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281Y1 -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 Google Patents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281Y1
KR200154281Y1 KR2019970005096U KR19970005096U KR200154281Y1 KR 200154281 Y1 KR200154281 Y1 KR 200154281Y1 KR 2019970005096 U KR2019970005096 U KR 2019970005096U KR 19970005096 U KR19970005096 U KR 19970005096U KR 200154281 Y1 KR200154281 Y1 KR 200154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raking
cylinder chamber
pisto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928U (ko
Inventor
안원기
Original Assignee
안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옥 filed Critical 안진옥
Priority to KR2019970005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28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61H13/30Transmitting mechanisms adjust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 of vehicle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61H13/38Suspension of transmitt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with a plurality of 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차의 영차 또는 공차시 중량의 변화에 따라서 제동력을 자동 제어시키기 위한 장치에 적용되는 바란스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제1실린더실과 제2실린더실이 형성되며 그 내부 중앙에는 ' T' 모양의 제3실린더실이 형성된 원통상의 몸체와, 일측에는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요홈이 형성되고 한 쌍의 패킹과 공기차단부재가 구비된 'ㅏ' 모양의 제1피스톤, 제2피스톤과, 상기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어 그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과 제1실린더실과 제2실린더실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공기 유입공을 갖는 에어유닛이 구비되어 화차를 제동함에 있어서, 응하중변의 작동봉의 오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차, 영차, 및 비상제동시 요구되는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본 고안은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차의 영차 또는 공차시의 중량의 변화에 따라서 브레이크 제동 력을 자동 제어시켜주기 위한 장칭 적용되는 바란스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1995년 특허 출원공고 제14364호의 적공 제동 자동 제어장치에 의하면, 응하중변의 받침봉의 상승에 따라 송입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변, 중계변 및 공급제어변으로 이송시키되 응하중변이 모두 작동되는 조건에서만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적공 제동 자동 제어장치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입관(201)으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 동작되는 피스톤(211)에 의해 압력공기실(202)의 공기를 이송시키는 분배변(210)과, 상기 분배변(210)의 실린더(212)에 형성된 작용관(216)에 의해 연통되어 압력공기실(202)의 공기공급으로 동작되는 피스톤(221)에 의해 공급 공기통(C)의 공기를 송출관(203)으로 송출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작용부(220)와, 상기 분배변(210)과 공급 공기통(C, D) 및 응하중변(250) 그리고 중계변(240)과 연결되며 응하중변(250)의 받침봉(251)의 동작에 따라 송입관(201)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 공기통(D)에 저장시켜 주기위한 공급변(230)과, 상기 송입관(201)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작용부(220)로 공급시키기 위한 공급 공기통(C)과, 공급 공기통(C)와 연통되어 영차 제동시 공급 공기통(C)의 공기압을 보충시켜 제동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공급 공기통(D)과, 영차 제동시 상기 응하중변(250)의 배출공기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241)으로 하여금 작용부(220)와 복식 제동통(260)의 연결통로를 개방시켜 작용부(220)내의 공급 공기통(C, D)의 공기를 복식제동통(260)으로 공급시켜 주기위한 중계변(240)과, 영차시 받침봉(251)의 승강 동작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252)의 동작에 따라 