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211B1 - 인쇄 장치 및 시트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및 시트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211B1
KR102267211B1 KR1020180021694A KR20180021694A KR102267211B1 KR 102267211 B1 KR102267211 B1 KR 102267211B1 KR 1020180021694 A KR1020180021694 A KR 1020180021694A KR 20180021694 A KR20180021694 A KR 20180021694A KR 102267211 B1 KR102267211 B1 KR 102267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unit
guide unit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503A (ko
Inventor
히로마사 요네야마
다이키 아나야마
야스유키 아사이
데츠오 기쿠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3527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214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35270A external-priority patent/JP67898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35275A external-priority patent/JP6800777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6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the guidance of continuous cop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kewed conveyance of the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8Multiple web-fee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30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 B65H20/32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by making l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0Pile receivers adjustable for different article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6Folding webs
    • B65H45/10Folding webs transversely
    • B65H45/101Folding webs transversely in combination with laying, i.e. forming a zig-zag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9Supporting means for several rolls
    • B65H2301/41398Supporting means for several rolls juxtap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1Supports for sheet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 B65H2405/312Trolley, cart, i.e. support movable on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1Dimensional aspect of article or web
    • B65H2701/113Size
    • B65H2701/1131Size of sheets
    • B65H2701/11312Size of sheets large formats, i.e. above A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3Adaptations of cores or reels for special purposes
    • B65H2701/533Storage compartments f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36Plo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인쇄 형태의 다양화 요구를 충족하는 인쇄 장치 및 시트 수납 장치를 제공한다. 인쇄 장치는 롤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제1 보유지지부, 상기 제1 보유지지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롤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제2 보유지지부, 상기 제1 보유지지부 또는 상기 제2 보유지지부로부터 풀린 시트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유닛, 상기 제1 보유지지부의 상방에 제공되며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된 시트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제1 보유지지부와 상기 제2 보유지지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시트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선단부를 수용하지 않는 제2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수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및 시트 수납 장치{PRINTING APPARATUS AND SHEET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인쇄 장치 및 배출된 인쇄 매체 등의 시트를 수납하는 시트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에는, 롤로부터 풀린 시트에 인쇄를 행하는 대형 잉크젯 인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인쇄 장치에서는, 시트의 롤이, 장치의 최상단 및 후방의 위치에 세트된다. 또한, 인쇄 장치는, 배출되는 시트를 수용하기 위해 롤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제1 수용 부재와 제2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수용 부재를 각각 하수(droop) 상태 혹은 수평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함으로써, 상이한 크기의 시트를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수용 부재가 시트 폭 방향으로 제공되고, 이들 모두는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공통 샤프트에 고정되며, 샤프트는 유저에 의한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한다.
최근의 인쇄 형태의 다양화로 인해, 복수의 롤 보유지지부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원하는 롤로부터 시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의 인쇄 장치는 1개의 롤만을 세트할 수 있고, 따라서 인쇄 형태의 다양화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없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의 장치가 제2 롤을 세트할 수 있도록 변형되면, 다른 롤 보유지지부를 기존의 롤 보유지지부의 근방에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면, 유저는 2개의 롤을 높은 위치로 들어올려서 장치의 배면측으로부터 롤을 세트해야 한다. 대형 프린터의 전형적인 롤은 10 kg을 초과하는 것도 있고, 이러한 중량물의 설치 작업은 유저에게 큰 부담을 부여한다. 또한, 중량이 있는 롤을 높은 위치에 세트하면, 장치의 중력 중심의 위치가 높아져서 장치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의 인쇄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제2 수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유저는 핸들을 회전시켜서 샤프트를 회전시켜야 한다. 이 구성은 핸들 조작에 큰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저에게 부담을 부여한다. 또한, 복수의 제2 수용 부재는 모두 연동해서 회전하므로, 인쇄 후에 배출되는 시트의 수용 형태는 한정된다. 따라서, 본 인쇄 장치는 인쇄 형태의 다양화 요구를 충분히 충족할 수 없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의 인쇄 장치가 수납 유닛 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시트 전체를 수납하는 수용 형태를 취할 경우에는, 시트의 컬(curl)을 이용해서 시트를 수납 유닛에 수납한다. 이로 인해, 시트는 수납 유닛에 수납될 때 컬링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컬링 상태의 시트는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수납 유닛은 많은 시트를 수납할 수 없을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시트의 컬이 약하거나 혹은 시트가 긴 경우에는, 시트가 충분히 컬링되지 않기 때문에, 수납 유닛 내의 공간은 시트를 완전히 수납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의 인쇄 장치가 예를 들어 길이가 짧은 시트를 수납하는 수용 형태를 취할 경우에는, 수납되는 각 시트의 선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수납 유닛 내에 형성된 공간의 저부를 상승시켜 시트를 수납한다. 그러나, 수납 유닛 내에 형성된 공간의 저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저부 상승 부재를 포함하는 수납 기구는 비교적 크기가 크다. 따라서, 그러한 수납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충분히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인쇄 장치가 아니면 수납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그러한 수납 기구를 성공적으로 설치하더라도, 대신에 시트 수납 공간이 감소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인쇄 형태의 다양화 요구를 충족하는 인쇄 장치 및 시트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의 상태에 관계없이 수납 유닛에 시트를 확실하게 수납할 수 있는 시트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시트 수납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 작은 수납 기구를 사용하여 수납되는 각 시트의 선단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시트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시트 수납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연속하는 시트를 롤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되는 롤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보유지지부; 중력 방향에서 상기 제1 보유지지부의 하방에 제공되고, 연속하는 시트를 롤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되는 롤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보유지지부; 상기 제1 보유지지부 및 상기 제2 보유지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시트에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유닛; 상기 중력 방향에서 상기 제1 보유지지부의 상방에 제공되고,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중력 방향에서 상기 제1 보유지지부와 상기 제2 보유지지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시트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선단부를 수용하지 않는 제2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수용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인쇄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시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수납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인쇄 장치는, 연속하는 시트를 롤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되는 롤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유지지부,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시트에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유닛, 및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수납 장치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수납 유닛; 및 상기 배출구와 상기 수납 유닛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시트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시트의 선단부를 수용하지 않는 제2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시트의 배출이 진행될 때 배출되고 있는 상기 시트의 후속 부분이 상기 수납 유닛의 수납 공간 내로 하수되도록 상기 시트의 선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수용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인쇄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시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수납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인쇄 장치는, 연속하는 시트를 롤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되는 롤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유지지부,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시트에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유닛, 및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수납 장치는, 수용체를 사용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시트를 수납하며, 상기 수용체에 의해 상기 시트의 수용 형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납 유닛; 및 상기 배출구와 상기 수용체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시트의 선단을 안내하고, 상기 시트의 수용 형태 중 하나에서 상기 수용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시트의 선단을 수용하는 충돌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저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면서 인쇄 형태의 다양화 요구를 충족하는 인쇄 장치 및 수납 장치를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는 플래퍼를 사용하여 루프 형상의 시트의 하수를 형성하면서 낙하됨으로써, 완만하게 접힌 상태로 수납 유닛에 수납된다. 따라서, 시트를 수납 유닛에 확실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더 작은 수납 기구를 사용하여 시트의 선단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수용체가 생략된 도 1a 및 도 1b의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시트 수납 장치의 제1 시트 충돌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시트 수납 장치의 수용체 보유지지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시트 수납 장치의 수용체 권취 수단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수용체 권취 수단에 적용가능한 클러치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가이드 플래퍼 유닛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내부의 플래퍼가 폐쇄된 상태 및 플래퍼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가이드 플래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가이드 플래퍼 유닛의 플래퍼 중 하나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플래퍼가 폐쇄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9c는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이드 플래퍼 유닛을 설명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1 수용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제2 수용 형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a 및 도 13b의 인쇄 장치의 수용체 접이 수단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2 수용 형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제3 수용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제4 수용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4 수용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에서, 플래퍼의 상면과 가이드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제5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측면도,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9a 및 도 19b의 인쇄 장치에서의 미리결정된 폭보다 작은 시트의 거동을 설명하는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21a, 도 21b 및 도 21c는 제5 수용 형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측면도,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2a, 도 22b 및 도 22c는 제5 수용 형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측면도,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제5 수용 형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1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한편, 도 2a 및 도 2b는 수용체(40)가 생략된 인쇄 장치(10)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먼저,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10)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쇄 장치(10)는, 본체(1), 본체(1)를 지지하는 다리부(2), 및 다리부(2)에 설치된 시트 바스켓(3)(시트 수납 장치)을 갖는다. 본체(1)는, 각각 긴 시트(연속하는 시트)를 종이 튜브에 권회하여 형성된 롤(롤 시트)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롤 보유지지부(160, 161)를 갖는다. 롤 보유지지부(160, 161)에 의해 보유지지된 롤은, 풀리고 시트로서 급송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하여 인쇄 유닛(5)에 공급된다. 한편, 롤 보유지지부(161)(제2 롤 보유지지부)는 롤 보유지지부(160)(제1 보유지지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롤 보유지지부(160, 161)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하방에 위치하는 롤 보유지지부(161)에는, 롤 보유지지부(160)로부터 공급되어서 인쇄된 시트를 롤 보유지지부(161)가 권취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체(1)는, 롤 보유지지부(160, 161) 각각에 수용된 롤로부터 풀린 인쇄 매체이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반송된 시트(W)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인쇄 유닛(5)을 갖는다. 여기서, 인쇄 유닛(5)에 의해 인쇄되는 지점으로부터 배출구(1a)로부터 배출되는 지점까지의 경로에 커터(6)가 제공된다. 인쇄된 시트는 미리결정된 위치에서 커터(6)에 의해 커트된다. 또한, 본체(1)는, 인쇄된 시트(W)를 배출하는 배출구(1a), 및 배출된 시트를 시트 바스켓(3)에 안내하는 배출구 가이드(1b)를 갖는다. 인쇄 동작에 따라 서서히 배출되는 시트는, 배출구 가이드(1b)를 통과하면 자중에 의해 진행 방향을 하향으로 바꾸고, 하수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롤 보유지지부(160, 161)는 배출구(1a) 및 배출구 가이드(1b)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롤 보유지지부(160, 161)는 인쇄 장치(10)의 높이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에 제공된다.
