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173B1 -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173B1
KR102263173B1 KR1020200013467A KR20200013467A KR102263173B1 KR 102263173 B1 KR102263173 B1 KR 102263173B1 KR 1020200013467 A KR1020200013467 A KR 1020200013467A KR 20200013467 A KR20200013467 A KR 20200013467A KR 102263173 B1 KR102263173 B1 KR 10226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oad
fixing groove
detection device
load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계출
김원경
장병희
박광복
Original Assignee
(주)성신알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신알에스티 filed Critical (주)성신알에스티
Priority to KR102020001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61H13/30Transmitting mechanisms adjust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 of vehicle we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모달 차량용 응하중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모달 차량에 적용되는 화차의 하중을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대차가 일정각도로 회전정렬되어 운행하는 인터모달 차량에 적용되는 화차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모달 차량용 응하중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인터모달 차량용 응하중검지장치는, 대차프레임에 설치되는 센서부와, 액슬박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대차의 하중상태를 공차, 적차, 및 만차로 검지하여 검지된 신호를 제동제어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Freight load detection system applied to intermodal automatic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차의 하중을 고주파를 이용한 근접센서 방식으로 측정하여, 차체와 대차가 일정각도로 회전정렬되어 운행하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응하중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차의 제동장치는 화물이 적재된 화차의 중량이 일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만차시) 이를 감지하여 증가된 제동력을 차륜에 작용시켜 관성력에 따른 제동력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화차의 제동장치는 국내 실용신안 제20-0154281호에 자세히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차륜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실린더와, 상기 제동실린더에 연결된 제1 및 제2탱크와, 제동관과 연결되어 차량의 하중이 일정치 이상일 경우 제동관으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밸런스밸브에 공급해 주도록 적재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응하중밸브와, 상기 한 쌍의 응하중밸브와 연결되어 한 쌍의 응하중밸브로부터 동시에 압축공기가 공급될 때에만 후술할 중계밸브 및 배출밸브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밸런스밸브와, 이 밸런스밸브에 연결되어 밸런스밸브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개폐되면서 제동관의 압축공기를 제2탱크에 공급되도록 하는 중계밸브와, 상기 밸런스밸브와 연결되어 이 밸런스밸브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개폐되면서 제2탱크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밸브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화차의 제동장치는 화물이 일정중량 이하로 적재되었을 경우(공차시)에는 양측 응하중밸브가 차단되어 밸런스밸브로 압축공기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이와 연결된 중계밸브가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어 제동관의 압축공기가 제2탱크로 공급되지 않고 차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제1탱크의 압축공기만이 제동실린더에 전달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제동력이 차륜에 가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동장치는 만차시 제동관에 연결된 한 쌍의 응하중밸브가 동시에 작동되어 압축공기를 밸런스밸브에 전달하게 되며, 상기 밸런스밸브는 중계밸브와 제2탱크의 배출밸브에 압축공기를 전달하여 중계밸브를 개방시키고 제2탱크의 배출밸브를 닫아주게 된다. 따라서, 제동관의 압축공기가 중계밸브를 거쳐 제2탱크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제동실린더에는 제1탱크 및 제2탱크로부터 압축공기가 전달되어 상대적으로 큰 제동력이 작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응하중밸브의 경우, 대차의 대차프레임 및 액슬박스에 설치되며, 응하중밸브에 압축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공기압축기 및 호스 등은 차체에 설치됨에 따라, 차체와 대차가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운행이 이루어지는 인터모달 차량에 종래의 응하중밸브를 장착할 경우, 차체와 대차가 회전되면 호스에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인터모달 자동화물 운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에 종래의 응하중밸브를 설치하기는 여려운 실정이다.
