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457B1 -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457B1
KR102267457B1 KR1020190147980A KR20190147980A KR102267457B1 KR 102267457 B1 KR102267457 B1 KR 102267457B1 KR 1020190147980 A KR1020190147980 A KR 1020190147980A KR 20190147980 A KR20190147980 A KR 20190147980A KR 102267457 B1 KR102267457 B1 KR 102267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ntainer
adhesive
recess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211A (ko
Inventor
강경계
Original Assignee
강경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계 filed Critical 강경계
Priority to KR102019014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4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개시되는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가 용기 케이스와, 용기 함몰 만곡부와, 용기 플랜지와, 플랜지 함몰 만곡부와,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과, 플랜지 이격 만곡부와, 누출 증기 유입 홀과, 측면 토출 홀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수용된 조리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증가된 상기 용기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의해, 접착띠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져 있던 부분이 터지면서, 상기 용기 케이스의 내부에 있던 증기가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로 유입되고, 상기와 같은 증기의 유입에 따라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띠 중 상기 측면 토출 홀에 걸쳐져 있던 부분이 터지면서,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에 있던 증기가 상기 용기 케이스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내부 압력 증가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고압의 증기가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어, 그러한 증기가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가 놓인 식탁 등의 주변부를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Cooking food containing container}
본 발명은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대상인 음식물인 조리 음식물이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 필름에 의해 덮여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형태를 이루는 것이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이고, 이러한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된 상태인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가 전자레인지 등에 투입되어 조리될 때,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증가된 내부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되고, 그러한 구조의 예시로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구조가 제시될 수 있다.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의하면,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모서리에 그러한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내부 압력을 외부로 빼주기 위한 배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 공간의 바닥면에 증기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 공간이 형성된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첨부가 돌출되고,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면, 그 증가된 압력에 의해 상기 첨부와 상기 커버 필름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내부 압력 중 일부가 상기 배출 공간으로 배출되어, 상기 증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배출 공간의 바닥면에 상기 증기 배출공이 형성되고, 조리 과정에서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내부에서 발생된 고압의 증기가 상기 증기 배출공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증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고압의 증기가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하부를 향해 배출되어,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가 놓인 식탁 등의 주변부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391841호, 등록일자: 2014.04.28., 발명의 명칭: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본 발명은 조리 시에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내부 압력 증가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고압의 증기가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가 놓인 식탁 등의 주변부를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는 내부에 조리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로 커버 필름이 접착되어, 상기 조리 음식물이 외부에 대하여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케이스; 상기 용기 케이스의 일부가 일정 곡률로 만곡된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용기 함몰 만곡부; 상기 용기 케이스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용기 케이스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는 용기 플랜지;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는 플랜지 함몰 만곡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에서 상기 용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하는 면 중 일정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되,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와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는 플랜지 이격 만곡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에서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과 대면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측면 가이드 홀; 및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 중 일정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측면 가이드 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토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용기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접착되어, 상기 용기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형성된 접착띠가 형성되되, 상기 접착띠는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진 형태가 됨으로써, 상기 접착띠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진 부분의 접착폭은 상기 접착띠의 다른 부분의 접착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커버 필름에 의해 밀폐된 상기 용기 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조리에 의해 증가되면, 상기 접착띠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져서 상기 접착띠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부분이 상기 용기 케이스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터지면서, 상기 접착띠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용기 케이스의 내부의 증기가 상기 측면 가이드 홀로 유입되어, 상기 용기 케이스의 증가된 내부 압력이 해소될 수 있고,
상기 접착띠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홀로 유입된 증기는 상기 측면 가이드 홀을 통해 유동되어 상기 측면 토출 홀로 유동되고,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용기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접착되어, 상기 용기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형성된 접착띠가 형성되되, 상기 접착띠는 상기 측면 토출 홀에 걸쳐진 형태가 됨으로써, 상기 접착띠 중 상기 측면 토출 홀에 걸쳐진 부분의 접착폭은 상기 접착띠의 다른 부분의 접착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측면 가이드 홀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접착띠 중 상기 측면 토출 홀에 걸쳐져서 상기 접착띠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부분이 상기 측면 가이드 홀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터지면서, 상기 접착띠 중 상기 측면 토출 홀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홀의 내부의 증기가 상기 용기 케이스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에 복수 개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은 상기 측면 토출 홀을 향해 수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 토출 홀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에 단수 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이 수렴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 홀은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각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이 상기 측면 토출 홀을 향해 수렴되는 각 경로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의하면,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가 