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449B1 - 전기밥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449B1
KR102264449B1 KR1020170084129A KR20170084129A KR102264449B1 KR 102264449 B1 KR102264449 B1 KR 102264449B1 KR 1020170084129 A KR1020170084129 A KR 1020170084129A KR 20170084129 A KR20170084129 A KR 20170084129A KR 102264449 B1 KR102264449 B1 KR 10226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terminal
polyimid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054A (ko
Inventor
황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7008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4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가 포함되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솥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내부에 위치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며, 면상발열체 패턴이 인쇄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 상기 면상발열체에 형성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연결단자(151,161); 상기 연결단자의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와이어의 연결부를 가리도록 상기 와이어에 끼워지는 튜브; 상기 튜브와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단자부에 도포되는 실리콘; 상기 실리콘과 상기 튜브와 상기 단자부에 부착되는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튜브는 일부가 상기 면상발열체 패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는 상기 튜브 중 상기 면상발열체 패턴의 상부에 배치된 부분과, 상기 면상발열체 중 상기 튜브가 상부에 배치된 부분의 측부에도 부착되며, 탑플레이트에 탑히터용으로 면상발열체를 적용할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내전압 테스트 시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전기밥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밥솥 및 그 제조방법{Electric Rice Coo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가 적용된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탑플레이트용 면상발열체의 단자부 형상을 변경하고, 탑플레이트와 탑플레이트용 면상발열체간에 전류가 전달되지 않도록 폴리이미드(PI) 테이프가 부착되어 내전압 안정성이 확보되는 전기밥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밥솥은 본체의 상부에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솥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며, 이 내솥을 덮을 수 있도록 내솥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고, 본체 내에는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 즉 쌀이나 잡곡, 기타 음식재료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 가열 방식 또는 열판 방식의 히터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전기 압력 밥솥은 본체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록킹수단과, 본체 내부의 증기 배출을 조절하는 증기배출밸브(솔레노이드밸브)가 더 구비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04-0081909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첨부된 도면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유도가열원리를 이용한 전기밥솥을 나타낸다.
종래의 유도가열원리를 이용한 전기밥솥은, 크게 제품의 본체와 본체를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로 구성된다.
본체의 내부에는 내솥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의 외주면에는 내솥을 유도가열시키기 위한 워킹코일이 설치된다.
그리고 워킹코일과 내솥의 사이에는 코일베이스가 게재되어 워킹코일을 지지한다.
코일베이스는, 유도가열된 내솥의 열량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열성이 좋은 PET계열 수지 사출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내솥의 측면 상부에는 링케이스가 부착되고, 링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링케이스를 가열시키는 선형의 히터코일이 구성된다.
히터코일은 커버의 내부에도 위치한다.
히터코일은 취사완료 후 주로 보온시 동작하게 되고, 때로는 가열시 보조열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버는 내부커버와 외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내부커버의 하면에는 탑플레이트가 결합된다.
탑플레이트의 하면에는 클린 플레이트가 결합된다.
한편, 커버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린 커버가 구비되어 내솥의 상단을 밀폐한다.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선형의 히터코일이 구비되어, 탑 히터의 역할을 한다.
선형의 히터코일은 PVC 및 실리콘 또는 테프론 튜브로 감싸여 있어 내전압에 안정적이고, 선형이므로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어, 내솥의 측면 가열 및 커버(뚜껑) 가열을 위한 탑 히터에 사용되어 왔다.
한편으로 선형의 히터코일은 선형 구조의 특성상, 균일한 열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전기소비효율도 낮을 뿐만 아니라, 히터의 길이가 길어서 발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종래 선형의 히터코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면상발열체를 채택한 전기밥솥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면상발열체를 채택한 전기밥솥의 경우, 균일한 열전달이 가능하며, 높은 전기소비효율도 달성할 수 있었다.
