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843B1 -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843B1
KR102262843B1 KR1020200072918A KR20200072918A KR102262843B1 KR 102262843 B1 KR102262843 B1 KR 102262843B1 KR 1020200072918 A KR1020200072918 A KR 1020200072918A KR 20200072918 A KR20200072918 A KR 20200072918A KR 102262843 B1 KR102262843 B1 KR 10226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af
door
rotation
shaf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섭
Original Assignee
오성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섭 filed Critical 오성섭
Priority to KR102020007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문틀 및 상기 문틀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짝을 포함하는 특장차 도어에 있어서, 문틀에 연결되는 회동축, 문짝에 내장되고 상기 문짝과 연결된 고정축, 상기 회동축과 축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된 제1헤드 및 상기 고정축과 축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제2헤드를 포함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제2헤드가 상기 문짝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완전개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DOOR FOR SPECIAL VEHICLE}
본 발명은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는 특수한 목적으로 제조되는 차량으로, 화물을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해 박스 형상의 적재함이 구비된 밴형 트럭 등의 특장차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특장차에 구비되는 적재함(컨테이너)에는 화물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해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기술인 제10-2021113호(이하 종래기술)는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D')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문틀; 상기 문틀 내측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 및 제2 문짝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문짝; 상기 제2 문짝에 이웃하는 상기 제1 문짝의 수직 모서리 부분을 덮고, 상기 제1 문짝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 문짝의 폭을 가변시키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1 문짝에 이웃하는 상기 제2 문짝의 수직 모서리 부분을 덮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최고확장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덮음으로써 상기 제1 문짝이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문짝의 가스켓; 상기 문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 문짝을 수직하게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1 문짝의 록킹바; 상기 제1 문짝의 록킹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문짝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제1 문짝의 손잡이;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1 문짝의 록킹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록킹바가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최고확장위치에서 최고수축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 문짝은 상기 제2 문짝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힌지부재(3')가 문짝(D2') 및 문틀(D1;)에서 후방으로 돌출 구비된다는 점에서, 미관이 좋지 않으며 공간 활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미관이 좋으며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짝의 회동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는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회동이 용이한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짝과 문틀의 충돌을 억제하는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되는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문틀 및 상기 문틀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짝을 포함하는 특장차 도어에 있어서, 문틀에 연결되는 회동축, 문짝에 내장되고 상기 문짝과 연결된 고정축, 상기 회동축과 축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된 제1헤드 및 상기 고정축과 축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제2헤드를 포함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제2헤드가 상기 문짝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완전개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완전개방수단은 상기 제2헤드의 둘레를 따라 소정 구간에 형성된 곡면 형태의 회동면 및 상기 문짝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면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회동대응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면의 일단부에 구비된 일방제한돌기 및 상기 회동대응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일방제한돌기가 걸리는 일방제한턱을 포함하는 걸림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일방제한턱은 상기 문짝의 회동 각도를 270°로 제한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회동면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방제한돌기 및 상기 문짝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타방제한돌기가 삽입되는 타방제한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타방제한홈은 상기 문짝의 회동 각도를 270°로 제한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회동대응면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방제한돌기 및 상기 문짝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타방제한돌기가 삽입되는 타방제한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타방제한홈은 상기 문짝의 회동 각도를 270°로 제한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문짝에 내장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과 축결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회동부재가 문짝 및 문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미관이 좋으며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부재가 제1헤드 및 제2헤드를 포함하여 제1헤드가 문틀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회동부재가 문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회동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완전개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문짝이 문틀에 대하여 회동되는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완전개방수단이 회동면과 회동대응면을 포함하여, 문짝과 회동부재가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회동이 용이하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문짝이 문틀에 부딪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걸림수단이 타방제한돌기, 타방제한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스토퍼 기능이 강화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 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문짝이 회동부재에 의해 문틀에 대하여 회동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완전개방수단 및 걸림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회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문짝이 회동부재에 의해 문틀에 대하여 회동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완전개방수단 및 걸림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회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장차는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차(예시적으로 트럭)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특장차에는 적재함(컨테이너) 등이 구비되는 밴형 트럭 등이 있다. 상기한 적재함에는 화물이 수용되어 운반되는데, 운반 과정에서는 적재함의 화물이 회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적재함의 개구를 폐쇄하고,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적재함에 수용된 화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적재함의 개구를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함의 개구에 구비되는 문틀(D1)과 문틀(D1)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짝(D2)을 포함한다.
