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413B1 -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 - Google Patents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413B1
KR102263413B1 KR1020200073146A KR20200073146A KR102263413B1 KR 102263413 B1 KR102263413 B1 KR 102263413B1 KR 1020200073146 A KR1020200073146 A KR 1020200073146A KR 20200073146 A KR20200073146 A KR 20200073146A KR 102263413 B1 KR102263413 B1 KR 10226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bag
touch
cov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현
김태원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와이엔블랙야크
주식회사 동진레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와이엔블랙야크, 주식회사 동진레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와이엔블랙야크
Priority to KR102020007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45C13/1092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of the socket-and-pi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고정부재를 채택함으로써 전방 수납부와 덮개를 자석으로 고정하되 전방 수납부를 사용할 때에는 당김고리를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잠김 상태의 해제와 전방 수납부의 펼침이 동시에 이루어져 간편하게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 전방에 마련된 전방 수납부와, 상기 전방 수납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전방 수납부와 덮개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터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터치 고정부재는 상기 전방 수납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 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자석체가 설치된 삽입몸체부로 구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덮개에 고정되며 상기 제1자석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자석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One-touch retractable bag}
본 발명은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고정부재를 채택함으로써 전방 수납부와 덮개를 자석으로 고정하되 전방 수납부를 사용할 때에는 당김고리를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잠김 상태의 해제와 전방 수납부의 펼침이 동시에 이루어져 간편하게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도 7에는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는 가방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그 내부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 공간(미도시)을 가지는 몸체부(4)와, 상기 수용 공간에 보관된 물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상기 보관된 물건이 상기 수용 공간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2)를 상기 몸체부(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를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부(3)는 일종의 후크 역할을 하는 삽입부(5)와 상기 삽입부(5)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수용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5)는 일반적으로 가방(1)의 덮개부(2)의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5)의 단부 상측에는 누름 버튼(5a)이 형성되는데, 상기 누름 버튼(5a)은 상기 수용부(6)에 삽입된 후에 외력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기 스스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후크 헤드(hook head) 또는 미늘(barb)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용부(6)는 몸체부(4)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6)가 삽입된 후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바아(6a)(bar)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가진 고정부(3)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잠기거나 잠김이 해제된다. 먼저, 상기 삽입부(5)를 상기 수용부(6)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누름 버튼(5a)이 상기 바아(6a)에 의해 살짝 눌리면서 삽입된다. 삽입부(5)가 수용부(6)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누름 버튼(5a)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돌출된 다. 그러면 상기 바아(6a)의 저면 보다 상기 누름 버튼(5a)의 상면이 훨씬 높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5)를 수용부(6)에서 빼내려고 해도 상기 누름 버튼(5a)가 상기 바아(6a)에 걸리게되어 상기 고정부(3)는 잠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상기 고정부(3)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누름 버튼(5a)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5)를 상기 수용부(6)에서 빼내게 되면 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가방(1)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들고 있거나 메고 있을 때 상기 누름 버튼(5a)이 눌리기만 하면 열리게 된다. 