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286B1 -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 - Google Patents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286B1
KR102264286B1 KR1020200152866A KR20200152866A KR102264286B1 KR 102264286 B1 KR102264286 B1 KR 102264286B1 KR 1020200152866 A KR1020200152866 A KR 1020200152866A KR 20200152866 A KR20200152866 A KR 20200152866A KR 102264286 B1 KR102264286 B1 KR 102264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old
duct
reinforcing layer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하윤
윤금수
Original Assignee
(주)명성씨.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4173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642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씨.엠.아이 filed Critical (주)명성씨.엠.아이
Priority to KR102020015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2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 B29B15/125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8Releas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7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profiled sheet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1Positioning reinforcements in a mould, e.g. using clamping means for the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72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FRP 덕트를 제작함에 있어 비닐에스테르 수지에 수산화알루미늄 및 삼산화안티몬을 첨가한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를 통하여 내식성이 우수한 내식층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페놀수지에 경화제, 산화알루미늄 및 삼산화안티몬의 혼합물을 첨가한 페놀복합수지를 통하여 불연성이 우수하도록 하며, 특히 보강층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몰드 외면에 페놀복합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을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인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FRP DUCT PRODUCTION METHOD AND FRP DUCT USING THIS}
본 발명은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FRP 덕트를 제작함에 있어 비닐에스테르 수지에 수산화알루미늄 및 삼산화안티몬을 첨가한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를 통하여 내식성이 우수한 내식층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페놀수지에 경화제, 산화알루미늄 및 삼산화안티몬의 혼합물을 첨가한 페놀복합수지를 통하여 불연성이 우수하도록 하며, 특히 보강층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몰드 외면에 페놀복합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을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인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장 및 화학공장 등에서는 덕트 및 화학탱크가 사용되고 있으며, 유독가스 및 산배기 가스 이송 덕트, 화학약품 저장탱크 등의 재료로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을 이용하고 있다.
즉, 이러한 공장에서 사용되는 덕트는 강한 화학물질로 인하여 내식성이 우수해야하며, 이로 인해 내식성이 우수한 덕트를 제작하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덕트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014592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공조 및 배기용 사각 덕트의 제작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조립식 형틀을 회전축에 장착시켜 구동모터에 의해서 회전시키고, 선택적으로 써페이스 스트랜드 매트 및 촙드 스트랜드 매트 중 최소한 하나를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도포된 형틀에 적층시키고,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함침시킨 유리섬유사를 상기 적층된 매트 위에 소정의 두께만큼 감으며, 이 위에 선택적으로 써페이스 스트랜드 매트 및 촙드 스트랜드 매트를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도포한 후에 적층 시켜서 이루어지는 단계로 구성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을 이용한 공조 및 배기용 사각 덕트의 제작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84630호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덕트 및 이의 제작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덕트는 중공체를 이루며 수지로 형성되는 내부 보호층과, 상기 내부 보호층에 적층되는 제1부직포와, 상기 제1부직포를 감도록 이루어지며 수지가 단위섬유층에 함침된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을 감도록 이루어지는 제3부직포 및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부직포에 적층되는 외부 보호층을 포함하여 누수가 없고 내식성이 우수하며 강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자체 탄성을 보유하므로 충격에 의한 균열 또는 깨짐이 없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덕트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4-0103708호 『복합재 덕트 및 복합재 롤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섬유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내부덕트와, 상기 내부덕트의 표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고 보강섬유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일방향 직물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되어 형성된 일방향 프리프레그층 및 상기 일방향 프리프레그층의 표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고 보강섬유가 배열되어 있는 직물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되어 형성된 직물형 프리프레그층을 포함하는 복합재 덕트 및 복합재 롤러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01079호 『필라멘트 와인딩법에 의한 사각 에프알피 덕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일정한 곡률을 지닌 몰드를 와인딩 머신에 장착하여 써페이스 메트, 촙드 스트랜드 메트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성형되는 1차 성형품에 불포화 홀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침 시킨 유리섬유사를 일정 두께까지 연속적으로 감아 성형시킨 사각형의 단면을 지닌 에프알피 덕트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도 알 수 있듯이, 최근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하는 화재 사고로 인해 막대한 재산피해와 환경적 피해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며, 특히 반도체 공장 및 화학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덕트 및 화학탱크의 재질은 대부분이 FRP 소재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소재는 뛰어난 기계적 특성과 플라스틱의 우수한 내식성을 가지고 있으며, 철강 재료보다 비중이 작고 강도가 높으며, 성형성이 우수해 뛰어난 기능성 재료로서 주목 받고 있는 재료이다. 그래서 유독가스 및 산배기 가스 이송 덕트, 화학약품 저장탱크 등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FRP의 경우 난연수지를 이용하여 제품이 제작되고 있지만, 화재 발생 시 불연 재질이 아니므로 화재로 인한 파손 시, 그 피해는 막대할 것으로 예상하며, 그 안에 저장되어 있는 약품 및 가스로 인한 2차 피해 역시 수치로 예상하기 힘든 엄청난 양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산업안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불연성 재질의 FRP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즉, 일반 덕트나 덕트의 경우에는 화재 발생시 원형 보전이 어려워 공장 전체로 화재가 확산될 우려가 있으며, 가연성 자재로서 화재 시 많은 연기가 나와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식성 및 불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제를 혼합하는 경우, 혼합 비율이 적절하지 못하면 제작의 어려움이 생기고, 제작 후에도 열 변형을 일으킴에 따라 제품의 완성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몰드 외면에 이형층 및 내식층, 보강층을 형성하여 FRP 덕트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 내식층 및 보강층을 각각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와 페놀 복합수지로 성형함에 따라 종래의 덕트에 비하여 내식성 및 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FRP 덕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보강층을 성형함에 있어, 보강층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페놀 복합수지를 유리섬유에 함침시킨 후, 이 유리섬유를 몰드에 감아 성형하는데, 이 때 편심롤러를 통하여 유리섬유에 묻는 페놀 복합수지의 양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서 페놀 복합수지가 과하거나 적게 함침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FRP 덕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FRP 덕트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FRP 덕트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FRP 덕트의 제조방법은
회전유도수단을 통해 덕트 형상의 몰드를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준비하는 몰드 준비단계;
