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549B1 -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549B1
KR102266549B1 KR1020200070796A KR20200070796A KR102266549B1 KR 102266549 B1 KR102266549 B1 KR 102266549B1 KR 1020200070796 A KR1020200070796 A KR 1020200070796A KR 20200070796 A KR20200070796 A KR 20200070796A KR 102266549 B1 KR102266549 B1 KR 102266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upling
insulator
coupling part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현
강민식
권형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0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05Means to increase the friction-coeffic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제1 커버부와, 제1 커버부와 힌지 결합되고 제1 커버부와 함께 애자 상단부와 전선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2 커버부와,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결합하는 커버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커버 결합부재는 제1 커버부의, 제2 커버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인 장착면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1 결합부와, 제1 결합부와 연결되고 제1 결합부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 커버부의 장착면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2 결합부와, 제2 결합부와 연결되고, 제2 커버부에 고정되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는, 제2 결합부가 제2 커버부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INSULATING COVER FOR DISTRIBUTION LINE INSULATOR}
본 발명은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에 고압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유지 보수공사는 전력 공급의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무정전 활선 상태에서 작업을 하고 있고, 최근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절연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방식에 의한 간접활선용 애자 절연커버(10)가 도시된다. 종래 애자 절연커버(10)는 애자(1)와 전선(2)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 커버(11)와 제2 커버(12) 및, 제1 커버(11)와 제2 커버(12)를 볼트 결합시키는 고정볼트(13)와 고정너트(14)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 방식에 의하면 간접활선용 절연 스틱으로 고정볼트(13)와 고정너트(14)를 체결하므로 작업자의 시공이 어려워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의 경우 필요 이상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시공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절연 스틱을 이용한 볼트 결합 중 필요 이상의 토크로 고정시키게 되면, 전선과 애자에 변형을 발생시켜서 시공불량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간접활선 공법의 특성상 결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개선된 결합 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20-0446357호(2009. 10. 14 등록, 발명의 명칭: 라인포스트 애자용 커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커버부에 부착된 커버 결합부재에 의해 애자를 전선에 고정하여 간접활선 공구인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쉽게 절연커버를 설치하고 철거하고, 이에 의해 간접활선 공법의 활용도를 높여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 결합 작업에 의해 애자를 전선에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시공불량을 최소화하여 시공 품질을 향상시키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 의해 제1 커버부에 이중으로 결합됨으로써, 볼트 체결을 하지 않고도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커버부와 함께 애자 상단부와 전선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2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를 결합하는 커버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상기 제2 커버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인 장착면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버부의 상기 장착면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버부에 고정되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2 커버부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장착면이 구비된 제1 커버본체와, 상기 제1 커버본체의 상기 장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걸려서 결합되는 제1 결합브라켓과, 상기 제1 커버본체의 상기 장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브라켓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브라켓은 상기 제1 결합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면에 개구되게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몸체부에 수용된 상기 제1 결합부가 걸리도록 상기 제1 몸체부의 상측에 구비된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브라켓은 상기 제2 결합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탄성적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몸체부에 개구되게 형성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지지결합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지지결합부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재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힌지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편과, 상기 힌지부와 상기 지지결합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고, 파지가 용이하도록 외면에 그립돌기가 형성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는 제1 커버본체와, 상기 제1 커버본체의 상기 제2 커버부를 향하는 면인 제1 결합면에 돌출되고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제2 커버본체와, 상기 제2 커버본체의 상기 제1 커버부를 향하는 면인 제2 결합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리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서 하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결합부와 연결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상기 애자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측부에서 상기 지지결합부와 연결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는, 커버 결합부재에 의해 애자를 전선에 고정하므로, 간접활선 공구인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쉽게 절연커버를 설치하고 철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접활선 공법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 결합 작업에 의해 애자를 전선에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시공불량을 최소화하여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결합부재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 의해 제1 커버부에 이중으로 결합됨으로써, 볼트 체결을 하지 않고도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간접활선용 애자 절연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커버 결합부재에 의해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간접활선용 애자 절연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커버 결합부재에 의해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의 (a) 내지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100)는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 및, 커버 결합부재(400)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는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부(300)는 제1 커버부(200)와 함께 애자 상단부와 전선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는 서로 면접촉되게 밀착된 상태에서,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부(101)와 애자가 삽입되는 애자삽입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 결합부재(400)는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를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재(400)는, 애자와 전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가 서로 밀착시켜서 고정함으로써, 애자를 전선에 고정할 수 있다(도 1 참조).
