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741B1 - 사출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741B1
KR102262741B1 KR1020180156637A KR20180156637A KR102262741B1 KR 102262741 B1 KR102262741 B1 KR 102262741B1 KR 1020180156637 A KR1020180156637 A KR 1020180156637A KR 20180156637 A KR20180156637 A KR 20180156637A KR 102262741 B1 KR102262741 B1 KR 10226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
injection
barrel
cover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519A (ko
Inventor
구진회
유영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유영호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7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4Heating or cooling of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18Injection unit
    • B29C2945/7619Injection unit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31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에 성형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배럴; 상기 배럴의 내부로 공급된 성형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럴에 결합된 가열부; 상기 배럴에 결합된 구획부; 상기 구획부에 결합된 커버부;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럴에 결합되어서 온도조절영역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온도조절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온도조절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공급부와 상기 커버부재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에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사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장치{Injection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제조방법이다. 예컨대, 텔레비전,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제품에 있어서 커버, 케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을 통한 제품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거쳐 이루어진다. 우선, 안료, 안정제, 가소제, 충전제 등이 첨가된 성형재료를 호퍼에 투입하여 용융상태로 만든다. 다음,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한 후에 냉각을 통해 응고시킨다. 다음, 금형으로부터 응고된 성형재료를 추출한 후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공정들을 거쳐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갖는 사출제품이 제조된다. 이와 같은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설비로, 사출성형기가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100)는 형체장치(110) 및 사출장치(120)를 포함한다.
상기 형체장치(110)는 상기 사출장치(120)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키는 것이다. 상기 형체장치(110)는 사출제품에 대응되는 형태의 캐비티를 갖는 금형(111)을 포함한다. 상기 사출장치(120)가 상기 금형(111)의 개비티에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면, 상기 형체장치(110)는 캐비티에 위치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킨다. 이와 같이 응고된 성형재료는 후속공정을 거쳐 사출제품으로 제조된다.
상기 사출장치(120)는 상기 형체장치(110)에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장치(120)는 상기 형체장치(110)에 성형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배럴(121), 및 상기 배럴(121)의 내부에 배치된 사출스크류(122)를 포함한다. 호퍼를 통해 상기 배럴(121)의 내부로 성형재료가 공급되면, 상기 사출장치(120)가 상기 사출스크류(122)를 회전시켜서 상기 배럴(121) 내부의 성형재료를 융융시켜 계량하는 계량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계량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용융상태의 성형재료가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사출스크류(122)의 전방에 누적된다. 상기 사출스크류(122)의 전방에 계량된 성형재료가 위치하면, 상기 사출장치(120)가 상기 사출스크류(122)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상기 형체장치(110)로 공급하는 사출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사출장치(120)는 상기 배럴(121)을 가열하는 히터(123)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123)는 상기 배럴(121)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배럴(121) 내부의 성형재료를 용융시키는데 관여한다. 상기 히터(123)는 상기 배럴(121)의 외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100)는 상기 배럴(121)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히터(123)가 발생시킨 열에 손실이 발생하므로, 사출성형을 위한 공정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사출성형을 위한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사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에 성형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배럴; 상기 배럴의 내부로 공급된 성형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럴에 결합된 가열부; 상기 배럴에 결합된 구획부; 상기 구획부에 결합된 커버부;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럴에 결합되어서 온도조절영역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온도조절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온도조절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공급부와 상기 커버부재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에 냉각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에 성형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배럴; 상기 배럴의 내부로 공급된 성형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럴에 결합된 가열부; 상기 배럴에 결합된 구획부; 상기 구획부에 결합된 커버부;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럴에 결합되어서 복수개의 온도조절영역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온도조절영역들 각각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럴에 결합된 복수개의 가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온도조절영역들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커버부재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온도조절영역들에 개별적으로 냉각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급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공급기구들이 공급한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들 각각에 주입되도록 일측이 상기 공급기구들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커버부재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부를 이용하여 성형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열에 손실이 발생하는 정도를 줄일 수 있고, 사출성형을 위한 공정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급부로 인해 커버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서 배럴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배럴에 처짐이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배럴이 갖추어야 하는 강성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배럴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급부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장에 따라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에 공급부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가 적용된 사출성형기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 및 사출성형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를 도 5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에 있어서 공급부와 커버부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도 7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에 있어서 주입개폐기구와 배출개폐기구가 커버부재에 결합된 모습을 도 7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에 있어서 커버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도 11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통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메쉬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은 지지부재의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를 도 5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를 도 19의 Ⅳ-Ⅳ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에 있어서 공급기구들, 연결기구들, 및 커버부재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와 형체장치가 갖는 퍼지커버 간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에 대한 비교예와 형체장치가 갖는 퍼지커버 간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와 형체장치가 갖는 퍼지커버 간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개념적인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에 있어서 제1커버부재를 도 22의 Ⅴ-Ⅴ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에 있어서 제1커버부재를 도 24의 Ⅵ-Ⅵ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에 있어서 공급기구들, 이음기구들, 덕트기구들, 연결기구들, 및 커버부재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사출성형기(10)에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사출성형기(10)의 형체장치(11)에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형체장치(11)는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형체장치(11)는 고정금형(미도시)이 결합된 고정형판(12), 및 이동금형(미도시)이 결합된 이동형판(13)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형판(13)이 이동하여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이 형폐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고정형판(12)을 통해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내부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한다.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내부가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로 채워지면, 상기 형체장치(11)는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킨 후에 상기 이동형판(13)을 이동시켜서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을 형개한다.
