없음.
(k) 최근, 엘리베이터(20)에 변조의 발생이 없음.
(l) 엘리베이터(20)가 최근, 수리 공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은 아님.
(m) 엘리베이터(20)가 최근, 같은 고장 코드에 의한 고장 신호를 발신하지 않았음.
그리고, 상기 (g)~(m)의 모든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60)는, 입력된 고장 코드, 고장 부위 정보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엘리베이터(20)에 발생한 고장이 운행 재개 가능한 고장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입력된 고장 코드가 도 5에 나타내는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 격납되어 있는 고장 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입력된 고장 코드가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 격납되어 있는 「0001」 내지 「0006」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360)는, 엘리베이터(20)의 고장은, 운행 재개 가능한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360)는, 예를 들면, 입력된 고장 코드가,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 격납되어 있지 않은 고장 코드 「1001」(도어 개폐 불능) 등인 경우, 엘리베이터(20)의 고장은 운행 재개 가능한 고장은 아니라고 판정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보수 계약자가 원격 운행 재개를 양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의 양해 사항에 「원격 운행 재개 가능」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수 계약자가 원격 운행 재개를 행하는 것을 양해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상기 (g)~(m)의 모든 요건을 만족하고, 또한, 엘리베이터(20)의 고장이 운행 재개 가능한 고장이라고 판정하고, 또한, 보수 계약자가 원격 운행 재개를 행하는 것을 양해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 7의 스텝 S109에서 YES로 판정하고 도 7의 스텝 S110으로 진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7의 스텝 S110에 있어서,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운행 재개를 통지한다. 이 신호는, 원격 감시 센터(310)의 디스플레이(331)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원격 감시 센터(310)의 감시자(334)에 엘리베이터(20)의 원격 운행 재개가 개시되는 것이 통지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360)는 상기 (g)~(m)의 모든 요건을 만족하고 있어도, 엘리베이터(20)의 고장이 운행 재개 가능한 고장은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 혹은 보수 계약자가 원격 운행 재개를 행하는 것을 양해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 7의 스텝 S109에서 NO로 판정하고 도 7의 스텝 S131로 진행하여,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운행 재개 불가의 통지를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7의 스텝 S110에서 원격 감시 센터(310)에 원격 운행 재개의 개시를 통지하면, 도 7의 스텝 S111로 진행하여, 운행 재개 양태를 「일부 기능 제한 운전」으로 할지 「고장 상태 표시 운전」으로 할지를 선택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4에 나타내는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일부 기능 제한 운전」, 「고장 상태 표시 운전」 중 어느 한쪽만이 고객에 양해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객에 양해가 얻어져 있는 쪽의 운행 재개 양태를 선택한다. 또한, 「일부 기능 제한 운전」, 「고장 상태 표시 운전」 양쪽에 대해 고객의 양해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를 참조하여, 고장 코드에 대응하는 운행 재개 양태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쪽의 운행 재개 양태를 선택한다. 또한, 고객에 「일부 기능 제한 운전」, 「고장 상태 표시 운전」 양쪽에 대해서 양해가 얻어져 있고, 예를 들면, 고장 코드 「0001」(승강장 누름 버튼 ON 고장)과 같이,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 「일부 기능 제한 운전」, 「고장 상태 표시 운전」 양쪽의 운행 재개 양태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의 운행 재개 양태를 우선해서 선택한다. 또한, 고장 코드 「0003」(주행중의 이음 발생)인 경우, 고장 부위 정보로서 「구동 장치(24)」 혹은 「와이어(23)」 등의 구동, 주행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부위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360)는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의 운행 재개 양태를 우선해서 선택한다.
이하, 정보 처리 장치(360)가 도 7의 스텝 S111에서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의 운행 재개 양태를 선택했을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7의 스텝 S112로 진행하여, 고장 코드, 고장 부위 정보,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 기초하여,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을 행하기 위한 운행 재개 지령을 생성한다. 운행 재개 지령은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을 행하기 위해서 변경하는 엘리베이터(20)의 제어 사항과, 엘리베이터 칸(22) 내 혹은 승강장에서 표시·알림하는 사항에 의해서 구성된다.