용기 케이스와, 용기 함몰 만곡부와, 용기 플랜지와, 플랜지 함몰 만곡부와,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과, 플랜지 이격 만곡부와, 누출 증기 유입 홀과, 측면 토출 홀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수용된 조리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증가된 상기 용기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의해, 접착띠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져 있던 부분이 터지면서, 상기 용기 케이스의 내부에 있던 증기가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로 유입되고, 상기와 같은 증기의 유입에 따라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띠 중 상기 측면 토출 홀에 걸쳐져 있던 부분이 터지면서,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에 있던 증기가 상기 용기 케이스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조리 시에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내부 압력 증가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고압의 증기가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어, 그러한 증기가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가 놓인 식탁 등의 주변부를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접착띠가 형성된 일부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서의 증기 흐름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접착띠가 형성된 일부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접착띠가 형성된 일부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서의 증기 흐름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접착띠가 형성된 일부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서의 증기 흐름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는 그 내부에 조리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로 커버 필름이 접착되어, 상기 조리 음식물이 외부에 대하여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용기 케이스(110)와, 용기 함몰 만곡부(120)와, 용기 플랜지(130)와,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와,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과,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와, 누출 증기 유입 홀(165)과, 측면 토출 홀(16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케이스(110)는 그 내부에 상기 조리 음식물이 담겨서 수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그릇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용기 케이스(110)는 네 개의 모서리를 가진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단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101은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일부, 예를 들어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모서리 중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가 형성되지 아니한 것에 형성되는 손잡이로서, 상기 손잡이(101)를 사용자가 잡고 상기 커버 필름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커버 필름을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는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일부가 일정 곡률로 만곡된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는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모서리 중 해당하는 것이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로 일정 수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는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모서리 중 서로 마주보는 것들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플랜지(130)는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상단부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 필름이 그 상단에 접착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는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의 상단부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 필름이 그 상단에 접착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는 상기 용기 플랜지(13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는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되,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와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는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외곽부에서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의 상단부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 필름이 그 상단에 접착되는 것이다.
상기 용기 플랜지(130),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 및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는 서로 같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 전체로 볼 때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용기 플랜지(130)의 일 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 및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가 분지되었다가 상기 용기 플랜지(130)의 타 측 말단부에서 다시 합지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용기 플랜지(130),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 및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에 전체적으로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면,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가 외부에 대하여 밀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에서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를 향하는 면 중 일정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에서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를 향하는 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그 양 측으로 각각 일정 거리 편심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곡률로 각각 만곡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에서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를 향하는 면 중 중앙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뾰족한 형태 등 다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 필름이 상기 용기 플랜지(130),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 및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접착되어, 상기 용기 플랜지(130),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 및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의 상단을 따라 각각 동일 폭으로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 접착띠(105)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 상의 상기 접착띠(105)는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 걸쳐진 형태가 됨으로써,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 걸쳐진 부분의 접착폭(141)은 상기 접착띠(105)의 다른 부분의 접착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커버 필름에 의해 밀폐된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 압력이 조리에 의해 증가되면,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 걸쳐져서 상기 접착띠(105)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부분이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터지면서,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의 증기가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로 유입되어,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증가된 내부 압력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띠(105)가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 걸쳐진 형태가 된다는 것은 상기 용기 플랜지(130)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를 따라 형성되어 온 상기 접착띠(105) 중 일부가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의 상공을 지나게 되면서,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의 상공에서는 상기 접착띠(105)가 미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이 있는 부분에서는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의 상공을 제외한 부분에만 상기 용기 플랜지(130)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를 따라 형성되어 온 상기 접착띠(105)가 형성된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에 따라,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이 있는 부분에서는 상기 접착띠(105)의 폭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된다.
