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494B1 -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494B1
KR101745494B1 KR1020160101566A KR20160101566A KR101745494B1 KR 101745494 B1 KR101745494 B1 KR 101745494B1 KR 1020160101566 A KR1020160101566 A KR 1020160101566A KR 20160101566 A KR20160101566 A KR 20160101566A KR 101745494 B1 KR101745494 B1 KR 10174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barrel
nozzle
vibration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
Original Assignee
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구 filed Critical 김구
Priority to KR102016010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8Applying vibrations to th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8Mould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screws
    • B29C45/50Axially movable screw
    • B29C45/5008Drive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2045/1875Hoppers connected to a feed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형 사출성형장치로서, 일정 길이로 수평하게 구성되는 연결몸체를 중심으로 그 양단에 수직 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주물 성형에 의해 하나로 제작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내부에는 가로 방향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에 인접된 위치와 공간부 입구에 인접된 위치에 상기 공간부와 통하는 유압 포트가 수평으로 구비된 주물형 사출장치본체; 상기 연결몸체에 호퍼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출 수지를 베럴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상기 호퍼 출구와 연결되는 주입공을 가지며, 상기 호퍼의 최상단부가 사출부의 계량모터 상단부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기 위한 호퍼연결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기 격벽의 하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조방과 각각 연결되는 노즐피스톤을 안내하며 상기 하측 공간부를 밀폐하는 노즐실린더커버가 포함된 한 쌍의 노즐실린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기 격벽의 상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몸체를 수직 관통하는 사출스크류를 통해 노즐부로 사출액을 공급하기 위한 사출부와 각각 연결되는 사출피스톤을 안내하며 상기 상측공간부를 밀폐하는 사출실린더커버가 포함된 한 쌍의 사출실린더; 상기 사출성형장치의 전반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및 상기 베럴의 외측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럴 내부에 주입되는 사출 수지의 용융을 위하여 상기 사출스크류가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베럴의 내부로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유닛을 포함하는 진동형 사출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용융이 가능하여 양질의 사출 성형품을 획득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Injection molding apparatus having vib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진동형 사출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과적인 사출 수지의 용융을이 가능한 진동형 사출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직 사출성형기는 열가소성의 플라스틱 원료를 가열 용융해서 노즐을 통해 높은 압력으로 금형에 사출함으로써, 다양한 부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직 사출성형기의 구성은 크게 가소화기구와 구동기구 등에 연계하여 작동하는 사출장치와 형체결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형체결 장치는 서로 맞물리는 금형 간의 개폐를 목적으로 하는 기능과 함께 사출장치는 베럴 내에서 가열되어 용융된 수지를 사출노즐을 통해 금형 내에 사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 수직 사출성형기의 사출장치는 사출실린더와 노즐실린더가 개별적으로 병렬 설치됨에 따라 사출장치의 전체적인 부피와 커져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출장치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즐실린더와 사출실린더가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설치되는 직립형 구조인 경우 수직 사출성형기 전고가 높아지게 되면서 설치공간에 제약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설치공간 상의 문제에만 취중하여, 본연의 기능인 사출 수지 용융에 관한 부분에는 기술적 진보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양질의 사출 성형품을 획득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5421호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인 사출 수지의 용융이 가능한 진동형 사출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동형 사출성형장치로서, 일정 길이로 수평하게 구성되는 연결몸체를 중심으로 그 양단에 수직 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주물 성형에 의해 하나로 제작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내부에는 가로 방향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에 인접된 위치와 공간부 입구에 인접된 위치에 상기 공간부와 통하는 유압 포트가 수평으로 구비된 주물형 사출장치본체; 상기 연결몸체에 호퍼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출 수지를 베럴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상기 호퍼 출구와 연결되는 주입공을 가지며, 상기 호퍼의 최상단부가 사출부의 계량모터 상단부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기 위한 호퍼연결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기 격벽의 하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조방과 각각 연결되는 노즐피스톤을 안내하며 상기 하측 공간부를 밀폐하는 노즐실린더커버가 포함된 한 쌍의 노즐실린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기 격벽의 상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몸체를 수직 관통하는 사출스크류를 통해 노즐부로 사출액을 공급하기 위한 사출부와 각각 연결되는 사출피스톤을 안내하며 상기 상측공간부를 밀폐하는 사출실린더커버가 포함된 한 쌍의 사출실린더; 상기 사출성형장치의 전반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및 상기 베럴의 외측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럴 내부에 주입되는 사출 수지의 용융을 위하여 상기 사출스크류가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베럴의 내부로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유닛을 포함하는 진동형 사출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형 사출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효과적인 용융이 가능하여 양질의 사출 성형품을 획득할 수 있다.