KR 200154281 Y1 KR 200319535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 등의 공압방식으로 응하중 변위를 감지하던 종래의 방식과 달리, 고주파 방식을 이용한 근접센서를 통해 응하중 변위가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공압공급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차체에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차체와 대차가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운행하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에 설치가 가능한 응하중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근접센서가 고정되는 센서고정홈과 검출체가 고정되는 검출체고정홈을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형성하여, 근접센서 및 검출체의 설치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응하중 변위에 따라 근접센서 및 검출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에 설치가 가능한 응하중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는, 대차프레임(20)에 설치되는 센서부(200)와, 액슬박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센서부와 마주보며 형성되는 검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센서부(200)는, 센서박스(210)와, 상기 센서박스(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센서고정홈(220) 및 상기 센서고정홈(220)에 고정설치되는 근접센서(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검출부(300)는, 고정플레이트(3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10)에 형성되는 검출체고정홈(320) 및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에 고정설치되는 검출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센서고정홈(22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센서고정홈(220)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근접센서(230)의 설치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230)는 검출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케이블(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검출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검출체(330)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검출체(330)의 설치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검출체(330)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제1,2,3 검출체(330a,330b,33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에 의하면, 공기 등의 공압방식으로 응하중 변위를 측정하던 종래의 방식과 달리, 고주파 방식을 이용한 근접센서를 통해 응하중 변위가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공압공급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차체에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뿐만 아니라 철도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접센서가 고정되는 센서고정홈과, 검출체가 고정되는 검출체고정홈을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형성하여, 근접센서 및 검출체가 설치되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인터모달 시스템이 적용된 다양한 종류의 철도 차량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가 플렛폼에 정차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응하중검지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응하중검지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검출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검출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응하중검지장치가 대차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응하중검지장치가 대차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응하중검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의 (a)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가 플랫폼 내에 진입하는 중으로서 정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b)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가 플랫폼 내에 완전히 정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는 차체와 대차로 구성되며, 각 차량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주행 중에는 각 개별 화차가 일직선 방향으로 통상의 열차와 같이 주행하다가, 플랫폼에 접근하면, 플랫폼에 새롭게 적용된 레일을 따라, 각각의 화차는 각 화차의 하측에 구성된 대차가 각각의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 인해 화차의 차체 단부가 플랫폼으로 향하도록 화차의 차체가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이하, '응하중검지장치'라 함.)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응하중검지장치(100)는, 센서부(200)와 검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부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센서부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200)는, 센서박스(210), 상기 센서박스(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센서고정홈(220), 및 상기 센서고정홈(220)에 고정설치되는 근접센서(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박스(210)는 후술되는 대차프레임에 고정설치되어, 대차프레임이 차체에 실린 화물의 하중 및 서스펜션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질 때, 상기 대차프레임과 함께 승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박스(210)는 사각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모서리 부위마다 볼트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홈에 렌치볼트(260)가 체결되어 상기 대차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센서박스(210)의 후면에는 케이블그랜드(250)가 구비되어, 상기 근접센서(230)에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케이블(240)이 상기 케이블그랜드(25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고정홈(22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센서고정홈(220)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근접센서(230)의 설치높이가 조절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근접센서(230)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검출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미도시)과 상기 센서모듈에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케이블(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근접센서(230)는 300~400 Hz의 응답 주파수를 이용하여 5~8mm 이내에 존재하는 검출체(330)를 감지하는 원주형 배선인출형 근접센서(230)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230)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센서고정홈(220)에 각각 고정설치됨에 따라, 제1근접센서(230a)와 제2근접센서(230b) 및 제3근접센서(230c)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3근접센서(230a,230b,230c)가 설치되는 높이는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3근접센서(230a,230b,230c)의 설치높이는 상기 센서고정홈(220)에 의해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1,2,3 근접센서(230a,230b,230c)가 설치되는 높이는 항상 같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1,2,3근접센서(230a,230b,230c)를 통해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제1,2,3검출체(330a,330bc330c)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인지되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응하중검지장치(100)는 이와 같이 고주파 방식을 이용한 근접센서(230)를 통해 화차의 하중이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등의 공압공급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차체와 대차가 일정각도의 회전하면서 운행하는 인터모달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고, 종래의 공압방식을 이용한 응하중밸브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응하중이 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후술되겠지만, 상기 센서부(200)는, 대차(10)에 실리는 하중 및 서스펜션(50)의 탄지력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대차프레임(20)에 설치됨에 따라, 화자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대차프레임(20)과 함께 승강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검출부(30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검출부(300)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300)는, 고정플레이트(310), 상기 고정플레이트(310)에 형성되는 검출체고정홈(320) 및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에 장착되는 검출체(3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10)는 사각판넬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부에 고정홈(340)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액슬박스(40)의 상부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설치 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후술되겠지만, 상기 액슬박스(40)는 차축(30)에 고정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기 액슬박스(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플레이트(310)는 화차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다.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31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에 상기 검출체(330)가 고정설치 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은 상기 센서고정홈(220)과 마찬가지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검출체(330)의 설치높이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체(330) 및 상기 근접센서(230)가 설치되는 높이는, 화차의 종류 및 화차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상태에 따른 상하변위에 맞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인터모달 시스템이 적용된 화차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철도차량에 본 발명의 응하중검지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체(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제1,2,3 검출체(330a,330b,330c)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제1검출체(330a)는 우측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검출체(330b)는 가운데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제3검출체(330c)는 좌측하단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2,3 검출체(330a,330b,330c)의 설치높이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설계조건에 따라 제1검출체(330a)가 좌측하단에 설치되고, 제3검출체(330b)가 우측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도 5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제1검출체(330a)는, 화차가 공차상태일 때 위치되는 상기 근접센서(230)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3검출체(330c)는, 화차가 만차상태일 때 위치되는 상기 근접센서(230)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2,3검출체(330a,330b,330c)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검출체는 상기 센서부(200)에 의해 화차가 공차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고, 가운데 위치에 설치되는 검출체는 상기 센서부(200)에 의해 화차에 화물이 중간정도 적재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며,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검출체는 상기 센서부(200)에 의해 화차가 만차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검출체(330a)와 상기 근접센서(230)가 서로 수평하게 위치되면, 상기 센서부(200)는 이를 화차가 공차상태임을 인지하고, 상기 제2검출체(330b)와 상기 근접센서(230)가 서로 수평하게 위치되면, 상기 센서부(200)는 이를 화차에 화물이 중간정도 적재된 상태임을 인지하며, 상기 제3검출체(330c)와 상기 근접센서(230)가 서로 수평하게 위치되면, 상기 센서부(200)는 이를 화자가 만차상태임을 인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검출체(330)는 상기 근접센서(230)와 마주보게 형성되는 검출부재(331)와 상기 검출부재(3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부재(33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너트(333)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검출체(330)가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에 고정된다.