상기 형체장치(11)에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배럴(2), 가열부(3), 구획부(4), 커버부(5), 공급부(6), 및 연결부(7)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배럴(2)은 상기 형체장치(11)에 성형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성형재료는 상기 배럴(2)에 결합된 호퍼(미도시)를 통해 상기 배럴(2)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럴(2)의 내부로 공급된 성형재료는 마찰, 가열 등을 통해 용융된 후에 상기 배럴(2)을 통해 상기 형체장치(11)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럴(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형체장치(11)에 성형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럴(2)은 사출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럴(2)는 상기 사출본체(20)로부터 상기 형체장치(11)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사출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럴(2)는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사출본체(20) 및 상기 형체장치(11)가 서로 이격된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배럴(2)의 내부에는 사출스크류(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출스크류(30)는 사출구동부(4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배럴(2)의 내부로 성형재료가 공급되면, 상기 사출구동부(40)는 상기 사출스크류(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배럴(2)의 내부로 공급된 성형재료를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성형재료는 마찰에 의해 용융될 수 있다.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사출본체(20)에서 상기 배럴(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용융상태의 성형재료가 상기 사출스크류(30)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면, 상기 사출구동부(40)는 상기 사출스크류(30)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상기 형체장치(11)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는 상기 배럴(2)에 결합된 노즐(21)를 통해 상기 형체장치(1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노즐(21)은 상기 배럴(2)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형체장치(11)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가 공급될 때, 상기 노즐(21)은 상기 형체장치(1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가열부(3)는 상기 배럴(2)의 내부로 공급된 성형재료를 가열하는 것이다. 상기 가열부(3)는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는 상기 배럴(2)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배럴(2)의 내부로 공급된 성형재료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럴(2)의 내부로 공급된 성형재료는, 상기 가열부(3)를 이용한 가열 및 상기 사출스크류(30)의 회전을 이용한 마찰을 통해 용융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는 상기 배럴(2)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럴(2)이 원통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가열부(3)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하면서 상기 배럴(2)을 가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열부(3)는 전열히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는 상기 배럴(2)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부(3)들은 상기 배럴(2)의 서로 다른 부분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구획부(4)는 상기 배럴(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구획부(4)는 상기 배럴(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4)는 상기 가열부(3)에 비해 상기 배럴(2)의 외면으로부터 더 큰 거리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4)는 복수개의 구획부재(41,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4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획부재(41)들은 온도조절영역(TA, 도 4에 도시됨)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2개의 구획부재(41)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은 상기 배럴(2)의 외면 및 상기 커버부(5)의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복수개의 가열부(3)가 배치된 경우, 상기 가열부(3)들은 성형재료가 상기 배럴(2)의 내부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한 거리에 따라 성형재료를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부재(41)들은 각각 상기 배럴(2)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럴(2)이 원통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구획부재(41)들은 각각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열부(3)는 상기 구획부재(41)들의 사이에서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41)들은 상기 가열부(3)에 비해 상기 배럴(2)의 외면으로부터 더 큰 거리로 돌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5)는 상기 구획부(4)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5)는 내부에 상기 배럴(2) 및 상기 가열부(3)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5)는 상기 가열부(3)가 상기 배럴(2)을 가열하기 위해 발생시킨 열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의 외부로 손실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5)를 이용하여 열 손실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가열부(3)를 작동시키는데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출성형을 위한 공정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럴(2)의 전부 또는 상기 배럴(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4)는 상기 커버부(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는 커버부재(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51)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대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는 상기 구획부재(41)들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는 일측이 제1구획부재(411)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구획부재(41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부재(411) 및 상기 제2구획부재(4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부재(411) 및 상기 제2구획부재(412)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구획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은 상기 제1구획부재(411) 및 상기 제2구획부재(4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부재(411)는 상기 제2구획부재(412)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부재(411) 및 상기 제2구획부재(412)는 각각 상기 구획부(4)가 갖는 구획부재(41, 도 4에 도시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는 볼트(Bolt) 등과 같은 체결수단, 부착력을 갖는 부착수단, 및 와이어(Wire) 등과 같은 고정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구획부재(41)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공급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6)는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부(6)가 공급한 냉각기체는 상기 커버부(5)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가열부(3)를 이용한 가열 및 상기 공급부(6)가 공급한 냉각기체를 이용한 냉각을 통해 상기 배럴(2)의 내부에 위치한 성형재료를 기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가열부(3)만으로 성형재료를 기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는 경우, 상기 가열부(3)는 상기 배럴(2)을 가열함에 따라 성형재료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배럴(2)에 대한 가열을 정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열부(3)가 상기 배럴(3)에 대한 가열을 정지하더라도, 상기 배럴(2)에 남아 있는 잔열로 인해 성형재료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3)가 상기 배럴(2)에 대한 가열을 정지한 후에 성형재료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되면, 상기 가열부(3)는 상기 배럴(2)에 대한 가열을 재개한다. 그러나 상기 가열부(3)가 상기 배럴(2)을 가열함에 따라 성형재료가 가열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이 걸리므로, 성형재료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상태로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3)만으로 성형재료를 기설정된 온도로 조절하기 어렵다.