둘째, 사출실린더와 노즐실린더가 최소의 길이를 가지면서 하나의 몸체에 수직으로 배치됨에 따라 사출장치의 부피와 높이를 줄여 수직 사출성형기의 설치를 위한 공간확보가 가능하다.
셋째, 사출장치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으며, 사출장치의 유지 및 관리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의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장치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형 사출성형장치에 설치된 사출장치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4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직 사출성형기의 사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출장치는 연결몸체와 제1몸체와 제2몸체로 구성되는 사출장치 본체와, 연결몸체에 구비되는 호퍼 연결부와, 상조방과 연결되는 노즐피스톤을 포함하는 노즐실린더와, 사출부와 연결되는 사출피스톤을 포함하는 사출실린더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각 구성에 예시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출장치 본체(100)는, 도 1 및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노즐실린더(300)와 사출실린더(400)와 호퍼 연결부(20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일정한 길이로 수평하게 구성되는 연결몸체(110)와, 그러한 연결몸체(110)를 중심으로 그 양단에 수직 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대향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구비되는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를 포함한다.
연결몸체(110)의 상부로는 계량모터(423)와 베어링축(424) 및 베어링축(424)에 연결되는 사출스크류(422)를 포함하는 사출부(420)가 구비되며, 이때 사출부(420)의 사출스크류(422)는 연결몸체(110)를 관통하여 하향 설치된다.
연결몸체(110)의 하부로는 사출스크류(422)가 내재되는 베럴(421)이 설치되며, 베럴(421)의 외부에는 베럴(421)에 공급되는 수지 알갱이를 일정한 온도로 용융시키기 위한 히터(도면중 미도시)가 설치되고, 베럴(421)의 하단에는 노즐부(430)가 구비되며, 노즐부(430)는 사출스크류(422)와 연결된다.
제1몸체(120)의 내부는 격벽(121)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며, 제2몸체(130) 또한 격벽(131)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상하로 구획된다.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의 격벽(121)(131)을 통해 상하로 구획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노즐실린더(300)와 사출실린더(400)가 설치되는 공간이다.
사출장치 본체(100)는 연결몸체(110)와 격벽(121)(131)이 각각 구비되는 제1몸체(120) 및 제2몸체(130)가 하나의 주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연결몸체(110)로부터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가 조립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연결몸체(110)의 사용없이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에 의해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사출장치 본체(100)는 한 쌍의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사출조건에 따라 단수 또는 다수개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는 내부에 상하로 구비되는 사출실린더(400)와 노즐실린더(3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서로 동일 선상에 놓여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제1몸체(120) 또는 제2몸체(130)는 사출실린더(400)와 노즐실린더(3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변형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호퍼 연결부(200)는, 사출스크류(422)가 내재되는 베럴(421) 내부에 수지 알갱이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21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호퍼 연결부(200)는 전술한 사출장치 본체(100)의 연결몸체(110)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호퍼 연결부(200)는 연결몸체(110) 전면에 형성되는 주입공(111)을 포함하며, 그러한 주입공(111)은 사출스크류(422)가 내재되는 베럴(421)의 내부와 연결됨에 따라 호퍼(210)가 호퍼 연결부(200)를 통해 주입공(111)과 연결되면 호퍼(210)의 수지 알갱이는 주입공(111)을 통해 베럴 내부로 공급된다.
베럴(421) 내부에 공급된 수지 알갱이는 베럴(421)에 내재된 사출스크류(422)의 회전에 의한 기계적인 에너지와 베럴(421)의 외부에 장착된 히터에 의한 열에너지에 통해 용융되어 사출액으로 만들어지고, 만들어진 사출액은 베럴(421)의 하단에 모여지게되며, 모여진 사출액의 계량이 완료되면서 사출스크류(422)는 회전을 멈추게 되고, 성형조건에 맞는 압력과 속도를 가지면서 베럴(421)의 하단에 연결되는 노즐부(430)를 통해 금형내로 사출된다.