이때 면상발열체는 일정 넓이의 폴리이미드(PI) 필름에 인풋 단자와 아웃풋 단자를 나란히 위치시키고, 인풋 및 아웃풋 단자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실리콘 튜브를 끼우고, 이들이 일체화되도록 실리콘을 도포하고, 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감아서 단자부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면상발열체는 단자부와 연결된 실리콘 튜브에 내전압 봉을 가져다 대 내전압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는데, 내전압 테스트 시 NG가 발생하여 면상발열체가 종래의 선형 히터에 비해 내전압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형 히터와 달리 면상발열체는 단자부가 실리콘 튜브와 폴리이미드(PI) 테이프로 보호되는 방식이므로, 실리콘이 도포되거나 폴리이미드(PI) 테이프 공정에 불량이 발생된 경우 길이가 짧은 실리콘 튜브가 폴리이미드(PI) 테이프에 감싸지지 않아 NG가 발생했다. 즉 면상발열체의 단자부 구조가 취약한 것으로 밝혀져 이와 관련된 구조적 변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탑히터용 면상발열체는 탑플레이트에 직접 붙기 때문에 내전압 테스트 시, 탑플레이트에서 면상발열체로 전달되는 전류를 차단시키기 위해 단자부의 타면, 즉 뒷면도 실리콘을 도포해왔다. 하지만 단자부의 앞,뒷면에 실리콘을 도포하고 경화를 하면 도포된 실리콘이 한쪽 방향으로 흐르는 문제가 발생해 단품 테스트 시 NG가 발생되어 이와 관련된 구조적 변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1909호 등록특허공보 제10-471452호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가 적용된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탑플레이트용 면상발열체의 내전압에 관한 안정성이 확보되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탑플레이트와 탑플레이트용 면상발열체간에 전류가 전달되지 않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힝은, 내솥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내부에 위치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며, 면상발열체 패턴이 인쇄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 상기 면상발열체에 형성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 상기 탑플레이트의 일면 중 적어도 상기 단자부가 위치되는 부분과 상기 단자부의 타면에 양면이 각각 부착되는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자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의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와이어의 연결부를 가리도록 상기 와이어에 끼워지는 튜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는 상기 튜브의 단부부터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7mm 길이만큼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솥을 수용하는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의 내부에 위치하는 탑플레이트의 일면 중 적어도 면상발열체의 단자부가 위치될 부분에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의 일면에 상기 단자부의 타면이 부착되도록 상기 면상발열체를 상기 탑플레이트의 일면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단자부의 상부에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상발열체 부착 단계는, 상기 단자부에 와이어와 튜브가 결합된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연결단자 및 상기 튜브의 일면에 실리콘이 도포된 면상발열체를 상기 탑플레이트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 부착 단계는, 상기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가 상기 튜브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7mm 길이만큼 부착되는 단계인 것은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튜브가 연결단자와 와이어의 연결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먼 위치까지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부, 연결단자뿐만 아니라 튜브 중 와이어와 연결단자의 연결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먼 위치까지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가 부착되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면상발열체의 내전압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실리콘을 도포시키지 않고도 탑플레이트와 면상발열체의 단자부간에 전류가 차단될 수 있어 면상발열체의 내전압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실리콘 도포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전기밥솥의 제작공정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밥솥에서 탑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밥솥에서 면상발열체 단자부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도 4는 면상발열체가 부착되기 전의 탑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로어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밥솥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밥솥에서 상부커버가 분리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은 내솥(20)을 수용하는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40)을 포함한다.
본체(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40)은 크게 내부커버(50)와 외부커버(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부커버(50)의 하면에는 탑플레이트(60)가 위치한다. 탑플레이트(60)는 뚜껑(40)의 내부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탑플레이트(60)는 내부커버(50)와 볼트 또는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며 결합한다.
======================================================================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를 토대로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례의 전기밥솥(10)은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구비되며, 면상발열체 패턴(110)이 인쇄된 필름(101)으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면상발열체(100)는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과 접촉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은 면상발열체(100)에 형성되는 단자부(120)와, 단자부(1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연결단자(151,161)와, 연결단자(151,161)의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150,160)와, 연결단자(151,161)와 와이어(150,160)의 연결부를 가리도록 와이어(150,160)와 튜브(170,180)에 도포되는 실리콘(250)과, 실리콘(250)과 튜브(170,180)와 단자부(120)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튜브(170,180)는 실리콘 튜브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은, 튜브(170,180)의 일부가 면상발열체 패턴(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는 튜브(170,180) 중 면상발열체 패턴(110)의 상부에 배치된 부분과, 면상발열체(100) 중 튜브(170,180)가 상부에 배치된 부분의 측부에도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은 와이어(150,160)에 끼워지는 튜브(170,180)의 길이가 기존보다 길게 연장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전기밥솥(10)은 튜브(170,180)에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가 부착되되,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는 연결단자(151,161)로부터 튜브(170,180)의 길이 방향으로 최소 7mm 길이만큼 튜브(170,180)를 감싸도록, 즉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는 튜브(170,180)의 단부부터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7mm 길이만큼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튜브(170,180)의 단부부터 길이방향으로 최소 7mm, 또는 7mm 이상의 길이만큼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가 부착된다. 따라서 튜브(170,180)의 절연거리가 확보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는 실리콘(250) 전체, 단자부(120)의 모든 면, 면상발열체(100) 중에서 단자부(120) 부근까지 덮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는 튜브(170,180)의 외면을 최대한 감싸도록 부착되고, 튜브(170,180)와 면상발열체(100) 사이에 빈틈이 없도록 면상발열체(100) 중 튜브(170,180)의 양측에도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튜브(170,180)가 연결단자(151,161)와 와이어(150,160)의 연결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먼 위치까지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부(120), 연결단자(151,161)뿐만 아니라 튜브(170,180) 중 와이어(150,160)와 연결단자(151,161)의 연결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먼 위치까지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가 부착되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면상발열체(100)의 내전압 안정성이 확보된다.