상기한 문틀(D1)은 적재함에서 개구를 형성하는 후측단을 의미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후단측(후방)은 도 4를 기준으로 하단측(하방), 전단측은 도 4를 기준으로 상단측(상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D)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장치(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D))는 회동축(1), 고정축(2), 회동부재(3) 및 완전개방수단(4)을 포함한다.
회동축(1)은 문틀(D1)에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문틀(D1)은 문짝(D2)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D11), 문짝(D2)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프레임(D12),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상부프레임(D11)과 하부프레임(D12)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프레임(D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D13)에는 후술하는 회동부재(3)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측 및 하측은 도 3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의미하고 상하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예시적으로 회동축(1)은 봉일 수 있는데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회동축(1)은 전단측이 문틀(D1)에 연결(용접, 볼팅 결합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결)되고, 후단측이 상기 회동축(1)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6)을 매개로 문틀(D1)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축(2)은 문짝(D2)에 내장되고 문짝(D2)과 연결된다. 예시적으로는 고정축(2)은 봉일 수 있으며,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그 상단과 하단 각각이 문짝(D2) 상측 내면과 하측 내면 각각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공지된 통상의 기술을 따를 수 있다. 여기에서 내면은 고정축(2)이 내장되는 문짝(D2)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회동부재(3)는 회동축(1)과 축결합되는 축공(311)이 형성된 제1헤드(31) 및 고정축(2)과 축결합되는 고정공(321)이 형성된 제2헤드(32)를 포함한다. 회동부재(3)는 2개의 노드(node)를 가지는 링크 형상일 수 있으며, 여기서 2개의 노드(node) 각각은 상기한 축공(311)과 고정공(321)이 각각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헤드(32)가 문짝(D2)에 내장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축(2)과 축결합된다고 하였는데, 문짝(D2)은 고정공(321)과 고정축(2)이 축결합되도록 제2헤드(32)가 관통되는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동축(1)은 외주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헤드(31)는 축공(311)을 형성하는 내주에서 상기 돌기(11)가 삽입되도록 패인 홈부(312)를 포함하여, 제1헤드(31)의 축공(311)과 회동축(1)이 일체화 되어 거동하도록 상호 축결합될 수 있다.
즉, 회동축(1)이 문틀(D1)에 대하여 회동하는 경우, 회동축(1)과 회동부재(3)가 축공(31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상기한 외측은 회동축(1)에서 길이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에서 방사상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내측은 상기 외측에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고정축(2)은 평면상에서 단면이 마주보는 한 쌍의 직선부와 한 쌍의 직선부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고, 평면상에서 고정공(321)의 단면이 상기 고정축(2)의 단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고정축(2)과 제2헤드(32)가 상호 축결합되어 일체화 되어 거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축(1)은 문틀(D1)과 연결되고, 고정축(2)은 문짝(D2)과 연결된다고 하였는데, 회동부재(3)가 회동축(1) 및 고정축(2) 각각과 축결합되는 제1헤드(31) 및 제2헤드(32)를 포함함으로써, 회동부재(3)는 문짝(D2)과 문틀(D1)을 상호 연결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축(1)은 문틀(D1)과 회동되도록 연결되는데, 고정축(2)이 문짝(D2)에 내장되므로 고정축(2)과 축결합되는 회동부재(3)의 제2헤드(3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릿을 통해 문짝(D2)의 내부로 삽입되어 문짝(D2)에 내장되기 때문에 종래의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D')의 힌지부재(3')(도 1 및 도 2 참조)와 달리 고정축(2) 및 회동부재(3) 등이 문짝(D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미관이 향상되며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축(2)은 문짝(D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고정축(2)이 회동함에 따라 고정축(2)과 축결합된 제2헤드(32)는 고정축(2)과 일체화 되어 거동하여(상기한 문짝(D2)에 형성되는 슬릿은 회동부재(3)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짝(D2)은 고정공(32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즉, 문짝(D2)은 회동부재(3)의 축공(311)과 고정공(321)을 양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는데, 상기한 브라켓(6)의 전후방 길이를 크게 하지 않고도 문짝(D2)을 문틀(D1)에 대하여 더 큰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문짝(D2)이 축공(311)만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경우 회동부재(3)가 문틀(D1)에 걸리게 된다(도 5 참조). 회동부재(3)가 문틀(D1)에 걸리게 되는 경우(문틀(D1)이 제1각도만큼 회동) 본 장치의 폭(도 4를 기준으로의 좌우 방향 길이)이 커지게 된다.