롤 보유지지부(160, 161)는, 배출구(1a)가 개방되는 인쇄 장치(10)의 정면측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시트 바스켓(3)을 이동시킨 후에, 본체(1)의 하우징을 개방하여 인쇄 장치의 정면측으로부터 내측에 제공된 롤 보유지지부(160)에 롤을 세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의 정면측으로부터 롤 보유지지부(161)에 롤을 세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인쇄 장치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정면측으로부터 롤의 교환을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이 작업에 연관된 유저에 대한 부담이 저감된다.
또한, 본체(1)는 조작 유닛(4)을 포함한다. 유저는 조작 유닛(4)에 제공된 각종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시트 크기 지정 및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이의 전환 등의 각종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2개의 롤 보유지지부를 구비한 2 단 롤 구성을 상정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롤 보유지지부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이러한 인쇄 장치가 3개 이상의 롤 보유지지부를 포함하는 경우, 인쇄 장치에는 적어도 2개의 롤 보유지지부(160, 161)가 제공된다.
시트 바스켓(3)은 인쇄 후에 커터(6)에 의해 커트된 시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시트 바스켓(3)은 천 및 플라스틱 같은 얇고, 평탄하며, 유연성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 수용체(40)를 갖는다. 이 수용체(40)의 일 단부는 후술하는 수용체 보유지지부(100)를 사용하여 톱 로드(20)에 보유지지되며, 그 다른 단부는 리어 로드(30)에 보유지지된다. 즉, 톱 로드(20) 및 리어 로드(30)는 수용체(40)의 양 단부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톱 로드(20)는 배출구(1a)로부터 본 시트 배출 방향의 하류측(본체(1)로부터 먼 측)에서 수용체(40)의 단부를 보유지지하고, 리어 로드(30)는 시트 배출 방향의 상류측(본체(1)에 가까운 측)에서 수용체(40)의 단부를 보유지지한다. 톱 로드(20)의 2개의 단부는 연결수단(12)에 의해 2개의 사이드 로드(11)에 각각 연결된다. 사이드 로드(11)는 사이드 로드 지지부(61)를 통해 사이드 로드 각도 유지부(60)에 보유지지된다. 각각의 사이드 로드 각도 유지부(60)는 대응하는 다리부(2)에 설치된다. 한편, 중간 로드(121)는, 사이드 로드(11)에 설치된 중간 로드 위치 결정 부재(120)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수용체(40)를 지지한다. 즉, 중간 로드(121)는 이동 가능하고, 수용체(40)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바스켓(3)은 복수의 시트 충돌 부재(170)를 갖는다. 복수의 시트 충돌 부재(170)는, 리어 로드(30)와 병렬로 제공된 지지 로드(171)에, 시트 폭 방향(시트 배출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3은 시트 바스켓(3)의 제1 시트 충돌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a의 파선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 III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충돌 부재(170)는 리어 로드 보유지지 부재(31)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리어 로드(30)에 병렬로 배치된 지지 로드(171)에 제공된다. 지지 로드(171)는, 지지 로드 보유지지 부재(172)에 의해 보유지지 되면서 사이드 로드 각도 유지부(60)에 배치된다. 시트 충돌 부재(170)는 수용체(40)에 안내되는 각각의 인쇄된 시트를 수용하는 제1 시트 충돌부를 집합적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술한 시트 충돌 부재(170)는 예를 들어 롤 보유지지부(161) 보다 인쇄 장치의 배면측(후방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바스켓(3)은, 롤 보유지지부(161)의 중력 방향의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시트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유닛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인쇄 장치(10)는, 롤 보유지지부(161)의 하방의 공간을 수납 유닛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깊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형성된다.
도 4는, 시트 바스켓(3)의 수용체 보유지지부(10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각각의 수용체 보유지지부(100)는, 톱 로드(20)에 대하여 수용체(40)를 설치하는 고정 부재(101)로 형성된다. 톱 로드(20)는, 3개의 구멍(20a)을 갖고, 수용체(40)도 이들의 구멍(2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구멍을 갖는다. 고정 부재(101)는, 수용체(40)가 톱 로드(20)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수용체(40)를 사이에 두도록 톱 로드(20)의 각 구멍(20a)에 도시하지 않은 핀을 삽입해서 톱 로드(20)에 대하여 수용체(40)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수용체(40)는, 설치된 고정 부재(101)를 덮는 수용체 주변부(102)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톱 로드(20)에 대하여 수용체(40)를 고정하고, 시트 배출 시에 인쇄된 면이 고정 부재(101)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인쇄된 화상에의 얼룩을 회피할 수 있다.
도 5는, 시트 바스켓(3)의 수용체 권취 수단(110)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톱 로드(20)의 단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수용체 권취 수단(110)은 수용체(40)를 권취함으로써 수용체(40)의 길이를 변경한다. 수용체 권취 수단(110)은, 로드 결합 부재(111), 회전 클러치(112), 고정 클러치(113), 압축 스프링(116), 릴리스 버튼(115), 및 하우징(114)을 포함한다. 로드 결합 부재(111)는, 톱 로드(20)에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 클러치(112)는 로드 결합 부재(111)의 볼록부(111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 클러치(113)는, 회전 클러치(112)의 톱니형상부(112a)와 대향하는 위치에, 동축으로 제공되는 유사한 톱니형상부(113a)를 갖는다. 압축 스프링(116)은, 고정 클러치(113)를 향해 회전 클러치(112)를 가압한다. 릴리스 버튼(115)은, 압축 스프링(116)에 저항해서 회전 클러치(112)를 로드 결합 부재(111)를 향해 누를 수 있게 한다. 유저가 릴리스 버튼(115)을 누름으로써 회전 클러치(112)를 고정 클러치(113)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하우징(114)은, 로드 결합 부재(111)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고정 클러치(113)를 회전 불가능하게 내장한다. 또한, 하우징(114)은, 후술하는 조인트 부재(13)에 의해, 톱 로드(20)의 중심축 둘레의 회전을 규제된 상태에서, 사이드 로드(1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클러치(112)와 고정 클러치(113)는 수용체 권취 수단에 적용가능한 클러치 기구를 집합적으로 구성한다.