이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70,180)에 내전압 봉(S)을 대고 내전압 테스트를 진행하여도 NG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은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 중 적어도 단자부(120)가 위치되는 부분과 단자부(120)의 타면에 양면이 각각 부착되는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는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 중 면상발열체(100)의 단자부(120)가 구비될 위치에 부착되고,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의 일면에 면상발열체(100)의 단자부(120)가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은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실리콘을 도포시키지 않아도 탑플레이트(60)와 면상발열체(100) 간에 전류가 차단되어 면상발열체(100)의 내전압 안정성이 확보되고, 실리콘을 도포시키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전기밥솥(10)의 제작공정이 개선된다.
보다 자세하게, 본 실시례는 종래와 달리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실리콘이 도포되지 않아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과 면상발열체(100)의 타면이 서로 접촉된다. 즉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접촉되는 면상발열체(100) 중 단자부(120)의 타면과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 사이에 실리콘이 도포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의 크기는 단자부(12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자부(120)나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의 제작오차가 생기더라도 단자부(120)의 모든 부분에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면상발열체 ============================
이하에서는 면상발열체(100)의 구체적인 형상과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면상발열체(100)는 폴리이미드(PI) 필름(101)을 포함하며 이루어진다.
면상발열체(100)를 구성하는 필름(101)에는 면상발열체 패턴(110)이 인쇄된다.
면상발열체 패턴(110)은 통전 시 열을 발생시키는 저항 발열체로 이루어진 패턴을 의미한다. 면상발열체 패턴(110)은 Fe, Al, Cu 등의 단원소 금속 박막이나 철계(Fe-X), 철크계(Fe-Cr), FeCrAl 등의 합금 박막 등이 될 수 있으며, 패턴(110)의 재료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례는 면상발열체(100)가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접촉된 채 고정되도록, 면상발열체(100)의 타면과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일면과 타면이 각각 접촉되는 양면 테이프(tape)(80)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는 양면 테이프(80)의 일면과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례와 달리 양면 테이프(80)가 아니라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접착 성분을 도포시키므로써 면상발열체(100)의 필름(101)의 타면이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접착되어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면상발열체(100)가 접촉된 채 고정될 수도 있다.
면상발열체(100)의 형상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면상발열체(100)는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구비된 구조물, 예를 들어 내부커버(50)와 외부커버(미도시) 결합 시 나사 등이 삽입되는 보스(90) 등과 간섭되지 않도록 필름(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하게 파인 부분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름(101)의 대략 중앙부에는 내부에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는 타공부(19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을 기준으로 필름(101) 중 상부에는 단자부(120)가 존재한다. 즉, 단자부(120)는 면상발열체(100) 필름(101)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부분에 위치된다.
단자부(120)는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인풋 단자(130)와 아웃풋 단자(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서 인풋 단자(130)는 우측에, 아웃풋 단자(140)는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필름(101)에 인쇄된 면상발열체 패턴(110)의 대략적인 형상은 다음과 같다.
크게 필름(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외곽 패턴(131)과, 제1외곽 패턴(131)보다 필름(101)의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외곽 패턴(132)이 형성된다. 즉, 제1외곽 패턴(131)이 인풋 단자(130)로부터 필름(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름(101)의 가장자리를 거의 한 바퀴 도는 형상으로 패턴이 형성된다.
제1외곽 패턴(131)은 단부가 아웃풋 단자(140)와 가장 근접한 곳에서 반원형상의 절곡부를 통해 제2외곽 패턴(132)과 연결된다.