상기 검출부재(331)는 상기 근접센서(230)에 의해 올바르게 인지되도록, 상기 근접센서(2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철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출체(330)와 상기 근접센서(230)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근접센서(230)의 검출거리 이내인 5~8mm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는 본 발명의 응하중검지장치(100)가 대차(10)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응하중검지장치(100)가 대차(10)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10)는 대차프레임(20), 상기 대차프레임(20)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차축(30), 상기 차축(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액슬박스(40) 및 상기 대차프레임(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서스펜션(50)을 포함한다.
상기 대차(10)는 화물을 싣기 위한 차체가 탑재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대차(10)는 차체와 대차의 각도가 일정각도로 회전하면서 운행되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에 사용되는 대차가 적용된다.
상기 대차(10)는 일반적인 화차에 적용되는 대차(10)의 구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의 주요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대차프레임(20)은, 한쌍의 사이드빔(미도시), 상기 사이드빔을 상호 결합하도록 중앙에 횡단 배치되는 센터 프레임(미도시), 및 상기 센터 프레임의 전후에 배치되는 차축(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축(30)은 상기 센터 프레임의 전후에 배치되며 양측에 차륜(60)이 결합되고, 상기 액슬박스(40)는 상기 차륜(60)의 차축(30) 주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스펜션(50)은 상기 차축(3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액슬박스(4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액슬박스(40)와 스프링박스(미도시)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서로 분리시킴으로써 운행중 레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대차(10)에는 상기 센서부(200) 및 상기 검출부(300)로 이루어지는 응하중검지장치(100)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센서부(200)는 차체에 실리는 화물의 하중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대차프레임(20)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부(300)는 화차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액슬박스(4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응하중검지장치(100)의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프레임(20)은 만차시 화물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고, 공차시 서스펜션(50)에 의해 상승된다.
또한, 상기 엑슬박스(40)는 차축(30)상에 설치됨에 따라 화차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화차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았을 때, 즉 차체가 공차상태 일때는 서스펜션(50)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근접센서(230)가 도 8a와 같이 상기 제1검출체(330a)가 설치된 높이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근접센서(230)를 통해 현재 화차의 하중이 공차상태인 것으로 인지되고, 인지된 하중상태를 제동제어장치로 전달하여, 공차상태일 때 적용되는 하중조건에 상응하는 제동력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차체에 화물이 중간정도 적재되었을 때는 상기 대차프레임(20)이 소정간격 하강함에 따라 상기 근접센서(230)가 도 8b와 같이 상기 제2검출체(330b)가 설치된 높이에 위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근접센서(230)를 통해 차체에 화물이 중간정도 적재된 상태임이 인지되고, 인지된 하중상태를 제동제어장치로 전달하여, 차체에 화물이 중간정도 적재된 상태일 때 적용되는 하중조건에 상응하는 제동력이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차체에 화물이 적재되어 만차 상태가 되면, 상기 대차프레임(20)이 완전히 하강함에 따라 상기 근접센서(230)가 도 8c와 같이 상기 제3검출체(330c)가 설치된 높이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센서를 통해 차량이 현재 만차상태임이 인지되고, 인지된 하중상태를 제동제어장치로 전달하여 만차상태일 때 적용되는 하중조건에 상응하는 제동력이 작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터모달 차량용 응하중검지장치(100)에 의하면, 고주파 방식을 이용한 근접센서(230)를 통해 철도차량의 하중이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공압공급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차체와 대차(10)가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운행하는 인터모달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근접센서(230) 및 검출체(330)의 설치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인터모달 시스템이 적용된 화차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철도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공압을 이용한 응하중밸브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응하중을 검지하도록 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대차 20 : 대차프레임
30 : 차축 40 : 액슬박스
50 : 서스펜션 100 : 응하중검지장치
200 : 센서부 210 : 센서박스
220 : 센서고정홈 230 : 근접센서
240 : 케이블 250 : 케이블그랜드
300 : 검출부 310 : 고정플레이트
320 : 검출체고정홈 330 : 검출체
340 : 고정홈

Claims (7)

  1. 대차프레임(20)과 액슬박스(40)가 구비된 대차(10)에 설치되는 응하중검지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응하중검지장치(100)는,
    상기 대차프레임(20)에 설치되는 센서부(200);와,
    상기 액슬박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200)와 마주보며 형성되는 검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200)는,
    센서박스(210);
    상기 센서박스(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센서고정홈(220); 및
    상기 센서고정홈(220)에 고정설치되는 근접센서(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300)는,
    고정플레이트(310);
