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805B1 -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805B1
KR102266805B1 KR1020190105922A KR20190105922A KR102266805B1 KR 102266805 B1 KR102266805 B1 KR 102266805B1 KR 1020190105922 A KR1020190105922 A KR 1020190105922A KR 20190105922 A KR20190105922 A KR 20190105922A KR 102266805 B1 KR102266805 B1 KR 102266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te
upper plate
excavation
monito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911A (ko
Inventor
김기성
구자석
Original Assignee
(주)오픈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웍스 filed Critical (주)오픈웍스
Priority to KR102019010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8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3Arrangement of measur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use during driving of tunnels, e.g. for guid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18Special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굴착시공현장으로 주행이동되어 예를 들어 현장상황, 유해가스발생여부,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등과 같은 굴착시공현장의 각종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굴착진행에 따른 모니터링 장비의 위치이동과 재설치를 위한 공사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는, 상판이 구비되고 충전배터리가 탑재되며 조작패널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현장으로 주행이동 가능한 주행이동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고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현장모니터링유닛과,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주행이동수단과 상기 현장모니터링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Multi-purpose movable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의 굴착시공현장으로 이동하여 예를 들어 현장상황, 유해가스발생여부,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등과 같은 굴착시공현장의 각종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의 굴착시공 시에는 터널 내의 굴착시공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실시간 현장모니터링 장비가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간 현장모니터링 장비는 굴착진행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씨씨티비(CCTV), 굴착진행현장 내의 유해가스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각종 유해가스센서, 장비 또는 작업자로부터 발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굴착진행현장에서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각종 스캐너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간 현장모니터링 장비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07964호(2018.10.12. 공고)에는 비콘 태그를 사용하는 출입증을 소지한 공사 현장 출입자의 지문,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중 어느 하나의 생체 인식 정보를 측정하며, 출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 센서를 구비하는 생체 인식기와, 상기 생체인식기에 의해 작업자/방문자, 출입자의 생체 인식 정보와 심박수를 수신받고, 생체 인식에 따른 출입정보 관리와 심박수 측정에 의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지리정보시스템(GIS) 서버와 연동되는 RTLS(Real Time Location Service) 서버를 구비하며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 위치 추적, 건설 자재/위험 물질 관리,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USN 망을 통해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공사 일정, 공사 현황과 굴진율을 지도(map)와 연동하여 표시하며 날짜별 굴진 깊이 및 굴진율을 제공하는 굴진 상황을 표시하며, 굴진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작업 상황 모니터링,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CCTV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과,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공사 일정, 공사 현황과 굴진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작업 상황 모니터링, 유해 가스 센싱 정보, CCTV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전광판과, 공사 현장과 터널 내부의 다 지점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지그비 게이트웨이로 수집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황화수소 측정 센서, 메탄 가스 측정 센서, 이산화질소 측정 센서, 화재감지 센서, 소음 측정 센서, 진동 센서, 수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는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4646호(2013.07.29. 공개)에는 터널 막장 내부에 설치되어 막장면의 변위를 측정하는 복수의 레이저 거리계와, 상기 레이저 거리계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변화를 분석하는 계측수단과, 상기 계측수단의 정보를 수신하여 막장을 모니터링하는 관리수단과, 상기 계측수단에서 계측한 데이터의 변화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과 경고 조명을 발생하는 경보수단과, 상기 레이저 거리계의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 거리계와 결합하며, 레이저 거리계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터널 막장면 안전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81726호(2014.07.01. 공개)에는 터널에서 주위 조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터널 모니터 센서로서, 암흑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센서 모듈과, 제 1 가스 농도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센서 모듈과,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 모듈을 위한 공동 하우징과, 상기 암흑화 신호 및 상기 가스 농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암흑화 신호 및 상기 가스 농도 신호의 링크에 기초하여 조합된 주위 조건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로직 유닛을 포함하는 터널 모니터링 센서가 개시된다.