상기 몰드 인근에 몰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를 이용하여 이형제 필름을 몰드 외면에 감아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본체를 이용하여 몰드 외면에 촙드 스트랜드 매트(Chopped Strand Mat)에 비닐 에스테르 복합수지를 함침시킨 후, 상기 이형층 외면에 감아 내식층을 형성하는 내식층 형성단계;
경화유닛을 이용하여 내식층을 경화하는 제1경화단계;
상기 경화된 내식층 외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 인근에 몰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강층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유리섬유에 페놀 복합수지를 함침시킨 후, 상기 프라이머층 외면에 감아 보강층을 형성하는 보강층 형성단계;
경화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층을 경화하는 제2경화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는
상기 몰드 인근에 몰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페놀 복합수지가 채워지는 수지함침부와, 상기 수지함침부 내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회전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수의 가닥으로 공급되는 유리섬유가 상기 수지함침부를 통과하되, 상기 공회전롤러에 밀착되어 유리섬유 표면에 수지가 함침되면서 상기 몰드 외면에 감겨 보강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FRP 덕트의 제조방법은
비닐에스테르 수지에 수산화알루미늄 및 삼산화안티몬이 첨가된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를 이용하여 내식층을 형성하고, 화재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불연성의 페놀 및 수산화알루미늄 및 삼산화안티몬이 첨가된 페놀 복합수지를 통해 보강층을 형성함으로서, 종래의 덕트에 비해 내식성과 함께 불연성이 강하고 및 유독 GAS 발생이 적으며,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강도가 유지되고, 제품의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화재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보강층을 형성할 때, 보강층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페놀 복합수지의 함침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페놀 복합수지가 유리 섬유에 과함침되어 물성의 변화를 주거나, 적게 함침되어 불연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여, 제품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층 형성장치의 사진도 및 각 구성 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FRP 덕트의 제조방법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 성형단계 및 몰드 준비단계를 도시한 사진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사진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경화유닛의 사진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FRP 덕트의 단면도
도 16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FRP 덕트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FRP 덕트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FRP 덕트를 제조하는 방법(M)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FP)에 관한 것으로, 각 공정에 대하여 먼저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준비단계(M1), 이형층 형성단계(M2), 내식층 형성단계(M3), 제1경화단계(M4), 프라이머층 형성단계(M5), 보강층 형성단계(M6), 제2경화단계(M7) 및 탈형단계(M8)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하, 각각의 공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본 발명에 따른 FRP 덕트(FP)는(도15 참조) 상기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몰드는 성형하고자 하는 덕트의 내경, 길이 등을 토대로 제작되는 것으로, 덕트의 형상과 동일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몰드의 중심축은 상기 몰드의 양측 단부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말하며, 이 중심축은 몰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FRP 덕트를 제조하는 방법(M)에 있어, 덕트 형상의 몰드(Md)를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회전유도수단(10)에 결합시켜,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몰드가 공회전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단계를 진행한다.(몰드 준비단계(M1))
상기와 같이 몰드 준비단계에 의하여 몰드가 회전유도수단(10)에 의해 공회전 가능하게 준비되면, 상기 몰드 외면에 이형제 필름을 감아 이형층(100)을 형성하는 단계를 진행하게 되며, 이 때 본 발명은 필름공급부(21)가 구비되는 본체(20)를 이용하여 몰드 외면에 이형제 필름을 손쉽게 감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M2)
상기와 같이, 본체(20)를 이용하여 내식층이 몰드 외면에 형성되면, 상기 내식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진행하게 되며,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몰드 인근에 배치되는 경화유닛(30)을 통하여 상기 내식층을 경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경화단계를 마친 몰드, 즉 내식층이 형성된 몰드 외면에는 보강층을 형성단계를 통하여 보강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보강층은 보강층 형성장치(40)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몰드 외면, 보다 정확하게는 경화된 내식층 외면에 감겨 보강층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내식층과 보강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라이머를 더 도포(코팅)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으며,(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는 일정한 점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하루에 사용될 양을 고려하여 한시간 전에 실온에서 준비해야 하며,
상기 프라이머에서 요구되는 주요물성은 내식층인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와 보강층인 페놀 복합수지와의 부착성이 요구되며, 부착성이 어느 한층에 치우치지 않는 균형있는 층간 밀착성이 필요하다. 또한 유리섬유와의 습윤성이 우수하여야하며 작업장의 환경에 맞는 경화시간을 갖춰야한다.
이를 위하여 내식층과 보강층의 수지와 화학적 구조가 유사하여 부착성이 우수한 비스페놀(Bisphenol)계 에폭시 및 페놀 노볼락(Phenol Novolac) 에폭시, 크레솔 노볼락(Cresol Novolac) 에폭시를 사용하며, 경화제로 변성 방향족 아민(Aromatic amine)과 변성 지방족 아민(Aliphatic amine)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나아가 작업 시에 원활한 점도를 맞추기 위하여 반응성 희석제인 지방족 Mono 에폭시 또는 Di 에폭시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한다.
경화제로 사용하는 방향족 아민(Aromatic amine)은 내식층과 보강층 소재의 밀착성을 향상시켜주며, 경도 및 내구성을 우수하게 한다. 아민가(Amine Value)가 200~400이며 활성수소 당량이 80~150인 변성 방향족 아민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성 방향족 아민은 phenyldiamine, Toluenediamine, Meta-Xylene diamine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변성되는 에폭시는 Bisphenol 에폭시, 지방족 Mono 에폭시, 지방족 Di 에폭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변성 지방족 아민(Aliphatic amine)은 추가로 사용되는 경화제로 유리섬유와의 침투력이 우수하며 아민가가 180~350이며 활성수소 당량이 100~180이다. Ethylenediamine, Diethylenetriamine, Triethylenetetraamine, Tetraethylenepentami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프라이머는 내식층인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 위에 적용되어 경화 후에 보강층인 페놀 복합수지를 형성하는 구조에 있어서 견고한 접착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있는 층간 밀착성 및 유리섬유와의 습윤성이 우수하다.
경화제는 변성 방향족 아민과 변성 지방족 아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그 비율은 프라이머 전체 총 중량을 100중량부라 할 때, 방향족 아민은 10~60중량부, 지방족 아민은 20~7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코팅된 몰드는 프랑이머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단계를 또 한번 거치게 되고, 이러한 경화단계는 일반적으로 상온 30℃ 이하시 경화실 50 ~ 60℃에서 30분 정도 경화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화유닛(30)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프라이머 상부에는 페놀 복합수지를 이용하여 보강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보강층은 본체(20)와 유사한 보강층 형성장치(40)를 통하여 자동으로 공급 및 몰드 외면을 감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는 상기 몰드 인근에 몰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레일(4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페놀 복합수지가 채워지는 수지함침부(42)와, 상기 수지함칩부 내에서 공회전하여 상기 페놀 복합수지를 외면에 묻히는 공회전롤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는 복수의 가닥으로 공급되는 유리섬유를 모아 상기 수지함침부(42)를 통과시켜 유리섬유 표면에 수지가 함침될 수 있도록 하고, 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의 단부를 상기 몰드 외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프라이머층 표면에 부착시킨 후, 상기 회전유도수단(10)을 회전시키고, 상기 몰드의 회전속도에 맞게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를 제2레일(41) 또는 제1레일(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몰드 외면에 상기 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를 복수번 감아 보강층을 형성하게 된다.