도 6은, 수용체 권취 수단(110)에 적용 가능한 클러치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수용체 권취 수단(11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고정 클러치(113)의 톱니형상부(113a)가 회전 클러치(112)의 톱니형상부(112a)에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톱 로드(20)를 Y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클러치(112)의 톱니형상부(112a)는 압축 스프링(116)에 저항해서 고정 클러치(113)의 톱니형상부(113a)의 테이퍼면(140)을 오른다. 즉, 회전 클러치(112)는, 톱니형상부와 결합해제 되도록 고정 클러치(11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수용체 보유지지 수단(100)을 사용하여 톱 로드(20)에 설치된 수용체(40)를 권취할 수 있다. 또한, 톱니형상부(112a, 113a)의 스토퍼면(150)이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톱 로드(20)는 Y 방향의 역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다. 즉, 수용체(40)는 권취된 상태에서 로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된 시트가 수용체(40) 위에 적재되어도, 권취된 수용체(40)가 시트의 무게에 의해 다시 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유저는 원하는 길이로 수용체(40)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배출된 시트를 수납하는데 수용체(40)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체(40)의 권취 로크는, 톱 로드(20)에 감긴 수용체(40)를 해방하는 릴리스 버튼(115)을 눌러서 회전 클러치(112)를 고정 클러치(11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해방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5의 화살표 Y 방향의 회전을 권취 방향으로 규정한다. 대신에, 클러치는, 클러치의 톱니형상부의 테이퍼면(140)과 스토퍼면(150)의 구성을 바꾸어서, Y 방향의 회전을 차단하면서 역 방향으로 수용체를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혹은, 양 방향의 권취를 허용하는 구성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압축 스프링의 설정값을 바꿈으로써 조작 부하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용체 권취 수단(110)은, 톱 로드(20) 측 대신에 리어 로드(30) 측에 제공될 수 있거나 로드의 양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시트 바스켓(3)은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을 갖는다. 이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의 상세를 설명한다.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의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시트 바스켓(3)의 구성의 일부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7은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은, 복수의 플래퍼(183), 플래퍼(183)가 각각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184), 및 복수의 가이드(184)를 보유지지하는 가이드 로드(182)를 갖는다. 각각의 가이드(184)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를 포함하고, 각 시트의 선단을 안내하는 가이드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가이드(184)는 대응하는 플래퍼(183)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제1 지지 유닛)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한편, 가이드 로드(182)(로드)의 양 단부에는 훅 부재(181)가 제공된다. 각각의 훅 부재(181)는 본체(1)의 2개의 위치에 제공된 구멍부(1c)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은 본체(1)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롤 보유지지부(160, 161)에 세트된 롤을 교환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7은 각각 플래퍼(183)가 제공된 4개의 가이드(184)를 도시하지만, 가이드(184)의 수는 도시된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은 후술하는 수용 형태에 따라서 1개 이상의 가이드(184)를 가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그 안의 플래퍼(183)가 폐쇄된 상태와, 플래퍼(183)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의 사시도이다. 플래퍼(183)가 개방된 상태란, 후술하는 가이드(184)에 형성된 횡방향의 오목부가 개방되고, 플래퍼(183)가 배출구(1a)로부터 배출되는 시트의 선단부(선단으로부터 미리결정된 길이의 영역)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플래퍼(183)가 위치하는 상태(제1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플래퍼(183)가 폐쇄된 상태란, 당해 오목부가 플래퍼(183)로 덮이고, 플래퍼(183)가 배출구(1a)로부터 배출되는 시트의 선단부를 지지할 수 없는 위치에 플래퍼(183)가 위치하는 상태(제2 상태)를 나타낸다.
플래퍼(183)가 각각 설치된 가이드(184)는 시트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플래퍼(183) 각각은 화살표 U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다. 플래퍼(183) 및 가이드(184)는 인쇄된 시트를 수용하는 수용 유닛으로서 집합적으로 기능한다. 수용 유닛의 상세는 후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에 개시된 복수의 수용 부재에 연결된 핸들 부재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인쇄 장치(10)에 따르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의 인쇄 장치에서 요구되는 것보다 작은 힘으로 플래퍼(183)를 조작할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의 대응하는 가이드(184) 및 플래퍼(183) 중 하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9a는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의 플래퍼(183)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플래퍼(183)가 폐쇄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9c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6)가 상방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가이드(184)는, 가이드 로드(182)에 설치되고, 롤 보유지지부(161)에 세트된 롤(162)의 외주와 동심인 가이드의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핸들 부재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은 롤 보유지지부(160)와 롤 보유지지부(161) 사이에 그리고 롤 보유지지부(160, 161)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공간 절약의 달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가이드(184)는 본체(1)의 보다 배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에서 전형적인 본체(1)에 근접하는 방향의 선단 컬링을 갖는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시트의 선단을 똑바로 시트 바스켓(3)에 안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다 확실하게 시트의 선단을 시트 바스켓(3)에 안내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퍼(183)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시트 가이드(185)의 선단이 본체(1)에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 가이드(185)는, 시트 배출 시에 시트의 선단을 본체(1) 측으로부터 가이드(184)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이행할 수 있다. 한편,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퍼(183)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플래퍼(183)의 선단부(183a)가 본체(1)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플래퍼(183)는 시트 선단을 안내하는 역할을 이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래퍼(183)의 양면에는 돌기부(리브)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래퍼(183)와 시트 사이의 마찰 저항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플래퍼(183)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플래퍼(183)의 중량 감소는 더 작은 힘으로 플래퍼(183)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플래퍼(183)의 회전 중심(189)은 중력 방향으로 플래퍼(183)의 하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회전 중심(189)에 의해, 플래퍼(183)가 폐쇄되어 있을 때는 플래퍼(183)의 선단부(183a)가 본체(1)에 가까워지고(접촉하게 되고), 플래퍼(183)가 개방되어 있을 때는 선단부(183a)가 본체(1)로부터 이격되도록 플래퍼(183)가 설계된다. 한편, 회전 중심(189)은,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이 롤 보유지지부(160, 161) 사이에 배치될 때에, 롤 보유지지부(160)에서의 롤의 회전 중심보다 하방에, 그리고 롤 보유지지부(161)에서의 롤의 회전 중심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인쇄 장치(10)에서는, 중력 방향에서, 배출구(1a), 롤 보유지지부(160)에서의 롤의 회전 중심, 플래퍼(183)의 회전 중심(189), 및 롤 보유지지부(161)에서의 롤의 회전 중심이 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즉, 배출구(1a), 롤 보유지지부(160)에서의 롤의 회전 중심, 플래퍼(183)의 회전 중심(189), 및 롤 보유지지부(161)에서의 롤의 회전 중심은, 이 순서로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플래퍼(183)의 회전 중심(189)은, 플래퍼(18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플래퍼(183)의 선단부(183a)가 회전 중심(189)보다 본체(1)에 더 가까워지는 위치에 제공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플래퍼(183)를 개폐하는 구조에서 플래퍼(183)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위치 결정을 위한 역할을 하는 충돌면을 회전 축 주위에 제공하는 것만으로 플래퍼(183)를 지지할 수 있고, 따라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의 인쇄 장치에서의 각 수용 부재의 회전 중심은, 중력 방향으로 수용 부재의 상방에 제공된다. 따라서, 이 인쇄 장치는 수용 부재를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에서 유지할 때에 로크 기구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래퍼(183)를 개폐하는 구조의 간략화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플래퍼(183)를 개폐하는 구조를 간략화함으로써, 배출된 시트를 수용하는 구성요소는 크기가 감소되며, 가이드(184)는 2개의 롤 보유지지부(160, 161) 사이에 작은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플래퍼(183)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의 인쇄 장치의 매체 수용 유닛과 비교해서 더 간단한 구성으로 시트 바스켓(3)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롤 보유지지부(160, 161)는 인쇄 장치(10)의 정면측에서 높이 방향에서의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에 제공된다. 