이는 몸체부(4)내에 보관된 물건들의 중량에 의해서 몸체부(4)는 하측 방향의 힘을 받고 있는 데 반해, 상기 덮개부(2)에는 일반적으로 손잡이 또는 가방 끈이 연결되므로 상기 몸체부(4)에 작용하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이는 상기 삽입부(5)가 상기 수용부(6)에서 빠져 나가려는 힘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사람들이 밀집된 버스 또는 지하철 등에 탑승 하였을 경우 인접한 사람 또는 다른 가방들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5a)이 눌리게 되어, 사용자가 뜻하지 않는 상황에서 가방(1)의 덮개부(2)가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강한 자력을 가진 네오디움 자석을 채택함과 동시에, 어린 학생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방을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310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고정부재를 채택함으로써 전방 수납부와 덮개를 자석으로 고정하되 전방 수납부를 사용할 때에는 당김고리를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잠김 상태의 해제와 전방 수납부의 펼침이 동시에 이루어져 간편하게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은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 전방에 마련된 전방 수납부와, 상기 전방 수납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전방 수납부와 덮개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터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터치 고정부재는 상기 전방 수납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 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자석체가 설치된 삽입몸체부로 구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덮개에 고정되며 상기 제1자석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자석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에 있어서, 본체부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사각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면에 마련되는 결합홀과, 좌우 양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절개홈과, 하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사각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제1자석체와, 상기 제1자석체의 테두리에 끼워지는 링구조체와, 상단은 상기 구획벽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좌우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절개홈에 끼워지는 스토퍼 돌기와 하부 프레임의 하면에 체결된 당김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프레임은 후면은 바닥면으로 밀폐되고 전면은 개방된 구조이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전면 및 후면이 완전 개방되며, 좌우 측면은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에서 인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에 있어서, 제1자석체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자력이 없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서 배치되는 원형자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구조체는 상기 결합홀 직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연장부에 끼워지고 원형자석부의 외곽을 감싸도록 상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탄성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자석체보다 높게 형성되고 전단부 내측 테두리에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자석체는 후단부에 상기 링구조체의 직경보다 큰 단턱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자석체의 단턱부가 링구조체 내로 진입할 때 탄성 구조의 절개부가 벌어지면서 억지끼움되고, 상기 제2자석체와 제1자석체의 원형자석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 상기 단턱부는 고정돌기에 걸려서 고정되며, 상기 제2자석체가 제1자석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당김고리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삽입몸체부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자석체와 링구조체가 함께 제2자석체의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자석체와 제2자석체는 분리되고, 상기 전방 수납부도 상기 덮개에서 분리되면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에 있어서, 가방 본체의 전면 좌우측 테두리와, 상기 전방 수납부의 좌우측 테두리에는 각각 서로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복수의 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에 의하면, 원터치 고정부재를 채택함으로써 전방 수납부와 덮개를 자석으로 고정하되 전방 수납부를 사용할 때에는 당김고리를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잠김 상태의 해제와 전방 수납부의 펼침이 동시에 이루어져 간편하게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에 있어서 덮개와 전방 수납부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고정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원터치 고정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종래 가방에 설치된 고정부재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에 있어서 덮개와 전방 수납부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고정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원터치 고정부재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100)은 크게 가방 본체(101)와, 상기 가방 본체(101) 전방에 마련된 전방 수납부(110)와, 상기 전방 수납부(110)를 개폐하는 덮개(120)와, 상기 전방 수납부(110)와 덮개(12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터치 고정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방 수납부(110)는 상부가 전방으로 벌어지면서 열리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최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판(111)과, 전방판(111)과 가방 본체(101)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연결용 천부재(113)와, 전방 수납부(110)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연결용 천부재(113)는 봉재 등의 방식으로 구획판과 연결되어 자바라와 같이 주름 구조로 접히고 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판(111)의 좌우측 단부에는 상하로 복수의 자석(112)이 삽입되어 있고, 가방 본체(101)의 전면 좌우측 테두리에도 전방판(111)의 자석(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102)이 삽입되어 있어 전방 수납부(110)가 외부에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가방 본체(10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자석은 네오디움 소재의 원형 자석을 사용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덮개(120)는 상단은 상기 가방 본체(101)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 수납부(110)의 상부를 덮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전방 수납부와 덮개가 마련된 가방의 경우, 사용자가 전방 수납부에 물품을 집어넣거나, 수납된 