송입관(201)의 공기를 중계변(240)과 공급변(230)으로 공급시켜 각각의 피스톤(241, 231)을 하강시킴으로써 중계변(240)에서는 작용부(220)와 복식제동통(260)의 연결통로 개방동작과 공급변(230)에서는 송입관(201)의 공기를 공급 공기통(D)로 공급시키기 위한 응하중변(250)과, 상기 작용부(220)와 중계변(240) 및 송입관(201)과 연결되는 비상변(290)을 각각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영차제동시에는 공기통의 공기압을 영공차제동 피스톤 양자에 공급하여 구동시키는 것으로 압송되는 공기가 복식제동통의 영차 제동 피스톤을 밀어서 공차제동 피스톤을 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공차제동 피스톤도 동일하게 동작되며 밀어주게 되어 제동력을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응하중변의 받침봉이 모두 작동되는 조건에서만 송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변 및 중계변으로 이송시킬수 있도록 된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란스변은 화차 제동자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제1실린더실과 제2실린더실이 형성되며 그 내부 중앙에는 'T' 모양의 제3실린더실이 형성된 원통상의 몸체와, 일측에는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요홈이 형성되고 한 쌍의 패킹과 공기차단부재가 구비된 'ㅏ' 모양의 제1피스톤, 제2피스톤과, 상기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어 그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과 상기 제1실린더실과 제2실린더실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공을 갖는 에어유닛이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적공 제동 자동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 : 바란스변 81 : 몸체
82 : 제1실린더실 83 : 제2실린더실
84 : 제3실린더실 85 : 제1피스톤
86 : 제2피스톤 87 : 요홈
88, 88' : 패킹 89 : 공기차단부재
120 : 에어유닛 121 : 공기유입공
이하, 본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송입관(1)으로부터 공급된 제동관의 압력공기를 저장하는 제어공기통(E)의 압력공기에 의해 상·하동작되는 막판피스톤(11, 11')과 막판피스톤(11)의 상·하동작에 의해 압력공익실(C, C')의 압력공기를 제어중계변(20)의 하부실(F)과 작용 공기실(D)로 이송 시키기 위한 제어변(10) 및 선택변(10')과, 상기 제어변(10)과 작용관(13)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압력 공기실(C, C')로부터의 공기공급으로 인해 상승되는 막판피스톤(21)이 내설되며 공급공기통(A, B)의 공기를 상부실(T)에 공급하고 상부공급변(22)의 개방으로 공기를 송입관(2)으로 공급 및 차단하거나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제어 중계변(20)과, 상기 제어 중계변(20)과 연통된 작용공기실(D), 송입관(1) 및 작용관(7)과 연결되고 비상 제동시 압력공기실(C, C')의 공기를 역지변(125)을 경유하여 제어 중계변(20)의 막판피스톤(21) 하부실(F)과 연통된 작용공기실(D)에 급속히 이송 시키며, 영차 3차시 중계변(60')의 작용관(8)에서 작용관(7)으로 공급공기통(A, B)의 압력 공기가 공급될 때, 상기 역지변(125)을 지나 제어중계변(20) 하부실(F)에 높은 압력 공기를 공급시켜 비상제동을 일으크는 비상변(30)과, 송입관(1)에서 공급공기통(B)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영차 1차 동작시 응하중변(50, 50')의 받치봉(51, 51')을 상승시켜 공급변(52, 52')이 개방되어 송입관(1')의 공기가 바란스변(80)과 용적공기통(R) 및 정압변(90)을 지나 상부실(J)에 공급되며 막판피스톤(41)이 하강되고 공급변(42)이 개방되므로, 송입관(1)의 공기가 역지변(123)을 경유하며 공급변(B)으로 공급되거나 차단되는 복식변(40)과, 영차 1차 동작시 정압변(90)을 지난 압력 공기에 의해 상기 복식변(40)을 작용 시킬 때 동시에 동작되고 압력공기실(C)에서 압력공기실(C')로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복식변(40')과 상기 복식변(40, 40')과 동시에 동작되고 공급공기통(A, B)을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복식변(40)과, 차량의 사이드 후레임에 설치되고 영차 1차시 받침봉(51, 51')의 상승동작에 따라 개·폐변하는 1차 공급변(52, 52')의 동작에 따라 송입관(1')의 공기를 바란스변(80)을 통해 복식변(40, 40', 40)으로 공급시키며 영차 2차시 상기 받침봉(51, 51')의 상승에 따라 개·폐변하는 2차 공급변(53, 53')에 의해 송입관(1')의 공기를 바란스변(80')을 통해 중계변(60)과 공급제어변(70)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응하중변(50, 50')과, 영차 3차시 받치봉(51)의 상승에 따라 공급변(52)의 개방에 의해 송입관(1')의 공기를 중계변(60')과 공급 제어변(70)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응하중변(50)과, 영차 2차 제동시 상기 응하중변(50, 50')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제어 중계변(20)을 통해 상기 