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954B1 -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 Google Patents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954B1
KR102265954B1 KR1020200015812A KR20200015812A KR102265954B1 KR 102265954 B1 KR102265954 B1 KR 102265954B1 KR 1020200015812 A KR1020200015812 A KR 1020200015812A KR 20200015812 A KR20200015812 A KR 20200015812A KR 102265954 B1 KR102265954 B1 KR 10226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roll
cutting
contac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김가림
송준석
홍수린
Original Assignee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28Wound package of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에 절취선이 형성된 접착테이프가 복수 회 권취되어 제공되는 접착테이프 롤, 및 상기 절취선 상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접착테이프 롤을 가압하는 절취 보조부를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ROLL CLEANER EASY TO CUT AN ADHESION TAPE}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나 카페트 등과 같은 직물의 경우, 사용 중에 정전기의 발생, 오염물질과의 접촉 등으로 인해 표면에는 다량의 오염 물질이 달라붙게 된다. 이와 같이 의류나 카페트, 쇼파 및 차량의 시트에 붙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들을 떼어내기 위해서 관용적으로 이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가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접착테이프를 소정길이만큼 절단하고 절단된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을 먼지가 붙어 있는 일정위치에 접촉시켜서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칼이나 가위 등과 같은 절단수단으로 접착테이프를 절단해서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테이프가 권취된 롤 형태로 되어 카페트 또는 침대 등의 표면에 떨어진 머리카락 등의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청소)하는 테이프 클리너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프 클리너는 지지브라켓과 손잡이를 구비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된 회전롤러와, 회전롤러에 삽입되면서 복수 겹으로 권취된 접착테이프로 구성된다. 이때, 접착테이프는 먼지 등이 달라붙는 접착면이 외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접착테이프를 일정 간격으로 잘라서 새로운 접착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칼선을 내어 형성되는 절취선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점착테이프가 권취된 롤 클리너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접착테이프가 구비된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에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을 달라붙게 하여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점착테이프 롤 클리너를 사용하고 나서 접착테이프를 절취하고자 할 때 접착테이프에 머리카락 또는 고양이나 강아지털, 섬유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접착테이프의 절취선 위로 붙어 감겨져 있는 경우 접착테이프가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지 못하고 중간에 찢어지는 경우가 있고, 심한 경우 접착테이프를 몇 장씩 뜯어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롤러에 권취된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에 절취선이 형성된 접착테이프가 복수 회 권취되어 제공되는 접착테이프 롤; 및 상기 절취선 상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접착테이프 롤을 가압하는 절취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일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절취 보조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 중공에는 이동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절취 보조부는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에서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절취 보조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회동할 때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 내에서 이동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일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되고, 힌지 부재를 통해 상기 절취 보조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상부는 상기 절취 보조부의 일 방향 회전 범위를 규정하도록 구비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취 보조부는, 상기 접착테이프 롤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가압 부재;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가압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바디; 및 상기 연결 바디의 타단에 연결되는 헤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재는 상기 힌지 부재를 통해 상기 스토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부재는 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재의 표면이 상기 연결 부재 상에 접촉되고,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헤드 부재의 원호 형상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접착테이프 롤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절취 보조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헤드 부재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일 면에 있어서 상기 절취 보조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절취 보조부와 접촉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접촉 부재; 및 상기 절취 보조부의 일 면에 있어서 상기 절취 보조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접촉부재와 접촉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접촉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테이프 롤의 상기 절취선은 복수 회 권취된 상기 접착테이프에 동일 선 상으로 정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착테이프 롤의 보빈 내측에 상기 절취선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롤 클리너는 접착테이프에 머리카락 또는 고양이나 강아지털, 섬유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접착테이프의 절취선 위로 붙어 감겨져 있는 경우에도, 접착테이프의 절취선을 따라 한 겹씩 용이하게 접착테이프를 절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클리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절취 보조부가 접착테이프 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착테이프 롤에 권취된 접착테이프가 절취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측, 타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클리너(1)는 손잡이부(10), 롤러 지지부(20), 절취 보조부(30) 및 접착테이프 롤(40)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손잡이부(10)의 길이와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10)는 파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직사각형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외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0)의 일 면에는 연결 부재(10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부재(100)는 절취 보조부(30)와 손잡이부(10)를 연결하도록 제공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100)의 내부 중공에는 이동 부재(1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100)는 손잡이부(10)의 일 면에 접착제 등의 수단을 통해 부착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나, 손잡이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 부재(100)의 내부에 제공되는 이동 부재(102)는 절취 보조부(30)와 연결되고, 연결 부재(100)의 내부에서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때의 양 방향이란, 절취 보조부(30)가 상방을 향한 채로 손잡이부(10)가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절취 보조부(30)가 손잡이부(10)에 대하여 회동할 때 이동 부재(102)는 이에 연동하여 연결 부재(10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부재(102)는 일 예로 실리콘 등의 가요성 재질로서 구비되어 압력에 의한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 부재(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밀착될 때 그 형상이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동 부재(102)의 재질에 의해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동 부재(102)는 연결 부재(100)의 상면과 하면 사이로 이동 범위가 제한됨에 따라, 후술할 스토퍼(110)의 이동 범위 또한 제한된다.