물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먼저 덮개와 전방 수납부를 연결하는 고정부재의 잠김 상태를 해제한 다음 덮개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원터치 고정부재(130)를 채택함으로써, 전방 수납부(110)에 결합된 덮개(120)의 잠김 상태의 해제와, 전방 수납부(110)가 펼쳐지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원터치 고정부재(130)는 상기 전방 수납부(110)에 고정되는 본체부(132)와, 상기 본체부(132) 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자석체(143)가 설치된 삽입몸체부(140)로 구성되는 고정몸체(131)와, 상기 덮개(120)에 고정되며 상기 제1자석체(14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자석체(160)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32)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사각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면에 마련되는 결합홀(133)과, 좌우 양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절개홈(134)과, 하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삽입홀(1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몸체부(140)는 상기 본체부(132)의 내부공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141)과, 상기 프레임(141)을 상부 프레임(141a)과 하부 프레임(141b)으로 구획하는 구획벽(145)과, 상기 상부 프레임(141a)의 바닥면(142)에서 돌출되는 상기 제1자석체(143)와, 상기 제1자석체(143)의 테두리에 끼워지는 링구조체(150)와, 상단은 상기 구획벽(145)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부(132)의 하면에 고정되는 스프링(146)과, 상기 상부 프레임(141a)의 좌우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절개홈(134)에 끼워지는 스토퍼 돌기(144)와 하부 프레임(141b)의 하면에 체결된 당김고리(1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141a)은 후방은 바닥면에 의해 밀폐되고 전방은 개방된 통 구조이고, 상기 하부 프레임(141b)은 전방 및 후방이 완전 개방되며, 좌우 측면은 상기 삽입홀(135)을 통해 상기 본체부(132)에서 인출되는 구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체(143)는 상기 상부 프레임(141a)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자력이 없는 연장부(143a)와, 상기 연장부(143a)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143a)의 하측에서 배치되는 원형자석부(143b)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구조체(150)는 상기 결합홀(133) 직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연장부(143a)에 끼워지고 원형자석부(143b)의 외곽을 감싸도록 상측에 절개부(151)가 형성된 탄성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자석체(143)보다 높게 형성되고 전단부 내측 테두리에는 복수의 고정돌기(152)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돌기(152)는 좌우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자석체(160)는 후단부에 상기 링구조체(150)의 직경보다 큰 단턱부(161)가 마련되고, 상기 제2자석체(160)의 단턱부(161)가 링구조체(150) 내로 진입할 때 탄성 구조의 절개부(151)가 벌어지면서 억지끼움되고, 상기 제2자석체(160)와 제1자석체(143)의 원형자석부(143b)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 상기 단턱부(161)는 고정돌기(152)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자석체(143)와 제2자석체(160)와의 자력에 의한 결합과, 고정돌기(152)와 단턱부(161)의 걸림 결합에 의해 덮개(120)는 전방 수납부(110)에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덮개(120)를 잡아당기더라도 전방 수납부(1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전방 수납부를 사용하기 위해 덮개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삽입몸체부에 마련된 당김고리를 당겨야만 한다.
상기 제2자석체(160)가 제1자석체(143)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당김고리(147)를 전방 또는 하측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삽입몸체부(140)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자석체(143)와 링구조체(150)가 함께 제2자석체(16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자석체(143)와 제2자석체(160) 상호 간에 자력이 작용하지 않아 분리되고, 탄성 구조의 링구조체(150)의 고정돌기(152)가 벌어지면서 제2자석체(160)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전방 수납부(110)의 상부가 전개되면서 개방된다.
한편, 전방 수납부(110)의 사용을 마친 경우 사용자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진 덮개(120)를 놓게 되면 낙하하는 덮개(120)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2자석체(160)가 상기 결합홀(133)을 통해 고정몸체(131)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100)은 사용자가 덮개(120)를 열기 위해서는 원터치 고정부재(130)에 마련된 당김고리(147)를 잡아 당기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전방 수납부에서 덮개가 분리됨과 동시에 전방 수납부가 열리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특히 초등학생 저학년 학생과 같은 어린이들도 당김고리를 잡아당겨 손쉽게 전방 수납부와 덮개를 개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당김고리 작동에 대해 흥미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가방 101 : 가방 본체
102 : 자석 110 : 전방 수납부
111 : 전방판 112 : 자석
113 : 측면 연결용 천부재 114 : 구획판
120 : 덮개 130 : 원터치 고정부재
131 : 고정몸체 132 : 본체부
133 : 결합홀 134 : 절개홈
135 : 삽입홀 140 : 삽입몸체부
141 : 프레임 141a : 상부 프레임
141b : 하부 프레임 142 : 바닥면
143 : 제1자석체 143a : 연장부
143b : 원형자석부 144 : 스토퍼 돌기
145 : 구획벽 146 : 스프링
147 : 당김고리 150 : 링구조체
151 : 절개부 152 : 고정돌기
160 : 제2자석체 161 : 단턱부

Claims (4)

  1.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 전방에 마련된 전방 수납부와, 상기 전방 수납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전방 수납부와 덮개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터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고정부재는,