커버 결합부재(400)는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 및 지지결합부(470)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440)는 제1 커버부(200)의, 제2 커버부(30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인 장착면에 결합되게 구비된다. 제2 결합부(450)는 제1 결합부(440)와 연결되고 제1 결합부(440)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 커버부(200)의 장착면에 결합되게 구비된다.
지지결합부(470)는 제2 결합부(450)와 연결되고, 제2 커버부(30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커버 결합부재(400)는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 및 지지결합부(470)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는 제1 커버부(200)의 장착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 제1 커버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에 의해 커버 결합부재(400)는 이중 결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는 제1 커버부(200)에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는 제1 커버부(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는 길게 형성된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결합부(470)는 제2 커버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결합부(470)는 제2 커버부(300)의 하단부 또는, 제1 커버부(20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지지결합부(470)의 결합 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결합부(440)는,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200)와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440)를 제1 커버부(20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가 밀착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는 제1 결합부(440)를 제1 커버부(200)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는 제1 결합부(440)에 의해 1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는, 제2 결합부(450)가 제2 커버부(300)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440)에 의해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2 결합부(450)를 제1 커버부(20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는 제2 결합부(450)에 의해 2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100)는, 커버 결합부재(400)에 의해 애자를 전선에 고정하므로, 간접활선 공구인 절연스틱(20)을 이용하여 쉽게 절연커버를 설치하고 철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접활선 공법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볼트 결합 작업에 의해 애자를 전선에 쉽게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시공불량을 최소화하여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결합부재(400)는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에 의해 제1 커버부(200)에 이중으로 결합됨으로써, 볼트 체결을 하지 않고도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부(200)는 제1 커버본체(210)와, 제1 결합브라켓(220)과, 제2 결합브라켓(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본체(210)는 장착면과, 장착면의 반대 방향으로서 제2 커버부(300)를 향하는 방향인 제1 결합면을 포함한다.
제1 결합브라켓(220)은 제1 커버본체(210)의 장착면에 형성되고, 제1 결합부(440)가 걸려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브라켓(220)은 제1 몸체부(221)와, 제1 개구부(222) 및 이탈방지편(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221)는 제1 결합부(44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222)는 제1 몸체부(221)의 상면에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221)는 제1 개구부(222)를 통해 상향 개구되게 마련될 수 있고, 제1 개구부(222)를 통해 제1 결합부(440)가 삽입되어 제1 몸체부(221)에 수용될 수 있다.
이탈방지편(223)은 제1 몸체부(221)에 수용된 제1 결합부(440)가 걸리도록 제1 몸체부(221)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탈방지편(223)에 의해 제1 개구부(222)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결합부(4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결합브라켓(220)의 구조에 의해, 제1 결합부(440)는 제1 결합브라켓(220)에 걸림 결합될 수 있고, 걸린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브라켓(230)은 제1 커버본체(210)의 장착면에 형성되고 제2 결합브라켓(23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제2 결합부(450)가 끼움 결합된다.