걸림 부재(104)는 이동 부재(102)의 저면에 부착되어 스토퍼(1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 부재(102)와 스토퍼(110)를 상호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10)가 절취 보조부(30)의 회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이동 부재(102)도 이에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10)는 걸림 부재(104)를 통해서 뿐만 아니고 그 자체로서 이동 부재(102)와 접착제 등의 수단을 통해 상호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00)의 상면에는 삽입공(10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110)가 삽입공(106)을 관통하여 연결 부재(10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10)의 일 단부는 걸림 부재(104) 및 이동 부재(102)와 고정 연결되어 일체로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퍼(110)는 일 단부가 이동 부재에 고정되고, 후술할 힌지 부재(332)를 통해 절취 보조부(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10)의 상부는 절취 보조부(30)의 일 방향 회전 범위를 규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10)는 일 예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동 부재(102)에 고정되어 직선 운동만을 할 수 있도록 이동 방향이 이동 부재(102)와 연결 부재(10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스토퍼(110)의 일 면에 있어서 절취 보조부(30)가 회전됨에 따라 절취 보조부(30)와 접촉되는 위치에 제1 접촉 부재(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촉 부재(112)는 일 예로 탄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스토퍼(110)와 절취 보조부(30)가 서로 접촉될 때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절취 보조부(30)의 일 면에 있어서 절취 보조부(30)가 회전됨에 따라 제1 접촉 부재(112)에 접촉되는 위치에 제2 접촉 부재(312)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 지지부(20)는 손잡이부(10)의 단부에 연결되며, 단부에는 후술할 접착테이프 롤(40)의 양 단이 체결되는 거치 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거치 부재(200)에 체결된 접착테이프 롤(40)은 거치 부재(20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접착테이프 롤(40)을 회전시켜서 물체의 표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롤러 지지부(20)는 일 예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접착테이프 롤(40)이 구비될 수 있다.
절취 보조부(30)는 절취선(410) 상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접착테이프 롤(40)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취 보조부(30)는 연결 바디(310), 가압 부재(320) 및 헤드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디(31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가압 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320)는 접착테이프 롤(40)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320)가 접착테이프 롤(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취 보조부(30)가 회전하는 경우 헤드 부재(330)에 의해 스토퍼(110)가 연결 부재(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320)는 일 예로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압 부재(320)의 단부에는 가압팁(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부재(320)가 접착테이프 롤(40)을 가압할 때의 가압점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해지는 압력이 일 직선상에 집중될 수 있다. 이렇게 압력이 집중되는 선은 접착테이프 롤(40)에 형성된 절취선(410)과 일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헤드 부재(330)는 연결 바디(310)의 타단에 연결되고, 힌지 부재(332)를 통해 스토퍼(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헤드 부재(330)는 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을 포함하고, 헤드 부재(330)의 표면이 연결 부재(100) 상에 접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헤드 부재(330)의 원호 형상의 일 단부에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돌기와 같이 돌출 형성되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 부분이 연결 부재(100)의 상면과 접촉하게 되면 이동 부재(102)와 스토퍼(110)가 가장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힌지 부재(332)는 헤드 부재(330)의 원호 형상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고, 스토퍼(110)와 헤드 부재(330)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헤드 부재(330) 상에서의 힌지 부재(332)의 위치는 헤드 부재(330)의 원호 형상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 부분과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헤드 부재(330)의 원호 형상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 부분과 힌지 부재(332)는 원호 형상의 일 지름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접착테이프 롤(40)은 롤러 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에 절취선(410)이 형성된 접착테이프가 복수 회 권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테이프 롤(40)은 중심에 보빈(4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보빈(400)은 쉘(shell) 형상의 양 단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빈(400)을 중심으로 한 장의 긴 접착테이프가 복수 회 권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접착테이프 상에는 