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591B1 -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591B1
KR102263591B1 KR1020200054660A KR20200054660A KR102263591B1 KR 102263591 B1 KR102263591 B1 KR 102263591B1 KR 1020200054660 A KR1020200054660 A KR 1020200054660A KR 20200054660 A KR20200054660 A KR 20200054660A KR 102263591 B1 KR102263591 B1 KR 102263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composite resin
weight
recycl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열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08K7/2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3/00Compositions of rubb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natural resins or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활용 복합수지 55~65중량% 및 글라스비드 35~4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재활용 복합수지에 글라스비드를 최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부표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냉각속도를 빠르게 하여 성형시간을 단축시키며, 성형온도를 최적으로 하여 글라스비드 분말이 재활용 복합수지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Composition of Buoy using Recycled Composite Resin and Glass Bea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uoy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방법이 간단하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안 바다에서는 그물망 또는 성장판을 부표에 매달아 그물망 내부 또는 성장판에 어류와 패류, 해조류를 양식하는 해양 생물 양식장이 운영되고 있다.
부표는 그물망 또는 성장판의 설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요소이나, 해양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해양 오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스티로폼 재질의 부표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대체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55877호(2012.06.20.)에는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친환경 부표는 폴리프르필렌폼으로 성형된 부표의 표면에 폴리프로필렌을 도포시킴으로서, 파도나 염수, 태양광선 등에 의해 부식되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폴리프로필렌폼과 폴리프로필렌필름은 열과 자외선에 약하므로,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면 쉽게 부서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43006호(2017.06.02.)에는 덮개부가 마련된 부표 및 부표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가 마련된 부표는 자외선과 충격에 강한 장점이 있지만, 부력부; 상기 부력부를 덮고 상기 부력부로 유입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외면에 적층되는 충격방지부;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방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KR 10-1155877 B1 2012.06.20. KR 10-1743006 B1 2017.06.02.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가 우수한,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방법이 간단한,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활용 복합수지 55~65중량% 및 글라스비드 35~45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는 재활용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재활용 폴리프로필렌(PP) 45~55중량부,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5~20중량부, 재활용 나일론 15~20중량부, 재활용 물티슈용 원단 15~20중량부를 포함하는,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글라스비드의 평균입경은 10~40㎛ 이다.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 100중량부에 비닐트리에톡시실란 0.1~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글리콜 3~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 복합수지를 분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분쇄된 재활용 복합수지에 글라스비드 분말을 교반하여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성형물을 냉각하여 부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는 5~10㎜의 크기로 분쇄하며, 상기 단계 2는 상기 분쇄된 재활용 복합수지 55~65중량%에 글라스비드 분말 35~45중량%을 4~5분 동안 교반하며, 상기 단계 3은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600℃에서 250㎏/㎠의 압력으로 8분 동안 성형하며, 상기 단계 4는 상기 성형물을 5~7℃에서 3~5분 동안 냉각하는,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4 이후에, 상기 부표를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추가되되,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20~30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20~3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20중량%, 안료 5~10중량%, 세라믹 비드 10~20중량% 및 UV 흡수제 0.1~1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 비드는 굴절률이 2.2~2.4이고, 평균입경이 1,600~1,70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은 재활용 복합수지에 글라스비드를 최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부표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냉각속도를 빠르게 하여 성형시간을 단축시키며, 성형온도를 최적으로 하여 글라스비드 분말이 재활용 복합수지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형의 부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육면체형의 부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부표 지지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은,
재활용 복합수지 55~65중량% 및 글라스비드 35~4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가 55중량% 미만 포함되면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고, 65중량% 초과 포함되면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글라스비드가 35중량% 미만 포함되면 강도가 약해져서 부표가 변형되는문제가 있고, 45중량% 초과 포함되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는 재활용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재활용 폴리프로필렌(PP) 45~55중량부,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5~20중량부, 재활용 나일론 15~20중량부 및 재활용 물티슈용 원단 15~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활용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재활용 폴리프로필렌(PP)를 45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내약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충격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재활용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15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내마모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20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재활용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재활용 나일론을 15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인장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20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제품이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재활용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재활용 물티슈용 원단을 15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인장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20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제품이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재활용 폴리에틸렌(PE)는 저밀도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LLDPE)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 폴리에틸렌(PE), 재활용 폴리프로필렌(PP),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재활용 나일론 및 재활용 물티슈용 원단을 혼합한 재활용 복합수지 100중량부에 비닐트리에톡시실란 0.1~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에 비닐트리에톡시실란을 더욱 추가함으로써 재활용 폴리에틸렌(PE), 재활용 폴리프로필렌(PP),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재활용 나일론 및 재활용 물티슈용 원단이 더욱 균일하게 혼합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재활용 물트슈용 원단은 펄프 또는 합성수지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비드는 유리로 된 비드로 구멍이 뚫린 작은 구체, 원주체를 말한다.