호퍼 연결부(200)는 주입공(111)의 바깥쪽 사방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도면부호 미표시)을 포함하며, 이러한 체결공에 호퍼의 브래킷(도면부호 미표시)이 안착되면서 체결수단(도면부호 미표시)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호퍼(210)와 호퍼 연결부(200)의 체결수단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볼트나 클램프나 자석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노즐실린더(300)는, 노즐부(430)와 금형간의 접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노즐실린더(300)는 노즐피스톤(310)을 통해 사출장치 본체(10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게 되며, 이때 사출장치 본체(100)와 연결된 사출부(420) 및 베럴(421)과 노즐부(430)가 함께 승강된다. 즉, 금형내로 사출액을 주입하기 전에는 노즐실린더(300)의 작동에 따라 사출부(420)와 베럴(421)과 노즐부(430)를 포함하는 사출장치 본체(100)가 상승하게 되고, 금형내로 사출액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노즐실린더(300)의 작동에 따라 사출부(420)와 베럴(421)과 노즐부(430)를 포함하는 사출장치 본체(100)가 하강하게 되면서 노즐부(430)가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금형의 내부로 연결된다.
노즐실린더(300)는 사출장치 본체(100)의 제1몸체(120) 및 제2몸체(130)의 내부 중 격벽(121)(131)에 의해 구획된 하측에 각각 내재되며, 노즐실린더(300)의 노즐피스톤(310)은 상조방(500)과 결합됨에 따라 상조방(500)과 함께 고정된 노즐피스톤(310)을 중심으로 노즐실린더(300)가 승강되면 사출장치 본체(100)와 사출부(420)와 베럴 및 노즐부(430)가 함께 승강하게 되는 것이며, 노즐피스톤(310)을 중심으로 노즐실린더(300)가 하강되며 사출장치 본체(100)와 사출부(420)와 베럴(421) 및 노즐부(430)는 함께 하강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20)은 노즐실린더 커버이다.
사출실린더(400)는, 사출부(420)와 함께 사출스크류(422)의 승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사출실린더(400)는 사출피스톤(410)을 통해 사출부(420)와 연결되며, 사출실린더(400)의 작동에 따라 사출피스톤(410)과 함께 사출부(42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즉, 호퍼(210)에 의해 수지 알갱이가 베럴(421) 내부로 공급되면 수지 알갱이는 소정 시간 혼련되면서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가소화되어 사출액이 되고, 이러한 사출액의 소정량이 베럴(421)의 하단에 모이게 되면서 베럴(421)의 하부에 압력이 발생되면 반작용에 의해 사출스크류(422)가 상측으로 밀리는 배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배압에 상응하여 사출실린더(400)가 사출스크류(422)와 함께 사출부(420)를 상측으로 소정 길이 만큼 이동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 가소화를 통해 정확하게 계량된 양의 사출액이 베럴(421)의 하단에 모여 계량이 완료되면 사출실린더(400)의 작동에 따라 사출부(420)와 함께 사출스크류(422)가 하강되면서 사출액이 노즐부(430)를 통해 금형내로 공급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40)은 사출실린더 커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사출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호퍼 연결부(200)에 설치되는 호퍼(210)를 통해 수지 알갱이가 연결몸체(110)의 주입공(111)을 거쳐 사출스크류(422)가 내재된 베럴(421) 내로 공급되면 수지 알갱이는 히터와 사출스크류(422)의 회전에 의해 용융되면서 베럴(421)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용융된 사출액이 베럴(421)의 하단에 모 여지면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사출스크류(422)가 상측으로 압압되어 배압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배압에 상응하여 사출실린더(400)의 사출피스톤(410)이 작동되면서 사출부(420)와 사 출스크류(422)를 상승시켜 배압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계량모터(423)는 사출스크류(422)를 계속 회전시켜준다.
융융된 사출액이 베럴(421)에 설정된 양으로 모여져 계량이 완료되면 사출스크류(422)가 회전을 멈춘 상태에서 사출실린더(400)의 사출피스톤(410)의 작동에 따라 사출부(420)와 함께 사출스크류(422)가 하강되며, 이에 따라 설정된 압력과 속도로 사출액이 노즐부(430)로 이동된다. 노즐부(430)를 통한 사출액의 공급 준비가 완료되면 노즐피스톤(310)을 중심으로 상승되어 있던 노즐실린더(300)가 하강하게 되고, 노즐실린더(300)의 하강은 사출부(420)와 베럴(421)과 노즐부(430)를 포함하는 사출장치 본체(100)가 전체적으로 하강됨에 따라 베럴(421)의 하단에 위치한 노즐부(430)가 금형의 내부에 연결되며, 연결 후에는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노즐부(430)를 통해 베럴(421)의 사출액이 금형 내로 공급된다.