절취선(410)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취선은 접착테이프 롤(40)의 반경 방향으로 동일 선 상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취선(410)은 접착테이프의 컷팅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표시되는 것으로서, 접착테이프의 폭 방향, 혹은 접착테이프 롤(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점선 형상으로 부분적으로 절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절취선(410)을 따라 접착테이프가 낱장으로 절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롤 클리너(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 클리너(1)는 실내 바닥이나 물체의 표면에 붙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롤 클리너(1)의 손잡이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접착테이프 롤(40)을 청소하고자 하는 물체의 표면 상에 접촉시킨 상태로 굴려서 접착테이프 롤(40)에 권취된 접착테이프의 표면의 접착력에 의해 이물질들이 접착테이프의 표면에 들러붙도록 함으로써 표면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청소가 실시되는 동안에는 절취 보조부(3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10) 측에 밀착되어 접착테이프 롤(40)의 회전이 간섭되지 않도록 직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절취 보조부(30)가 중력에 의해 절취 보조부(30)에 작용하는 토크(Torque)에 의해 접착테이프 롤(40)을 향하는 방향으로 낙하하면서 회전하지 않고 스토퍼(110)에 밀착되어 직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은, 이동 부재(102)와 스토퍼(110)의 하중을 절취 보조부(3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한 토크가 이기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절취 보조부(30)를 접착테이프 롤(40)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절취 보조부(30)에 대하여 외력을 가해서 절취 보조부(30)를 능동적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접착테이프 롤(40)의 최외곽으로 노출된 접착테이프 상의 접착력이 다하거나, 이물질이 표면 상에 빠짐없이 붙어서 더 이상 청소를 진행하기가 어려운 상황인 경우, 접착테이프의 최외곽에 노출된 부분을 절취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절취 보조부(30)에 외력을 가하여 접착테이프 롤(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취 보조부(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회전된 절취 보조부(30)의 가압팁(322)이 접착테이프 롤(40)의 절취선(410) 상에 접촉함으로써 절취선(410) 상에서 접착테이프 롤(40)의 표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렇게 접착테이프 롤(40)의 표면이 가압 부재(32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절취선(410)을 따라 접착테이프를 낱장(P)으로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절취선을 따라 접착테이프를 깔끔하고 편리하게 절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절취선(410)을 따라 접착테이프를 깔끔하게 절취하기 위해서는 절취선(410)의 위치가 가압팁(322)에 맞닿을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가압팁(322)이 접착테이프 롤(40)의 표면에 접촉되었을 때, 절취선(410)의 위치와 가압팁(322)의 위치가 어긋날 경우, 상술한 작용 및 효과를 달성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클리너가 제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클리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접착테이프 롤(40)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내용은 상기의 실시예를 원용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 클리너의 접착테이프 롤의 보빈(400) 내에는 중량체(4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체(420)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물체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보빈(400)의 내측면의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중량체(420)는 접착테이프 롤(40)의 절취선(410)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취 보조부가 상방을 향해 배치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 가능한 접착테이프 롤(40)이 중력에 의해 회전되어 중량체(420)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중량체(420)에 대향하는 위치에 절취선(410)이 위치하게 되며, 절취선(410)이 상방을 향해 위치되므로 절취 보조부가 회동하여 가압팁이 접촉되는 지점에 절취선(410)이 자체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외에도 절취선(410)의 위치를 정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롤 클리너에 의하면, 접착테이프에 머리카락 또는 고양이나 강아지털, 섬유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접착테이프의 절취선 위로 붙어 감겨져 있는 경우에도, 접착테이프의 절취선을 따라 한 겹씩 용이하게 접착테이프를 절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삭제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롤 클리너 10: 손잡이부
100: 연결 부재 102: 이동 부재
104: 걸림 부재 106: 삽입공
110: 스토퍼 112: 제1 접촉 부재
20: 롤러 지지부 200: 거치 부재
210: 결합 돌기 212: 위치 결정 홈
30: 절취 보조부 310: 연결 바디
312: 제2 접촉 부재 320: 가압 부재
322: 가압팁 330: 헤드 부재
332: 힌지 부재 40: 접착테이프 롤
400: 보빈 410: 절취선
420: 중량체 430: 위치 결정 돌기

Claims (10)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에 절취선이 형성된 접착테이프가 복수 회 권취되어 제공되는 접착테이프 롤; 및