다음, 상기 가열부(3) 및 상기 공급부(6)를 이용하여 성형재료를 기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는 경우, 상기 가열부(3)가 상기 배럴(2)를 가열함에 따라 성형재료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거나 기설정된 온도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공급부(6)는 상기 커버부(5)의 내부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부(6)는 상기 배럴(2)에 남아 있는 잔열이 성형재료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성형재료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거나 기설정된 온도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가열부(3)와 상기 공급부(6)를 병행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성형재료를 기설정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부(3)가 완전히 정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성형재료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되면, 상기 가열부(3)가 상기 배럴(2)를 가열하여 성형재료가 가열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가열부(3) 및 상기 공급부(6)를 이용하여 성형재료를 기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온도에 민감한 성형재료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성형재료를 기설정된 온도로 정확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출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성형재료가 더 낮은 온도에서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교체된 경우, 상기 공급부(6)가 공급한 냉각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배럴(2)을 냉각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교체된 성형재료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럴(2)이 냉각될 때까지 가동이 중지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가동률 증대를 통해 사출제품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연결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는 상기 공급부(6)와 상기 커버부재(51)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7)는 상기 공급부(6)가 공급한 냉각기체를 상기 커버부재(51)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는 일측이 상기 공급부(6)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커버부재(51)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부재(5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는 유연성을 갖는 호스(Hose), 튜브(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는 덕트(Duct)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덕트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공급부(6)는 상기 커버부(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부(6)는 상기 커버부(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7)를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부(6)는 상기 커버부(5)에 직접 설치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급부(6)는 상기 사출본체(20)가 설치된 작업장의 바닥면(B)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7)를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공급부(6)가 상기 커버부재(51)에 직접 설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공급부(6)가 상기 커버부재(51)에 직접 설치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커버부재(51) 및 상기 배럴(2)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 및 상기 배럴(2)에 처짐이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51) 및 상기 배럴(2)이 갖추어야 하는 강성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재(51)가 금속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커버부재(51)를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재(51)가 금속에 비해 강성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공급부(6)로부터 공급된 냉각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공급부(6)가 상기 커버부재(5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7)를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냉각기체를 주입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공급부(6)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장에 따라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에 상기 공급부(6)를 배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커버부재(51)의 중간지점(CP)에서 상기 커버부재(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의 중간지점(CP)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를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재(51)에는 주입공(53) 및 배출공(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커버부재(51)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주입공(53)은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 주입되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부재(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들(411, 412)(도 6에 도시됨)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의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의 중간지점(CP)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기체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의 중간지점(CP)으로 주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조절영역(TA)를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배럴(2)의 중심축(2c, 도 8에 도시됨)을 향하는 법선방향(NL, 도 8에 도시됨)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공(53)이 향하는 주입방향(IL, 도 8에 도시됨) 및 상기 법선방향(NL) 간의 끼인각(Included Angle, IA)(도 8에 도시됨)은 예각(Acute Angle)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기체는 상기 주입공(53)이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 주입된 후에, 상기 배럴(2)의 외면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서 전체적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커버부재(51)의 외부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주입방향(IL)이 상기 법선방향(NL)에 대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51)의 내부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주입방향(IL)이 상기 법선방향(NL)에 대해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 주입된 냉각기체 중에서 상기 배럴(2)의 외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하는 유량을 증대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저온의 기체가 하방으로 유동하는 특성으로 인해 상기 배럴(2)의 외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한 냉각기체가 하방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서 전체적으로 확산되는 정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배럴(2)에 대해 측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5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54)은 상기 커버부재(51)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배출공(54)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주입된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부터 배출되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상기 배출공(54) 및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둘러싸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5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기체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 주입된 후에 상기 배출공(53)이 형성된 위치까지 유동한 후에 상기 배출공(53)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유동하면서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냉각한 후에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부터 배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냉각기체를 이용한 온도조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냉각기체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냉각하면서 상기 배럴(2)을 냉각하고, 이로 인해 상기 배럴(2)의 내부에 위치한 성형재료를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 주입된 냉각기체 외에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위치한 내부기체도 상기 배출공(54)을 통해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54)은 상기 배럴(2)에 대해 수직하방 쪽에서 상기 커버부재(5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기체가 하방으로 유동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부터 냉각기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54)은 상기 주입공(53)에 비해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5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배출공(54)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 공급된 냉각기체가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배출공(54)을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서 냉각기체가 원활하게 순환 유동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냉각기체를 이용한 온도조절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에는 상기 배출공(54)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공(5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출공(54)들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냉각기체가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 주입된 후에 상기 배출공(54)들을 통해 배출될 때까지 순환 유동하는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서 전체적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늘림으로써, 냉각기체를 이용한 온도조절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주입개폐기구(8) 및 배출개폐기구(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상기 주입공(53)을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 