제2외곽 패턴(132)은 제1외곽 패턴(131)과는 반대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필름(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2외곽 패턴(132)의 단부(132b)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직선부와, 제1직선부의 단부에서 반원 형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절곡부로부터 이어지며 제1직선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직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심 패턴 영역(103,10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점선(A-A')을 기준으로 점선(A-A')의 아래에 위치한 영역을 제1중심 패턴영역(103)이라 하며, 점선(A-A')의 위에 위치한 영역을 제2중심 패턴영역(105)이라 정의한다.
제1중심 패턴영역(103)의 단부는 도 1의 점선(A-A') 상에서 제2중심 패턴영역(105)의 전단과 연결되고, 제2중심 패턴영역(105)의 단부는 아웃풋 단자(140)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중심 패턴영역(105)은 연장된 거리가 아웃풋 단자(140)로부터 가까운 다수개의 직선부와 다수개의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반면에 제1중심 패턴영역(103)은 연장된 거리가 인풋 단자(130)로부터 가까운 다수개의 직선부와 다수개의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단자부 ============================
이하에서는 단자부(120), 단자부(120)와 관련된 구성들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의 B-B' 점선처럼 잘린 단면은 도 3과 같이 아래에서 위로 탑플레이트(60), 양면 테이프(80),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 면상발열체(100), 와이어(150,160)와 튜브(170,180)가 연결된 연결단자(151,161), 실리콘(250),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 순으로 중첩된다.
도 3은 아웃풋 단자(140)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나, 그 형상과 구성은 인풋 단자(130)의 단면과 동일하다.
본 실시례에서 면상발열체(100)에는 단자부(120)에 포함되는 인풋 단자(130)와 아웃풋 단자(140)간에 간격이 이격되도록 절개부(135)가 형성된다. 따라서, 인풋 단자(130)의 측면과 아웃풋 단자(140)의 측면사이에는 이격 거리가 형성된다.
한편, 연결단자(151,161)는 대략 모서리가 둥근 사각 형상이고 2개의 관통홀(155,165)이 형성되며 후술될 제2연결부(115,125)에 접촉되는 편과, 편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와이어(150,160)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접속부(163)로 이루어진다.
연결단자(151,161)는 인풋 단자(130)와 아웃풋 단자(140)가 각각 위치되는 제1연결단자(151)와 제2연결단자(1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연결단자(151)와 제2연결단자(161)는 형상이 동일하다.
한편, 튜브(170,180)는 와이어(150,160)에 끼워지되 와이어(150,160)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접속부(163)까지 끼워진다. 즉 튜브(170,180)는 와이어(150,160)와 접속부(163)에 동시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163)와 와이어(160)가 접촉된 부분 중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은 튜브(180)에 가려져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한편, 튜브(170,180), 연결단자(151,161), 단자부(120)에 도포되는 실리콘(250)은 적어도 튜브(170,180) 중 접속부(163)와 접촉된 부분, 관통공이 형성된 접속부(163)의 단부, 연결단자(151,161) 전체, 단자부(120) 중 연결단자(151,161)와 근접한 부분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실리콘(250)은 면상발열체(100)의 타면을 제외한 일면에만 도포되는 것이다.
이때 실리콘(250)은 튜브(170,180)와 접속부(163)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있을 경우, 그 공간에도 도포되는 것이 좋다.
한편, 인풋 단자(130)가 위치한 필름(101) 상에는 인풋 단자(130)의 제1연결부(미도시)가 위치된다.
인풋 단자(130)의 제1연결부(미도시)는 제1외곽 패턴(131)과 연결된다.
인풋 단자(130)의 제1연결부(미도시)는 직사각형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인풋 단자(130)의 제1연결부(미도시)의 하면은 필름(101) 상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인풋 단자(130)의 제1연결부(미도시)의 상면에는 인풋 단자(130)의 제2연결부(115)가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풋 단자(130)의 제1연결부(미도시)의 상면과 인풋 단자(130)의 제2연결부(115)의 하면이 서로 접한다.
인풋 단자(130)의 제2연결부(115)의 상면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1연결단자(151)가 위치된다. 즉,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금속 재질의 제1연결단자(151), 인풋 단자(130), 인풋 단자(130)의 제1연결부(미도시), 그리고 필름(101)이 차례차례 중첩된다.
한편, 인풋 단자(130)의 제2연결부(115)의 상면에 위치한 제1연결단자(151)는 2개의 리벳에 의해 관통되며 필름(101)상에 고정된다.