    상기 절취선 상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접착테이프 롤을 가압하는 절취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일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절취 보조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 중공에는 이동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절취 보조부는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에서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절취 보조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회동할 때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 내에서 이동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되고, 힌지 부재를 통해 상기 절취 보조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상부는 상기 절취 보조부의 일 방향 회전 범위를 규정하도록 구비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보조부는,
    상기 접착테이프 롤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가압 부재;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가압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바디; 및
    상기 연결 바디의 타단에 연결되는 헤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재는 상기 힌지 부재를 통해 상기 스토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부재는 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재의 표면이 상기 연결 부재 상에 접촉되고,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헤드 부재의 원호 형상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접착테이프 롤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절취 보조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헤드 부재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 면에 있어서 상기 절취 보조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절취 보조부와 접촉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접촉 부재; 및
    상기 절취 보조부의 일 면에 있어서 상기 절취 보조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접촉부재와 접촉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접촉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테이프 롤의 상기 절취선은 복수 회 권취된 상기 접착테이프에 동일 선 상으로 정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착테이프 롤의 보빈 내측에 상기 절취선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15812A 2020-02-10 2020-02-10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KR10226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812A KR102265954B1 (ko) 2020-02-10 2020-02-10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812A KR102265954B1 (ko) 2020-02-10 2020-02-10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954B1 true KR102265954B1 (ko) 2021-06-15

Family

ID=7641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812A KR102265954B1 (ko) 2020-02-10 2020-02-10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35A (ko) * 2021-09-16 2023-03-23 김미희 테이프 클리너용 점착테이프 롤을 포함하는 테이프 클리너
KR20230110860A (ko) * 2022-01-17 2023-07-25 김초희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113A (ko) * 2018-06-20 2019-12-30 주식회사 클렘본 롤형 점착 클리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113A (ko) * 2018-06-20 2019-12-30 주식회사 클렘본 롤형 점착 클리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35A (ko) * 2021-09-16 2023-03-23 김미희 테이프 클리너용 점착테이프 롤을 포함하는 테이프 클리너
KR102557950B1 (ko) * 2021-09-16 2023-07-19 김미희 테이프 클리너용 점착테이프 롤을 포함하는 테이프 클리너
KR20230110860A (ko) * 2022-01-17 2023-07-25 김초희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
KR102646226B1 (ko) * 2022-01-17 2024-03-11 김초희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954B1 (ko) 접착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롤 클리너
KR101955726B1 (ko) 테이프 클리너
WO2009020749A1 (en) A cleaning material and method of cleaning a surface
US8056178B2 (en) Mop with receptacle
JP2016527012A (ja) テープクリーナ
JP2001031298A (ja) ウェブ形状材料のロールのためのホルダー
JP3185426U (ja) 粘着式清掃具
KR101147814B1 (ko) 접이식 대걸레
JPH10216066A (ja) ローラー形粘着清掃具
JP6037666B2 (ja) 清掃具
KR101202965B1 (ko)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JP2002315704A (ja) 清掃具
CN111358401A (zh) 一种应用成卷拖布地面摩擦滚动收卷拖布的拖地装置
JP4328571B2 (ja) 粘着式清掃具
JPS6124217Y2 (ko)
KR102532580B1 (ko) 점착테이프 리필롤 제조장치
KR102054705B1 (ko) 머리카락 제거가 용이한 점착테이프 롤 클리너
JP2003339603A (ja) ロール式清掃具
CN212118074U (zh) 一种应用成卷拖布地面摩擦滚动收卷拖布的拖地装置
KR102499803B1 (ko) 역회동방지수단을 구비한 테이프롤러클리너
JP3222828U (ja) 粘着式クリーナ
KR101192045B1 (ko)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
EP1388517B1 (en) Roll of sheet material, particularly paper, and relative manufacturing method
JP3042163U (ja) 粘着ローラ
KR101515047B1 (ko) 바닥에 붙지 않고 컷팅이 쉬운 크리너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