    상기 전방 수납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 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자석체가 설치된 삽입몸체부로 구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덮개에 고정되며 상기 제1자석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자석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사각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면에 마련되는 결합홀과, 좌우 양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절개홈과, 하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사각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제1자석체와, 상기 제1자석체의 테두리에 끼워지는 링구조체와, 상단은 상기 구획벽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좌우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절개홈에 끼워지는 스토퍼 돌기와 하부 프레임의 하면에 체결된 당김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프레임은 후면은 바닥면으로 밀폐되고 전면은 개방된 구조이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전면 및 후면이 완전 개방되며, 좌우 측면은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에서 인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체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자력이 없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서 배치되는 원형자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구조체는,
    상기 결합홀 직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연장부에 끼워지고 원형자석부의 외곽을 감싸도록 상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탄성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자석체보다 높게 형성되고 전단부 내측 테두리에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자석체는 후단부에 상기 링구조체의 직경보다 큰 단턱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자석체의 단턱부가 링구조체 내로 진입할 때 탄성 구조의 절개부가 벌어지면서 억지끼움되고, 상기 제2자석체와 제1자석체의 원형자석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 상기 단턱부는 고정돌기에 걸려서 고정되며,
    상기 제2자석체가 제1자석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당김고리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삽입몸체부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자석체와 링구조체가 함께 제2자석체의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자석체와 제2자석체는 분리되고, 상기 전방 수납부도 상기 덮개에서 분리되면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의 전면 좌우측 테두리와, 상기 전방 수납부의 좌우측 테두리에는 각각 서로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복수의 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
KR1020200073146A 2020-06-16 2020-06-16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 KR10226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146A KR102263413B1 (ko) 2020-06-16 2020-06-16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146A KR102263413B1 (ko) 2020-06-16 2020-06-16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413B1 true KR102263413B1 (ko) 2021-06-11

Family

ID=7637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146A KR102263413B1 (ko) 2020-06-16 2020-06-16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4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624A (ja) * 1999-01-27 2000-08-08 Seibu Fastener Kk バッグ用装飾具
KR200333101Y1 (ko) 2003-09-01 2003-11-12 김영조 가방용 버클
KR20110114340A (ko) * 2010-04-13 2011-10-19 윤윤구 잠금장치
US20140339232A1 (en) * 2011-11-23 2014-11-20 Fidlock Gmbh Closure Device
JP2017006373A (ja) * 2015-06-22 2017-01-12 株式会社羅羅屋 スクールバッグ
US20170251777A1 (en) * 2016-03-07 2017-09-07 Wei-Hung Lai Cover structure for a luggage ca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624A (ja) * 1999-01-27 2000-08-08 Seibu Fastener Kk バッグ用装飾具
KR200333101Y1 (ko) 2003-09-01 2003-11-12 김영조 가방용 버클
KR20110114340A (ko) * 2010-04-13 2011-10-19 윤윤구 잠금장치
US20140339232A1 (en) * 2011-11-23 2014-11-20 Fidlock Gmbh Closure Device
JP2017006373A (ja) * 2015-06-22 2017-01-12 株式会社羅羅屋 スクールバッグ
US20170251777A1 (en) * 2016-03-07 2017-09-07 Wei-Hung Lai Cover structure for a luggag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6046B2 (en) Integrated polycarbonate case
US6328146B1 (en) Baggage with retractable beverage container pocket
KR102263413B1 (ko)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가방
US11912173B2 (en) Baby carrier and canopy locking assembly thereof
JP3794635B2 (ja) 穀類収納袋
US2782890A (en) Brief case
US20230079466A1 (en) Bag with opening mechanism
KR101985281B1 (ko) 플랩 탈부착형 가방
US9560908B2 (en) Camera carrying case
JP2000308511A (ja)
JP3208659U (ja)
JP3224456U (ja) ランドセルカバー
JP3200681U (ja) ランドセル用サブバッグ
JP3209848U (ja) キャリーバッグ
KR20200033357A (ko) 보조수납부가 구비된 배낭
KR200292829Y1 (ko) 귀중품 보관 케이스
US3120253A (en) Combination billfold, purse, and pocket case
KR102408140B1 (ko) 손가방 커버
KR102353419B1 (ko) 여행 가방
JP3185271U (ja) バッグ用カバー
JP3179377U (ja) 旅行かばん
KR20210105933A (ko) 퀵 슬라이드 아웃 타입의 아웃도어 툴 파우치
JP2016198295A (ja) スクールバッグ
KR20180002045U (ko) 추가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방
JP3145204U (ja) ボストン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