공급 공기통(A, B)의 압력공기를 공급하여 복식제동통(100)의 영차 피스톤(102)을 구동시키며 영차 1차 제동 상태로 전환 복귀 시에는 유입된 공기를 배출구(64)로 배출시키기 위한 중계변(60)과, 영차 3차 제동시 상기 응하중변(50)에 의해 압력공기실(C)과 비상변(30)을 연통시키고, 공기공급통(A, B)과 비상변(30)을 연통시켜 영차 3차 때에만 높은 압력을 공급시켜 비상 제동력을 높게 하는 중계변(60')과, 상기 응하중변(50), 중계변(60') 및 공급 제어변(70')에 연결되며 응하중변(50)의 받침봉(51)의 상승에 따라 송입관(1')의 공기가 공급되어 송입관(3)을 차단시키고 송입관(4)을 대기와 연통시키기 위한 공급제어변(70)과, 상기 공급제어변(70) 및 복식변(40, 40', 40)과 연결되며 공급제어변(70)의 동작에 의해 송입관(5)과 송입관(6)을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공급제어변(70')과 상기 응하중변(50, 50')의 받침봉(51, 51')의 상승에 따라 송입관(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복식변(40, 40', 40), 중계변(60) 및 공급제어변(70)으로 이송시키되 상기 응하중변(50, 50')이 모두 작동되는 조건에서만 연통되도록 하는 바란스변(80, 80')과, 상기 바란스변(80)의 동작에 의해 이송된 공기를 일정한 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만 연통되도록 하는 정압변(90)과, 상기 제어 중계변(20) 또는 중계변(60)을 거쳐 공급되는 공기에의해 공/영차시 피스톤(101, 102)을 구동시켜 제동 작용을 하기 위한 복식제동통(100)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로서, 바란스변(80)의 몸체(81)에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제1실린더실(82)과 제2실린더실(83)이 형성되며 그 내부 중앙에는 'T' 모양의 제3실린더실(84)이 형성되고, 'ㅏ' 모양의 제1피스톤(85), 제2피스톤(86)은 일측에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요홈(87)과 한 쌍의 패킹(88)과 공기차단부재(89)가 구비되며, 에어유닛(120)은 상기 몸체(81)의 양단에 결합되어 그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88')과 상기 제1실린더실(82)과 제2실린더실(83)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공(121)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제2피스톤(85, 86)의 요홈(87)에는 소정크기의 반경을 갖는 중심선상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숭개의 관통구멍(85a, 86a)이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81)의 일측에 결합된 에어유닛(120)의 공기유입공(121)에는 상기 응하중변(50)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송입관(54)이 결합되고, 반대측에 결합된 상기 에어유닛(120)의 공기유입공(121)에는 응하중변(50')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송입관(54')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81)의 제3실린더실(84)로 공급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통(R)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실린더실(82, 83, 84)이 형성된 몸체(81)와, 제1, 제2피스톤(85,86)과, 에어유닛(120)으로 이루어진 바란스변(80)을 구비한 초기 상태에서, 상기 바란스변(80)을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상에서 송입관(54, 54')을 결합하여 상기 응하중변(50, 50')과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3실린더실(84)의 하방으로는 공기통(R)을 결합하면,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상에 바란스변(8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상기 응하중변(50, 50')의 작동봉(51, 51')이 조정볼트(86, 86')에 접촉되어 눌려져 상승하게 되면, 상기 응하중변(50, 50')내의 공기가 상기 송입관(54, 54')을 통하여 상기 바란스변의 에어유닛(120)을 통하여 제1, 제2실린더실(82, 83)에 공급되며, 계속하여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제3실린더실(84)을 통하여 공기통(R)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바란스변(80)의 제1피스톤(85)과 제2피스톤(86)은 상기 제3실린더실(84)상에서 서로 접촉된 상태이고, 송입관(54, 54')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동일하므로 구동되지 않으며, 상기 제1실린더실(82)과 제2실린더실(83)에 공급된 공기는 제1, 제2피스톤(85, 86)에 결합된 패킹(88)에 의해 밀폐된 상태이므로 상기 요홈(87)에 형성된 관통구멍(85a, 86a)을 통하여 상기 제3실린더실(84)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응하중변(50, 50')중 어느 한쪽의 작동봉(51, 51')이 작동하지 않고 한쪽 작동봉(51, 51')만이 상승하게 될 때에는 상기 바란스변(80)의 제1실린더실(82) 또는 제2실린더실(83)상에만 공기가 공급되므로 제1피스톤(85) 