고장 코드 「0001」(승강장 누름 버튼 ON 고장)이고, 고장 부위 정보가 N층 UP 버튼인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누름 버튼이 ON 고장나 있는 특정 층(N층)의 승강장 UP 버튼의 호출 등록만 등록되지 않게 N층 승강장 UP 버튼에 대응하는 「N층 서비스 중단」의 제어 변경 지령과, 「N층 UP 버튼 이용 불가」에 대응하는 「N층 UP 버튼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에 의해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고장 코드 「0002」(행선지층 버튼 ON 고장)이고, 고장 부위 정보가 N층 행선지층 버튼인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행선지층 버튼이 ON 고장나 있는 특정 층(N층)의 행선지층 버튼의 호출 등록만 등록되지 않게 N층 행선지층 버튼에 대응하는 「N층 서비스 중단」의 제어 변경 지령과, 「N층 행선지층 버튼 이용 불가」에 대응하는 「N층 행선지층 버튼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에 의해서 구성된다. 고장 코드 「0003」(주행중의 이음 발생)의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정격 속도 ○% 저감」의 제어 변경 지령과, 「정격 속도 저감 운전중」의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에 의해서 구성된다. 고장 코드 「0004」(도어 개폐시의 이음 발생)의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도어 개폐 속도 ○% 저감」의 제어 변경 지령과, 「도어 개폐 속도 저감 운전중」의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에 의해서 구성된다. 고장 코드 「0005」(주행중 가속도 이상/진동 발생)의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정격 속도 ○% 저감」의 제어 변경 지령과, 「정격 속도 저감 운전중」의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에 의해서 구성된다. 고장 코드 「0006」(특정 층에서의 단차 발생)이고, 고장 부위 정보가 N층인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단차가 발생되고 있는 특정 층(N층)의 승강장 UP 버튼, 승강장 DN 버튼 및 행선지층 버튼의 N층의 모든 호출 등록이 등록되지 않도록 N층 승강장 UP 버튼, N층 승강장 DN 버튼 및, N층 행선지층 버튼에 대응하는 「N층 서비스 중단」의 제어 변경 지령과, 「N층 이용 불가」에 대응하는 「N층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에 의해서 구성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7의 스텝 S112에서 운행 재개 지령을 생성하면, 도 7의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 및 도 7의 스텝 S1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성한 운행 재개 지령을 통신 장치(320)로부터 발신한다. 도 2 및 도 7의 스텝 S1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250)는, 통신 장치(320)로부터 운행 재개 지령을 수신하면, 운행 재개 지령을 제어반(210)에 출력한다.
제어반(210)은, 도 8의 스텝 S1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가 정지되어 있는 것, 엘리베이터 칸(22)의 중량 센서,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카메라,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인물 센서 등의 출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2) 내에 승객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가 정지되어 있는 것, 엘리베이터 칸(22) 내에 승객이 없는 것을 확인하면, 엘리베이터 칸(22) 내에 설치된 통화 장치의 스피커로부터 「지금부터 원격 운행 재개를 개시합니다」등의 아나운스를 행한다.
제어반(210)은, 아나운스가 종료되면, 도 8의 스텝 S116으로 진행하여, 운행 재개 지령에 따라서 운행 재개 동작을 실행한다.
고장 코드 「0001」, 「0002」이고 「N층 서비스 중단」의 제어 변경 지령인 경우, 제어반(210)은, 당해 고장 부위의 버튼만 이용할 수 없게 되도록 동작 프로그램을 변경한다. 고장 코드 「0006」이고, 「N층 서비스 중단」의 제어 변경 지령인 경우,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를 N층에 정지시키지 않기 때문에 N층 모든 버튼(N층 승강장 UP 버튼, N층 승강장 DN 버튼 및, N층 행선지층 버튼)의 호출 등록이 등록되지 않게 동작 프로그램을 변경한다. 고장 코드 「0003」, 「0005」이고 「정격 속도 ○% 저감」의 제어 변경 지령인 경우,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의 정격 속도를 ○%만큼 저감시키도록 엘리베이터(20)의 동작 프로그램을 변경한다. 또한, 고장 코드 「0004」이고 「도어 개폐 속도 ○% 저감」의 제어 변경 지령인 경우, 제어반(210)은, 도어(13, 26)의 개폐 속도를 ○%만큼 저감시키도록 엘리베이터(20)의 동작 프로그램을 변경한다.