우선,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의 후단에는 롤타입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유리섬유가 배치되어 있고, 이 각각의 유리섬유의 단부들을 모아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 후방에 구비되는 제1정렬부(45)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지함침부(42) 및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 전방에 구비되는 제2정렬부(46)를 통과하여 상기 몰드 외면에 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몰드 외면에 상기 유리섬유의 단부가 부착되면, 상기 회전유도수단(10)을 동작하여 유리섬유를 몰드 외면에 반복적으로 감아 보강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 후방에 구비되는 제1정렬부(45)는 봉부재(451)와, 상기 봉부재(451) 일측에 구비되되 서로 이격된 복수의 핀부(452)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유리섬유가 상기 복수의 핀부(452)들 사이를 통과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수지함치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정렬부(45)는 상하 배열된 두 개의 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공급되는 유리섬유의 양에 따라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수지함침부(42)는 수지(페놀 복합수지)가 채워지는 바스켓으로, 상기 수지함침부(42) 내에는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회전롤러(43)이 구비되며, 상기 공회전롤러(43) 전방에는 상기 유리섬유가 공회전롤러(43)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밀착유도롤러(44)가 구비되며, 이 밀착유도롤러(44)의 상단부는 상기 공회전롤러(43)의 상단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공회전롤러(43) 상부면을 지나간 후, 상기 밀착유도롤러(44)의 하부에 밀착되어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밀착유도롤러(44)가 상기 공회전롤러(43) 상단부보다 낮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공회전롤러(43) 상부면에 상기 유리섬유가 완전하게 밀착되어 수지가 효과적으로 함침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착유도롤러(44) 전방에는 상기 제1정렬부(45)와 동일한 형상의 제2정렬부(46)가 구비되어, 상기 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가 상기 몰드 외면에 감길 때에도 각각의 유리섬유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지함침부(42) 및 공회전롤러(43)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지함침부(42)에는 공급되는 페놀 복합수지가 채워지고, 상기 공회전롤러(43)는 채워진 수지에 일부 잠기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섬유가 몰드에 감기는 힘에 의해 공회전하여 외면에 수지를 묻힌 후 상기 유리섬유에 수지를 함침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페놀 복합수지가 상기 유리섬유에 과도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본 발명은 상기 수지함침부(42)에 편심롤러(4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심롤러(47)는 상기 공회전롤러(43) 외면에 접촉되거나 근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공회전롤러(43) 외면에 묻는 페놀 복합수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롤러(47)는 상기 공회전롤러(43)와 나란하게 위치하되, 상기 공회전롤러(43) 외면에 접촉되거나 근접하게 위치하는 편심봉(47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편심봉(471)은 명명과 같이 일측으로 편심된 편심축(472)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수지함침부(42)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편심축(472)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4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축(472)은 상기 고정부재(421)에 공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편심봉(471)을 편심축(472)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편심봉(471)의 외면과 상기 공회전롤러(43)의 외면 사이의 거리가 바뀌게 되며, 이에 도8을 참조하여 각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수지함침부(42)의 일측 병 상단에는 곡선홀(422A)이 형성된 손잡이판(422)이 구비된다.
상기 편심축(472)은 상기 공회전롤러(43)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거리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편심봉(471)의 상부외면에는 수직손잡이(473)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손잡이(473) 단부에는 상기 곡선홀(422A)을 관통하도록 절곡된 수평손잡이(474)가 구비된다.
상기 곡선손잡이를 상기 곡선홀(422A)을 따라 이동시키면, 상기 편심봉(471)이 상기 편심축(472)을 기준으로 공회전하게 되고,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봉(471)이 회전하면 상기 편심봉(471)과 공회전롤러(43)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및 근접배열된 상태로 변위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공회전롤러(43) 외면에 묻는 수지를 상기 편심롤러(47)가 쓸어내려 공회전롤러(43)에 묻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곡선홀(422A)에 삽입되는 수평손잡이(474)는 너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판(422)에 위치 조정 후 고정됨으로서, 공회전롤러(43) 외면에 묻는 수지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에는 몰드의 외면을 가압하여 와인딩되는 매트 또는 유리섬유를 몰드 외면에 밀착시키면서 기포를 제거하는 밀착수단(5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밀착수단(50)은 수작업으로도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반도체 공정의 후처리 시설에 사용되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는 열 경화성 수지인 비닐에스테르(Vinylester) 수지를 유리섬유에 도포하여 내식층과 보강층을 형성하였으나, 화재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보강층은 페놀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있다.
페놀 수지는 분자 구조내의 탄소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불에 타지 않는 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내열성을 요구하는 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불연성 및 유독가스 발생이 적은 이유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구조물에 적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내식성 및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성능을 극대화 하고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닐에스테르수지와 페놀수지에 첨가물을 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층을 형성하는 수지는 페놀 복합수지로서, 상기 페놀 복합수지는 페놀수지에 경화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난연성 및 불연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놀 복합수지는 촉매제가 첨가된 페놀수지에 경화제와, 수산화알루미늄 및 삼산화안티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페놀수지는 페놀 분자 내에 반응성이 풍부한 메티롤 레졸 레진(Methylol Resol Resin)으로서 가열에 의해 B-Stage를 경과하여 최종적으로 반응이 거의 종결되어 더 전환되는 C-Stage까지 반응이 형성되는 열경화성 수지이다.
상기 페놀수지를 페놀 모노머(Phenol monmer)와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를 알카리 촉매 하에 가열 축합 반응을 시키면 반응성이 풍부한 메티롤 페놀(Methylol Phenol)이 형성되고,
이 메티롤 페놀(Methylol Phenol)들은 분자량 조절을 위하여 반응 시간을 조절하면 메티롤 그룹(Methylol Group)끼리 반응하여 탈수 반응에 의해 1몰의 물이 빠져나오면서 디메틸-모노-에테르(Dimethyl-mono-Ether)결합을 하면서 수지상(Resin state)을 형성한다. 이같이 분자 구조가 디메틸-모노-에테르(Dimethyl-mono-Ether) 결합되고 일부 메티롤 그룹(methylol group)이 혼재되어 있는 페놀수지를 레졸수지라 칭한다.