이러한 실시간 현장모니터링 장비는 터널 굴착이 진행되면 될수록 굴작진행현장에 맞게 위치이동되어야 하며, 통상 100m 내지 200m의 굴착진행시마다 위치이동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굴착시공이 50m정도만 더 진행되어도 이전에 설치된 씨씨티비(CCTV)로는 굴착시공현장을 전혀 확인할 수 없으며, 각종 유해가스센서도 실제 굴작현광으로무터 상당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유해가스 발생여부 확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실시간 현장모니터링 장비의 위치 이동을 위해서는 전기공사, 전원공급공사, 통신공사 및 CCTV 고정브래킷 시공 등과 같이 해당 실시간 현장모니터링 장비의 재설치를 위한 공사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위치이동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결과적으로는 터널굴착시공에 소요되는 기간 또한 길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07964호(2018.10.12. 공고) 2.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4646호(2013.07.29. 공개)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81726호(2014.07.0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터널의 굴착시공현장으로 주행이동되어 예를 들어 현장상황, 유해가스발생여부,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등과 같은 굴착시공현장의 각종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굴착진행에 따른 모니터링 장비의 위치이동과 재설치를 위한 공사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판이 구비되고 충전배터리가 탑재되며 조작패널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현장으로 주행이동 가능한 주행이동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고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현장모니터링유닛과,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주행이동수단과 상기 현장모니터링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상판은 높이조절수단의 개재하에 상기 본체에 대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상판에는 연장측판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장측판에는 지면 지지를 위한 지지다리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현장모니터링유닛은 굴착진행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씨씨티비와, 굴착진행현장 내의 유해가스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유해가스센서와, 장비 또는 작업자에 구비된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굴착진행현장에서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 또는 외부 관제소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과, 안내방송을 위한 스피커와, 위험상황을 경고하기 위한 경광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씨씨티비는 상기 본체의 상판에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폴대와, 상기 수직폴대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수평폴대를 포함하는 지지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판에 상하 높이조절, 회동 및 좌우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는,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주행이동수단을 통해 터널의 굴착시공현장으로 이동하여 본체에 탑재된 씨씨티비, 유해가스센서, 스캐너 등을 포함한 현장모니터링유닛을 통해 현장상황, 유해가스발생여부,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등과 같은 굴착시공현장의 각종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굴착진행에 따른 모니터링 장비의 위치이동과 재설치를 위한 공사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는, 상판이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본체에 대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판을 본체에 대해 상부로 승강시켜 전파방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상판에 연장측판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가능함에 따라 상판에 기 설치된 현장모니터링유닛 이외에 다른 필요장비까지 본체에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의 전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씨씨티비의 위치조정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의 전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씨씨티비의 위치조정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는, 상판이 구비되고 충전배터리가 탑재되며 조작패널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현장으로 주행이동 가능한 주행이동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고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현장모니터링유닛과,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주행이동수단과 상기 현장모니터링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게 상판(11)과 충전배터리(13)와 조작패널(15)이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이동수단(20)과, 본체(10)의 상판(11)에 설치되는 현장모니터링유닛(30)과 컨트롤박스(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1)의 구성부재. 즉 주행이동수단(20), 현장모니터링유닛(30) 및 컨트롤박스(40) 등의 설치를 위한 일종의 설치프레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0)의 상측에는 상판(11)이 구비된다. 상판(11)은 현장모니터링유닛(30) 및 컨트롤박스(40)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해당되는 것으로, 본체(10)의 상측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12)의 개재하에 상기 본체(10)에 대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무선통신모듈(34)을 포함하는 현장모니터링유닛(30)의 설치위치를 상부로 승강시킬 수 있어 주변 굴착장비나 주변 통신장비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전파방해문제를 해소하여 무선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체(10)와 상판(11) 사이에 개재되는 높이조절수단(12)은 공지의 구동모터 일체형 X자바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공지된 유압실린더기구 또는 공압실린더기구 등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 본체(10)에는 높이조절수단(12)에 유압 또는 공압을 제공하고 회수하기 위한 유압회로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10)의 일측에는 충전배터리(13)가 탑재된다. 충전배터리(13)는 주행이동수단(20), 현장모니터링유닛(30) 및 컨트롤박스(40) 등의 작동을 위한 전원 또는 예비전력이 충전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충전가능한 대용량 2차전치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본체(10)의 타측에는 외부의 전원공급웜에 연결되어 충전배터리(13)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고 주행이동수단(20), 현장모니터링유닛(30) 및 컨트롤박스(40) 등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코드릴(14)이 구비된다,
또한 본체(10)에는 조작패널(15)이 구비된다. 조작패널(15)은 주행이동수단(20), 현장모니터링유닛(30) 및 컨트롤박스(40)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으로, 조작레버, 조작스위치, 조작버튼, 조작다이얼 및 조그셔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각종 상태표시를 위한 표시패널 및 표시램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판(11)에는 연장측판(16)이 힌지결합된다. 연장측판(16)은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회동되어 서로 체결고정되었다가 필요시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회동되어 상판(11)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함에 따라 각종 부가장비의 설치면적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지면 지지를 위한 지지다리(17)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연장측판(16)은 상판(11)의 서로 인접하는 3개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하부에는 주행이동수단(20)이 구비된다. 주행이동수단(20)은 예를 들어 터널 내 굴창시공현장과 같은 현장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1)가 주행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0)에 대한 하부주행체를 형성한다.