또한, 제어반(210)은, 운행 재개 지령에 포함되는 표시·알림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20)의 엘리베이터 칸(22) 내, 및 정지층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제한되어 있는 기능을 표시·알림한다. 예를 들면, 고장 코드 「0001」의 경우 「N층 UP 버튼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표시·알림을 행한다. 고장 코드 「0002」의 경우 「N층 행선지층 버튼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표시·알림을 행한다. 고장 코드 「0003」, 「0005」의 경우 「정격 속도 저감 운전중」과 같은 표시·알림을 행한다. 고장 코드 「0004」의 경우 「도어 개폐 속도 저감 운전중」과 같은 표시·알림을 행한다. 고장 코드 「0006」의 경우 「N층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표시·알림을 행한다.
제어반(210)은, 엘리베이터(20)의 동작 프로그램의 변경, 제한되고 있는 기능의 표시, 알림이 종료되면,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을 재개하고 도 8의 스텝 S117로 진행한다.
제어반(210)은 도 8의 스텝 S117에서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상태를 통신 장치(250)에 출력한다. 통신 장치(250)는 운전 상태 데이터를 통신 장치(320)에 발신한다. 도 8의 스텝 S1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320)는 통신 장치(250)로부터 운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운전 상태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360)에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입력된 운전 상태 데이터를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의 운전 이력 데이터(378)에 격납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8의 스텝 S119에 있어서, 운행 재개 지령중의 제어 변경 지령으로 변경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가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360)는, 고장 코드 「0001」, 「0002」의 경우, 당해 고장 부위의 버튼의 호출 등록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지 여부를 확인한다. 「0006」의 경우, 엘리베이터(20)가 N층에 정지하지 않고 운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고장 코드 「0003」, 「0005」의 경우, 엘리베이터(20)의 정격 속도가 운행 재개 지령대로 저감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고장 코드 「0006」의 경우, 도어(13, 26)의 개폐 속도가 운행 재개 지령대로 저감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8의 스텝 S119에서 YES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 8의 스텝 S120으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에 격납되어 있는 보수 계약자에게 운행 재개 상황의 메일 등을 발신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8의 스텝 S121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원격 감시 센터(310)에 기술자(350)의 파견 시기를 운행 재개 상황과 함께 표시한다. 예를 들면, 계약이 저가 계약으로, 원격 운행 재개 성공시에는 휴일, 야간의 출동 불필요인 것에 대해 양해가 얻어져 있는 경우, 기술자(350)의 파견 시기에 대해 「평일, 규정시간 내에 기술자 파견」과 같이 표시한다.
원격 감시 센터(310)의 감시자(334)는, 운행 재개 상황, 기술자(350)의 파견 시기의 표시를 확인하면, 도 8의 스텝 S1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술자(350)의 파견을 준비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8의 스텝 S119에서 NO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 8의 스텝 S132로 진행하여, 제어반(210)에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정지, 아나운스 실행 지령을 출력한다. 제어반(210)은 이 지령에 의해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을 정지하고,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스피커 등으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이 정지된 것을 아나운스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원격 감시 센터(310)에 기술자(350)의 파견이 필요한 것을 통지한다.
원격 감시 센터(310)의 감시자(334)는, 운행 재개 상황, 기술자(350)의 파견 시기의 표시를 확인하면, 도 8의 스텝 S1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술자(350)의 파견을 행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360)가 도 7의 스텝 S111에서 「고장 상태 표시 운전」의 운행 재개 양태를 선택했을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7의 스텝 S123으로 진행하여, 고장 코드, 고장 부위 정보,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390)에 기초하여, 고장 상태 표시 운전을 행하기 위한 운행 재개 지령을 생성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20)의 제어 사항의 변경은 행하지 않기 때문에, 운행 재개 지령은 엘리베이터 칸(22) 내 혹은 승강장의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알림하는 고장 상태로 구성된다.