또는 제2피스톤(86)이 구동되고, 이에 따라 공기차단부재(89)에 의해 제3실린더실(84)의 일측이 차단되므로 상기 공기통(R)으로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응하중변의 작동봉이 모두 작동하여 상승할 때에만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바란스변을 이용하여 화차의 제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화차를 제동함에 있어서, 응하중변의 작동봉의 오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차, 영차, 및 비상제동시 요구되는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화차 자동제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제1실린더실(82)과 제2실린더실(83)이 형성되며 그 내부 중앙에는 'T' 모양의 제3실린더실(84)이 형성된 원통상의 몸체(81)와; 일측에는 소정 곡률을 갖는 요홈(87)이 형성되고 한 쌍의 패킹(88)과 공기 차단부재(89)가 구비된 'ㅏ' 모양의 제1피스톤(85), 제2피스톤(86)과; 상기 몸체(81)의 양단에 결합되어 그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88')과 상기 제1실린더실(82)과 제2실린더실(83)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공(121)을 갖는 에어유닛(1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피스톤(85, 86)의 요홈(87)상에는 소정크기의 반경을 갖는 중심선상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개의 관통구멍(85a, 8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KR2019970005096U 1997-03-19 1997-03-19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KR200154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096U KR200154281Y1 (ko) 1997-03-19 1997-03-19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096U KR200154281Y1 (ko) 1997-03-19 1997-03-19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928U KR19980060928U (ko) 1998-11-05
KR200154281Y1 true KR200154281Y1 (ko) 1999-08-02

Family

ID=1949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096U KR200154281Y1 (ko) 1997-03-19 1997-03-19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2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73B1 (ko) 2020-02-05 2021-06-10 (주)성신알에스티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73B1 (ko) 2020-02-05 2021-06-10 (주)성신알에스티 인터모달 수송시스템이 적용된 화차의 응하중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928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7511A (en) Hydraulically powered triplex pump and control system therefor
CN106163785B (zh) 压力机
CN108136707B (zh) 电液式驱动单元
US5783983A (en) Internal mixer
US20020078822A1 (en) High output spring brake actuator
ITTO20000393A1 (it) Disposizione di valvola idraulica con funzione di bloccaggio e di galleggiamento.
KR200154281Y1 (ko)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KR101832287B1 (ko) 단일 면 실린더로의 오일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JP3590662B2 (ja) 油圧シリンダの昇降体のロック構造
KR200253224Y1 (ko) 화차 제동 장치용 바란스변
US4160627A (en) Hydraulically powered triplex pump and control system therefor
CA1261902A (en) Empty and load valve for a railroad car brake system
FI64773C (fi) Pneumatisk bromsanordning foer fordon
KR100306431B1 (ko) 화차용제동장치
JP3682940B2 (ja) 車高調整装置
US4687078A (en) Hydraulic elevator system
KR20000038115A (ko) 화차용 제동장치
FI57558B (fi) Styrventil foer skengaoende fordons trycklufts-bromsanlaeggningar
KR950014364B1 (ko) 적공 제동 자동 제어 장치
CN216590037U (zh) 一种双闸板阀门用辅助装置
KR20000011357U (ko) 화차용 분배변
JPS60220203A (ja) 増圧式高圧容器
KR200280776Y1 (ko) 철도차량의 응하중밸브
KR102370901B1 (ko) 실린더 리프트 장치
KR100240933B1 (ko) 화차용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