이로 인해, 인쇄 장치(10)에서는 롤의 교환 작업이 비교적 용이해지며, 또한 중력 중심의 위치가 낮아져서 롤이 더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플래퍼(183)가 각각 제공된 가이드(184)의 레이아웃 위치 및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시트를 분류해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각각의 가이드(184)는, 가이드(184)의 하단에 위치되며 가이드(184)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86)(슬라이딩 부재)를 갖는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는 플래퍼(183)와 같이 독립적으로 조작가능하다. 도 9a 및 도 9b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를 가이드(184)로부터 하방으로 당긴 상태를 도시하며, 도 9c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를 가이드(184) 내에 상방으로 당겨서 복귀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는 시트를 위한 수용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그 상세는 후술한다. 여기서, 가이드(184)는, 플래퍼(183)를 시트 폭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가이드 로드(182)에 대하여, 미리결정된 위치 또는 원하는 위치에서 부착 및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거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며, 플래퍼(183)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가이드(184)에는, 제1 규제면(184a), 제2 규제면(184b) 및 제3 규제면(184c)을 포함하는 횡방향의 오목부(충돌부)가 제공된다. 한편, 오목부의 상면(제2 규제면(184b))의 개구 근방에는, 돌기 형상의 볼록부(184d)(즉, 돌기)가 제공된다. 제2 규제면(184b)에 대향하는 제3 규제면(184c)은, 시트 배출 방향의 상류측의 일단부로부터 다른 측의 다른 단부로 연장하며, 롤 보유지지부(161)와 동심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184)는, 볼록부(184d)의 선단과, 볼록부(184d)의 연직방향 하측의 제3 규제면(184c)(즉, 오목부의 하면) 사이에 간극(V1)을 갖는다. 간극(V1)은, 시트를 최대수 적재한 상태의 두께와, 시트 선단의 컬링량의 최대값, 또는 더 구체적으로는 연직 하방으로 하수시킨 상태에서의 시트의 최하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최대로 휘어진 시트의 선단까지의 거리의 합계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시트의 선단의 컬링량은 크고, 2인치(50.8 mm)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 튜브 주위에 감긴 보통지의 경우에는 최대 시트 적재 매수를 100매로 설정하고 있다. 이 보통지의 각 시트는 0.1 mm의 두께를 가지며, 100매 적재했을 경우의 두께는 10 mm(=100 × 0.1)이다. 또한, 시트의 선단의 컬링량의 최대값(즉, 연직 하방으로 하수된 상태의 시트의 최하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휘어진 시트가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부분에서의 종이 튜브에 가까운 부분의 시트의 선단까지의 거리)은 10 mm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간극(V1)의 길이는 20 mm(=100 × 0.1 + 10 mm)로 설정된다. 한편, 제2 규제면(184b)은, 시트 배출 방향(즉, 시트의 배출 방향 또는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길이가 종이 튜브의 반경(25.4 mm)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볼록부(184d)의 수직 방향의 높이(즉, 오목부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량)는, 사용이 상정되는 시트의 최대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높이는 보통지의 두께 0.1 mm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술한 수용체 권취 수단(110) 및 가이드 플래퍼 유닛(180)의 양태를 조합함으로써, 유연성이 있는 수용체(40)의 사용 형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시트 바스켓(3)이 배출된 인쇄된 시트를 수용할 때, 유저는 다양한 수용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체(40)는 인쇄 형태의 다양화 요구를 충족한다. 다양한 수용 형태의 상세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1 수용 형태)
도 11a 및 도 11b는 제1 수용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형태에서, 중간 로드(121)는 중간 로드 위치 결정 부재(120)의 본체(1)에 가까운 측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로드(121), 톱 로드(20) 및 리어 로드(30)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있는 수용체(40)는 "V자형"의 형상으로 보유지지되고, 따라서 수납 유닛을 집합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86)와 수용체(40) 사이의 간극(V2)을 형성하도록 수용체 권취 수단(110)이 수용체(40)의 길이를 조정한다. 본 형태에서는 수용체(40)의 길이가 조정되지만, 수용체(40)를 최대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간극(V2)을 확보함으로써, 도중에 수용체(40)를 멈추는 등 수용체(40)의 길이 조정의 필요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플래퍼(183)는 폐쇄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는, 간극(V2)을 성공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이어서, 시트 배출 시의 시트의 거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출구(1a)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된 시트(W1)의 선단은, 배출구 가이드(1b), 플래퍼(183), 가이드(184)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를 통해 시트 충돌 부재(170)(즉, 제1 시트 충돌부)에 안내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W1)는, 컬링 선단을 본체(1)에 지향시킨 상태에서 안내되며, 선단은 시트 충돌 부재(170)에 접촉해서 멈춘다. 이 상태에서 시트(W1)가 계속해서 반송되면, 중간 로드(121)를 변곡점으로 해서 본체(1)로부터 이격되는 일측에 시트(W1)의 루프가 형성된다. 그 후, 미리결정된 양으로 반송되고 그 후 커트된 시트는 중간 로드(121)를 변곡점으로 해서 반전되고, 그 인쇄된 면을 시트(W2)와 같이 아래로 한 상태에서 수용체(40)에 적재된다.
제1 수용 형태는 비교적 큰 크기의 시트(예를 들어, A0 세로)에 적합한 형태이다. 본 형태에서는, 시트의 인쇄된 면을 아래로 한 상태(하향 시트 배출)에서 복수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
도 12a 및 도 12b는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형태의 인쇄 장치는, 전술한 제1 수용 형태의 상태로부터, 수용체 권취 수단(110)에 의해 수용체(40)를 권취해서 그 길이를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수용체(40)를 하강시킨 슬라이딩 플레이트(186)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수용체(4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6)와 접촉하도록 신장된다. 따라서, 수용체(4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186) 사이의 간극(V2)이 사라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체(40)가 롤 보유지지부(161)에 세트된 롤(162)을 간섭하지 않도록, 수용체(40)가 슬라이딩 플레이트(186)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 충돌 부재(170)로의 시트 배출 경로(수납 경로)를 막고, 따라서 배출되는 시트의 선단을 수용하는 제2 시트 충돌부(190)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는, 수용체(40)에 접촉함으로써, 시트 충돌 부재(170)까지의 수용체(40)에서의 시트의 수납 경로에서, 그 중간 위치에서 시트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제2 지지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이때,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는, 수납 유닛의 내면에 대응하는 수용체(4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납 경로는 중간 로드(121)와 리어 로드(30) 사이에 위치된 수용체(40)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고, 수납 경로의 하단에는 시트 충돌 부재(170)가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시트 충돌부(190)로부터 톱 로드(20)까지의 구성에 의해 수납 유닛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플래퍼(183)는 폐쇄된다. 대안적으로, 수용체(4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가이드(184)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플레이트(186)와 수용체(40)는 서로 상대적으로 부착 및 탈착 가능하기만 하면 된다. 이와 관련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는 수용체(40)가 그 길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는 수용체(40)의 길이가 고정될 수 있는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다른 방식으로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는, 수용체(40)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이다. 한편, 제2 시트 충돌부(190)는, 수용체(40)의 시트 수납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고 시트의 선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는 길이가 짧은 시트를 수납할 경우에 시트의 선단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시트의 선단은 가이드(184)(혹은 슬라이딩 플레이트(186)) 보다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시트 배출 시의 시트의 거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출구(1a)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된 시트(W1)의 선단은, 배출구 가이드(1b), 플래퍼(183), 가이드(184)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를 통해 제2 시트 충돌부(190)에 안내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W1)는 그 컬링 선단이 본체(1)에 지향된 상태에서 안내되며, 선단은 제2 시트 충돌부(190)에 접촉함으로써 멈춘다. 즉, 시트(W1)의 선단부는 제2 시트 충돌부(19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시트(W1)가 계속해서 반송됨에 따라, 시트(W2)로부터 시트(W3)로의 천이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로드(121)를 변곡점으로 해서 본체(1)로부터 이격되는 일 측에서 시트의 루프가 형성된다. 그 후, 미리결정된 양으로 반송된 후 커트된 시트는, 중간 로드(121)를 변곡점으로 해서 반전되고, 시트(W4)와 같이 인쇄된 면을 아래로 한 상태에서 수용체(40) 위에 적재된다. 즉, 제2 시트 충돌부는 시트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당해 시트는 당해 지지 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배출된다. 대안적으로, 수용체 권취 수단(110)은 대신에 리어 로드(30)에 제공될 수 있고, 수용체(40)는 톱 로드(20) 및 리어 로드(30)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 권취된 상태에서 신장되면 된다.