상기 B-stage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레진 상태의 레졸수지를 가열하면 수지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메티롤 그룹(methylol group)이 추가로 탈수 반응을 일으키면서 디메틸-모노-에테르(Dimethyl-mono-ether)결합으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분자량이 커지면서 반고체상태로 상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상태를 B-Stage 라고 칭한다. B-Stage상태의 페놀수지는 아직도 분자 구조 내에 디메틸-모노-에테르 그룹(Dimethyl-mono-ether group)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열에 의해 탈수 반응(축합반응)이 가능하며 이는 곧 열가소성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C-stage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B-stage의 디메틸-모노-에테르(Dimethyl-mono-ether) 분자 구조가 추가 가열에 의하여 친핵 결합을 할 수 있는 포름알데하이드 1몰이 이탈되면서 디메틸-모노-에테르(Dimethyl-mono-ether) 결합이 메틸렌(Methylene) 결합으로 전환되고 , 이탈된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가 다시 페놀 골결에 축합반응을 진행시켜 결국에는 3차원의 불용-불융의 망상구조인 열경화성 상태로 종결 반응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C-Stage 반응은 디메틸-모노-에테르(Dimethyl-mono-ether) 결합이 열 해리되어 메틸렌(Methylene) 결합으로 전환되기 위해 최소 인가되는 온도가 최소 1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이 되어야만 한다.
또한 상기 페놀수지는 산 경화제를 사용하여 상온 경화 시킬 수 있는데,
산 경화제를 사용할 시에는 굳이 열을 가하지 않아도 경화제에 의해 탈수 축합반응이 형성되어 B-Stage 상태까지 수시간이내에 형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C-Stage까지 반응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소 80~100℃ 에서 후경화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경화를 시켰을 경우에는 열경화 원리와 동일하게 메틸렌 결합으로 전환된다.
상기 페놀 복합수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페놀 수지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중탕기 및 열풍기를 이용하여 1일 사용량을 토대로 최소 1시간 전에 가열하며, 가열 온도는 15~2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가열된 페놀수지를 하기 배합비율을 참조하여, 교반기를 통해 교반한다.
2-1. 배합비율
페놀수지를 100중량부라 할 때, 촉매제 15~25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40~60중량부, 삼산화안티몬 10~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촉매제 20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50중량부, 삼산화안티몬 15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수산화알루미늄 40~60중량부에서 6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교반과정에서 수지의 점도가 급격히 높아져 후속 공정작업을 진행할 수 없으며, 40중량부미만을 적용할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연성이 떨어지고 완성된 덕트 제품의 수축현상이 발생하고,
삼산화안티몬 10~20중량중랴부에서 20중랴부를 초과할 경우, 교반과정에서 수지의 점도가 급격히 높아져 후속 공정작업을 진행할 수 없으며, 10중량부미만의 경우, 불연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페놀 복합수지의 배합순서는 다음과 같다.
1) 가열된 페놀수지를 이송용 바스켓에 받는다.
2) 혼합 바스켓을 저울위에 놓고 '0'점 조정 후, 상기 배합비에 의해 페놀수지를 투입한다.
3) 저울을 다시 '0'점 조정 후, 혼합 바스켓에 수산화알루미늄 및 삼산화안티몬을 상기 배합비에 의거하여 투입한다.
4) 저울을 다시 '0'점 조정 후, 상기 배합비에 의거하여 촉매제를 넣는다.
5)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한다.
이 때 균일한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 페놀 수지의 온도를 18~27℃도 유지하도록 하며, 온도 저하시에는 중탕기나 열풍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맞출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리섬유는 ilane 처리된 "E" 타입의 유리섬유로서 FRP 산업에 가장 응용범위가 넓은 기초재질로서, Filament Winding용 덕트의 보강제로 사용되며, 흔히 Roving Winding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 본 발명은 상기 보강층 내에 내식층을 더 형성하고, 이를 위하여 몰드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수다(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유도수단(10)은 상기 몰드(Md)를 공회전 가능하게 하여 후술하는 이형제 필름(F), 촙드 스트랜드 매트(CM)를 몰드(Md)가 회전함에 따라 감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몰드(Md)에는 중심축에 대응되는 중심샤프트(Md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유도수단(10)이 상기 중심샤프트(Md1)의 일측 또는 양측을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몰드(Md)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공회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반적으로 몰드(Md)는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중심축과 몰드를 연결하는 보강링(Md2)이 더 필요하며, 이 보강링(Md2)은 상기 몰드의 강도를 보장하여 FRP 덕트 제작 시에 몰드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링(Md2)은 상기 몰드(Md) 내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중심샤프트(Md1)가 고정되어 상기 중심샤프트(Md1)와 몰드를 연결 및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보강링(Md2)의 외경은 상기 몰드의 내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기 보강링(Md2)이 상기 몰드 내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몰드가 내측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보호하고 있으며, 상기 보강링(Md2)은 상기 몰드에 둘 이상의 복수개가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몰드(Md)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강한 압력에 의해 외형이 찌그러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는 후술하는 탈형단계(M8)와 관련된 것으로,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이형제 필름(F)은 덕트 제작이 완료될 때 몰드를 손쉽게 탈형시키기 위하여 몰드 외면에 감는 필름으로, P.E(Poly Etylene) 또는 P.P(Poly Propylene)필름을 사용하며, 본체(20)를 이용하여 상기 몰드 외면에 자동으로 감아 이형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20)는 상기 이형층 및 후술하는 내식층(20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유도수단(10)에 결합된 몰드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하 상기 본체(20)에 대하여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20)는 상기 몰드(상기 회전유도수단(10)에 결합된 몰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레일(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제1레일(22)은 상기 몰드 일측에 상기 몰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서,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제1레일(22)에 결합되는 휠이 더 구비되어, 상기 본체(20)가 상기 제1레일(22)을 따라 몰드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본체(20)를 상기 제1레일(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20)의 이동속도는 상기 이형제 필름 및 매트를 상기 몰드 외면에 감을 때, 회전유도수단(10)의 회전속도에 따라 몰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몰드의 직경, 상기 회전유도수단(10)의 회전속도, 필름 또는 매트의 폭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이형제 필름을 공급하기 위한 필름공급부(2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필름공급부(21)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형제 필름은 롤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필름공급부(21)에 끼워져 풀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형제 필름의 단부를 상기 몰드 외면에 부착시킨 후, 상기 회전유도수단(10)을 통해 몰드를 회전시키고, 몰드의 회전속도에 맞게 상기 본체(20)를 제1레일(22)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면, 상기 이형재 필름이 풀려나가면서 상기 몰드 외면에 와인딩 되어 이형층(100)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형층(100)이 형성된 몰드(Md)에는 내식층(200)을 더 성형하게 되는데, 상기 내식층(200) 또한 상기 본체(20)를 통하여 이형층 외면에 형성되게 되며, 우선 내식층을 형성하기 위한 본체(20)의 구성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20)에는 내식층을 형성하기 위한 매트가 공급되는 매트공급부(23)와, 상기 매트공급부(23)에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Rs)를 함침시키기 위한 함침수단(2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형층(100) 성형과 마찬가지로 회전유도수단(10)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매트가 몰드 외면에 감겨 내식층(200)을 형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트공급부(23)는 상기 내식층을 형성하기 위한 촙드 스트랜드 매트(Chopped Strand Mat)(CM)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매트(CM)는 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트공급부(23)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매트가 상기 매트공급부(23)에 끼워져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트공급부(23)는 상기 본체(20)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20) 전방에는 수지를 함침시키기 위한 함침수단(24)이 구비되어 있다.(여기서 전방과 후방은 상기 매트가 몰드에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한다.)