특히, 접착 기계의 오류 등으로 인해, 상기 접착띠(105)가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 어긋나게 걸쳐지더라도,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에서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를 향하는 면 중 일정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의 존재로 인해,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 걸쳐진 부분의 접착폭(141)은 상기 접착띠(105)의 다른 부분의 접착폭에 비해 여전히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게 되므로, 그러한 상기 접착띠(105)의 오류 접착의 경우에서도,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내부 압력 증가에 따라 터짐이 발생되도록 미리 설정된 부분인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서 정확하게 터짐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가 서로 분지되었다가 다시 합지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서 터짐이 발생되어,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을 통해 누출된 증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측면 토출 홀(160)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에서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의 내부를 향하는 면 중 일정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용기 플랜지(130)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접착되어, 상기 용기 플랜지(130)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상기 접착띠(105)가 형성되되, 상기 접착띠(105)는 상기 측면 토출 홀(160)에 걸쳐진 형태가 됨으로써,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측면 토출 홀(160)에 걸쳐진 부분의 접착폭(146)은 상기 접착띠(105)의 다른 부분의 접착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커버 필름에 의해 밀폐된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측면 토출 홀(160)에 걸쳐져서 상기 접착띠(105)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부분이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터지면서,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측면 토출 홀(160)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의 내부의 증기가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에 복수 개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은 상기 측면 토출 홀(160)을 향해 수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 토출 홀(160)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에 단수 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이 수렴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 걸쳐져 있다가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로 유입된 증기가 상기 측면 토출 홀(160)을 향해 수렴되고, 그러한 상태로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로 유입된 증기가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측면 토출 홀(160)에 걸쳐져 있다가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상기 조리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플랜지(130),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 및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에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면,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밀폐 상태에서, 전자레인지 등에 의해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내부에 있는 상기 조리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수행되면,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내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와 상기 커버 필름 사이의 상기 접착띠(105) 중 상대적으로 가장 좁아서 가장 약한 부분인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커버 필름과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이격 현상인 터짐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터짐이 발생되면,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내부 압력 증가에 따라 터짐이 발생되어 새어나온 증기는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로 유입되고, 이렇게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측면 토출 홀(160)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커버 필름과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이격 현상인 터짐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의 내부에 있던 증기가 상기 측면 토출 홀(160)을 통해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가 상기 용기 케이스(110)와,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120)와, 상기 용기 플랜지(130)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140)와,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과,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145)와,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과, 상기 측면 토출 홀(16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에 수용된 조리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증가된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150)에 걸쳐져 있던 부분이 터지면서,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있던 증기가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로 유입되고, 상기와 같은 증기의 유입에 따라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띠(105) 중 상기 측면 토출 홀(160)에 걸쳐져 있던 부분이 터지면서, 상기 누출 증기 유입 홀(165)에 있던 증기가 상기 용기 케이스(110)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조리 시에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내부 압력 증가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고압의 증기가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어, 그러한 증기가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100)가 놓인 식탁 등의 주변부를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접착띠가 형성된 일부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 함몰 만곡부(240) 및 플랜지 이격 만곡부(245)는 용기 플랜지(2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커버 필름이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240) 및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245)에 접착되는 강도가 상기 커버 필름이 상기 용기 플랜지(230)에 접착되는 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접착때(205) 중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250) 및 측면 토출 홀(260)에 각각 걸쳐진 부분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에도 터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조리 과정에서 용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형성된 증기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접착띠가 형성된 일부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서의 증기 흐름을 위에서 내려다본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는 용기 케이스(310)와, 용기 함몰 만곡부(320)와, 용기 플랜지(330)와, 플랜지 함몰 만곡부(340)와,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과, 플랜지 이격 만곡부(345)와, 측면 토출 홀(360)과 함께, 측면 가이드 홀(370)을 포함하고,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누출 증기 유입 홀(165)은 가지지 아니한다.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340)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345)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340)에서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과 대면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측면 토출 홀(360)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345) 중 일정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커버 필름에 의해 밀폐된 상기 용기 케이스(310)의 내부 압력이 조리에 의해 증가되면, 접착띠(3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에 걸쳐져서 상기 접착띠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부분이 상기 용기 케이스(310)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터지면서, 상기 접착띠(3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용기 케이스(310)의 내부의 증기가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로 유입되어, 상기 용기 케이스(310)의 증가된 내부 압력이 해소될 수 있고, 상기 접착띠(3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로 유입된 증기는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을 통해 유동되어 상기 측면 토출 홀(360)로 유동되고, 상기 접착띠(305) 중 상기 측면 토출 홀(360)에 걸쳐져서 상기 접착띠(305)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부분이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터지면서, 상기 접착띠(305) 중 상기 측면 토출 홀(360)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의 내부의 증기가 상기 