이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수용 형태의 시트보다 작은 시트(예를 들어, A1 세로)에 적합한 형태이다. 본 형태에서는, 시트의 인쇄된 면을 아래로 한 상태(하향 시트 배출)에서 복수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제2 수용 형태의 제2 실시예)
도 13a 및 도 13b는, 제2 수용 형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한편, 도 14는, 도 13a 및 도 13b의 인쇄 장치의 수용체 접이 수단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13a의 파선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 XIV의 확대도이다. 여기에서는, 전술한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와 상이한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 장치는, 유연성이 있는 수용체(40)를 접을 수 있고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용체(40)는 수용체(40)의 단부에 제공된 복수의 구멍(40a)을 갖고, 따라서 구멍(40a) 중 하나가 각각의 사이드 로드(11)의 선단에 제공된 각각의 조인트 부재(13)의 캐치부(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체(40)를 접어서 그 길이를 조정하고, 수용체(40)를 가이드(184)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186) 중 어느 하나와 접촉시킬 수 있다. 수용체(40)의 길이를 조정하는 방법은 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용체(40)는 훅-및-루프 파스너 같은 면-대-면 부착 또는 탈착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용체 접이 수단은 대신에 리어 로드(30)에 제공될 수 있고, 수용체(40)는 톱 로드(20) 및 리어 로드(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접힌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신장되면 된다.
시트 배출 시의 시트의 거동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예로부터 수용체 권취 수단(110)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제2 수용 형태의 제3 실시예)
도 15는, 제2 수용 형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측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전술한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와 상이한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각각의 리어 로드 보유지지 부재(31)의 위치가 본체(1)의 배면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리어 로드 보유지지 부재(31)를 본체(1)의 배면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수용체(40)가 설치된 리어 로드(30)도 이동시킬 수 있다. 수용체(40)는 이러한 방식으로 당겨진다. 결과적으로,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에서 수용체(40)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경우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186)에 접촉하도록 수용체(40)를 신장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용체(40)는 가능하게는, 중간 로드 위치 결정 부재(120)를 사용함으로써 이동 가능한 중간 로드(121)를 변곡점으로 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186)에 접촉하도록 신장될 수 있다.
시트 배출 시의 시트의 거동은 상술한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로부터 수용체 권취 수단(110)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제2 수용 형태의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전술한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조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수용 형태에 따르면, 더 작은 수납 기구를 이용하여 시트의 선단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길이가 짧은 시트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형태를 달성할 수 있다.
(제3 수용 형태)
도 16a 및 도 16b는, 제3 수용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형태의 인쇄 장치는,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플래퍼(183)가 개방 상태에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플래퍼(183)의 선단부(183a)가 중간 로드(121)의 근방에 위치되므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시트 충돌부(190)로의 시트 배출 경로가 막힌다. 중간 로드(121)는 수용체(40)를 통해 시트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시트 수용 유닛(수납 유닛)이, 개방 상태의 플래퍼(183), 및 톱 로드(20)로부터 중간 로드(121)로 신장된 수용체(40)와 연계하여 "역전된 V 형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개방 상태의 플래퍼(183)의 상면과 신장된 수용체(40)의 상면은 "역전된 V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장된 수용체(40)는 시트 수용 유닛에 적재되는 시트의 후단부측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이어서, 시트 배출 시의 시트의 거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출구(1a)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된 시트(W1)의 선단은, 배출구 가이드(1b), 시트 가이드(185) 및 가이드(184)에 의해 안내되어, 가이드(184)의 오목부에 충돌하여 멈춘다. 구체적으로는, 각 가이드(184)의 오목부는, 시트(W1)의 선단을 수용하고, 시트(W1)의 선단의 위치를 규제한다. 그리고, 시트(W1)가 시트(W1)의 선단이 당해 오목부에 규제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반송되면, 시트(W1)의 선단부는 플래퍼(183)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배출된다. 따라서, 시트(W2)와 같이, 중간 로드(121)를 변곡점으로 사용해서 본체(1)로부터 이격되는 일 측에서 시트의 루프가 형성된다. 그 후, 미리결정된 양으로 반송되고 그 후 커트된 시트는, 중간 로드(121)를 변곡점으로 해서 반전되고, 인쇄된 면을 아래로 한 상태에서, 시트(W3)와 같이 적재된다. 즉, 톱 로드(20)로부터 중간 로드(121)로 신장된 수용체(40)는, 시트(W3)의 후단측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본 형태는, 전술한 제1 수용 형태 및 제2 수용 형태에서의 시트보다 작은 시트(예를 들어, A1 가로 및 A2 가로)에 적합하다. 본 형태에서, 인쇄된 면을 아래로 한 상태(하향 시트 배출)에서, 복수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이어서, 다시 도 10을 참조하여, 내측으로 강하게 컬링되어 있는 선단을 갖는 시트의 배출 시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가 내측으로 컬링하고 있는 경우, 시트의 선단부가 가이드(184)의 오목부에 충돌하면, 컬에 의해 시트 선단에서는 본체(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방 컬링을 촉진하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시트가 이 상태에서 계속해서 반송되면, 시트는 선단으로부터 상방 컬링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가이드(184)의 오목부 상면의 개구 근방에는, 하방으로 지향된 돌기 형상의 볼록부(184d)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시트의 선단부가 오목부에 진입한 후에 돌기 형상의 볼록부(184d)에 걸리고, 돌기 형상의 볼록부(184d)에 결합하게 된다. 시트는, 시트의 선단부가 돌기 형상의 볼록부(184d)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구(1a)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시트의 선단이 상방 컬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의 인쇄 장치에서의 수용 부재 각각에는 상방 컬을 억제하는 돌기 형상의 볼록부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이 인쇄 장치는 내측으로 강하게 컬링되는 선단을 갖는 시트의 배출 시에 적재 또는 수납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으로 강하게 컬링되는 선단을 갖는 시트를 적재 및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간극(V1)의 길이는 적재된 시트의 최대 수의 두께와 시트의 선단의 컬링량의 최대값의 합계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시트의 선단의 컬링량의 최대값은, 연직 하방으로 하수된 상태에서의 시트의 최하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최대로 휘어진 시트의 선단까지의 거리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강하게 컬링된 선단을 갖는 시트의 최대수를 적재해도, 각 가이드(184)의 입구(간극(V1))에서 시트의 선단의 어떠한 잼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시트를 적재 및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184)는 제2 규제면(184b)의 시트 배출 방향의 길이가 종이 튜브의 반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의 상면의 깊이 방향의 길이는, 사용되지 않은 시트가 권회된 롤의 내경보다 짧게 되어 있다. 한편, 볼록부(184d)의 높이(즉, 오목부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량)는 사용이 상정되는 시트의 최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측으로 강하게 컬링된 선단을 갖는 시트를 적재하는 경우에도, 선단이 컬의 중심 선을 초과하기 전에 시트의 선단이 볼록부(184d)에 확실하게 걸리기 때문에 시트가 상방 컬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 규제 기구(오목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184) 및 복수의 플래퍼(183)는 시트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오목부는 각각 복수의 플래퍼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한편, 시트 선단의 폭 방향에서의 2개의 측부는 특히 강한 컬을 갖기 때문에, 2개의 측부에서 컬을 확실하게 규제하기 위해서 시트의 선단의 2개의 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184)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컬 규제 기구인 오목부는, 사용이 상정되는 시트의 폭 방향에서의 2개의 측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84)는 부착 및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제4 수용 형태)
도 17a 및 도 17b는 제4 수용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7a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중간 로드 위치 결정 부재(120) 중 하나의 도시는 생략한다.
제4 수용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는, 제3 수용 형태와 비교하여, 중간 로드(121)가 톱 로드(20)의 근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유연성이 있는 수용체(40)가 자중에 의해 느슨해지고 만곡됨으로써, 시트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주머니 형상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수납 유닛은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바스켓(3)에서는, 톱 로드(20)에 하나의 단부가 고정되고, 중간 로드(121)를 통해 리어 로드(30)에 다른 단부가 고정된 수용체(40)는, 자중에 의해 만곡되고,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최하점(P2)은 리어 로드(30)의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중간 로드(121)는 톱 로드(20)를 향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체(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깊이 방향(전후 방향)에서 넓게 형성된다. 본 형태에서는, 플래퍼(183)는, 개방된 상태에 있고, 배출구(1a)와 유연성이 있는 수용체(40)에 의해 형성된 수납 유닛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한다. 즉, 수납 유닛은, 중력 방향으로 개방 상태의 플래퍼(183)의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수납 유닛의 시트 수납 공간은 플래퍼(183)의 하방에 형성된다.