상기 매트는 상기 몰드 외면에 감기도록 공급되기 전, 상기 함침수단(24)을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함침수단(24)은 충진부재(241)와 공급부재(242) 및 도포롤(2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충진부재(241)는 상기 수지가 충진되는 부재이고, 상기 공급부재(242)는 상기 수지를 공급하는 부재이며, 상기 도포롤(243)은 상기 충진부재(241) 내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재이다.
상기 충진부재(241)는 수지가 채워지는 바스켓의 일종으로, 상기 본체(20) 전방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충진부재(241) 내에는 상기 도포롤(243)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채워진 수지 상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도포롤(243) 상면에 상기 매트가 밀착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도포롤(243)의 외면에는 돌기(362)와 홈으로 이루어지는 빗살부가 더 형성되어 수지을 보다 효율적으로 머금을 수 있도록 하여 밀착되는 매트에 수지를 효과적으로 함침시키도록 한다.
상기 충진부재(241)의 상부에는 상기 충진부재(241)와 이격된 공급부재(242)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 공급부재(242)는 하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급공이 형성된 바스켓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부재(242)는 수지를 상기 충진부재(241)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공급부재(242)에 수지를 채우면 상기 수지가 공급공을 통하여 낙하하고, 이 낙하되는 지점이 상기 도포롤(243) 상면이 되도록 위치함에 따라, 상기 도포롤(243) 상면에 밀착되면서 통과하는 매트에 수지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도포롤(243)은 수지가 공급되는 힘에 의해 수지와의 마찰력을 통하여 공회전됨에 따라, 상기 충진부재(241)에 채워진 수지를 표면에 머금을 수 있도록 하여 매트에 효율적으로 수지를 함침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20)에는 매트가 상기 도포롤(243) 상면에 밀착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장력유지봉(25)이 구비되고, 함침되는 수지의 양을 조절하도록 수지조절봉(26)이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장력유지봉(25)은 상기 도포롤(243)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매트가 상기 장력유지봉(25)의 아래쪽을 통과하도록 하여 공급되는 매트가 평평하게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조절봉(26)은 상기 도포롤(243)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장력유지봉(25)과 마찬가지로 매트가 상기 수지조절봉(26) 하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매트에 함침되는 수지를 쓸어내리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매트가 상기 도포롤(243) 상면에 밀착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장력유지봉(25) 및 수지조절봉(26)의 최상단부가 상기 도포롤(243) 최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내식층 형성단계는 상기 본체(20)를 이용하여 상기 이형층 외면에 자동으로 매트를 감아 내식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매트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촙드 스트랜드 매트를 이용한다.
먼저 상기 촙드 스트랜드 매트는 Silane 및 Binder 처리 된 "E" Type Glass 로서 질량이 380~450g/m2인 것을 사용한다. 이 매트는 강도의 방향성이 없고 작업성이 용이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FRP 보강제이다.
또한 내식층은 상기 매트에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하게 되며, 이 때 사용되는 수지는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이며, 상기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는 비닐에스테르 수지에 수산화알루미늄과 삼산화안티몬을 혼합한 수지를 말한다.
할로겐화합물과 삼산화안티몬의 조합은 화재 발생 시에 방염화 메카니즘으로 효과적인 조합이며 비닐에스테르 수지에 포함된 할로겐과 삼산화안티몬은 연소초기에 서로 반응하여 잘 연소되지 않는 할로겐화 안티몬(Antimony)를 생성한다. 또한 탈수탄화작용 및 Radical Trap효과를 발휘하는 옥시할로겐화 안티몬(Oxyhalogen Antimony) 생성하여 연소되기 어려운 물질이 된다.
수산화알루미늄 (Al(OH)3) 은 흡열량이 높고(470 kcal/kg), 200℃ 정도에서 분해되어 산화알루미늄 (Al2O3) 와 물을 생성하는 아래와 같은 탈수흡열반응으로 연소를 막아준다.
2Al(OH)3 → Al2O3 + 3 H2O (약 200℃)
따라서 잘 연소되지 않는 할로겐화합물과 삼산화안티몬의 조합에 수산화알루미늄의 탈수흡열반응을 추가하여 연소되기 어렵고, 연소시에도 자체적으로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조합으로 내식성 및 난연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는 비닐에스테르 수지에, MEKP(Methyl ethyl ketone peroxide) 촉매제를 투입하고, 첨가제로, B53(Al(OH)3(Alumina Trihydrate)(수산화알루미늄)), Sb2O3(Antimony Trioxide)(삼산화안티몬)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1. 비닐에스테르 수지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중탕기(heating bath)에서 1일 사용량을 감안하여 최소 1시간 전에 준비한다.
2. 중탕된 수지를 다음과 같은 배합비율에 의거하여 배합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한다.
2-1 배합비율
비닐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일 때, 촉매제 0.5~2.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70~10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10~2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촉매제 1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8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1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3. 배합순서
1) 중탕된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중탕기에서 이송용 바스켓에 받는다.
2) 혼합용 바스켓을 저울에 놓고 '0' 점 조중 후, 비닐에스테르를 배합비에 의거하여 적정 중량부로 투입한다.
3) 저울을 다시 '0'점 조정 후, 혼합용 바스켓에 수산화알루미늄 및 삼산화안티몬을 배합비에 의거하여 적정 중량부로 투입한다.
4)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시킴.
5) 혼합 바스켓을 다시 저울에 놓고 '0'점 조정 후 촉매제를 투입한다.
6)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 바스켓을 교반시킨다.
이 때 균일한 수지점도 조절을 위해 중탕기 내의 수지의 온도를 15~25℃로 유지시킨다.