상기 글라스비드는 10~40㎛의 평균입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라스비드의 평균입경이 10㎛ 미만이면 강도 증진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고, 40㎛ 초과이면 재활용 복합수지와의 혼합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혼합한 부표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글리콜 3~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더욱 추가함으로써 재활용 복합수지에 글라스비드 분말이 더욱 균일하게 분포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형의 부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육면체형의 부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은,
재활용 복합수지를 분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분쇄된 재활용 복합수지에 글라스비드 분말을 교반하여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성형물을 냉각하여 부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는 5~10㎜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를 5㎜ 미만의 크기로 분쇄하면 충격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10㎜ 초과의 크기로 분쇄하면 재활용 복합수지와 글라스비드 분말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는 재활용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재활용 폴리프로필렌(PP) 45~55중량부,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5~20중량부, 재활용 나일론 15~20중량부, 재활용 물티슈용 원단 15~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1 이후에,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 100중량부에 비닐트리에톡시실란 0.1~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트리에톡시실란을 더욱 추가함으로써 재활용 복합수지가 더욱 균일하게 혼합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분쇄된 재활용 복합수지 55~65중량%에 글라스비드 분말 35~45중량%을 4~5분 동안 교반하여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 이후에 상기 부표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글리콜 3~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더욱 추가함으로써 재활용 복합수지에 글라스비드 분말이 더욱 균일하게 분포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부표용 조성물을 600℃에서 250㎏/㎠의 압력으로 8분 동안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표용 조성물을 600℃ 미만의 온도에서 성형하면 글라스비드 분말이 재활용 복합수지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600℃ 초과의 온도에서 성형하면 인장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성형물을 5~7℃에서 3~5분 동안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은 재활용 복합수지에 글라스비드를 최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부표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냉각속도를 빠르게 하여 성형시간을 단축시키며, 성형온도를 최적으로 하여 글라스비드 분말이 재활용 복합수지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4 이후에, 상기 부표를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20~30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20~3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20중량%, 안료 5~10중량%, 세라믹 비드 10~20중량% 및 UV 흡수제 0.1~1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는 부표와의 부착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크릴 수지에 에폭시기를 도입하여 하이드록시기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이다. 상기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는 적량의 하이드록시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표와의 부착력이 우수하다. 또한 내수성, 내화학성,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는 접착성 향상 및 피착제와의 젖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하고 유리 전이점이 낮으며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저온에서 물성이 뛰어나고 유연성이 우수하고, 타 수지와의 상용성이 뛰어나 혼합해 사용하기 용이하며, 우수한 접착성능을 지닌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유율이 40~45중량%이고, 연화점이 80~8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낮은 온도에서도 유연성을 제공하여 크랙발생을 감소시키고, 탄성을 증대시켜 바인더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켜 코팅 조성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료는 백색, 황색 또는 청색 등 원하는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적절한 안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바, 백색안료로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또는 황화아연 등을, 황색안료로서는 티탄옐로우, 크롬산아연, 황화카드뮴 또는 황산화철 등을, 그리고 청색안료로서는 감청, 군청 또는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비드는 유리 비드보다 굴절률 및 평균입경이 큰 것을 사용함으로써 시인성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라믹 비드로서는 세라믹 비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10 중량%의 란타니아(La2O3)를 함유하는 