제2 결합브라켓(230)은 제2 몸체부(231)와 제2 개구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부(231)는 제2 결합부(45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33)는 제2 결합부(450)가 수용공간에 탄성적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제2 몸체부(231)에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브라켓(230)은 제2 개구부(233)의 크기가 제2 결합부(45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되, 제2 개구부(233)가 탄성적으로 확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개구부(233)에서 제2 결합부(450)를 가압하면, 제2 개구부(233)가 탄성적으로 확장되면서 제2 결합부(450)가 제2 몸체부(23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33)가 제2 결합부(450)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2 결합부(4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브라켓(220)과 제2 결합브라켓(230) 사이의 거리는,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 사이의 거리와 오차 범위내에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는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 결합부재(400)는 힌지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460)는 제1 결합부(440) 및 제2 결합부(450)가 지지결합부(47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제2 결합부(450) 및 지지결합부(47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결합부(470)는 제2 커버부(3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데,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를 제1 커버부(200)에 결합할 때 설치가 용이하도록, 제2 결합부(450)와 지지결합부(470)의 사이에 힌지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460)는 제2 결합부(450)가 지지결합부(47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결합부재(400)는 연결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20)는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와, 힌지부(460)와, 지지결합부(470)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편(421)은 제1 결합부(440)와 제2 결합부(450)를 연결하고,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연결편(421)은 연결프레임(410)을 통해 제1 결합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편(421)은 판 형이나 연결프레임(410)은 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결합부(440)를 제2 결합브라켓(230)에 걸 때 간섭되지 않게 하여 걸림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연결편(422)은 제2 결합부(450)와 힌지부(460)를 연결할 수 있고,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편(424)은 힌지부(460)와 지지결합부(470)를 연결할 수 있고,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편(422)과 제3 연결편(424)은 제2 결합부(450)와 힌지부(460)가 힌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편(422)과 제3 연결편(424)의 형상은 판 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2 연결편(422)에는 제2 결합브라켓(230)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2 결합브라켓(230)이 삽입되는 절개홈(42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 결합부재(400)는 파지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430)는 커버 결합부재(400)는 연결부(420)에서 돌출되게 마련되고, 파지가 용이하도록 외면에 그립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430)는 절연스틱(20)에 의해 파지하지 용이하도록 구비되어, 간접활선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례로 파지부(430)는 연결부(420)의 제1 연결편(421)에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절연스틱(20)에 의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외면에 그립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는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밀림 현상이 방지되도록 제1 요철부(213)와 제2 요철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부(200)는 제1 커버본체(210)와, 제1 커버본체(210)의 제2 커버부(300)를 향하는 면인 제1 결합면에 돌출되고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요철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부(300)는 제2 커버본체(310)와, 제2 커버본체(310)의 제1 커버부(200)를 향하는 면인 제2 결합면에 돌출되고 제1 요철부(213)와 맞물리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요철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철부(213)에는 제1 돌기(214)가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요철부(313)에는 제2 돌기(314)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될 수 있다.
한편 커버 결합부재(400)의 설치 위치는 한정이 없으며,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커버 결합부재(400)는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를 하측에서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450)는 제1 결합부(440)에서 하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450)는 제1 커버부(200) 및 제2 커버부(300)의 하측에서 지지결합부(470)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면 커버 결합부재(400)는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를 측부에서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450)는 제1 결합부(440)에서 애자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제1 커버부(200) 및 제2 커버부(300)의 측부에서 지지결합부(470)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결합부재(400)를 이용하여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2 커버부(300)에 지지결합부(470)를 고정한 상태로 전선에 거치한다(도 7의 (a) 및 도 7의 (b) 참조).
절연스틱(20)으로 파지부(430)를 파지하고(도 2 참조) 제1 결합부(440)를 제1 결합브라켓(220)에 걸림 결합한다. 제1 결합부(440)는 제1 몸체부(221)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뒤 이탈방지편(223)에 의해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결합부(440)는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가 밀착된 상태에 있어야 제1 결합브라켓(220)에 결합되므로, 이 단계에서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는 밀착되어 1차적으로 결합된다.
이 후 절연스틱(20)으로 파지부(430)를 잡고 제2 결합부(450)를 밀어서 제2 결합브라켓(230)에 끼움 결합한다. 제2 결합브라켓(230)의 제2 개구부(233)는 제2 결합부(45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 결합부(450)를 밀어 넣었을 때 탄성적으로 확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결합부(450)가 제2 몸체부(231)의 수용공간에 탄성적으로 출입할 수 있고, 수용된 후에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50)를 제2 결합브라켓(230)에 결합함으로써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1 커버부(200)와 제2 커버부(300)는 2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도 7의 (c) 참조). 이에 따라 전선에 애자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는, 커버 결합부재에 의해 애자를 전선에 고정하므로, 간접활선 공구인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쉽게 절연커버를 설치하고 철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접활선 공법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볼트 결합 작업에 의해 애자를 전선에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시공불량을 최소화하여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결합부재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 의해 제1 커버부에 이중으로 결합됨으로써, 볼트 체결을 하지 않고도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애자 2 전선