상기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는 내식성이 우수한 내식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식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의 하나로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고 연신율이 큰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내식층이 형성되면, 이를 경화유닛을 이용하여 경화하는 제1경화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경화유닛(30)은 상기 몰드 인근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몰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경화유닛(30)은 상기 몰드 인근에 배치되는 받침부재(31)와, 상기 받침부재(31)에 구비되어 상기 몰드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지지대(32), 상기 제1지지대(32)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대(33), 상기 제1지지대(32)에 구비되어 상기 몰드 측면을 경화하는 제1경화부재(34)와, 상기 제2지지대(33)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몰드 상면을 경화하는 제2경화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12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받침부재(31)는 상기 몰드 인근에 몰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로, 상기 받침부재(31)는 별도의 레일에 휠 등을 통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재(31) 하부에 휠부재(311)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31)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지지대(3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1지지대(32)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지지대(32)의 수량 및 길이는 성형하고자 하는 몰드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1지지대(32)에는 상기 몰드 외면을 경화하기 위한 제1경화부재(34)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1경화부재(34)는 발열부재(341)와, 상기 발열부재(341) 후면에 집열 또는 집광을 위해 구비되는 반사부재(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경화부재(34)는 상기 몰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지지대(32)의 단부 모두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경화유닛(30)을 몰드 측방향에 위치시키면 몰드의 측면을 경화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몰드를 회전시키면 몰드 표면 전체를 고르게 경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1경화단계에서 경화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경화유닛(30)에 몰드의 상부를 함께 경화시킬 수 있도록 제2경화부재(35) 및 제2지지대(3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지지대(33)는 상기 제1지지대(3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대(32) 상단부에 상기 제2지지대(33)의 중앙(완전한 정중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이 힌지축(321)을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2지지대(33)의 상단에 상기 제2경화부재(3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경화부재(35)는 상기 제1경화부재(34)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지지대(33)는 상기 복수의 제1지지대(32)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제1경화부재(34)와 마찬가지로 제2경화부재(35) 또한 상기 복수의 제2지지대(33)들 상단부가 모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지지대(33)가 상기 힌지축(3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지지대(33)의 상단부가 하강하면, 상기 제2경화부재(35)가 상기 몰드 상부에 근접하여 경화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지지대(33)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제2경화부재(35)의 하강(선회) 정도가 달라짐에 따라, 성형하고자 하는 몰드의 크기에 따라 작업자가 제2지지대(33)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별도의 변위수단(36)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변위수단(36)은 상기 제1지지대(32)와 제2지지대(33)가 힌지결합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지지대(32)에는 곡선형의 장공(361A)이 형성된 조절판(361)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대(33)에는 상기 장공(361A)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봉(36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각도조절봉(363)의 단부, 즉 상기 장공(361A)을 관통한 단부에 가압부재(364)를 구비하여 상기 제2지지대(33)를 회전시킨 후, 상기 가압부재(364)를 조여 상기 조절판(361)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서 상기 제2지지대(33)의 회전각을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장공(361A)의 일면, 즉 상기 가압부재(364)가 밀착되는 면에는 단계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기(3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너트의 가압면에도 상기 돌기(362)에 대응하는 가압홈 또는 가압돌기(362)가 구비되어 상기 제2지지대(33)의 회전각을 단계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상기 가압부재(364)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조절판(361)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2지지대(33)의 하부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2지지대(33)의 하부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로손잡이바(37)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손잡이바(37)에 의해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제2지지대(33)의 회전각을 변경함과 동시에 복수의 제2지지대(33)들이 서로 연동하여 동일하게 움직이도록 함으로서 제2경화부재(35)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를 갖는다.(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제2경화부재(35)가 뒤틀리거나 휘어지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보강층을 형성한 후에도 제2경화단계를 진행하게 되고, 상기 제2경화단계는 앞서 언급한 경화기를 이용한다. 이 때 경화온도는 80~90℃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2시간동안 경화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는 페놀 FRP의 경화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한 경우에는 현장 설치 후에도 페놀의 반응이 지속되어 제품의 수축과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페놀수지는 페놀 분자내에 반응성이 풍부한 Methylol Group(-CH2OH)으로 구성되어 시간과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반응이 형성되는 열경화성 수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지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Methylol Group의 가열로 발생하는 수분과 포름알데하이드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80℃ 이상에서 경화하는 경화단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 페놀 복합수지를 이용하여 보강층을 형성 및 제2경화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몰드를 탈형하는 탈형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탈형단계에서 몰드를 탈형하는 방식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몰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선 상기 몰드 내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는 보강링(Md2)을 외압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상기 몰드의 이형층과 내식층 사이에 지렛대, 노루발뽑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몰드의 형상을 변형시킨다.
즉, 상기 몰드의 형상이 비원형이 되도록 내측으로 찌그러트려 몰드와 경화된 FRP 덕트 사이가 비접촉 되도록 함으로서 몰드를 쉽게 탈형할 수 있다.
또한 찌그러트리는 방법 및 횟수, 그 강도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몰드의 분리로 인해 성형된 FRP 덕트는 시공이 필요한 설계도에 따라 절단 및 마감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악세사리 등을 추가로 부착할 수 있으며, 이 때 특히 중요한 것은 상기 페놀 복합수지의 완벽한 경화를 위하여 악세사리를 추가 부착한 후 한번 더 경화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화단계는 80 ~ 100℃의 온도에서 30분정도 경화를 진행함으로서 상기 페놀 복합수지를 완벽하게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언급한 경화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마감단계 중 복수의 덕트를 연결함에 있어, 별도의 플랜지 등을 이용할 필요 없이 덕트들끼리 상호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음부 형성단계를 사전에 더 추가하여 FRP 덕트의 중앙부와 일측 또는 양측의 내경이 달라지게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음부 형성단계는 몰드 준비단계에 있어 이형층 형성단계 전 시공되는 단계로, 상기 몰드 일단 또는 양단에 이음부 성형장치(60)를 고정하여 성형되는 FRP 덕트의 일단 또는 양단의 내경이 중앙부분의 내경보다 커지게 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음부 성형장치(60)는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이음부성형편(61)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이음부성형편(61)이 상기 몰드 일단 또는 양단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각각의 이음부성형편(61)은 상기 몰드의 별도의 클램프(62) 또는 고정장치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링 형상이 아니라 복수의 이음부성형편(61)을 서로 이격하여 고정하는 이유는, 추후 탈형단계에서 상기 이음부 성형장치(60)를 보다 손쉽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격(단절)된 부분(단절부(63))으로 지렛대 등을 넣어 쉽게 탈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몰드 일단 또는 양단에 이음부 성형장치(60)가 구비되고, 이 이음부 성형장치(60) 및 상기 몰드 외면에 이형층, 내식층 및 보강층을 앞서 언급한 단계와 같이 성형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FRP 덕트의 중앙부분의 내경보다 일단 또는 양단(상기 이음부 성형장치(60)를 고정한 단부)은 상기 이음부 성형장치(60)의 두께의 두배만큼 내경이 커지게 되고(이 커진 부분을 이음부라 지칭하도록 한다.), 상기 이음부가 성형되지 않은 FRP 덕트를 삽입 및 끼워 넣을 수 있어, 복수의 FRP 덕트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삽입 후 별도의 코팅, 실링, 패킹 등의 작업을 통하여 상호 견고하게 고정하고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후가공을 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 도16 내지 도2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FRP 덕트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고, 본 실험에서의 %는 중량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1. 화염확산기준
실험 조건
- 공기 유속 : 3m/sec
- Test 시간 : 15분
a) 7.0(23ft) 지점에서의 온도가 538℃(1000˚F)를 넘지 않아야 한다.
b) 화염의 번짐은 7.0m까지 허용되며 7~7.3m 부분의 liner는 화재로 인한 손상이 없어야 한다.
c) 외부불꽃의 번짐현상 : 화염 노출부에서 1.2m까지 허용하나, 간헐적이어야 한다.