주행이동수단(20)은 울퉁불퉁한 현장 바닥도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고 조향이나 방향전환이 용이한 것으로 알려진 무한궤도형 주행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주행휠로도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본체(10)의 상판(11)에는 현장모니터링유닛(30)이 구비된다. 현장모니터링유닛(30)은 예를 들어 현장상황, 유해가스발생여부,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등과 같은 굴착시공현장의 각종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다수의 모니터링센서와 모니터링장비의 조합으로 구성 가능하다.
이러한 현장모니터링유닛(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굴착진행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씨씨티비(31)와, 굴착진행현장 내의 유해가스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유해가스센서(32)와, 장비 또는 작업자에 구비된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굴착진행현장에서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스캐너(33)와, 이 스캐너(33) 또는 외부 관제소(미도시)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34)과, 안내방송을 위한 스피커(35)와, 위험상황을 경고하기 위한 경광등(36)을 포함할 수 있다.
씨씨티비(31)는 굴착진행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를 전송하는 것으로, 모든 위치에서 모든 지점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폴대(31a)와 수평폴대(31b)를 포함하는 지지대에 의해 본체(10)의 상판(11)에 상하 높이조절, 회동 및 좌우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폴대(31a)는 본체(10)의 상판(11)에 설치되되 유압 또는 공압의 정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봉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수평폴대(31b)는 구동모터에 의해 수직폴대(31a)의 상측, 특히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압 또는 공압의 정도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봉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씨씨티비(31)는 수평폴대(31b)의 단부측에 결합된다. 이 때 본체(10)에는 수직폴대(31a)와 수평폴대(31b)에 유압 또는 공압을 제공하고 회수하기 위한 유압회로가 구비된다.
또한 유해가스센서(32)는 굴착진행현장 내의 유해가스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산소 농도를 감지하는 산소센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센서, 황화수소 농도를 감지하는 황화수소센서 및 가연성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가연성가스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33)는 장비 또는 작업자에 구비된 발신기(예를 들어 비콘 등) 로부터 발신되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굴착진행현장에서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무선중계기를 별도 포함한다.
또한 무선통신모듈(34)은 스캐너(33) 또는 외부 관제소(미도시)와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터널 내부의 음영구역이 최소화되어 최적화된 출력이 가능한 와이파이통신모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35)는 굴착진행현장 내의 각종 상황을 작업자에게 음성 및 음향을 통해 안내방송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포함한 4개국어 방송이 가능한 티티에스(TTS) 방송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광등(36)은 유해가스센서(32)에 의해 유해가스 농도가 증가된 위험상황을 경광불빛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경광등(36)의 작동시에는 스피커(35)를 통해 싸이렌 음향이 송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상판(11)에는 컨트롤박스(40)가 구비된다. 컨트롤박스(40)는 조작패널(15)의 조작에 따를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주행이동수단(20)의 구동과 현장모니터링유닛(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작패널(15), 주행이동수단(20) 및 현장모니터링유닛(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특정 제어알고리즘에 따라 설계된 제어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1)는,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주행이동수단(20)을 통해 터널의 굴착시공현장으로 손쉽게 이동 가능하며 주행이동수단(20)을 통해 이동된 터널의 굴착시공현장에서 본체(10)에 탑재된 씨씨티비(31), 유해가스센서(32), 스캐너(33) 등을 포함한 현장모니터링유닛(30)을 통해 현장상황, 유해가스발생여부,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등과 같은 굴착시공현장의 각종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굴착진행에 따라 기 설치된 모니터링 장비를 굴착시공현장으로 다시 위치이동시킴과 동시에 모니터링 장비의 재설치를 위해 설치브래킷을 재시공할 필요가 전혀 없어 공사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대촉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1)는, 씨씨티비(31), 유해가스센서(32), 스캐너(33) 등을 포함한 현장모니터링유닛(30)과 컨트롤박스(40)가 설치되는 상판(11)이 높이조절수단(12)에 의해 본체(10)에 대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판(11)을 본체(10)에 대해 상부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변 굴착장비나 주변 통신장비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전파방해문제를 해소하여 무선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1)는, 씨씨티비(31), 유해가스센서(32), 스캐너(33) 등을 포함한 현장모니터링유닛(30)과 컨트롤박스(40)가 설치되는 상판(11)에 연장측판(16)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연장측판(16)이 상부방향으로 회동되어 서로 체결고정되면서 일종의 보호측벽을 형성하다가 필요시에는 상호 체결고정상태를 해소하고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지지다리(17)를 통해 상판(11)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지지함에 따라 각종 부가장비의 설치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판(11)에 기 설치된 현장모니터링유닛(30) 이외에 다른 필요장비까지 본체(10)에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10 : 본체
11 : 상판
12 : 높이조절수단
13 : 충전배터리
14 : 전원공급용 코드릴
15 : 조작패널
16 : 연장측판
17 : 지지다리
20 : 주행이동수단
30 : 현장모니터링유닛
31 : 씨씨티비
31a : 높이조절형 수직폴
31b : 길이조절형 수평폴
32 : 유해가스센서
33 : 스캐너
34 : 무선통신모듈
35 : 스피커
36 : 경광등
40 : 컨트롤박스

Claims (5)