본 장치의 폭을 작게 하고자 상기한 브라켓(6)의 전후방 길이를 커지게 하는 경우, 본 장치의 두께(도 4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길이)가 커지게 되고, 문틀(D1)의 회동을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경우 본 장치의 폭이 더 커지거나 본 장치의 상기 두께가 커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3)가 문틀(D1)에 걸리게 됐을 때, 문짝(D2)을 고정공(321)을 중심축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더 회동시키는 경우(제2각도만큼 회동), 도 5와 같이, 문틀(D1)과 문짝(D2)을 평행하도록 할 수 있어 본 장치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문짝(D2)의 회동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는 것은 문짝(D2)의 위치 자유도가 증대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본 장치가 설치되는 특장차가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문짝(D2)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장치는 제2헤드(32)가 문짝(D2)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완전개방수단(4)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완전개방수단(4)은 제2헤드(32)의 둘레를 따라 소정 구간에 형성된 곡면 형태의 회동면(41) 및 상기 문짝(D2)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회동면(41)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회동대응면(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문짝(D2)의 후방 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대응면(42)은 문짝(D2)의 전방 내측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부(D2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전개방수단(4)이 회동면(41)과 회동대응면(42)을 포함함으로써, 문짝(D2)과 제2헤드(32)가 상호 지지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문짝(D2)이 제2헤드(32)에 대하여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회동면(41)의 일단부에 구비된 일방제한돌기(51) 및 회동대응면(42)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일방제한돌기(51)가 걸리는 일방제한턱(52)을 포함하는 걸림수단(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방제한턱(52)은 문짝(D2)의 회동 각도를 270°로 제한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문짝(D2)이 문짝(D2)의 전방 측에 구비되는 적재함의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문짝(D2)이 축공(311)을 중심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회동부재(3)가 문틀(D1)(수직프레임(D13))에 걸리게 되어 본 장치는 더 많은 폭(도 4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을 형성한다. 즉, 문짝(D2)은 고정공(32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지 않고 축공(311)만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경우 270°보다 적은 상기 제1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문짝(D2)이 고정공(321)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문짝(D2)이 제2각도(270°- 제1각도)만큼 더 회전하여 문짝(D2)이 문틀(D1)의 전방에 대하여 270° 회동할 수 있어 문틀(D1)의 수직프레임(D13)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도 5 참조).