2. 연기 제거 기준
실험 조건
- 공기 유속 : 10m/sec
- Test 시간 : 15분
연기 제거 승인 조건
a) Duct가 원래의 모양으로 보존되어 있고, 화재로 인한 손상이 없어야 한다.
b) 화염 확산 실험을 수행하는 동안 Duct 의 외면 또는 노출된 끝단으로부터 연기가 배출되지 않아야 한다.
실험예1.
실험 조건은 하기[표1]과 같다.
[표1]
Figure 112020122496000-pat00001
실험 결과는 하기 [표2] 및 도16과 같다.
[표2]
Figure 112020122496000-pat00002
1. 1~2분 사이 덕트 전 관측구에 연기 발생.
2. 4분 50초경 1관측구(152mm)에 불꽃이 관측
3. 7분 50초경 인입부 메트 탈락
4. 7M 지점 최고온도 650℃, 6분대 538℃ 초과
5. 시험 후 외부 변형은 없음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실험예2.
실험예1에서 페놀 복합수지 성분비를 달리하였고, 실험조건은 하기[표3]과 같다.
[표3]
Figure 112020122496000-pat00003
실험 결과는 하기 [표4] 및 도17과 같다.
[표4]
Figure 112020122496000-pat00004
1. 1~2분사이 DUCT 전 관측구 연기 발생
2. 4:50' 1관측구(152mm) 불꽃 관측
3. 7:38' 인입부 MAT 떨어짐
4. 7M 지점 최고 온도 650℃, 6분대 538℃ 초과 5. 외형 변화 없음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실험예3.
페놀 복합수지의 성분비를 달리하였고, 실험조건은 하기[표5]와 같다.
[표5]
Figure 112020122496000-pat00005
실험 결과는 하기 [표6] 및 도18과 같다.
[표6]
Figure 112020122496000-pat00006
1. 1~2분사이 DUCT 전 관측구 연기 발생
2. 4:50' 1관측구(152mm) 불꽃 관측
3. 8:30' 인입부 MAT 떨어짐
4. 7M 지점 최고 온도 630℃, 7분대 538℃ 초과
5. 외형 변화 없음
온도 상승으로 인해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실험예4.
페놀 복합수지의 성분비를 달리하였고, 실험조건은 하기[표7]과 같다.
[표7]
Figure 112020122496000-pat00007
실험 결과는 하기 [표8] 및 도19와 같다.
[표8]
Figure 112020122496000-pat00008
1. 1~2분사이 DUCT 전 관측구 연기 발생
2. 4:50' 1관측구(152mm) 불꽃 관측
3. 7:28' 인입부 MAT 떨어짐
4. 7M 지점 최고 온도 640℃, 6분대 538℃ 초과
5. 외형 변화 없음
온도 상승으로 인해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실험예5.
페놀 복합수지의 성분비를 달리하였고, 실험조건은 하기[표9]와 같다.
[표9]
Figure 112020122496000-pat00009
실험 결과는 하기 [표10] 및 도20과 같다.
[표10]
Figure 112020122496000-pat00010
1. 1~2분사이 DUCT 전 관측구 연기 발생
2. 4:50' 1관측구(152mm) 불꽃 관측
3. 8:05' 인입부 MAT 떨어짐
4. 7M 지점 최고 온도 570℃, 7분대 538℃ 초과
5. 외형 변화 없음
온도 및 메트 떨어짐으로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실험예6.
페놀 복합수지의 성분비를 달리하였고, 실험조건은 하기[표11]과 같다.
[표11]
Figure 112020122496000-pat00011
실험 결과는 하기 [표12] 및 도21과 같다.
[표12]
Figure 112020122496000-pat00012
1. 1~2분사이 DUCT 전 관측구 연기 발생
2. 4:50' 1관측구(152mm) 불꽃 관측
3. 7:47' 인입부 MAT 떨어짐. 문제는 없는 범위
4. 7M 지점 최고 380℃ 수준
5. 외부 변형 없음
페놀 복합수지 중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이 40중량부 이상이 되어야 함을 확인함.
실험예7.
페놀 복합수지 중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을 더 높이고, 실험조건은 하기[표13]과 같다.
[표13]
Figure 112020122496000-pat00013
실험 결과는 하기 [표14] 및 도22와 같다.
[표14]
Figure 112020122496000-pat00014
1. 1~2분사이 DUCT 전 관측구 연기 발생
2. 4:50' 1관측구(152mm) 불꽃 관측
3. 7M 지점 온도 상승이 높지 않음(360℃ 수준)
4. 시험 후 외부 변형 없음
실험예8.
페놀 복합수지 중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을 더 높이고, 실험조건은 하기[표15]와 같다.
[표15]
Figure 112020122496000-pat00015
실험 결과는 하기 [표16] 및 도23과 같다.