한편 제1연결단자(151)에 제1와이어(150)가 납땜 또는 압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며, 연결된다.
한편, 아웃풋 단자(140)의 제2연결부(125)의 상면에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2연결단자(161)가 리벳에 의해 필름(101)상에 고정된다.
제2연결단자(161)에 제2와이어(160)가 납땜 또는 압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며, 연결된다.
한편, 제1와이어(150)와 제2와이어(160)는 각각의 연결단자(151,161)와 연결되지 않은 쪽이 면상발열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 제조방법 ========================
이하에서는 도 5를 토대로 본 발명의 전기밥솥(10)의 제조방법의 실시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 따른 전기밥솥(10)의 제조방법은, 내솥(20)을 수용하는 본체(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4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 중 적어도 면상발열체(100)의 단자부(120)가 위치될 부분에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를 부착하는 단계(S10),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의 일면에 단자부(120)의 타면이 부착되도록 면상발열체(100)를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부착시키는 단계(S60), 단자부(120)에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를 부착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면상발열체(100) 부착 단계(S60)는, 면상발열체 패턴(110)이 인쇄된 필름(101)으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100)에 형성된 단자부(120)에 와이어(150,160)와 튜브(170,180)가 결합된 연결단자(151,161)가 연결되고, 단자부(120)와 연결단자(151,161) 및 튜브(170,180)의 일면에 실리콘이 도포된 면상발열체(100)를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부착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 부착 단계(S70)는,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가 튜브(170,180)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7mm 길이만큼 부착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례의 전기밥솥(10)의 제조방법은, 우선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면상발열체(100)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접착제(80), 즉 양면 테이프(80)를 배치시킨다.
이후, 면상발열체(100)의 단자부(120)가 위치될 부분에 단자부(120) 형상과 유사한 크기의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를 부착시킨다(S10). 이때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는 타면의 적어도 일부가 양면 테이프(80)의 일면에 부착된다.
이후, 인풋 단자(130)와 아웃풋 단자(140)에 제1,2연결단자(151,161)를 각각 배치시키고(S20), 연결단자(151,161)의 단부인 접속부(163)에 와이어(150,160)의 단부를 삽입시키며(S30), 접속부(163)와 와이어(150,160)의 연결부를 가리도록 튜브(170,180)를 접속부(163)의 외면에 끼워지게 한다(S40).
이후, 단자부(120)와 연결단자(151,161) 및 튜브(170,180)의 일면에 실리콘(250)을 도포시키되, 적어도 접속부(163)에 끼워진 튜브(170,180) 중 접속부(163)와 접촉된 부분, 관통공이 형성된 접속부(163)의 단부, 연결단자(151,161) 전체, 단자부(120) 중 연결단자(151,161)와 근접한 부분에 실리콘(250)이 도포되게 한다(S50). 따라서,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100)의 단자부(120)의 타면과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실리콘을 도포시키지 않아 전기밥솥(10)의 제작공정이 개선된다.
이후,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의 일면에 단자부(120)의 타면이 부착되도록 면상발열체(100)를 탑플레이트(60)의 일면(61)에 위치시킨다(S60).