일방제한턱(52)은 회동대응면(42)의 일단부에 구비된다고 하였는데, 도 4를 기준으로 회동대응면(42)에서 축공(311)과 인접한 측에 반대되는 측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고, 일방제한돌기(51)는 문짝(D2)이 상기 제2각도만큼 회동되도록 회동면(41)에서 돌출되어 상기 일방제한돌기(51)가 제2각도보다 더 크게 회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일방제한돌기(51)는 예시적으로 회동면(41)의 후단에서 외측(고정축(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에서 방사상 방향측)으로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문짝(D2)이 270°보다 더 회동하여 문틀(D1)과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걸림수단(5)은 회동면(41)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방제한돌기(53) 및 문짝(D2)의 내부에 구비되고 타방제한돌기(53)가 삽입되는 타방제한홈(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방제한홈(54)은 문짝(D2)의 회동 각도를 270°로 제한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타방제한돌기(53)는 회동면(41)에서 상기 일방제한돌기(51)의 반대되는 측에 형성되고, 타방제한홈(54)은 문짝(D2)이 후방측 내면에서 고정공(321)을 중심축으로 제2각도만큼 회동하도록 후방측으로 패인 것일 수 있다. 즉, 타방제한돌기(53)는 회동면(41)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문짝(D2)은 제1각도와 제2각도의 합만큼 회동하여 270° 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수단(5)이 타방제한돌기(53) 및 타방제한홈(54)을 더 포함하여 본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걸림수단(5)이 문짝(D2)의 회동 각도를 270°로 제한하기 위해 일방제한돌기(51)와 일방제한턱(52)만을 포함하는 경우 반복 사용으로 인해 일방제한돌기(51)와 일방제한턱(52)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걸림수단(5)이 상기한 일방제한돌기(51)와 일방제한턱(52)뿐만 아니라 타방제한돌기(53) 및 타방제한홈(54)을 포함하여 회동면(41)과 회동대응면(42)이 양단부(일단부, 타단부)에서 동시에 지지되어 보다 구조적으로 안정한 동시에 외력을 분산하여 파손을 방지하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는 스토퍼 기능(회동 제한 기능)이 강화됨을 의미한다.
한편, 회동부재(3)는 그 사용 특성상 회동면(41)이 회동대응면(42)과 반복적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외면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부재(3)는 강성을 구비하고자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동부재(3)는 상호 이격된 문틀(D1)과 문짝(D2)을 연결하는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빗물 등과 접촉하여 부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회동부재(3)의 외면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는 경우 틈부식이 발생되어 부식 속도가 촉진될 수 있으며, 회동부재(3)의 외면(표면)에 부식이 발생되는 경우 응력이 집중되어 응력부식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회동부재(3)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면에 구비되는 보호막(G)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호막(G)이 도포된 상태로 회동부재(3)가 오래 사용되는 경우, 보호막(G)에 미세한 홈 등이 발생하여 회동부재(3)의 외면에 스크래치나 부식 등이 발생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보호막(G)은 투명한 상태로 유지될 필요성이 있으며, 보호막(G)의 유지보수를 위해 홈(구멍) 등이 발생한 경우 이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들을 충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호막(G)막은 회동부재(3) 외면에 접하는 제1투명 접착층(G1), 상기 제1투명 접착층(G1)의 상부에 구비되는 투명 발열층(G2), 상기 투명 발열층(G2) 상부에 구비되는 제2투명 접착층(G3) 및 상기 제2투명 접착층(G3) 상부에 구비되는 가변 보호층(G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투명 접착층(G1) 및 제2투명 접착층(G3) 각각은 부틸아크릴레이트 70~99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30 중량%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모노머 100 중량부, 라디칼 개시제 0.1~5 중량부 및 가교제 0.01~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부틸아크릴레이트는 호모폴리머로 중합할 시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이고, 아크릴로니트릴은 호모폴리머로 중합할 시 유리전이온도가 80℃ 이상이어서 채택됐다.
부틸아크릴레이트가 70 중량% 미만이면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져서 내충격성이 감소하며, 헤이즈(haze)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 함량이 99 중량%를 초과하면 유리전이온도가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아크릴로니트릴은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유리전이온도가 너무 낮아져서 점착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그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초기 점착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라디칼 개시제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중합을 위해 사용되는데, 상용화된 라디칼 개시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를 중합시킴에 의해 얻어지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가교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의 함량비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시트가 유연해져서 재단성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그 함량비가 20중량부를 초과하면 딱딱해져서 내충격성이 감소하고, 부스러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제1투명 접착층(G1) 및 제2투명 접착층(G3) 각각은 고온에서 접착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투명 접착층(G1) 및 제2투명 접착층(G3)은 고온(약 37℃ 이상)에서 접착력을 유지하며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상용화된 기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투명 발열층(G2)은 후술하는 제1투명 접착층(G1)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1투명 접착층(G1)과 제2투명 접착층(G3)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을 포함하는데, 직류 또는 교류 전기를 가하게 되면 발열을 하게 되는 것으로 투명한 것이 특징이다.