냉각기체가 주입되도록 상기 주입공(53)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 냉각기체가 주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주입공(53)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상기 주입공(53)을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위치한 냉각기체와 내부기체가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상기 주입공(5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입공(53)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상기 주입공(53)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주입공(53)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주입공(53)을 개폐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상기 커버부재(5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주입공(53)을 개폐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주입이동기구(81)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입이동기구(81)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랙기어(Rack Gear)와 피니언기어(Pinion Gear)를 이용한 기어방식, 볼스크류(Ball Screw)와 볼너트(Ball Nut)를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코일(Coil)과 영구자석을 이용한 리니어모터방식 등을 통해 상기 주입개폐기구(8)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개폐기구(9)는 상기 배출공(54)을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배출개폐기구(9)는 상기 배출공(54)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부터 냉각기체가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공(54)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개폐기구(9)는 상기 배출공(54)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부터 냉각기체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배출공(54)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개폐기구(9)는 상기 배출공(54)을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위치한 냉각기체와 내부기체가 상기 배출공(54)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개폐기구(9)는 상기 배출공(5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배출공(54)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개폐기구(9)는 상기 배출공(54)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배출공(54)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개폐기구(9)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배출공(54)을 개폐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개폐기구(9)는 상기 커버부재(5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배출공(54)을 개폐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개폐기구(9)는 배출이동기구(91)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배출이동기구(91)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이용한 기어방식, 볼스크류와 볼너트를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코일과 영구자석을 이용한 리니어모터방식 등을 통해 상기 배출개폐기구(9)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개폐기구(9) 및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상기 배출공(54)과 상기 주입공(53)을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의 온도를 높이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고온으로 조절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개폐기구(9) 및 상기 주입개폐기구(8)는 상기 배출공(54)과 상기 주입공(53)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대한 냉각기체의 주입과 배출을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가열부(3, 도 6에 도시됨)를 이용한 가열 및 냉각기체를 이용한 냉각을 통해 상기 배럴(2)의 내부에 위치한 성형재료를 기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성형재료가 더 낮은 온도에서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교체된 경우, 냉각기체를 이용한 냉각을 통해 상기 배럴(2)을 냉각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5)는 지지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가열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가열부재(3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가열부(3)에 의해 발생된 열기(熱氣)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온도조절영역(TA)이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와 상기 지지부재(52)의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공기층으로 인해 상기 가열부(3)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상기 커버부재(51)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재(51)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들(411, 412)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가열부(3)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에 비해 더 강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재(52)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도 7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가열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의 커버내면(51a, 도 12에 도시됨) 및 상기 커버부재(51)의 커버외면(51b, 도 12에 도시됨)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내면(51a)은 상기 가열부(3)를 향하는 상기 커버부재(51)의 면(面)이다. 상기 커버외면(51b)은 상기 커버내면(51a)에 대해 반대쪽을 면(面)이다. 즉,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에 내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내면(51a)에 접하도록 상기 커버부재(51)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내면(51a)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부재(5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내면(51a) 및 상기 커버외면(51b)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51)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커버내면(51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및 상기 커버외면(51b)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51)에 내장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와 상기 가열부(3, 도 6에 도시됨)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내면(51a)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에 내장되지 않는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는 전체적으로 둥글고 긴 환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전체적으로 사각의 긴 막대 형태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 도 6에 도시됨)을 둘러싸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호(Arc)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에 대해 면접촉(面接觸)하여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하는 지지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가열부(3, 도 6에 도시됨)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4에는 호(Arc)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재(52)가 상기 커버부재(51)에 내장되도록 배치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51)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내면(51a)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호(Arc)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재(52)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1)에 내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52)들은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둘러싸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2)들은 상기 커버부재(51)의 서로 다른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가열부(3, 도 6에 도시됨)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내면(51a, 도 14에 도시됨) 전체에 대해 면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하는 지지면적을 더 늘림으로써,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가열부(3, 도 6에 도시됨)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15에는 통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재(52)가 상기 커버부재(51)에 내장되도록 배치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51)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내면(51a, 도 14에 도시됨)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재(52)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1)에 내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5에는 상기 지지부재(52)가 원통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내면(51a, 도 14에 도시됨) 전체에 대해 면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내부가 비어 있는 직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태에서 복수개의 관통공이 추가로 형성된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 내에서 상기 커버부재(51)와 상기 가열부(3)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와 상기 가열부(3)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에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부재(52)는 일측이 상기 제1구획부재(41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구획부재(4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가열부(3)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는 복수개의 지지부재(52)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52)들은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둘러싸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구획부재(411) 및 상기 제2구획부재(4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2)들은 상기 커버부재(51)의 서로 다른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51)가 전체적으로 상기 