[표16]
Figure 112020122496000-pat00016
1. 1~2분사이 DUCT 전 관측구 연기 발생
2. 4:50' 1관측구(152mm) 불꽃 관측
3. 8:17' 인입부 MAT 떨어짐, 막힘 없음
4. 7M 지점 최고 370℃ 수준
5. 외형 변화 없음
테스트는 통과하였으나, 인입부 메트의 떨어짐으로, 60중량부를 초과해서는 안됨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실험들을 통하여, 본 출원인은 실험예 6 내지 8의 범위 사이에서 난연성 및 내식 성능이 뛰어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24 및 도 25는 상기 실험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 사진도로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덕트에 비하여 내식성 및 난연성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페놀 복합수지를 이용한 보강층이 형성되는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FRP 덕트 제조방법 FP : FRP 덕트
M1 : 몰드 준비단계 M2 : 이형층 형성단계
M3 : 내식층 형성단계 M4 : 제1경화단계
M5 : 프라이머층 형성단계 M6 : 보강층 형성단계
M7 : 제2경화단계 M8 : 탈형단계
M9 : 마감단계 M11 : 이음부 형성단계
10 : 회전유도수단 20 : 본체
21 : 필름공급부 22 : 제1레일
23 : 매트공급부 24 : 함침수단
241 : 충진부재 242 : 공급부재
243 : 도포롤 25 : 장력유지봉
26 : 수지조절봉
30 : 경화유닛 31 : 받침부재
311 : 휠부재 32 : 제1지지대
321 : 힌지축 33 : 제2지지대
34 : 제1경화부재 341 : 발열부재
342 : 반사부재 35 : 제2경화부재
36 : 변위수단 361 : 조절판
361A : 장공 362 : 돌기
363 : 각도조절봉 364 : 가압부재
37 : 가로손잡이바
40 : 보강층 형성장치 41 : 제2레일
42 : 수지함침부 421 : 고정부재
422 : 손잡이판 422A : 곡선홀
43 : 공회전롤러 44 : 밀착유도롤러
45 : 제1정렬부 451 : 봉부재
452 : 핀부 46 : 제2정렬부
47 : 편심롤러 471 : 편심봉
472 : 편심축 473 : 수직손잡이
474 : 수평손잡이
50 : 밀착수단
60 : 이음부 성형장치 61 : 이음부성형편
62 : 클램프 63 : 단절부
Md : 몰드 Md1 : 중심샤프트
Md2 : 보강링
F : 이형제 필름 CM : 촙드 스트랜드 매트
GF : 유리섬유
RS : 수지 RS1 :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
RS2 : 페놀 복합수지
100 : 이형층 200 : 내식층
300 : 프라이머층 400 : 보강층

Claims (4)

  1. 회전유도수단(10)을 통해 덕트 형상의 몰드(Md)를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준비하는 몰드 준비단계(M1);
    상기 몰드(Md) 인근에 몰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20)를 이용하여 이형제 필름(F)을 몰드 외면에 감아 이형층(100)을 형성하는 단계(M2);
    상기 본체(20)를 이용하여 몰드(Md) 외면에 촙드 스트랜드 매트(Chopped Strand Mat)(CM)에 비닐 에스테르 복합수지(RS1)를 함침시킨 후, 상기 이형층(100) 외면에 감아 내식층(200)을 형성하는 내식층 형성단계(M3);
    경화유닛(30)을 이용하여 상기 내식층(200)을 경화하는 제1경화단계(M4);
    상기 경화된 내식층(200) 외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300)을 형성하는 단계(M5);
    상기 몰드(Md) 인근에 몰드(Md)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강층 형성장치(40)를 이용하여 유리섬유(GF)에 페놀 복합수지(RS2)를 함침시킨 후, 상기 프라이머층(300) 외면에 감아 보강층(400)을 형성하는 보강층 형성단계(M6);
    상기 경화유닛(30)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층(400)을 경화하는 제2경화단계(M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는
    상기 몰드(Md) 인근에 몰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레일(4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페놀 복합수지(RS2)가 채워지는 수지함침부(42)와, 상기 수지함침부(42) 내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회전롤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수의 가닥으로 공급되는 유리섬유(GF)가 상기 수지함침부(42)를 통과하되, 상기 공회전롤러(43)에 밀착되어 유리섬유(GF) 표면에 수지가 함침된 후, 상기 몰(Md)드 외면에 감겨 보강층(400)이 형성되되,
    상기 비닐에스테르 복합수지(RS1)는
    비닐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와 MEKP(Methyl ethyl ketone peroxide) 촉매제 1중량부와 수산화알루미늄 80중량부와 삼산화안티몬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페놀복합수지(RS2)는
    페놀 수지 100중량부와 촉매제 20중량부와 수산화알루미늄 50중량부와 삼산화안티몬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덕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 형성장치(40)의 수지함침부(42)에는
    상기 공회전롤러(43)의 외면에 접촉되거나 근접하게 위치하는 편심롤러(47)가 구비되어, 상기 편심롤러(47)의 위치를 조정하여 공회전롤러(43) 외면에 묻는 페놀복합수지(RS2)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덕트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롤러(47)는
    상기 공회전롤러(43)와 나란하게 위치하되, 상기 공회전롤러(43) 외면에 접촉되거나 근접하게 위치하며 편심축(472)을 갖는 편심봉(47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함침부(47)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편심축(472)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421)가 구비되어, 상기 편심봉(471)이 상기 고정부재(421)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편심봉(471)을 상기 편심축(472)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공회전롤러(43)의 외면과 편심봉(471)의 외면 사이의 거리가 바뀌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덕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FRP 덕트.
KR1020200152866A 2020-11-16 2020-11-16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 KR102264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66A KR102264286B1 (ko) 2020-11-16 2020-11-16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66A KR102264286B1 (ko) 2020-11-16 2020-11-16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286B1 true KR102264286B1 (ko) 2021-06-14

Family

ID=7641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866A KR102264286B1 (ko) 2020-11-16 2020-11-16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2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176A (ja) * 1993-12-29 1997-07-22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 多孔質ウェブに樹脂を含浸させる方法
KR20170056803A (ko) * 2015-11-14 2017-05-24 공석태 하이브리드수지 필라멘트 frp 제조 방법
KR20180089972A (ko) * 2017-02-02 2018-08-10 공석태 맨드릴에 수지도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30595B1 (ko) * 2019-10-17 2020-07-06 (주)명성씨.엠.아이 Frp 덕트 자동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frp 덕트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176A (ja) * 1993-12-29 1997-07-22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 多孔質ウェブに樹脂を含浸させる方法
KR20170056803A (ko) * 2015-11-14 2017-05-24 공석태 하이브리드수지 필라멘트 frp 제조 방법
KR20180089972A (ko) * 2017-02-02 2018-08-10 공석태 맨드릴에 수지도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30595B1 (ko) * 2019-10-17 2020-07-06 (주)명성씨.엠.아이 Frp 덕트 자동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frp 덕트 성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2701B1 (en) Fibre reinforced assembly
CA2562141C (en) Epoxy resin impregnated yarn and the use thereof for producing a preform
US20130122763A1 (en) Composite materials
US5653923A (en) Method for making shaped members using a foam froth
CN107542226B (zh) 由蒸压加气混凝土(aac)制成的加筋建筑砌块
WO2008141201A1 (en) Composite materials
US20160304684A1 (en) Method for Preparing Fiber-Reinforced Parts Based on Cyanate Ester/Epoxy Blends
JP2006321896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の引抜成形方法
EP3331689B1 (en) Moulding materials with improved surface finish
KR102264287B1 (ko)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
JP2006321897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の成形方法
CN1202958A (zh) 耐火管
KR102264286B1 (ko)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
KR102130595B1 (ko) Frp 덕트 자동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frp 덕트 성형방법
EP1582553B1 (en) Method for produci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and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KR101575183B1 (ko) 내식성 및 불연성이 우수한 페놀 덕트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덕트
KR102204061B1 (ko) 불연성이 우수한 frp 덕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frp 덕트
US6472067B1 (en) Non-flammable polymer composite panels
JP2004345154A (ja) 繊維強化複合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強化複合材料
CN109689744A (zh) 用于制备高面积重量纤维贮存稳定性预浸料或模制复合中间体的掺杂催化剂的上浆剂
JP2533340B2 (ja) 熱硬化性繊維強化複合体のrim製造方法
Ghosh et al. Processability in open mould processing of polymeric composites
US9458352B2 (en) Pre-molding article from thermoset polymer dispersions
US20140023867A1 (en) Flame resistant composite structure
RU172679U1 (ru)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330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1125

Effective date: 2024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