고장 코드 「0001」(승강장 누름 버튼 ON 고장)이고, 고장 부위 정보가 N층 UP 버튼인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N층 UP 버튼은 고장이기 때문에 이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이 된다. 고장 코드 「0002」(행선지층 버튼 ON 고장)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고장 코드 「0003」(주행중의 이음 발생)의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주행중 이음 발생중」의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이 된다. 고장 코드 「0004」(도어 개폐시의 이음 발생)의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도어 개폐 속도 저감 운전중」의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이 된다. 고장 코드 「0005」(주행중 가속도 이상/진동 발생)의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정격 속도 저감 운전중」의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이 된다. 고장 코드 「0006」(특정 층에서의 단차 발생)로, 고장 부위 정보가 N층인 경우, 운행 재개 지령은, 「N층에 단차가 발생되고 있습니다」라는 표시, 아나운스를 행하는 표시·알림 지령이 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7의 스텝 S123에서 운행 재개 지령을 생성하면, 도 7의 스텝 S124로 진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2 및 도 7의 스텝 S1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성한 운행 재개 지령을 통신 장치(320)로부터 발신한다. 도 2 및 도 7의 스텝 S1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250)는, 통신 장치(320)로부터 운행 재개 지령을 수신하면, 운행 재개 지령을 제어반(210)에 출력한다.
앞서 설명한 「일부 기능 제한 운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반(210)은 도 8의 스텝 S126에 있어서 현장 확인과 운행 재개 개시의 아나운스를 행한다. 아나운스가 종료되면, 제어반(210)은 도 8의 스텝 S127로 진행하여, 운행 재개 지령에 따라서 운행 재개 동작을 실행한다.
제어반(210)은, 운행 재개 지령에 기초하여, 고장 상태의 표시·알림을 행하고,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을 재개한다. 그리고, 제어반(210)은 도 8의 스텝 S128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상태를 통신 장치(250)에 출력한다. 통신 장치(250)는 운전 상태 데이터를 통신 장치(320)에 발신한다. 도 8의 스텝 S1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320)는 통신 장치(250)로부터 운전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운전 상태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360)에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입력된 운전 상태 데이터를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의 운전 이력 데이터(378)에 격납한다.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8의 스텝 S130에 있어서, 운행 재개 지령 중의 표시·알림 지령대로에 고장 상태의 표시·알림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8의 스텝 S130에서 YES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 8의 스텝 S120으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에 격납되어 있는 보수 계약자에게 운행 재개 상황의 메일 등을 발신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8의 스텝 S121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380)를 참조하여 원격 감시 센터(310)에 기술자(350)의 파견 시기를 운행 재개 상황과 함께 표시한다.
원격 감시 센터(310)의 감시자(334)는, 운행 재개 상황, 기술자(350)의 파견 시기의 표시를 확인하면, 도 8의 스텝 S1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술자(350)의 파견을 준비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360)는, 도 8의 스텝 S130에서 NO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 8의 스텝 S132로 진행하여, 제어반(210)에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정지, 아나운스 실행 지령을 출력한다. 제어반(210)은 이 지령에 의해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을 정지하고, 엘리베이터 칸(22) 내의 스피커 등으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이 정지된 것을 아나운스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60)는 원격 감시 센터(310)에 기술자(350)의 파견이 필요한 것을 통지한다.
원격 감시 센터(310)의 감시자(334)는, 운행 재개 상황, 기술자(350)의 파견 시기의 표시를 확인하면, 도 8의 스텝 S1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술자(350)의 파견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100)은, 고객의 양해 사항에 입각하여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재개를 행할 수 있으므로, 고객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100)은, 엘리베이터(20)의 고장이 일부 기능 제한에 의해 운행 재개 가능한 경우 혹은 그대로인 상태에서도 운행 재개 가능한 경우에는, 원격으로 엘리베이터(20)의 운행을 재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20)의 운행 정지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지 본질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10 빌딩, 11 승강로, 12 층 바닥, 13, 26 도어, 14 승강장 누름 버튼, 15 상부 구조, 20 엘리베이터, 22 엘리베이터 칸, 23 와이어, 24 구동 장치, 25 추, 27 바닥, 28 행선지층 버튼, 29a 서스펜션 쉬브, 29b 엘리베이터 칸 하부 서스펜션 쉬브, 30, 35 통신 네트워크, 41 가속도 센서, 42 상부 마이크, 43 하부 마이크, 44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 45 데이터 수집기, 100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20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10 제어반, 250, 320 통신 장치, 300 원격 운행 재개 장치, 310 원격 감시 센터, 330 감시반, 331 디스플레이, 332 스위치, 333 전화, 334 감시자, 340 서비스 센터, 350 기술자, 360 정보 처리 장치, 370 보수 데이터베이스, 371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 372 검사 이력 데이터, 373 보수 작업 이력 데이터, 374 원격 점검 이력 데이터, 375 변조 이력 데이터, 376 수리 공사 이력 데이터, 377 고장 이력 데이터, 378 운전 이력 데이터, 380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 390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를 행하게 하는 원격 운행 재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운행 재개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대응에 대해, 원격 복구 가부, 원격 운행 재개 가부 및 원격 운행 재개시의 운행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고객의 양해 사항을 격납한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와,