것이 높은 굴절률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비드는 굴절률이 2.2~2.4이고, 평균입경이 1,600~1,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V 흡수제는 자외선 차단을 위해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이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부표 지지대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재활용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재활용 폴리프로필렌(PP) 50중량부,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7중량부, 재활용 나일론 17중량부 및 재활용 물티슈용 원단 17중량부를 혼합하여 재활용 복합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를 10㎜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재활용 복합수지 60중량% 및 글라스비드 분말 40중량%을 5분 동안 교반하여 부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글라스비드는 평균입경이 40㎛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부표용 조성물을 600℃에서 250㎏/㎠의 압력으로 8분 동안 성형하였다. 상기 성형물을 7℃에서 5분 동안 냉각하여 부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 100중량부에 비닐트리에톡시실란 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부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상기 부표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글리콜 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부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글라스비드 분말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부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부표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부표에 대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단위 압축강도 시험방법
실시예 1
N/㎠
11.8
품질보증검사기준
(QM-3808-01)
실시예 2 12.1
실시예 3 13.6
비교예 1 2.6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부표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부표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표를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하여 코팅층을 두께 2㎜ 로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20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2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5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5중량%,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20중량%, 안료 10중량%, 세라믹 비드 19중량% 및 UV 흡수제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세라믹 비드는 굴절률이 1.8이고, 평균입경이 1,600㎛인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4에서, 코팅용 조성물을 납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아코팅제 35중량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30중량부, UV흡수제 1.2중량부, 형광물질 4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부표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부표에 대하여 주목성, 자외선차단성(%) 및 질량수축률(%)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1) 첫번째 실험은 부표의 주목성에 대한 검사로, 바다에 띄운 부표를 보고 주목성이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 scale)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부표의 주목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인원(부표 생산 및 코팅 관계자)을 선발하여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2) 두번째 실험은 자외선 차단성에 대한 검사로,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상기 부표 표면10cm×10cm에 대한 자외선 영역에서의 투과되지 않는 양 백분율로서 자외선 차단성(%)을 평가하였다.
3) 세번째 실험은 질량수축률에 대한 검사로, 상기 부표 표면10cm×10cm을 1L의 바닷물에 100일간 침지시킨 후 꺼내어 질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주목성 자외선차단성(%) 질량수축률(%)
실시예 4 8.4 96 5.4
비교예 2 7.6 94 5.7
표 2에 의하면, 비교예 2의 부표에 비하여 실시예 4의 부표가 주목성, 자외선차단성 및 질량수축률에 대한 결과가 모두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재활용 복합수지를 분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분쇄된 재활용 복합수지에 글라스비드 분말을 교반하여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성형물을 냉각하여 부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부표를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5);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는 5~10㎜의 크기로 분쇄하며,
    상기 단계 2는 상기 분쇄된 재활용 복합수지 55~65중량%에 글라스비드 분말 35~45중량%을 4~5분 동안 교반하며,
    상기 단계 3은 상기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600℃에서 250㎏/㎠의 압력으로 8분 동안 성형하며,
    상기 단계 4는 상기 성형물을 5~7℃에서 3~5분 동안 냉각하며,