    상기 고정플레이트(310)에 형성되는 검출체고정홈(320); 및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에 고정설치되는 검출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고정홈(22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센서고정홈(220)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근접센서(230)의 설치높이가 조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230)는 검출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케이블(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검출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검출체(330)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검출체고정홈(320)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검출체(330)의 설치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검출체(330)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제1,2,3 검출체(330a,330b,33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KR1020200013467A 2020-02-05 2020-02-05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KR10226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467A KR102263173B1 (ko) 2020-02-05 2020-02-05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467A KR102263173B1 (ko) 2020-02-05 2020-02-05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173B1 true KR102263173B1 (ko) 2021-06-10

Family

ID=7637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467A KR102263173B1 (ko) 2020-02-05 2020-02-05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196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거송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 전용궤도 이상탐지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281Y1 (ko) 1997-03-19 1999-08-02 안진옥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KR200319535Y1 (ko) 2003-04-03 2003-07-12 태우산업 주식회사 응하중 밸브
KR20060117682A (ko) * 2005-05-13 2006-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액슬과 차체 프레임의 상대변위 측정시스템
KR101315228B1 (ko) * 2013-04-18 2013-10-07 이알티엔지니어링(주) 하중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코니컬스프링 변위량과 축상고 측정방법 및 그 장치
JP2017040499A (ja) * 2015-08-18 2017-02-23 耕二 二村 貨物自動車の積載重量測定装置
KR101804088B1 (ko) * 2017-01-20 2017-12-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중량 측정장치
KR20190049176A (ko) * 2017-11-01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적재 중량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281Y1 (ko) 1997-03-19 1999-08-02 안진옥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KR200319535Y1 (ko) 2003-04-03 2003-07-12 태우산업 주식회사 응하중 밸브
KR20060117682A (ko) * 2005-05-13 2006-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액슬과 차체 프레임의 상대변위 측정시스템
KR101315228B1 (ko) * 2013-04-18 2013-10-07 이알티엔지니어링(주) 하중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코니컬스프링 변위량과 축상고 측정방법 및 그 장치
JP2017040499A (ja) * 2015-08-18 2017-02-23 耕二 二村 貨物自動車の積載重量測定装置
KR101804088B1 (ko) * 2017-01-20 2017-12-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중량 측정장치
KR20190049176A (ko) * 2017-11-01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적재 중량 측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196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거송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 전용궤도 이상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1580B1 (en) Rail car load sensor
US20080156944A1 (en) Control Device For a Rail Vehicle
US20150021445A1 (en) Leveling railway vehicl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263173B1 (ko)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KR101918095B1 (ko) 철도차량 차륜의 윤중감소 저감을 위한 축상지지장치
CN103443010B (zh) 减小电梯中的过牵引
CN108860205B (zh) 一种轨道车辆用脱轨检测方法及装置
AU20092126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umulation of air for pneumatic railroad car systems
US6352315B1 (en) Load dependent braking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s
US10549766B2 (en) Railcar including car-body tilting system and train set
CN112026828B (zh) 转向架及具有其的机车
CN112498389A (zh) 轨道交通车辆及其控制方法、系统
JP2004209995A (ja) 鉄道車両
WO2013187945A1 (en) Empty-load device feedback arrangement
KR102387013B1 (ko) 관절대차를 이용한 철도차량 제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JP5778599B2 (ja) 鉄道貨車の空気ばね圧力均一化方法、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鉄道貨車
CN107139958A (zh) 一种货运重载铁路探伤车转向架
EP3623250B1 (en) Derailment detection device and associated railway vehicle and method
EP2611668B1 (en) Railway carriage
CN102431531A (zh) 一种铁路车辆自动控制制动力系统及其方法
CN113911082A (zh) 一种铁路货车电控制动称重系统及方法
CN110914651B (zh) 用于车辆的负荷确定的装置和方法
US4041878A (en) Speed and track curvature suspension control system
CN208813217U (zh) 一种轨道车辆用脱轨检测装置
CN112550249A (zh) 胶轮列车及其制动控制系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