이어서, 시트 배출 시의 시트의 거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제3 수용 형태와 마찬가지로, 배출구(1a)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된 시트(W1)의 선단은 배출구 가이드(1b) 및 시트 가이드(185)에 의해 안내되고, 따라서 가이드(184)의 오목부에서의 제1 규제면(184a)에 충돌하여 멈춘다. 그리고, 시트(W1)의 선단이 당해 오목부에 의해 규제된 상태에서 시트(W1)가 계속해서 반송되면, 시트(W1)는 플래퍼(183)에 의해 지지되면서 안내된다. 따라서, 시트(W2)와 같이, 플래퍼(183)의 선단부(183a)를 변곡점으로 해서 연직 하방에 시트의 루프가 형성되고, 시트의 후속 부분이 루프를 형성하면서 수납 공간 내로 하방으로 하수된다. 이때, 선단부(183a)로부터 하방으로 하수된 루프는, 수용체(40) 등의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 후, 이 루프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미리결정된 양으로 반송되고 그 후 커트된 시트는, 시트(W3)와 같이, 주머니 형상의 수용체(40) 내에 낙하하고, 완만하게 접힌 상태로 적재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커트되기 전의 시트의 선단을 포함하는 선단부는, 가이드(184) 및 플래퍼(183) 상에 위치되고, 커트된 후에 시트는 수용체(40) 위로 수용되어서 적재된다는 것이다. 커트되기 전의 시트의 후단은 본체(1)에 의해 보유지지된다. 따라서, 시트의 중력 중심은 플래퍼(183)의 선단부(183a)보다 본체(1)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그로 인해, 선단부(183a)를 변곡점으로 해서 연직 하향으로 하수되고 따라서 루프로 형성된 상태의 시트는 낙하하지 않고, 시트의 선단부는 가이드(184) 및 플래퍼(183) 상에 위치된다. 그 후, 시트가 커트되면, 시트의 후단이 본체(1)에 의해 더 이상 보유지지되지 않게 되고, 시트의 중력 중심이 플래퍼(183)의 선단부(183a)보다 본체(1)로부터 더 먼 위치로 천이한다. 그로 인해, 시트는 그 자중에 의해 루프로 형성된 시트의 중간 부분 부근의 부분으로부터 수용체(40) 위로 낙하하고,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완만하게 접힌 상태로 수납된다.
이 경우, 각 플래퍼(183)의 상면(시트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은, 수평이거나 또는 본체(1) 및 배출구(1a)로부터 이격되면서 상방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각 플래퍼(183)가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우, 시트가 루프를 형성할 때에 시트의 중력 중심이 본체(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고, 커트되기 전에 시트가 수용체(40) 위로 낙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형태와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플래퍼(183)의 상면이 플래퍼(183)의 선단을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바스켓(3)에서는, 중간 로드(121)가 톱 로드(20)를 향해 이동하며, 플래퍼(183)의 중력 방향의 하방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체(40)의 수납 유닛이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플래퍼(183)의 선단부(183a)로부터 하방으로 하수되는 루프를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의 인쇄 장치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1 수용 부재와 제2 수용 부재를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로 설정하고, 제2 수용 부재의 전방 측에 위치하는 아암부와 제1 수용 부재의 선단부 사이에서 시트 부재(수용체에 대응함)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수납 유닛을 형성한다. 따라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제2 수용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배출된 시트는, 수납 유닛에서 루프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이 루프는 아암부 및 시트 부재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커트된 시트는, 컬 등에 의해 수용부에 하방으로 굴러 떨어져서 수납 유닛에 수납된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시트가 강성이 낮거나 컬이 약한 경우에는, 시트는 상방으로 컬링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수납 유닛은 이 시트를 수납할 수 없다. 한편, 시트 바스켓(3)에서는, 루프가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없이 선단부(183a)에서 하수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가 커트되면, 시트는 루프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낙하하고, 그 후 루프 형상을 이용해서 완만하게 접혀져서 수납된다. 이로 인해, 시트가 연속해서 수납되는 경우, 시트는 완만하게 접힌 상태로 적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 바스켓(3)에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에 개시된 기술과 비교하여, 수납 유닛의 높이 방향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시트를 보다 많이 수납할 수 있으며, 시트의 컬 정도나 길이에 관계없이 시트를 더 확실하게 수납 유닛에 수납할 수 있다. 제4 수용 형태는, 도면, 포스터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A0 및 B0 등의 표준 크기의 보통지 및 코팅지에 주로 적용되는 것으로 상정된다. 그러나, 이 형태의 적용은 이들 표준 크기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형태는 동시에 2개 이상의 크기의 시트를 수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8은 각각의 플래퍼(183)의 경사 각도와, 플래퍼(183) 및 가이드(184) 상에 위치하는 시트의 길이에 따라 변화하는 시트의 낙하 상태에 대해서 검토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에서, 길이(Lp)는, 각각의 가이드(184)의 오목부로부터 각각의 플래퍼(183)의 선단부(183a)까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한편, 길이(L)는, 가이드(184)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규제된 시트의 선단으로부터 선단부(183a)를 통해 하방으로 하수된 루프의 하단(P1)까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플래퍼(183)의 경사 각도(θ)는, 플래퍼(183)가 수평으로 연장될 때 "0°"으로 교정되고, 플래퍼(183)의 상면의 상방 구배의 각도를 나타낸다. 한편, 길이(Y)는, 각각의 선단부(183a)와 톱 로드(20) 사이의 깊이 방향(전후 방향)에서의 길이, 즉 수납 유닛의 상위 선단부로부터 선단부(183a)까지의 수평 방향의 길이를 나타낸다. 길이(Lp, L, Y) 및 경사 각도(θ)는 도 17b에 도시되어 있다.
길이(Lp)가 1/4L 미만인 경우, 커트되기 전의 시트의 중력 중심은 플래퍼(183)의 선단부(183a)보다 본체(1)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고, 따라서 플래퍼(183) 및 가이드(184) 상에 위치하는 시트는 커트되기 전에 수납 유닛에 낙하한다. 이로 인해, 길이(Lp)는 길이(L)의 1/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커트되기 전의 시트의 중력 중심을 선단부(183a)보다 본체(1)에 더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Lp)는 길이(Y)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길이(Y)가 수용된 롤의 종이 튜브의 외경(즉, 롤의 내경) 미만인 경우, 시트는 시트의 컬 등에 의해 수납 유닛의 외부로 배출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길이(Y)는 수용된 롤의 종이 튜브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루프로 형성된 시트를 수납 유닛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수용체(40)에 수납할 수 있다.
이 제4 수용 형태에서는, 수용체(40)를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할 때, 수용체(40)의 최하점(P2)을 선단부(183a)로부터 하방으로 하수되는 루프의 하단(P1)보다 본체(1)(후방측)에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최하점(P2)은 하단(P1)보다 본체(1)로부터 이격되어서(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최하점(P2)과 하단(P1)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하단(P1)의 중력 방향 하방의 부분에서 수용체(40)의 내면, 즉 수납 유닛의 내면을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커트되어, 루프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낙하하는 시트는, 수용체(4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루프 형상을 이용하면서 완만하게 접힌다.
(제5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제5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측면도,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9c의 정면도에서는, 수용체(40) 후방의 구성요소의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수용체(4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에서는,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의 상태로부터 그리고 배출되는 시트의 크기에 따라서, 유저가 각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86a 내지 186d) 중 우측 단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86d)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제2 시트 충돌부(190)를 개방하고, 미리결정된 폭보다 작은 시트를, 시트 충돌 부재(170)로 형성되는 제1 시트 충돌부에 반송할 수 있다.