    상기 단계 5에서,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20~30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20~3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20중량%, 안료 5~10중량%, 세라믹 비드 10~20중량% 및 UV 흡수제 0.1~1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 비드는 굴절률이 2.2~2.4이고, 평균입경이 1,600~1,700㎛인,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을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200054660A 2020-05-07 2020-05-07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 KR102263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60A KR102263591B1 (ko) 2020-05-07 2020-05-07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60A KR102263591B1 (ko) 2020-05-07 2020-05-07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591B1 true KR102263591B1 (ko) 2021-06-11

Family

ID=7637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660A KR102263591B1 (ko) 2020-05-07 2020-05-07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1023A (zh) * 2021-12-27 2022-03-25 中广核俊尔(浙江)新材料有限公司 一种低成本、低吸水、易成型pa/pet合金材料及制备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491A (ja) * 1994-05-13 1995-11-21 Nissan Earosupeesu Eng:Kk 浮力体
JP2000318682A (ja) * 1999-05-13 2000-11-21 Toppan Printing Co Ltd 浮体構造物用浮力体
KR20050009004A (ko) * 2003-07-15 2005-01-24 나상권 폐 열가소성수지의 블렌드 조성물 및 성형품
JP4640814B2 (ja) * 2000-06-22 2011-03-02 三井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発泡体
KR101155877B1 (ko) 2012-03-05 2012-06-20 김고명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KR101743006B1 (ko) 2016-07-26 2017-06-02 김지영 덮개부가 마련된 부표 및 부표 제조 방법
KR20180046722A (ko) * 2016-10-28 2018-05-09 (주)타이리젠 저밀도 수지 발포체 조성물
KR200488411Y1 (ko) * 2017-04-17 2019-01-25 장오두 친환경 부표 덮개
KR20190009285A (ko) * 2016-12-10 2019-01-28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491A (ja) * 1994-05-13 1995-11-21 Nissan Earosupeesu Eng:Kk 浮力体
JP2000318682A (ja) * 1999-05-13 2000-11-21 Toppan Printing Co Ltd 浮体構造物用浮力体
JP4640814B2 (ja) * 2000-06-22 2011-03-02 三井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発泡体
KR20050009004A (ko) * 2003-07-15 2005-01-24 나상권 폐 열가소성수지의 블렌드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155877B1 (ko) 2012-03-05 2012-06-20 김고명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KR101743006B1 (ko) 2016-07-26 2017-06-02 김지영 덮개부가 마련된 부표 및 부표 제조 방법
KR20180046722A (ko) * 2016-10-28 2018-05-09 (주)타이리젠 저밀도 수지 발포체 조성물
KR20190009285A (ko) * 2016-12-10 2019-01-28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88411Y1 (ko) * 2017-04-17 2019-01-25 장오두 친환경 부표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1023A (zh) * 2021-12-27 2022-03-25 中广核俊尔(浙江)新材料有限公司 一种低成本、低吸水、易成型pa/pet合金材料及制备方法
CN114231023B (zh) * 2021-12-27 2023-10-31 中广核俊尔(浙江)新材料有限公司 一种低成本、低吸水、易成型pa/pet合金材料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225B1 (ko)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382551B (zh) 绿色环保环氧型耐候涂料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KR102055556B1 (ko) 친환경 항균성 인조잔디 충진재
KR102263591B1 (ko) 재활용 복합수지 및 글라스비드를 활용한 부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표의 제조방법
CN102134443A (zh) 一种清水混凝土保护剂的制备方法
CN111268960B (zh) 一种用于海洋工程表面诱导固着生物的水泥基涂料及制备方法
CN103114447A (zh) 一种环保pvc涂层反光布
CN107118398A (zh) 可降解的无毒环保玩具材料及其制备方法
US4783975A (en) Colored pearl
KR20130064040A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백화현상 및 황변현상이 개선된 타일용 줄눈 조성물
KR100888397B1 (ko) 폴리우레아 수지를 이용한 부자 및 그 제조방법
CN109651685B (zh) 一种荧光滚塑专用料及其制备方法
CN101104751A (zh) 一种新型粉末涂料
CN105967582B (zh) 堵漏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596351B1 (ko) 융복합형 차열방수페인트 조성물
CN103897367A (zh) 一种变色板材及其制作方法
KR20190036785A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부력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378550B1 (ko) 생분해성 발포 부구
CN110079563B (zh) 一种低光泽粉末涂料用聚酯树脂
KR101465875B1 (ko) 착색된 경량성 비금속광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250898A (zh) 一种耐热性能好的有机玻璃
CN110039872A (zh) 一种具有高韧性的手机保护膜及其制备工艺
CN105238149A (zh) 一种纳米碳化钛复合钠米银的船舶涂料及其制作方法
CN105238147A (zh) 一种高耐候性船舶涂料及其制作方法
CN205736264U (zh) 一种箱包内里用流延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