이후, 실리콘(250) 전체와 단자부(120)의 모든 면 및 면상발열체(100) 중에서 단자부(120) 부근까지 덮어 단자부(120)에 대응되도록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를 부착시킨다(S70). 이때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와 튜브(170,180)의 겹치는 거리가 최소 7mm 이상이 되도록 부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전기밥솥(10)은 튜브(170,180)가 접속부(163)와 와이어(150,160)의 연결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먼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튜브(170,180)에는 접속부(163)와 와이어(150,160)의 연결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최소 7mm 이상의 위치까지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200)가 부착되어 있어 단자부(120)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므로 면상발열체(100)의 내전압 안정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례와 달리 인풋 단자(130)와 아웃풋 단자(140)에 제1,2연결단자(151,161)를 각각 배치시키는 단계(S20), 연결단자(151,161)의 단부인 접속부(163)에 와이어(150,160)의 단부를 삽입시키는 단계(S30), 접속부(163)와 와이어(150,160)의 연결부를 가리도록 튜브(170,180)를 접속부(163)의 외면에 끼워지게 하는 단계(S40) 및 단자부(120) 중 연결단자(151,161)와 근접한 부분에 실리콘(250)이 도포되게 하는 단계(S50)는, 면상발열체(100)의 단자부(120)가 위치될 부분에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S10)보다 먼저 실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면상발열체(100)가 단자부(120)에 와이어(150,160)와 튜브(170,180)가 결합된 연결단자(151,161)가 연결되고, 단자부(120)와 연결단자(151,161) 및 튜브(170,180)의 일면에 실리콘(250)이 도포된 상태에서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300)를 부착하는 단계(S10)가 실행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서는 와이어(150,160) 및 튜브(170,180)의 도시가 일부 생략되었다. 도 3은 아웃풋 단자(140)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지만, 인풋 단자(130)와 형상 및 구조가 동일하다. 또한 도 3은 후술될 제2연결부(125)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전기밥솥 20 : 내솥
30 : 본체 40 : 뚜껑
60 : 탑플레이트 100 : 면상발열체
101 : 필름 120 : 단자부
130 : 인풋 단자 140 : 아웃풋 단자
150, 160 : 와이어 151 : 제1연결단자
161 : 제2연결단자 163 : 접속부
170, 180 : 튜브 200 : 제1폴리이미드 테이프
250 : 실리콘 300 : 제2폴리이미드 테이프

Claims (4)

  1. 내솥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내부에 위치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되며, 면상발열체 패턴이 인쇄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
    상기 면상발열체에 형성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
    상기 탑플레이트의 일면 중 적어도 상기 단자부가 위치되는 부분과 상기 단자부의 타면에 양면이 각각 부착되는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밥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의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와이어의 연결부를 가리도록 상기 와이어에 끼워지는 튜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는 상기 튜브의 단부부터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7mm 길이만큼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내솥을 수용하는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의 내부에 위치하는 탑플레이트의 일면 중 적어도 면상발열체의 단자부가 위치될 부분에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폴리이미드(PI) 테이프의 일면에 상기 단자부의 타면이 부착되도록 상기 면상발열체를 상기 탑플레이트의 일면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단자부의 상부에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 부착 단계는, 상기 단자부에 와이어와 튜브가 결합된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연결단자 및 상기 튜브의 일면에 실리콘이 도포된 면상발열체를 상기 탑플레이트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 부착 단계는, 상기 제1폴리이미드(PI) 테이프가 상기 튜브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7mm 길이만큼 부착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의 제조방법


KR1020170084129A 2017-07-03 2017-07-03 전기밥솥 및 그 제조방법 KR10226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129A KR102264449B1 (ko) 2017-07-03 2017-07-03 전기밥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129A KR102264449B1 (ko) 2017-07-03 2017-07-03 전기밥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054A KR20190004054A (ko) 2019-01-11
KR102264449B1 true KR102264449B1 (ko) 2021-06-15

Family

ID=6502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129A KR102264449B1 (ko) 2017-07-03 2017-07-03 전기밥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4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619A (ja) 1999-02-26 2000-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JP2010503153A (ja) 2006-08-29 2010-01-28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耐アーク性マイクロ波サセプタ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452B1 (ko) 2002-11-20 200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밥솥의 보온히터
KR20040081909A (ko) 2003-03-17 200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밥솥
KR20160126625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밥솥
KR20170071171A (ko) * 2015-12-15 2017-06-2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밥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619A (ja) 1999-02-26 2000-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JP2010503153A (ja) 2006-08-29 2010-01-28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耐アーク性マイクロ波サセプタ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054A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235754U (zh) 电饭锅
CN209219933U (zh) 电饭锅
JP5295374B2 (ja) 加熱装置
KR20170071171A (ko) 전기밥솥
CN110300472B (zh) 感应烹饪器具
US10788218B2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TW201603760A (zh) 煮飯器
JP5693505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264449B1 (ko) 전기밥솥 및 그 제조방법
US2473783A (en) Portable heater
US3217138A (en) Electric immersion heater assembly
KR102264448B1 (ko) 전기밥솥
KR200479937Y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KR102421922B1 (ko) 전기밥솥
EP2878242B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products
KR102454018B1 (ko) 전기 밥솥
JP7108447B2 (ja) 調理器
CN111656864B (zh) 用于炉顶部的感应加热器
KR20180031956A (ko) 전기 밥솥
KR102377828B1 (ko) 전기밥솥용 면상발열체의 고정구조
US1719872A (en) Electric heater
KR102377829B1 (ko) 전기밥솥
KR102492362B1 (ko) 전기밥솥
JPH10113293A (ja) 電気調理器
JP6964155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