이어서, 시트 배출 시의 시트의 거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가 배출구(1a)로부터 배출될 때의 기준이 되는 위치를 형성하는 시트 기준 단(기준 위치)을 시트 폭 방향에서 우측으로 설정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는 배출되는 시트의 크기에 따라 시트 폭 방향 우측으로부터 시작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186) 중 적어도 하나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한다. 도 19c에서는, 우측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186d)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며, 우측으로부터 제2, 제3 및 제4 슬라이딩 플레이트(186a 내지 186c)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하방으로 이동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86a 내지 186c) 및 수용체(40)가,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제2 시트 충돌부(190)를 집합적으로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폭보다 큰 시트(W1)(예를 들어 A1 세로 이상)가 배출될 경우, 제2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트의 선단이 제2 시트 충돌부(190)에 충돌한다. 이 상태에서 시트(W1)가 계속해서 반송되면, 시트(W1)는 중간 로드(121)를 변곡점으로 해서 반전되고, 인쇄된 면을 아래로 한 상태에서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수용 형태에 비하여, 시트의 선단과 제2 시트 충돌부(190) 사이의 접촉 위치가 적다. 따라서, 수납 시에 시트를 비스듬하게 하도록 작용하는 힘이 증가한다. 그러나, 중간 로드 위치 결정 부재(120)가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시트를 비스듬하게 하도록 작용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폭보다 작은 시트(W2)(예를 들어 A2 세로 이하)가 배출될 경우, 시트(W2)는 상방으로 이동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86d)와 수용체(4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과한다. 또한 시트는, 본체(1)의 하방에 위치한 시트 충돌 부재(170)에 충돌하고, 수용체(40) 위에 적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인쇄 장치는, 적은 유저 조작으로 상이한 크기의 시트를 분류하고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기준 단을 시트 폭 방향 우측으로 설정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트 기준 단이 시트 폭 방향 좌측으로 설정되면, 유저는 시트 폭 방향 좌측으로부터 슬라이딩 플레이트(186) 중 적어도 하나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시트 기준 단이 시트 폭 방향의 중심으로 설정되는 경우, 유저는 시트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슬라이딩 플레이트(186) 중 적어도 하나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수납 경로의 중간 위치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를 수용체(40)에 접촉시킴으로써 제2 시트 충돌부(190)를 형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런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간 위치에 수용체(40)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 가능한 부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부재는 부재가 시트의 선단을 규제하고 지지하도록 필요에 따라 수용체(4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86)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이한 크기의 시트를 분류 및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배출되는 시트의 크기에 따라 플래퍼(183)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거나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 가이드(184)가 제거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상술한 시트(W1, W2)를 수납할 때, 슬라이딩 플레이트(186a 내지 186c)를 갖는 가이드(184)의 플래퍼(183)는 개방 상태로 설정되며, 슬라이딩 플레이트(186d)를 갖는 가이드(184)의 플래퍼(183)는 폐쇄된 상태로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186a 내지 186c)는 수용체(40)와 접촉하도록 하방으로 이동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186d)를 갖는 가이드(184)는 제거된다.
(제5 수용 형태의 제2 실시예)
도 21a, 도 21b 및 도 21c는, 제5 수용 형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측면도,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1c의 정면도에서는, 수용체(40) 후방의 구성요소의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수용체(4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와 전술한 제5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 사이의 상이한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 장치에는, 도 21b 및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가이드(184)가 부착 및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가이드(184)의 설치 위치는, 미리결정된 폭보다 큰 시트(W1)(예를 들어 A1 세로 이상)의 폭의 내측(도 21b 및 도 21c의 지면 우측), 및 미리결정된 폭보다 작은 시트(W2)(예를 들어 A2 세로 이하)의 폭의 외측(도 21b 및 도 21c의 지면의 좌측)에 위치된다. 또한, 가이드(184)는 가이드 로드(182)에 대해 부착 및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유저는 시트의 크기에 따라서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시트 배출 시의 시트의 거동은 상술한 제5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184)는 부착 및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대신에, 가이드(184)는 유저가 가이드(184)를 시트의 크기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시트 폭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5 수용 형태의 제3 실시예)
도 22a, 도 22b 및 도 22c는, 제5 수용 형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측면도,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2c의 정면도에서는, 수용체(40) 후방의 구성요소의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수용체(4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와 전술한 제5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 사이의 상이한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 장치에는, 도 22b 및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184e, 184f)가 제공된다. 가이드(184e)는, 미리결정된 폭보다 큰 시트(W1)(예를 들어 A1 세로 이상)의 폭의 내측(도 22b 및 도 22c의 지면의 우측), 및 미리결정된 폭보다 작은 시트(W2)(예를 들어 A2 세로 이하)의 폭의 외측(도 22b 및 도 22c의 지면의 좌측)에 제공된다. 한편, 가이드(184f)는, 미리결정된 폭보다 작은 시트(W2)(예를 들어 A2 세로 이하)의 시트 폭 방향의 중앙부(Wc)의 우측에 제공된다. 미리결정된 폭보다 큰 시트(W1)(예를 들어 A1 세로 이상)의 선단은 2개의 가이드(184e, 184f)에 접촉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5 수용 형태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트는 중간 로드(121)를 변곡점으로 해서 외측(본체(1)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볼록해진다. 시트가 커트되면, 시트는 인쇄된 면을 아래로 한 상태에서 반전되어 수납된다. 한편, 미리결정된 폭보다 작은 시트(W2)(예를 들어 A2 세로 이하)는, 중간 로드(121)를 변곡점으로 해서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길이만큼의 길이가 없고, 좌측의 가이드(184e)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시트의 선단은 우측의 가이드(184f)에만 접촉한다. 여기서, 가이드(184f)는 시트의 시트 폭 방향의 중앙부(Wc)의 우측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시트는, 가이드(184f)와의 접촉점을 중심으로 해서, 자중에 의해 일 방향(도 22b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낙하하고, 본체(1)의 하방의 수용체(40) 위로 수납된다. 여기서, 가이드(184f)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폭보다 작은 시트(W2)의 시트 폭 방향의 중앙부(Wc)의 좌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184f)에 접촉한 시트(W2)는, 접촉점을 중심으로 해서 다른 방향(도 23a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낙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수용 형태에서는, 플래퍼(183)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186)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1개 이상의 가이드(184)를, 시트의 폭에 따라서 설치 또는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쇄 장치(10)에서는, 플래퍼(183)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제2 수용 부재가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9522호에 따른 인쇄 장치와 비교하여, 더 다양한 크기의 시트를 분류 및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184e, 184f)가 부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했다. 대신에 가이드(184e, 184f)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유저는 가이드(184f)를 시트의 크기에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가이드(184e, 184f)를 제공했지만, 본 발명은 이런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러한 구성이 미리결정된 폭보다 작은 시트를 허용하면서 큰 시트의 통과를 차단할 수 있고 시트를 가이드와 접촉시킨 후에 시트를 반전해서 수납할 수 있는 한은 1개의 가이드(184) 또는 3개 이상의 가이드(184)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예 각각은 시트 수납 장치와 통합된 인쇄 장치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인쇄 장치(200)는 시트 바스켓(3)을 본체(201)에 대해 부착 및 탈착 가능한 상이한 시트 바스켓(203)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 인쇄 장치(200)에서, 시트를 수납하고 적재하기 위한 기구는 상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한편, 시트 바스켓(203)은 본체(201)로부터 독립한 베이스 유닛(204)에 의해 보유지지된다. 베이스 유닛(204)은 휠(205)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이 경우 시트 바스켓(203)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시트 바스켓(203)은, 내부에 수납된 시트를 제거하지 않고, 본체(2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시트 바스켓(203)을 본체(20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롤 보유지지부(160, 161)에 세트된 롤(162)의 교환 작업이 용이해진다.
인쇄 장치(10)에서의 시트 바스켓(3)은, 인쇄 장치뿐만 아니라, 화상 스캐닝 장치 등의 다양한 시트 처리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시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인쇄 장치(10)는 롤로부터 풀리는 시트 이외의 시트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플래퍼(183)는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플래퍼(183)는, 배출구(1a)로부터 배출되는 시트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또는 플래퍼(183)가 시트의 선단부를 지지하지 않는 위치로 변경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면 된다. 더 정확하게는, 각각의 플래퍼(183)는 시트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위치와 선단부를 지지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플래퍼(183)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며, 대응하는 가이드(184)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된 인쇄 후의 시트를 수납하는 시트 수납 장치 및 해당 시트 수납 장치를 구비한 인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인쇄 장치이며,
    연속하는 시트를 롤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되는 롤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보유지지부;
    중력 방향에서 상기 제1 보유지지부의 하방에 제공되고, 연속하는 시트를 롤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되는 롤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보유지지부;
    상기 제1 보유지지부 및 상기 제2 보유지지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시트에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유닛;
    상기 중력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보유지지부의 상방에 제공되고,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구로서, 상기 제1 보유지지부와 상기 제2 보유지지부는 상기 인쇄 장치의 상기 배출구가 제공되는 측에 배치되는, 배출구; 및
    상기 중력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보유지지부와 상기 제2 보유지지부 사이에 제공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시트의 선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시트의 선단부를 수용하지 않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시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수납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 유닛의 수납 공간은 상기 제2 보유지지부의 하방의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시트의 폭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 상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로드에 대해 부착 및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거나 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인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시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충돌부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중력 방향에 대해서 하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중 하나로 이동되며,
    상기 시트를 수용하는 상기 가이드 유닛의 면은,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수평하거나 상기 가이드 유닛의 선단을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지는 인쇄 장치.