가열부(3)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재(51)는 천(Fabr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가 금속(Metal)으로 형성된 실시예와 대비할 때,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가 천(Fabric)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커버부재(51)가 금속으로 형성된 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기 커버부재(51)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공정 및 상기 커버부재(51)를 상기 제1구획부재(411)와 상기 제2구획부재(412)에 결합시키는 조립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가 천(Fabric)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커버부재(51)가 금속으로 형성된 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기 커버부재(51)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로 인해 상기 배럴(2)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배럴(2)에 처짐이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배럴(2)이 갖추어야 하는 강성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가 금속으로 형성된 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기 배럴(2)의 두께를 줄여서 재료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배럴(2)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는 단열재가 포함된 천(Fabr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대한 단열기능을 추가로 갖출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대해 발생하는 열 손실을 더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가열부(3)를 작동시키는데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더 감소시킴으로써, 사출성형을 위한 공정비용을 더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단열재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상기 커버부재(51)의 온도가 상승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가 상기 커버부재(51)에 접촉하더라도, 고온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가 천(Fabric) 또는 단열재가 포함된 천(Fabric)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커버부재(51)가 유연성(Flexibility)으로 인해 휘어져서 상기 가열부(3)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가열부(3)에 의해 발생된 열기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온도조절영역(TA)이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와 상기 지지부재(52)의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공기층으로 인해 상기 가열부(3)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상기 커버부재(51)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재(51)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는 천(Fabric)에 비해 더 강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재(51)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가 금속(Metal)으로 형성된 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의 온도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51)에 발생하는 열변형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1)는 열변형으로 인한 상기 커버부재(51)의 교체, 수리 등과 같은 유지보수작업의 주기를 늘릴 수 있으므로, 가동률 증대를 통해 사출제품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 상기 구획부(4), 상기 커버부(5), 상기 공급부(6), 및 상기 연결부(7)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는 복수개의 가열부재(31, 도 1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부재(31)들은 상기 배럴(2)의 서로 다른 부분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부(4)는 상기 구획부재(41)들이 복수개의 온도조절영역(TA)들을 구획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4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2개의 구획부재(41)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은 상기 배럴(2)의 외면 및 상기 커버부(5)의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1)들은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 각각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재(3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1)들은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이 서로 다른 온도로 조절되도록 상기 배럴(2)을 상기 온도조절영역들(TA) 각각에 속한 부분별로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부재(31)들은 성형재료가 상기 배럴(2)의 내부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한 거리에 따라 성형재료를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커버부재(5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들은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배럴(2)을 하나의 커버부재(51)로 둘러싸도록 구현된 실시예와 대비할 때,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배럴(2)에 대한 상기 커버부재(51)들 각각의 상대적인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들을 상기 배럴(2)에 장착하는 작업 및 상기 커버부재(51)들을 상기 배럴(2)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들이 상기 배럴(2)에 대해 개별적으로 장착 및 분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수리, 교체 등이 필요한 커버부재(51)만을 상기 배럴(2)에 대해 개별적으로 분리 및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커버부재(51)들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들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가동률 증대를 통해 사출제품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획부재(4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동일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구획부재(4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들은 전부가 천(Fabric), 단열재가 포함된 천(Fabric), 또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들 중에서 일부가 천(Fabric), 단열재가 포함된 천(Fabric), 또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가 금속 등과 같이 천(Fabric)과 비금속재질 외에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재(51)들 중에서 제1커버부재(511)는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커버부재(511)는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대한 열 손실을 줄임으로써, 사출성형을 위한 공정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은 상기 제1구획부재(411) 및 상기 제2구획부재(41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는 제1가열부재(3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재(311)는 제1배럴부분(2a)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제1배럴부분(2a)의 내부를 통과하는 성형재료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제1배럴부분(2a)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속하는 상기 배럴(2)의 일부분이다.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는 상기 제1가열부재(311)가 복수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열부재(311)들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 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재(51)들 중에서 제2커버부재(512)는 제2온도조절영역(TA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커버부재(512)는 상기 제2온도조절영역(TA2)에 대한 열 손실을 줄임으로써, 사출성형을 위한 공정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온도조절영역(TA2)은 상기 제2구획부재(412) 및 제3구획부재(41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3구획부재(413)는 상기 제2구획부재(413)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조절영역(TA2)에는 제2가열부재(3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열부재(312)는 제2배럴부분(2b)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제2배럴부분(2b)의 내부를 통과하는 성형재료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제2배럴부분(2b)은 상기 제2온도조절영역(TA2)에 속하는 상기 배럴(2)의 일부분이다. 상기 제2온도조절영역(TA2)에는 상기 제2가열부재(312)가 복수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열부재(312)들은 상기 제2온도조절영역(TA2) 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512) 및 상기 제1커버부재(5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512) 및 상기 제1커버부재(5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온도조절영역(TA2) 및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성형재료가 상기 제2배럴부분(2b)의 내부를 통과하는 시간 및 성형재료가 상기 제1배럴부분(2a)의 내부를 통과하는 시간이 서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512) 및 상기 제1커버부재(5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512) 및 상기 제1커버부재(511)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커버부재(511)가 천(Fabric), 단열재가 포함된 천(Fabric), 또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부재(512)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512) 및 상기 제1커버부재(511)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커버부재(512) 및 상기 제1커버부재(511)는 각각 천(Fabric), 단열재가 포함된 천(Fabric), 비금속재질,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6)는 복수개의 공급기구(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기구(61)들은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에 개별적으로 냉각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가열부재(31)들 및 상기 공급기구(61)들을 이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 각각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성형재료가 상기 배럴(2)의 내부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한 거리에 따라 성형재료를 기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기구(61)들은 냉각기체로 상온의 외기(外氣)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급기구(61)들은 냉각기체로 상온에 비해 낮은 온도로 조절된 기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기구(61)들은 