가변 보호층(G4)은 제2투명 발열층(G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증류수 250ml 당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미드(NIPAM) 폴리머 3.84 g, 알긴산나트륨 1.25 g이 용해된 제1용액 및 증류수 300 ml에 염화칼슘 3%, 과황상암모늄 0.5%가 포함된 제2용액이 혼합된 변환제 및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 내지 30 중량부, 콜로이달 알루미나 20 내지 75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 3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보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용액과 제2용액은 각각 질소 가스에 의해 탈기하고, 제1용액을 주사기에 의해 한 방울씩 교반되어 있는 제2용액에 적하하는데, 적하와 동시에 알긴산칼슘을 매크로 캡슐로 하는 미립자가 발생한다. 1~3시간 내에 내포된 NIPAM의 중합이 종료되고, 얻어진 미립자를 증류수로 3~7회 정도 세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제는 약 37℃ 이하에서 투명한 상태로 존재하며, 37℃를 초과한 상태에서는 미립자 내에 미가교 폴리머가 불용이 되어 백탁되기 때문에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된다. 불용이 된 상태에서 다시 37℃ 이하로 내려갈 경우 변환제는 투명 상태로 전환되어 투명과 불투명한 상태가 가역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보호제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 내지 30 중량부, 콜로이달 알루미나 20 내지 75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 30 중량부 이하가 약 1시간 정도 교반하여 혼합된 후 초음파 분산처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호제는 투명하며 우수한 내마모성, 내화확성, 내식성, 내후성, 및 열안정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3)는 내마모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보호제를 포함하는 보호막(G)이 외면에 구비됨으로써, 스크래치, 부식 등이 억제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면에 보호막(G)이 구비된 상태로 회동부재(3)가 오랜 기간 사용됨에 따라 보호막(G)은 외력에 의해 미세 홈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미세 홈에 의해 회동부재(3)는 외면에 스크래치 및 부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막(G)은 37℃ 이하에서 투명한 상태로 유지(도 8의 [A] 참조)되어 보호막(G)이 구비된 회동부재(3)의 표면에 스크래치, 부식 등이 발생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보호막(G)이 회동부재(3)의 외면에 구비(부착)된 상태로 오랜 시간 사용되어 보호막(G)의 홈 등이 발생한 것을 미리 확인하기 위해 또는 회동부재(3)의 외면에 스크래치, 부식 등의 파손이 발생된 것이 확인된 상태에서 보호막(G)의 유지보수를 위해 보호막(G)에 홈 등이 발생된 위치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투명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는 경우, 투명 발열층(G2)이 발열되어 변화제로 열이 전달되고, 변화제가 37℃를 초과하는 경우 백탁되어 보호제를 포함하는 가변 보호층(G4)이 불투명하게 변화하게 된다. 한편, 제1투명 접착층(G1), 투명 발열층(G2), 제2투명 접착층(G3)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불투명한 상태였던 회동부재(3)의 색상과 백탁된 가변 보호층(G4)의 색상이 대비(도 8의 [B] 참조)되어 가변 보호층(G4)에 홈 등이 발생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회동부재(3)의 외면 색상과 불투명 상태의 가변 보호층(G4)의 색상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투명 접착층(G3)은 37℃를 초과하는 고온에서도 접착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회동부재(3)의 외면에 부착된 가변 보호층(G4)에 발생한 홈에 가변 보호층(G4)을 새로이 투입됨으로써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3)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호막(G4)을 포함함으로써, 오랜기간 동안 회동부재(3)의 외면에 스크래치, 부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 D
회동축: 1 돌기: 11
고정축: 2 회동부재: 3
제1헤드: 31 축공: 311
홈부: 312 제2헤드: 32
고정공: 321 완전개방수단: 4
회동면: 41 회동대응면: 42
걸림수단: 5 일방제한돌기: 51
일방제한턱: 52 타방제한돌기: 53
타방제한홈: 54 브라켓: 6
문틀: D1 상부프레임: D11
하부프레임: D12 수직프레임: D13
문짝: D2 연장부: D21

Claims (4)

  1. 문틀 및 상기 문틀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짝을 포함하는 특장차 도어에 있어서,
    문틀에 연결되는 회동축;
    문짝에 내장되고 상기 문짝과 연결된 고정축;