  1. 상판(11)이 구비되고 충전배터리(13)가 탑재되며 조작패널(15)이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고 현장으로 주행이동 가능한 주행이동수단(20);
    상기 본체(10)의 상판(11)에 구비되고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현장모니터링유닛(30); 및
    상기 본체(10)의 상판(11)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패널(15)의 조작에 따라 상기 주행이동수단(20)과 상기 현장모니터링유닛(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의 상판(11)은 높이조절수단(12)의 개재하에 상기 본체(10)에 대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상판(11)에는 연장측판(16)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장측판(16)에는 지면 지지를 위한 지지다리(17)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현장모니터링유닛(30)은 굴착진행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씨씨티비(31)와, 굴착진행현장 내의 유해가스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유해가스센서(32)와, 장비 또는 작업자에 구비된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굴착진행현장에서 장비 또는 작업자의 위치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스캐너(33)를 포함하고, 상기 씨씨티비(31)는 상기 본체(10)의 상판(11)에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폴대(31a)와, 상기 수직폴대(31a)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수평폴대(31b)를 포함하는 지지대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상판(11)에 상하 높이조절, 회동 및 좌우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장모니터링유닛(30)은 상기 스캐너(33) 또는 외부 관제소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34)과, 안내방송을 위한 스피커(35)와, 위험상황을 경고하기 위한 경광등(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5. 삭제
KR1020190105922A 2019-08-28 2019-08-28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KR102266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22A KR102266805B1 (ko) 2019-08-28 2019-08-28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22A KR102266805B1 (ko) 2019-08-28 2019-08-28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11A KR20210025911A (ko) 2021-03-10
KR102266805B1 true KR102266805B1 (ko) 2021-06-18

Family

ID=7514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922A KR102266805B1 (ko) 2019-08-28 2019-08-28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8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49880A (zh) * 2022-12-09 2023-03-07 湖南省通泰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施工支撑装置
CN117027953B (zh) * 2023-09-18 2024-03-12 四川蜀能矿山开发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煤矿瓦斯浓度检测及安全预警装置
CN117761703B (zh) * 2024-02-22 2024-04-26 苏州傲之途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工地现场施工安全管理监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724B1 (ko) * 2016-12-29 2017-10-18 주식회사 세웅 센서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강화한 고소작업장치
KR101971007B1 (ko) * 2018-06-22 2019-04-22 (주)디티에스 이동식 공사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57Y1 (ko) 2012-01-19 2015-02-11 케이앤씨컨설턴트 주식회사 터널 막장면 안전 관리 시스템
EP2746762B1 (de) 2012-12-21 2020-01-22 Sick Ag Tunnelüberwachungssensor
KR20150081503A (ko) * 2014-01-06 2015-07-15 유병호 고소 안전 작업대
KR101907964B1 (ko)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8283A (ko) * 2018-09-20 2019-05-29 (주)오픈웍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724B1 (ko) * 2016-12-29 2017-10-18 주식회사 세웅 센서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강화한 고소작업장치
KR101971007B1 (ko) * 2018-06-22 2019-04-22 (주)디티에스 이동식 공사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11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805B1 (ko)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US6549139B2 (en) Crane safety device and methods
JP4498150B2 (ja) レーザー光利用接近検知システム
US83250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environmental measurements and displays
KR101172034B1 (ko) 비상도움용 벨 및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경보시스템
KR101843993B1 (ko)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US11459215B2 (en) Safety system for a machine
CN102426218A (zh) 一种自动探测有害气体的活动装置及其检测方法
KR20170047703A (ko) Uwb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554731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형 안전 박스
JP6080568B2 (ja) 監視システム
US20230092428A1 (en) Telematics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s and improving worksite safety
RU142292U1 (ru) Моб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фотовидеофиксации событий
KR20210115388A (ko) 타워 크레인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55190B1 (ko) 이동설치식 현장 모니터링장치
KR101468056B1 (ko)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KR20180072126A (ko) 철로작업 보호를 위한 열차접근 감지 시스템
KR101877375B1 (ko) 건조현장 내 작업자 측위 시스템
KR20210055343A (ko) 자동탐색 기능을 갖는 이동식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493690B1 (ko) 이동 설치가 용이한 철로용 접근 경고장치
KR102197259B1 (ko) 신호등 정보 안내시스템
KR101585135B1 (ko) 기상측정장비 보호장치
KR20220021993A (ko) 모듈형 공사현장 모니터링 장치
JP2001351183A (ja) 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