각각 냉각기체를 유동시키는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는 복수개의 연결기구(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71)들은 일측이 상기 공급기구(61)들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커버부재(51)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71)들은 타측이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 각각에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기구(71)들은 상기 공급기구(61)들이 공급한 냉각기체를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 각각에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71)들은 각각 유연성을 갖는 호스(Hose), 튜브(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71)들은 각각 덕트(Duct)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덕트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기구(71)들 중에서 제1연결기구(711)는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연결기구(711)는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기구(711)는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711)에는 상기 공급기구(61)들 중에서 제1공급기구(61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711)는 일측이 상기 제1공급기구(611)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공급한 냉각기체는 상기 제1연결기구(711)를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기구(611)는 상기 커버부(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공급기구(611)는 상기 커버부(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연결기구(711)를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급기구(611)는 상기 커버부(5)에 직접 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공급기구(611)는 상기 사출본체(20)가 설치된 작업장의 바닥면(B)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기구(711)를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직접 지지되도록 설치된 비교예는, 상기 형체장치(11)가 갖는 퍼지커버(200)에 대해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간섭된다. 상기 퍼지커버(200)는 성형재료의 교체 등을 위해 상기 배럴(2)의 내부에 남아 있는 성형재료를 배출시킬 때, 상기 배럴(2)에서 배출되는 성형재료가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 내지 기구물 쪽으로 비산(飛散)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퍼지커버(200)는 상기 형체장치(11)에서 상기 배럴(2)를 향하는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비교예는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퍼지커버(200)에 간섭되므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제1커버부재(511)의 제1중간지점(CP1)에 결합될 수 없다. 상기 제1중간지점(CP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커버부재(511)의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지점을 의미한다. 이 경우, 비교예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퍼지커버(200)를 회피하도록 상기 제1커버부재(511)의 제1중간지점(CP1)으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결합된다. 따라서, 비교예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냉각기체를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의 제1중간지점(CP1)에 주입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절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커버부(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연결기구(711)를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냉각기체를 주입하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퍼지커버(200, 이점쇄선으로 도시됨)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711) 또한 상기 제1공급기구(611)에 비해 작은 크기로 구현되므로, 상기 퍼지커버(200)에 간섭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연결기구(711)를 상기 제1커버부재(511)의 제1중간지점(CP1)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냉각기체를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의 제1중간지점(CP1)에 주입할 수 있으므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균일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배럴(2) 내부의 성형재료를 균일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출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직접 지지되도록 설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퍼지커버(200)에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공급기구(611)의 용량 및 크기를 증대시켜서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공급하는 냉각기체의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의 온도를 조절하는 작업의 용이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직접 지지되지 않도록 설치되므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1커버부재(511) 및 상기 배럴(2)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커버부재(511) 및 상기 배럴(2)에 처짐이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1커버부재(511) 및 상기 배럴(2)이 갖추어야 하는 강성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커버부재(511)가 천(Fabric) 또는 단열재가 포함된 천(Fabric)으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공급기구(611)로부터 공급된 냉각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제1커버부재(5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연결기구(711)를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냉각기체를 주입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공급기구(611)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장에 따라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에 상기 제1공급기구(611)를 배치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연결기구(7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커버부재(511)의 제1중간지점(CP1)에서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기구(7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의 제1중간지점(CP1)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기구(711)는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를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711)가 연결된 제1커버부재(511)는, 상기 커버부재(51, 도 21에 도시됨)들 중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최전방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은 상기 온도조절영역(TA, 도 21에 도시됨)들 중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최전방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커버부재(511)는 일부가 상기 퍼지커버(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기구(711)는 상기 퍼지커버(2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의 제1중간지점(CP1)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기구(611)는 상기 퍼지커버(200)의 외부에서 상기 제1연결기구(711)를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냉각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는 상기 주입공(53) 및 상기 배출공(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커버부재(511)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주입공(53)은 냉각기체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 주입되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구(711, 도 24에 도시됨)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들(411, 412)(도 26에 도시됨)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의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의 제1중간지점(CP1, 도 26에 도시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기체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의 제1중간지점(CP1)으로 주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를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배럴(2)의 중심축(2c, 도 25에 도시됨)을 향하는 법선방향(NL, 도 25에 도시됨)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공(53)이 향하는 주입방향(IL, 도 25에 도시됨) 및 상기 법선방향(NL) 간의 끼인각(Included Angle, IA)(도 25에 도시됨)은 예각(Acute Angle)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기체는 상기 주입공(53)이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 주입된 후에, 상기 배럴(2)의 외면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냉각기체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서 전체적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커버부재(511)의 외부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주입방향(IL)이 상기 법선방향(NL)에 대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커버부재(511)의 내부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주입방향(IL)이 상기 법선방향(NL)에 대해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 주입된 냉각기체 중에서 상기 배럴(2)의 외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하는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저온의 기체가 하방으로 유동하는 특성으로 인해 상기 배럴(2)의 외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한 냉각기체가 하방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냉각기체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서 전체적으로 확산되는 정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배럴(2)에 대해 측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커버부재(5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54)은 상기 제1커버부재(511)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배출공(54)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주입된 냉각기체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부터 