사출액의 공급이 완료되면 노즐실린더(300)의 작동에 따라 사출부(420)와 베럴(421)과 노즐부(430)를 포함하는 사출장치 본체(100)는 다시 승강을 하게 되고, 이후 다음 사출공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출장치 본체(100)에 구비되는 노즐실린더(300)와 사출실린더(400)가 수직의 배치구조를 가짐에 따라 수직 사출성형기의 전고가 높아질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형체실린더(710)의 피스톤로드(711)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체결홈(712)을 형성하고, 하조방(600)에는 형체결수단(610)을 구비함에 따라 금형의 높이에 따라 하조방(600)과 함께 형체결수단(610)을 승강시키면서 피스톤로드(711)의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체결홈(712)에 형체결수단(610)을 체결함으로써, 금형에 높이에 따라 수직 사출성형기의 전고가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술한 체결홈(712)은 피스톤로드(711)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지만, 피스톤로드(711)의 하단에 도면으로 예시하지 않은 별도의 형체봉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러한 형체봉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체결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형체결수단(610)의 실시 예로는 도면으로 예시하지 않았지만 셔터 가이드와 셔터 판과 셔터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셔터 가이드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피스톤로드(711) 또는 형체봉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조방(600)의 상면에 결합되며, 셔터 판이 끼어져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홈이 서로 마주하도록 대략 "ㄷ" 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셔터 판은 셔터 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양단이 끼워져 양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셔터 판의 중앙부는 셔터 가이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분되면서 마주하는 접면부 중심에 함몰된 형상의 체결부가 각각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대향된 체결부로 전술한 피스톤로드(711) 또는 형체봉이 상하로 관통되면서 셔터 판의 슬라이딩 작용에 따라 체결부가 피스톤로드(711)의 체결홈(712) 또는 형체봉의 체결홈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는 피스톤로드(711) 및 형체봉의 외주면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피스톤로드(711) 및 형체봉의 외주면 곡률과 상응하는 곡률를 가지는 호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셔터 실린더는 한 쌍의 셔터 판에 고정된 셔터 가이드봉을 양방향으로 작동시키면서 셔터 판의 체결부를 피스톤로드(711)의 체결홈(712) 또는 형체봉의 체결홈에 체결시키거나, 체결홈(712)에 체결된 체결부를 다시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700)은 형체실린더(7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이고, (800)은 상조방(500)과 하조방(600)을 연결해주는 타이바이며, (900)은 베이스(7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조방(510)과 하조방(520)을 연결하는 타이바(800)가 관통되는 베이스프레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4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출성형 장치의 전반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와, 상기 호퍼(210)의 주입구에 장착되어, 사출 수지를 특정 조건으로 상기 베럴(421)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모듈(100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투입모듈(1000)은 중공형 통형상체이며, 사출 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1012)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구(1012)에는 하나 이상의 편으로 개구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1010)와, 상기 몸체부(1010)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구획부(1020)와, 상기 몸체부(1010)가 거치되며, 상기 몸체부(1010)의 사출 수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040)이 형성되되, 거치된 상기 몸체부(1010)의 무게값을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103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값이 일정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편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투입구(1012)로의 사출 수지 투입을 차단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배출구(1040)를 오픈시켜 상기 구획부(1020)를 경유하는 사출 수지를 배출시킨다.