    상기 회동축과 축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된 제1헤드 및 상기 고정축과 축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제2헤드를 포함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제2헤드가 상기 문짝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완전개방수단을 포함하고,
    완전개방수단은 상기 제2헤드의 둘레를 따라 소정 구간에 형성된 곡면 형태의 회동면 및 상기 문짝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면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회동대응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면의 일단부에 구비된 일방제한돌기 및 상기 회동대응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일방제한돌기가 걸리는 일방제한턱을 포함하는 걸림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일방제한턱은 상기 문짝의 회동 각도를 270°로 제한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회동면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방제한돌기 및 상기 문짝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타방제한돌기가 삽입되는 타방제한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타방제한홈은 상기 문짝의 회동 각도를 270°로 제한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외면에 구비되는 보호막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막은 상기 회동부재의 외면에 접하는 제1투명 접착층, 상기 제1투명 접착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투명 발열층, 상기 투명 발열층 상부에 구비되는 제2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제2투명 접착층 상부에 구비되는 가변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투명 접착층은 및 제2투명 접착층은 각각 부틸아크릴레이트 70~99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30 중량%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모노머 100 중량부, 라디칼 개시제 0.1~5 중량부 및 가교제 0.01~20 중량부를 포함하고,
    투명 발열층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을 포함하고,
    가변 보호층은 변환제 및 보호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제는 증류수 250ml 당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미드(NIPAM) 폴리머 3.84 g, 알긴산나트륨 1.25 g이 용해된 제1용액 및 증류수 300 ml에 염화칼슘 3%, 과황상암모늄 0.5%가 포함된 제2용액이 혼합되고, 상기 보호제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 내지 30 중량부, 콜로이달 알루미나 20 내지 75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 0.1 내지 3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고,
    상기 문틀은 상기 문짝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축은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봉이고, 상기 고정축은 봉이고,
    상기 고정축은 평면상에서 마주보는 한 쌍의 직선부와 한 쌍의 직선부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72918A 2020-06-16 2020-06-16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 KR10226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918A KR102262843B1 (ko) 2020-06-16 2020-06-16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918A KR102262843B1 (ko) 2020-06-16 2020-06-16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843B1 true KR102262843B1 (ko) 2021-06-08

Family

ID=7639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918A KR102262843B1 (ko) 2020-06-16 2020-06-16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0906A (ko) 2022-10-31 2024-05-08 주식회사 대덕아이엠티 탑차 적재함용 리어 도어 어셈블리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2060A1 (fr) * 1988-09-29 1990-04-04 POMMIER & CIE Dispositif de verrouillage à crémone pour véhicules, conteneurs et objets analogues
DE3813088C2 (ko) * 1988-04-19 1990-07-19 F. Hesterberg & Soehne Gmbh & Co Kg, 5828 Ennepetal, De