20: 절연 스틱 100: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200: 제1 커버부 210: 제1 커버본체
213: 제1 요철부 214: 제1 돌기
220: 제1 결합브라켓 221: 제1 몸체부
222: 제1 개구부 223: 이탈방지편
230: 제2 결합브라켓 231: 제2 몸체부
233: 제2 개구부 300: 제2 커버부
310: 제2 커버본체 313: 제2 요철부
314: 제2 돌기 320: 지지브라켓
400: 커버 결합부재 410: 연결프레임
420: 연결부 421: 제1 연결편
422: 제2 연결편 423: 절개홈
424: 제3 연결편 430: 파지부
440: 제1 결합부 450: 제2 결합부
460: 힌지부 470: 지지결합부

Claims (10)

  1.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커버부와 함께 애자 상단부와 전선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를 결합하는 커버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상기 제2 커버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인 장착면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버부의 상기 장착면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버부에 고정되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2 커버부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장착면이 구비된 제1 커버본체;
    상기 제1 커버본체의 상기 장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걸려서 결합되는 제1 결합브라켓; 및
    상기 제1 커버본체의 상기 장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브라켓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브라켓은
    상기 제1 결합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면에 개구되게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 수용된 상기 제1 결합부가 걸리도록 상기 제1 몸체부의 상측에 구비된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브라켓은
    상기 제2 결합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탄성적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몸체부에 개구되게 형성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결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지지결합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지지결합부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결합부재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편;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힌지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편; 및
    상기 힌지부와 상기 지지결합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고, 파지가 용이하도록 외면에 그립돌기가 형성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제1 커버본체와, 상기 제1 커버본체의 상기 제2 커버부를 향하는 면인 제1 결합면에 돌출되고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제2 커버본체와, 상기 제2 커버본체의 상기 제1 커버부를 향하는 면인 제2 결합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리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서 하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결합부와 연결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상기 애자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측부에서 상기 지지결합부와 연결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KR1020200070796A 2020-06-11 2020-06-11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KR102266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96A KR102266549B1 (ko) 2020-06-11 2020-06-11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96A KR102266549B1 (ko) 2020-06-11 2020-06-11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549B1 true KR102266549B1 (ko) 2021-06-18

Family

ID=7662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796A KR102266549B1 (ko) 2020-06-11 2020-06-11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5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370U (ja) * 1995-03-30 1995-10-03 株式会社ナポレックス 自動車用フック
KR200427340Y1 (ko) * 2006-05-19 2006-09-26 주식회사 평일 케이블의 y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JP2008263664A (ja) * 2007-04-10 2008-10-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絶縁カバー装置
KR101154025B1 (ko) * 2012-03-13 2012-06-07 주식회사 천지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761602B1 (ko) * 2017-03-20 2017-08-04 주식회사 거성에코 전선 보호용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370U (ja) * 1995-03-30 1995-10-03 株式会社ナポレックス 自動車用フック
KR200427340Y1 (ko) * 2006-05-19 2006-09-26 주식회사 평일 케이블의 y분기 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JP2008263664A (ja) * 2007-04-10 2008-10-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絶縁カバー装置
KR101154025B1 (ko) * 2012-03-13 2012-06-07 주식회사 천지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761602B1 (ko) * 2017-03-20 2017-08-04 주식회사 거성에코 전선 보호용 절연커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16370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472B1 (ko)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100407547B1 (ko) 엘피애자용 전선 연선롤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배선공법
WO2019208650A1 (ja) 碍子分離工法並びにこの工法で用いられる柱上吊上げ装置、碍子支持具、対電柱固定具及び掛吊具
KR102333246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20170002073U (ko) 래치방식 접지용구
KR102266549B1 (ko) 배전선용 애자 절연커버
US20090147527A1 (en) Electric Fixture Holder for Ladder
US20240162695A1 (en) Trap-type live wire terminal insulation cap and indirect live wire insulation method for jumper wire using same
KR20200002212A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KR101318540B1 (ko) 엘리베이터의 설치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캠 장치 및리미트 스위치
JP6364308B2 (ja) 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装置、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アーム部材の取り外し方法
KR102358796B1 (ko) 활선 작업용 보조완철의 어댑터
KR102079089B1 (ko) 가공송전선 진동방지형 고정장치
KR20130002631U (ko) 원터치형 전선측 접지장치
JP6011660B2 (ja) ケーブル支持装置
CN112186623B (zh) 一种带电接支接线路引线组合工具的作业方法
JP7138292B2 (ja) 鳥害防止具
JP4362772B2 (ja) ボルトの落下防止金具
KR20210155665A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JP6857901B2 (ja) ストラップ押上工具
KR100887419B1 (ko) 송·배전선용 클램프
KR102485150B1 (ko) 전선 스페이서
KR102631026B1 (ko)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KR20230099431A (ko) 케이블 안착 지그
JP2012161199A (ja) 脱落防止機能付き高圧引下線引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