상기 구획부(1020)는 상기 몸체부(1010)의 내벽 상방과 하방 간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구획부(1020)는 단부 적어도 일부가 절단된 원호형상으로서, 상기 내벽을 따라 상방과 하방간에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한편, 변형예로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들(1021~1024)은 상방 또는 하방을 기준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호간에 일부분이 연속적으로 중첩되어 대향되도록 상기 몸체부(1010)의 내벽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획부(1020)는 상기 몸체부(1010) 내벽에 형성되는 제1구획부(1021)와, 상기 몸체부(1010) 내벽에서 상기 제1구획부(1021)과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구획부(10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획부(1021)과 상기 제2구획부(1022)는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교호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구획부(1021)과 상기 제2구획부(1022)는 각각 초음파진동 및 히팅 기능이 탑재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진동유닛(4211)이 개시된다. 상기 진동유닛(4211)은, 상기 베럴(421)의 외측면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베럴(421) 내부 상에서의 사출 수지 용융을 위한 상기 사출스크류(422)의 진행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유닛(4211)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출스크류(422)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점차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서 상기 진동유닛(4211)의 각 진동유닛들(4211a, 4211b, 4211c, 4211d, 4211e, 4211f)는 상기 사출스크류(422)에 대응하여 점진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동유닛들(4211a, 4211b, 4211c, 4211d, 4211e, 4211f)을 동작시키기 위한 기준으로는 상기 사츨스크류의 단부를 기준점으로 한다. 물론, 사출스크류(422)의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진동유닛들(4211a, 4211b, 4211c, 4211d, 4211e, 4211f)이 동작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출스크류(422)의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진동유닛들(4211a, 4211b, 4211c, 4211d, 4211e, 4211f)의 동작을 상기 사출스크류(422)와 대응하여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유닛(4211)은 상방에 위치되는 제1진동유닛(4211a)과, 상기 제1진동유닛(4211a)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진동유닛(4211b)과, 상기 제2진동유닛(4211b)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진동유닛(4211c)과, 상기 제3진동유닛(4211c)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4진동유닛(4211d)과, 상기 제4진동유닛(4211d)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5진동유닛(4211e)과, 상기 제5진동유닛(4211e)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6진동유닛(4211f)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출스크류(422)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진동유닛(4211a) 내지 상기 제6진동유닛(4211f)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출스크류(422)가 하방으로 최종 이동하면, 상기 제1진동유닛(4211a)에서부터 상기 제6진동유닛(4211f)의 순서로 상기 진동유닛(4211)의 동작을 순차 정지시킨다. 이때의 상기 진동유닛(4211)의 동작 원리는 상기 사출스크류(422)가 초기에 하방으로 이동할 때 적용되는 원리와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구성들 중 투입모듈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구획부(1021) 및 상기 제2구획부(1022)는 각각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몸체부(1010)의 내벽 상에서 높이방향 상에서 승강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구획부(1021) 및 상기 제2구획부(1022) 사이의 사출 수지가 일정하게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데, 사출 수지가 적당하게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획부(1021)는 전체적으로 하강하고, 상기 제2구획부(1022)는 전체적으로 승강함으로써, 사출 수지의 일정한 가압이 가능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상기 제1구획부(1021)는, 상기 몸체부(1010)의 내벽에 구비되는 제1-1구획유닛(1021a)과, 상기 제1-1구획유닛(1021a)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2구획유닛(1021b)과, 상기 제1-2구획유닛(1021b)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3구획유닛(1021c)을 포함한다. 상기 제2구획부(1022)는 상기 몸체부(1010)의 내벽에 구비되는 제2-1구획유닛(1021a)과, 상기 제2-1구획유닛(1022a)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2구획유닛(1022b)과, 상기 제2-2구획유닛(1022b)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3구획유닛(1022c)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투입되는 사출 수지의 특성(예: 습도, 양, 보관상태 등)에 따라 상기 제1구획부(1021) 및 상기 제2구획부(1022)의 동작을 적절하게 제어하되, 상기 제1구획부(1021)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1-1구획유닛(1021a)으로부터 상기 제1-2구획유닛(1021b)을 출몰시키는 제1모드로 동작시키거나, 상기 제1-2구획유닛(1021b)으로부터 상기 제1-3구획유닛(1021c)을 출몰시키는 제2모드로 동작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구획부(1022)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2-1구획유닛(1022a)으로부터 상기 제2-2구획유닛(1022b)을 출몰시키는 제3모드로 동작시키거나, 상기 제2-2구획유닛(1022b)으로부터 상기 제2-3구획유닛(1022c)을 출몰시키는 제4모드로 동작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 내지 상기 제4모드를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동작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사출장치 본체
110 : 연결몸체
111 : 주입공
120 : 제1몸체
121,131 : 격벽
130 : 제2몸체
200 : 호퍼 연결부
210 : 호퍼
300 : 노즐실린더
310 : 노즐피스톤
320 : 노즐실린더 커버
400 : 사출실린더
410 : 사출피스톤
420 : 사출부
421 : 베럴
422 : 사출스크류
423 : 계량모터
424 : 베어링축
430 : 노즐부