배출되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상기 배출공(54) 및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커버부재(511)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둘러싸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커버부재(5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기체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 주입된 후에 상기 배출공(54)이 형성된 위치까지 유동한 후에 상기 배출공(54)을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냉각기체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유동하면서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냉각한 후에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부터 배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냉각기체를 이용한 온도조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냉각기체는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냉각하면서 상기 배럴(2)을 냉각하고, 이로 인해 상기 배럴(2)의 내부에 위치한 성형재료를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 주입된 냉각기체 외에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위치한 내부기체도 상기 배출공(54)을 통해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54)은 상기 배럴(2)에 대해 수직하방 쪽에서 상기 제1커버부재(5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기체가 하방으로 유동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부터 냉각기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54)은 상기 주입공(53)에 비해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1커버부재(5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배출공(54)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 공급된 냉각기체가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배출공(54)을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서 냉각기체가 원활하게 순환 유동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냉각기체를 이용한 온도조절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는 상기 배출공(54)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들(54, 54')(도 26에 도시됨)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출공들(54, 54')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냉각기체가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 주입된 후에 상기 배출공들(54, 54')을 통해 배출될 때까지 순환 유동하는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냉각기체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서 전체적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기체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늘림으로써, 냉각기체를 이용한 온도조절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출공들(54, 5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공들(54, 54')은 각각 상기 주입공(53)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 및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주입공(53)을 통해 주입된 냉각기체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 및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되어서 유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제1공급기구(611)가 상기 제1연결기구(711)를 통해 상기 제1커버부재(511)의 내부에 위치한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냉각기체를 주입하는 실시예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공급기구(61)들 전부가 상기 커버부재(51)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기구(71)들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에 개별적으로 냉각기체를 주입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가 4개의 온도조절영역(TA)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6)는 4개의 공급기구(61)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7)는 4개의 연결기구(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7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 각각의 중간지점(CP)에서 상기 커버부재(51)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1)들 각각에는 상기 주입공(53)과 상기 배출공(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공(53)들은 주입개폐기구(8)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54)들은 상기 배출개폐기구(9)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공급기구(61)들 중에서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51)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기구(71)들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에 냉각기체를 주입함과 아울러 상기 공급기구(61)들 중에서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51)들에 직접 결합되어서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에 냉각기체를 주입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7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7)는 복수개의 덕트기구(6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덕트기구(62)들은 각각 일측이 상기 공급기구(61)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연결기구(7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기구(61)들이 공급한 냉각기체는 상기 덕트기구(62)들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연결기구(71)들로 공급된 후에, 상기 연결기구(71)들을 통해 상기 커버부재(51)들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덕트기구(6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기구(6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기구(62)들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7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7)는 복수개의 이음기구(6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음기구(63)들은 각각 일측이 상기 공급기구(61)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덕트기구(6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기구(62)들은 상기 이음기구(63)들을 통해 상기 공급기구(61)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기구(61)들이 공급한 냉각기체는 상기 이음기구(63)들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덕트기구(62)들로 공급된 후에, 상기 덕트기구(62)들과 상기 연결기구(71)들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커버부재(51)들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이음기구(63)들은 각각 호스, 튜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5)가 상기 커버부재(51)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지지부재(52, 도 20에 도시됨)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들은 상기 커버부재(51)들이 상기 가열부재(31)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51)들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가열부재(31)들에 의해 발생된 열기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온도조절영역(TA)들이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들과 상기 지지부재(52)들의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공기층으로 인해 상기 가열부재(31)들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상기 커버부재(51)들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51)들 각각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재(51)들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들은 상기 커버부재(51)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들은 상기 커버부재(51)들에 내장되도록 상기 커버부재(51)들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들은 상기 커버부재(51)들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부재(51)들의 커버내면(51a)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2)들은 상기 커버부재(51)와 상기 가열부(3)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획부(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들은 각각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고 긴 환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들은 각각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1)들이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을 둘러싸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호(Arc)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들은 각각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52)들은 각각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재(52)들은 각각 사각의 긴 막대 형태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재(52)들 중에서 제1지지부재(521)는 상기 제1커버부재(511)가 상기 제1가열부재(3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커버부재(5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521)는 상기 제1커버부재(511)가 상기 제1가열부재(3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이 상기 제1배럴부분(2a)의 온도를 조절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재(52)들 중에서 제2지지부재(522)는 상기 제2커버부재(512)가 상기 제2가열부재(3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커버부재(51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522)는 상기 제2커버부재(512)가 상기 제2가열부재(312)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온도조절영역(TA2)이 상기 제2배럴부분(2b)의 온도를 조절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사출장치 2 : 배럴
3 : 가열부 4 : 구획부
5 : 커버부 6 : 공급부
7 : 연결부 8 : 주입개폐기구
9 : 배출개폐기구 21 : 노즐
31 : 가열부재 41 : 구획부재
51 : 커버부재 52 : 지지부재
53 : 주입공 54 : 배출공
61 : 공급기구 71 : 연결기구
72 : 덕트기구 311 : 제1가열부재
312 : 제2가열부재 411 : 제1구획부재
412 : 제2구획부재 413 : 제3구획부재
511 : 제1커버부재 512 : 제2커버부재
521 : 제1지지부재 522 : 제2지지부재
611 : 제1공급기구 711 : 제1연결기구

Claims (13)