    고장 코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 양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 변경 사항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 혹은 고장 상태의 표시·알림 사항을 관련지은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기 고장 코드 및 고장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원격 운행 재개 장치는, 상기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고장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고장 코드 및 상기 고장 부위 정보와, 상기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재개가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사항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의 표시·알림을 행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운행 재개 장치는, 상기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고장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고장 코드 및 상기 고장 부위 정보와, 상기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운행 재개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운행 재개한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의 표시·알림을 행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운행 재개 장치는, 상기 고장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고장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고장 코드 및 상기 고장 부위 정보와, 상기 고장 대응 양해 사항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운행 재개 지령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고 운행 재개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고 운행 재개한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상태의 표시·알림을 행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반과 상기 고장 신호를 발신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마이크와 가속도 센서와,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서 소리 또는 가속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신 장치에 출력하는 데이터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집기로부터 입력된 소리 또는 가속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기 고장 코드와 상기 고장 부위 정보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KR1020197021737A 2016-12-28 2016-12-28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KR102269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9044 WO2018122999A1 (ja) 2016-12-28 2016-12-28 エレベーターの遠隔運行再開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026A KR20190102026A (ko) 2019-09-02
KR102269063B1 true KR102269063B1 (ko) 2021-06-24

Family

ID=6270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737A KR102269063B1 (ko) 2016-12-28 2016-12-28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78771B2 (ko)
KR (1) KR102269063B1 (ko)
CN (1) CN110114296B (ko)
WO (1) WO2018122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2025B2 (ja) * 2018-08-10 2022-09-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判定システム及び方法
CN117083235A (zh) * 2021-03-18 2023-11-17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电梯的监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0743A (ja) * 2007-03-19 2008-10-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2011184167A (ja) * 2010-03-10 2011-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遠隔故障診断システム、一次故障診断装置および二次故障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349A (ja) 1999-04-22 2000-10-3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遠隔故障診断装置
JP3495692B2 (ja) * 2000-09-05 2004-02-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見守り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3104644A (ja) 2001-10-01 2003-04-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ー故障復旧支援システム及び監視センター
JP4178972B2 (ja) * 2003-01-30 2008-11-12 三浦工業株式会社 機器の警報方法および機器の保守管理方法
JP2005170663A (ja) * 2003-12-15 2005-06-3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WO2011125164A1 (ja) * 2010-04-05 2011-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CN102556784B (zh) * 2011-12-30 2014-01-08 日立电梯(上海)有限公司 电梯制动器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US9745169B2 (en) * 2013-10-23 2017-08-29 Inventio Ag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afety system
CN104444683B (zh) * 2014-11-12 2017-06-30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基于混合天线技术的电梯安全监控预警系统及其方法
CN204265161U (zh) * 2014-12-08 2015-04-15 南宁劲频机电有限公司 一种变频施工升降机刹车磨损预警系统
CN205222343U (zh) * 2015-11-30 2016-05-11 杨晓佳 一种电梯安全保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0743A (ja) * 2007-03-19 2008-10-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2011184167A (ja) * 2010-03-10 2011-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遠隔故障診断システム、一次故障診断装置および二次故障診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14296B (zh) 2020-10-16
JPWO2018122999A1 (ja) 2019-04-04
CN110114296A (zh) 2019-08-09
KR20190102026A (ko) 2019-09-02
WO2018122999A1 (ja) 2018-07-05
JP6678771B2 (ja)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676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장치
KR102269063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재개 시스템
KR102138357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6522254B2 (ja) エレベーター故障の遠隔復旧システム
JP6580276B2 (ja) エレベーター故障の遠隔復旧システム
JP6522256B2 (ja) エレベーター故障の遠隔復旧システム
JP6537745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6479285B2 (ja) エレベーター故障の遠隔復旧システム
KR102257876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6479284B2 (ja) エレベーター故障の遠隔復旧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