용기 케이스(310)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접착띠(3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로 유입된 증기가 상기 측면 토출 홀(360)로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340)에 복수 개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은 상기 측면 토출 홀(360)을 향해 수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 토출 홀(360)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345)에 단수 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이 수렴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은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각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이 상기 측면 토출 홀(360)을 향해 수렴되는 각 경로 상에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접착띠(305)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350)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홀(370)로 유입된 증기가 상기 측면 토출 홀(360)로 더욱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에 의하면, 조리 시에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의 내부 압력 증가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고압의 증기가 상기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가 놓인 식탁 등의 주변부를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110 : 용기 케이스
120 : 용기 함몰 만곡부
130 : 용기 플랜지
140 : 플랜지 함몰 만곡부
145 : 플랜지 이격 만곡부
150 :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
160 : 측면 토출 홀
165 : 누출 증기 유입 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에 조리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로 커버 필름이 접착되어, 상기 조리 음식물이 외부에 대하여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케이스;
    상기 용기 케이스의 일부가 일정 곡률로 만곡된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용기 함몰 만곡부;
    상기 용기 케이스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용기 케이스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는 용기 플랜지;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는 플랜지 함몰 만곡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에서 상기 용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하는 면 중 일정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용기 함몰 만곡부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되,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와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필름이 접착되는 플랜지 이격 만곡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에서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과 대면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측면 가이드 홀; 및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 중 일정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측면 가이드 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토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용기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접착되어, 상기 용기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형성된 접착띠가 형성되되, 상기 접착띠는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진 형태가 됨으로써, 상기 접착띠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진 부분의 접착폭은 상기 접착띠의 다른 부분의 접착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커버 필름에 의해 밀폐된 상기 용기 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조리에 의해 증가되면, 상기 접착띠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져서 상기 접착띠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부분이 상기 용기 케이스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터지면서, 상기 접착띠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용기 케이스의 내부의 증기가 상기 측면 가이드 홀로 유입되어, 상기 용기 케이스의 증가된 내부 압력이 해소될 수 있고,
    상기 접착띠 중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홀로 유입된 증기는 상기 측면 가이드 홀을 통해 유동되어 상기 측면 토출 홀로 유동되고,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용기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접착되어, 상기 용기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의 상단을 따라 동일 폭으로 형성된 접착띠가 형성되되, 상기 접착띠는 상기 측면 토출 홀에 걸쳐진 형태가 됨으로써, 상기 접착띠 중 상기 측면 토출 홀에 걸쳐진 부분의 접착폭은 상기 접착띠의 다른 부분의 접착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측면 가이드 홀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접착띠 중 상기 측면 토출 홀에 걸쳐져서 상기 접착띠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부분이 상기 측면 가이드 홀의 증가된 내부 압력에 의해 터지면서, 상기 접착띠 중 상기 측면 토출 홀에 걸쳐져서 터진 부분을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홀의 내부의 증기가 상기 용기 케이스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은 상기 플랜지 함몰 만곡부에 복수 개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은 상기 측면 토출 홀을 향해 수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 토출 홀은 상기 플랜지 이격 만곡부에 단수 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이 수렴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 홀은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각 플랜지 미접착 함몰 홀이 상기 측면 토출 홀을 향해 수렴되는 각 경로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5. 삭제
KR1020190147980A 2019-11-18 2019-11-18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KR102267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980A KR102267457B1 (ko) 2019-11-18 2019-11-18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980A KR102267457B1 (ko) 2019-11-18 2019-11-18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211A KR20210060211A (ko) 2021-05-26
KR102267457B1 true KR102267457B1 (ko) 2021-06-18

Family

ID=7613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980A KR102267457B1 (ko) 2019-11-18 2019-11-18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3025A1 (en) * 2003-01-18 2005-07-14 Hopkins Gary L. Microwav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venting configuration
KR101060883B1 (ko) * 2009-11-05 2011-08-31 주식회사 원지 내압배출수단이 형성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KR102027812B1 (ko) * 2019-04-11 2019-10-02 강경계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41B1 (ko)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3025A1 (en) * 2003-01-18 2005-07-14 Hopkins Gary L. Microwav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venting configuration
KR101060883B1 (ko) * 2009-11-05 2011-08-31 주식회사 원지 내압배출수단이 형성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KR102027812B1 (ko) * 2019-04-11 2019-10-02 강경계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211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4022B2 (ja) 飲食物調理用容器の陥没防止構造
KR101391841B1 (ko)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102012769B1 (ko)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JP6943982B2 (ja) 蒸気排出部が具備された調理用容器
JP4860673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TWI674997B (zh) 微波爐用器具
KR102027812B1 (ko)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KR200491706Y1 (ko)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KR102267457B1 (ko) 조리 음식물 수용 용기
JP5438357B2 (ja) 包装容器
KR200490548Y1 (ko)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JP2018118755A (ja) 蒸気抜き孔付き包装用容器
JP2020090328A (ja)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シールヘッド
KR20180025564A (ko)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수증기 배출구조
EP3202687B1 (en) Microwave oven container
JP6058375B2 (ja) 密封容器
JP7126674B2 (ja) 包装用容器
JP2017114493A (ja) 包装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容器本体
JP6998589B2 (ja) 蓋体
JP5054302B2 (ja) 包装容器に用いられる過圧弁
JP3055631B2 (ja) 真空包装容器
JP5143150B2 (ja) 容器
KR102112837B1 (ko)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JP6730586B2 (ja) 電子レンジ用容器
JP2009029441A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