  1.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에 성형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배럴(2);
    상기 배럴(2)의 내부로 공급된 성형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럴(2)에 결합된 가열부(3);
    상기 배럴(2)에 결합된 구획부(4);
    상기 구획부(4)에 결합된 커버부(5);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부(6); 및
    상기 공급부(6)에 연결된 연결부(7)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4)는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되어서 온도조절영역(TA)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재(41)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3)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커버부재(51)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7)는 상기 공급부(6)와 상기 커버부재(51)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부(6)는 상기 커버부(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7)를 통해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냉각기체를 공급하고,
    상기 커버부재(51)에는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 주입되기 위한 주입공(53)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배럴(2)의 중심축(2c)을 향하는 법선방향(NL)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부재(51)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재(51)의 외부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주입공(53)이 향하는 주입방향(IL)이 상기 법선방향(NL)에 대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51)에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주입된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으로부터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54)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공(53) 및 상기 배출공(54)은 상기 커버부재(51)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둘러싸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51)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54)은 상기 배럴(2)에 대해 수직하방 쪽에서 상기 커버부재(51)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배출공(54)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51)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53)을 개폐시키기 위한 주입개폐기구(8), 및 상기 배출공(54)을 개폐시키기 위한 배출개폐기구(9)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개폐기구(8) 및 상기 배출개폐기구(9)는 상기 주입공(53)과 상기 배출공(54)을 폐쇄시켜서 상기 온도조절영역(TA)을 밀폐시키고, 상기 주입공(53)과 상기 배출공(54)을 개방시켜서 상기 온도조절영역(TA)에 대한 냉각기체의 주입과 배출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개폐기구(8)가 상기 주입공(53)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주입개폐기구(8)를 이동시키는 주입이동기구(81); 및
    상기 배출개폐기구(9)가 상기 배출공(54)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배출개폐기구(9)를 이동시키는 배출이동기구(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방향(IL)과 상기 법선방향(NL) 간의 끼인각(IA)은 예각(Acute Angle)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8.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에 성형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배럴(2);
    상기 배럴(2)의 내부로 공급된 성형재료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럴(2)에 결합된 가열부(3);
    상기 배럴(2)에 결합된 구획부(4);
    상기 구획부(4)에 결합된 커버부(5);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부(6); 및
    상기 공급부(6)에 연결된 연결부(7)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4)는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되어서 복수개의 온도조절영역(TA)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재(41)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3)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 각각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된 복수개의 가열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커버부재(51)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6)는 상기 커버부재(51)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에 개별적으로 냉각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급기구(61)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7)는 상기 공급기구(61)들이 공급한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 각각에 주입되도록 일측이 상기 공급기구(61)들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커버부재(51)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기구(71)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51)들 중에서 제1커버부재(511)에는 냉각기체가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 중에서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 주입되기 위한 주입공(53)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배럴(2)의 중심축(2c)을 향하는 법선방향(NL)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커버부재(511)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커버부재(511)의 외부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주입공(53)이 향하는 주입방향(IL)이 상기 법선방향(NL)에 대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2)에는 상기 형체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노즐(21)이 결합되고,
    상기 가열부재(31)들 중에서 제1가열부재(311)는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럴(2)에 결합되며,
    상기 제1커버부재(511)는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기구(71)들 중에서 제1연결기구(711)는 상기 배럴(2)에서 상기 노즐(21)을 향하는 전방 쪽으로 최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냉각유체를 주입하도록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기구(711)는 상기 형체장치가 갖는 퍼지커버(2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의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재(511)에는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에 주입된 냉각기체가 상기 제1온도조절영역(TA1)으로부터 배출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공(54)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54)들은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주입공(53)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출공(54)들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71)들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영역(TA)들 각각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커버부재(51)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
KR1020180156637A 2018-12-07 2018-12-07 사출장치 KR10226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37A KR102262741B1 (ko) 2018-12-07 2018-12-07 사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37A KR102262741B1 (ko) 2018-12-07 2018-12-07 사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519A KR20200069519A (ko) 2020-06-17
KR102262741B1 true KR102262741B1 (ko) 2021-06-08

Family

ID=7140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637A KR102262741B1 (ko) 2018-12-07 2018-12-07 사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7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6793A (ja) * 2013-12-20 2015-06-2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加熱シリンダの温度制御方法
JP2015136852A (ja) * 2014-01-22 2015-07-30 株式会社コスモテック 保温カバー体および射出成型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764A (ja) * 1991-10-08 1994-03-22 Tsugami Corp 射出成形機の射出成形部用温度制御装置
JP2522418Y2 (ja) * 1993-10-29 1997-01-16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射出成形機のノズル温調構造
KR101544276B1 (ko) * 2013-10-30 2015-08-12 유영호 성형기 배럴 내부 자열의 방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6793A (ja) * 2013-12-20 2015-06-2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加熱シリンダの温度制御方法
JP2015136852A (ja) * 2014-01-22 2015-07-30 株式会社コスモテック 保温カバー体および射出成型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519A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336B1 (ko) 사출성형기용 온도조절장치
KR100764543B1 (ko) 사출장치 및 사출장치의 가열방법
EP0628394B1 (en) Injection molding die
US20130302467A1 (en) Hot runner valve apparatus for an injection-molding machine
US9802348B2 (en) Heater and thermocouple assembly
ES2773150T3 (es) Máquina de moldeo y método para moldear una pieza
EP3524401B1 (en) Injection unit
KR102262741B1 (ko) 사출장치
JP7395665B2 (ja) 射出成形システム、および樹脂の供給用部材
KR101811812B1 (ko) 대면적 사출성형이 용이한 핫런너 시스템
KR102325348B1 (ko) 사출성형기용 온도조절장치
CN108068285B (zh) 匣盒模具式射出成型机
KR101745494B1 (ko)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WO2017171044A1 (ja) 射出成形機
JP2011011368A (ja) 加熱シリンダカバー
CN111032306B (zh) 用于注射成型工具的模具部件的安装设备、注射成型工具以及注射成型机器
JP2020157599A (ja) 射出成形機
KR100284641B1 (ko) 분말형상재료공급용호퍼구조체
JP2004237500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11607831B2 (en) Injection device
JP7238022B2 (ja) 熱硬化性樹脂用射出装置
JP2018030235A (ja) 金型用射出装置取付プレート及び金型
US20230052889A1 (en) Injection molding device
KR20140037323A (ko) 핫런너 밸브장치
KR101741753B1 (ko) 원재료 보온수단이 탑재된 사출성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