  7. 연속하는 시트를 롤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되는 롤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유지지부,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시트에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유닛,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구,
    수용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수납 유닛으로, 상기 수용체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로부터 먼 측에서 제1 단부에 보유지지되고 상기 제1 단부에 비해 상기 배출구에 더 가까운 측에서 제2 단부에 보유지지되는, 수납 유닛; 및
    상기 배출구와 상기 수납 유닛 사이에 제공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이며,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시트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 유닛에 의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시트의 후속부가 상기 제1 단부 측 상의 상기 수용체와 상기 가이드 유닛의 선단 사이로부터 상기 가이드 유닛 하방에 상기 제2 단부 측 상의 상기 수용체로 배출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시트의 선단부를 수용하지 않은 채로 상기 시트의 선단부가 상기 수납 유닛에 우선 배출되는 인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시트를 수용할 때, 상기 시트를 수용하는 상기 가이드 유닛의 면은 수평하거나 상기 가이드 유닛의 선단을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지는 인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유닛은 중력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가이드 유닛의 하방에서 경사져 있는 인쇄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시트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충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은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시트를 수용할 때, 상기 충돌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유닛의 선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시트의 선단으로부터 루프 형상으로 하방으로 하수되는 상기 시트의 부분의 중력 방향으로의 하단까지의 길이의 1/4 이상인 인쇄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롤 시트로부터 풀린 시트이며,
    상기 수납 유닛은 상방측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 시트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시트를 수용할 때, 상기 수납 유닛의 상기 상방측 선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유닛의 상기 선단부까지의 수평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롤 시트의 상기 내경보다 긴 인쇄 장치.
  12. 연속하는 시트를 롤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되는 롤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유지지부,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시트에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유닛,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된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구,
    유연성이 있는 수용체를 사용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시트를 수납하며, 상기 수용체에 의해 상기 시트의 수용 형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납 유닛; 및
    상기 배출구와 상기 수용체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시트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이며,
    수평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로부터 먼 측에 상기 수용체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에 비해 상기 배출구에 더 가까운 측에 상기 수용체의 제2 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상기 수납 유닛은 상기 수용체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서 중간 부품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중간 부품은 상기 가이드 유닛의 선단에 접근하여 상기 시트가 상기 제1 단부 측의 상기 수용체와 상기 가이드 유닛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중간 부품은 상기 가이드 유닛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시트가 상기 가이드 유닛 하방의 상기 제2 단부 측의 상기 수용체에 의해 수납되는 인쇄 장치.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유닛은,
    상기 수용체의 상기 제1 단부를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로드, 및
    상기 수용체의 상기 제2 단부를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체는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 권회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유닛과 접촉하도록 신장되는 인쇄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유닛은,
    상기 수용체의 상기 제1 단부를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로드, 및
    상기 수용체의 상기 제2 단부를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체는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접혀서 보유지지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유닛과 접촉하도록 신장되는 인쇄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유닛은,
    상기 수용체의 상기 제1 단부를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로드, 및
    상기 수용체의 상기 제2 단부를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체는 상기 제1 로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 유닛과 접촉하도록 신장되는 인쇄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방 및 하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통해 상기 수용체와 접촉하는 인쇄 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회전 중심 둘레로 회전하는 인쇄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중간 부품을 지지하는 이동 가능한 중간 로드를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KR1020180021694A 2017-02-27 2018-02-23 인쇄 장치 및 시트 수납 장치 KR102267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5275 2017-02-27
JP2017035272A JP6821468B2 (ja) 2017-02-27 2017-02-27 プリント装置
JPJP-P-2017-035272 2017-02-27
JPJP-P-2017-035270 2017-02-27
JP2017035270A JP6789849B2 (ja) 2017-02-27 2017-02-27 シート収容装置及びプリント装置
JP2017035275A JP6800777B2 (ja) 2017-02-27 2017-02-27 シート収容装置及びプリン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503A KR20180099503A (ko) 2018-09-05
KR102267211B1 true KR102267211B1 (ko) 2021-06-22

Family

ID=6324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94A KR102267211B1 (ko) 2017-02-27 2018-02-23 인쇄 장치 및 시트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67658B2 (ko)
KR (1) KR102267211B1 (ko)
CN (1) CN10850154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12B1 (ko) 2021-11-26 2022-05-16 주식회사 상림크리에이티브 유성잉크 인쇄 원단의 벨벳코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9079B2 (ja) * 2017-05-12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収容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7275741B2 (ja) * 2019-03-27 2023-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の調整方法、及び印刷装置
JP2021059424A (ja) * 2019-10-07 2021-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
JP7493355B2 (ja) 2020-03-06 2024-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22057733A (ja) 2020-09-30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7532178B2 (ja) 2020-09-30 202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収容装置及び記録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6899A1 (en) * 2004-09-16 2006-03-16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Recording medium conveying device
US20130286124A1 (en) * 2012-04-26 2013-10-31 Seiko Epson Corporation Medium receiv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5374B2 (ja) 1999-10-29 2005-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大型プリンタの排紙受け装置および該排紙受け装置を備えた大型プリンタ
US6832831B2 (en) * 2002-02-14 2004-12-21 Noritsu Koki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39365B2 (ja) 2005-02-18 2010-09-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受け装置及び記録装置
JP5224788B2 (ja) * 2007-11-15 201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媒体収納装置及び記録媒体の収納方法
JP5212136B2 (ja) * 2009-01-23 2013-06-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5560959B2 (ja) * 2009-09-14 2014-07-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510781B2 (ja) * 2009-09-15 2014-06-04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002257B2 (en) * 2011-08-01 2015-04-0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071822A (ja) 2011-09-28 2013-04-22 Seiko Epson Corp 被記録媒体排出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5998604B2 (ja) 2012-04-18 2016-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受け装置及び記録装置
JP6228991B2 (ja) * 2013-01-17 2017-11-08 オセ−テクノロジーズ ビーブイ 印刷基板に印刷するための印刷装置
JP6194608B2 (ja) * 2013-03-27 2017-09-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273430B2 (ja) 2014-03-27 2018-02-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16069156A (ja) 2014-09-30 2016-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物品の受け渡しシステム
JP6422285B2 (ja) 2014-09-30 2018-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スタッ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6899A1 (en) * 2004-09-16 2006-03-16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Recording medium conveying device
US20130286124A1 (en) * 2012-04-26 2013-10-31 Seiko Epson Corporation Medium receiv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12B1 (ko) 2021-11-26 2022-05-16 주식회사 상림크리에이티브 유성잉크 인쇄 원단의 벨벳코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67658B2 (en) 2021-04-06
US20180244086A1 (en) 2018-08-30
CN108501549B (zh) 2020-12-11
KR20180099503A (ko) 2018-09-05
CN108501549A (zh)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211B1 (ko) 인쇄 장치 및 시트 수납 장치
CA2574266C (en) Gravity-feed napkin dispenser with internal blocking assembly
US7708265B2 (en) Sheet Feeder
US9010748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68933B2 (ja) 画像形成装置
CN110745591B (zh) 片材给送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20210403268A1 (en) Sheet storage device and printing apparatus
US10457516B2 (en) Sheet storage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JP6789849B2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プリント装置
US10906764B2 (en)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apparatus
JP2024138187A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記録装置
JP6968573B2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プリント装置
JP4870901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2017088262A (ja) 排紙トレイ装置
JP7114673B2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プリント装置
JP6821468B2 (ja) プリント装置
JP6800777B2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プリント装置
WO2015115169A1 (ja) カセッ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794619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242263B2 (ja) 記録装置
JP6882058B2 (ja) シート収容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2018193142A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プリント装置
JP2022020505A (ja) 画像記録装置
JP2007217140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20510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