EP0698515A2 (de) * 1994-08-26 1996-02-28 Pwp Sa Laderaumtür für z.B. einen Kastenaufbau eines LKW
JP2000211446A (ja) * 1999-01-26 2000-08-02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のドア開閉部に配策するワイヤハ―ネス用プロテクタ
KR20010034394A (ko) * 1998-01-27 2001-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비-백화 에멀젼 감압 접착제
JP2003113249A (ja) * 2001-10-04 2003-04-18 Oji Paper Co Ltd 感温性微粒子組成物および感温性微粒子シート
KR20070097354A (ko) * 2006-03-28 2007-10-04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전자사진 감광체,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코팅제 조성물
JP4064040B2 (ja) * 2000-06-27 2008-03-19 美和ロック株式会社 蝶番の構造
EP1902883A2 (de) * 2006-09-20 2008-03-26 Pwp Sa Tür für den Kastenaufbau eines Kraftfahrzeugs
KR100991073B1 (ko) * 2010-03-12 2010-10-29 남상우 컨테이너
KR101894908B1 (ko) * 2018-02-08 2018-09-04 (주)딥스원에듀 색상이 가변되는 변색칠판
KR102021113B1 (ko) * 2019-01-16 2019-09-11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3088C2 (ko) * 1988-04-19 1990-07-19 F. Hesterberg & Soehne Gmbh & Co Kg, 5828 Ennepetal, De
EP0362060A1 (fr) * 1988-09-29 1990-04-04 POMMIER & CIE Dispositif de verrouillage à crémone pour véhicules, conteneurs et objets analogues
EP0698515A2 (de) * 1994-08-26 1996-02-28 Pwp Sa Laderaumtür für z.B. einen Kastenaufbau eines LKW
KR20010034394A (ko) * 1998-01-27 2001-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비-백화 에멀젼 감압 접착제
JP2000211446A (ja) * 1999-01-26 2000-08-02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のドア開閉部に配策するワイヤハ―ネス用プロテクタ
JP4064040B2 (ja) * 2000-06-27 2008-03-19 美和ロック株式会社 蝶番の構造
JP2003113249A (ja) * 2001-10-04 2003-04-18 Oji Paper Co Ltd 感温性微粒子組成物および感温性微粒子シート
KR20070097354A (ko) * 2006-03-28 2007-10-04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전자사진 감광체,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코팅제 조성물
EP1902883A2 (de) * 2006-09-20 2008-03-26 Pwp Sa Tür für den Kastenaufbau eines Kraftfahrzeugs
KR100991073B1 (ko) * 2010-03-12 2010-10-29 남상우 컨테이너
KR101894908B1 (ko) * 2018-02-08 2018-09-04 (주)딥스원에듀 색상이 가변되는 변색칠판
KR102021113B1 (ko) * 2019-01-16 2019-09-11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0906A (ko) 2022-10-31 2024-05-08 주식회사 대덕아이엠티 탑차 적재함용 리어 도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843B1 (ko) 공간 활용이 용이한 특장차 도어
US5197560A (en) Safety stop mechanism for hood of automative vehicle
CN103442974A (zh) 车辆用行李舱门结构
CN105275958A (zh) 部件的紧固构造
CN104955718A (zh) 车辆用发动机罩结构
KR102173080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특장차용 도어
CN201419643Y (zh) 卡簧式加油口小门
CN207207714U (zh) 一种可增大车辆后方视野的尾门结构
CN206510980U (zh) 一种顶杠与一种车辆
KR102175011B1 (ko) 하부 레일이 없는 접이식 자동문
CN211892807U (zh) 一种车辆密封结构及车辆
KR20220114735A (ko) 화물차 도어
CN218375910U (zh) 一种背门外拉手总成
CN205567965U (zh) 防炫目头盔
KR102212010B1 (ko) 도어 잠금 장치
KR200301155Y1 (ko) 플라스틱 피복형 도어 체커 암
CN213175459U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卷闸门片
CN203920931U (zh) 一种汽车加油口盖总成
CN217872331U (zh) 尾门限位器总成及车辆
CN220766871U (zh) 汽车前挡玻璃用低反射膜
CN210652624U (zh) 一种车门防撞梁涂胶支架及车门防撞梁结构
CN213063260U (zh) 一种使用寿命长的汽车门限位器
CN214169219U (zh) 一种通道组件、挖掘机及轮式装载机
CN205273135U (zh) 车辆蝶窗安装结构
CN205172235U (zh) 曲臂式发动机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