440 :사출실린더 커버
500 : 상조방
600 : 하조방
610 : 형체결수단
700 : 베이스
710 : 형체실린더
711 : 피스톤로드
712 : 체결홈
800 : 타이바
900 : 베이스프레임

Claims (5)

  1. 진동형 사출성형장치로서,
    일정 길이로 수평하게 구성되는 연결몸체를 중심으로 그 양단에 수직 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주물 성형에 의해 하나로 제작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내부에는 가로 방향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에 인접된 위치와 공간부 입구에 인접된 위치에 상기 공간부와 통하는 유압 포트가 수평으로 구비된 주물형 사출장치본체; 상기 연결몸체에 호퍼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출 수지를 베럴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상기 호퍼 출구와 연결되는 주입공을 가지며, 상기 호퍼의 최상단부가 사출부의 계량모터 상단부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기 위한 호퍼연결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기 격벽의 하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조방과 각각 연결되는 노즐피스톤을 안내하며 상기 하측 공간부를 밀폐하는 노즐실린더커버가 포함된 한 쌍의 노즐실린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기 격벽의 상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몸체를 수직 관통하는 사출스크류를 통해 노즐부로 사출액을 공급하기 위한 사출부와 각각 연결되는 사출피스톤을 안내하며 상기 상측 공간부를 밀폐하는 사출실린더커버가 포함된 한 쌍의 사출실린더; 상기 사출성형장치의 전반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상기 베럴의 외측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럴 내부에 주입되는 사출 수지의 용융을 위하여 상기 사출스크류가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베럴의 내부로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유닛; 및 상기 호퍼의 주입구에 장착되어, 사출 수지를 특정 조건으로 상기 베럴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투입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유닛은,
    상방에 위치되는 제1진동유닛과, 상기 제1진동유닛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진동유닛과, 상기 제2진동유닛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진동유닛과, 상기 제3진동유닛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4진동유닛과, 상기 제4진동유닛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5진동유닛과, 상기 제5진동유닛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6진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출스크류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진동유닛 내지 상기 제6진동유닛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베럴의 외측면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럴 내부 상에서의 사출 수지 용융을 위한 상기 사출스크류의 진행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유닛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출스크류가 하방으로 최종 이동하면, 상기 제1진동유닛에서부터 상기 제6진동유닛의 순서로 상기 진동유닛의 동작을 순차 정지시키는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KR1020160101566A 2016-08-10 2016-08-10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KR101745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66A KR101745494B1 (ko) 2016-08-10 2016-08-10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66A KR101745494B1 (ko) 2016-08-10 2016-08-10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494B1 true KR101745494B1 (ko) 2017-06-09

Family

ID=5922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566A KR101745494B1 (ko) 2016-08-10 2016-08-10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4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580B1 (ko) * 2018-06-21 2018-09-05 이명종 노즐간 수지 흐름 제어가 가능한 핫 러너 사출성형용 노즐 시스템
KR101895579B1 (ko) * 2018-04-26 2018-09-05 이명종 핫 러너 사출성형용 노즐 시스템
KR101919327B1 (ko) 2018-08-30 2018-11-16 김정신 플라스틱 기어 사출 금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3637A (ja) * 2006-02-02 2007-08-16 Mazda Motor Corp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KR101443269B1 (ko) * 2013-05-09 2014-09-22 (주)원일유압 수직형 사출성형기의 사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3637A (ja) * 2006-02-02 2007-08-16 Mazda Motor Corp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KR101443269B1 (ko) * 2013-05-09 2014-09-22 (주)원일유압 수직형 사출성형기의 사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579B1 (ko) * 2018-04-26 2018-09-05 이명종 핫 러너 사출성형용 노즐 시스템
KR101895580B1 (ko) * 2018-06-21 2018-09-05 이명종 노즐간 수지 흐름 제어가 가능한 핫 러너 사출성형용 노즐 시스템
KR101919327B1 (ko) 2018-08-30 2018-11-16 김정신 플라스틱 기어 사출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564B2 (en) Hot runner valve apparatus for an injection-molding machine
KR101745494B1 (ko) 진동형 사출성형장치
CN1102493C (zh) 用于模制塑性物品的方法和装置
CN101855058B (zh) 用于由能固化的成型物料在模具中生产纵向伸展的型材或板条的方法以及模具
JP4913052B2 (ja) 垂直マイクロ射出成形機
KR20080009045A (ko)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JP2014136365A (ja) 繊維複合成形品の圧縮成形方法および繊維複合成形品の圧縮成形装置
EP3524401B1 (en) Injection unit
CN102806628A (zh) 双模同步注射成型机
KR20070116582A (ko) 몰드와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
CN102189635B (zh) 多轴注射模塑设备
KR101741753B1 (ko) 원재료 보온수단이 탑재된 사출성형 장치
KR101471360B1 (ko) 수직 사출성형기의 사출장치
BR112013014891B1 (pt)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e pelo menos dois diferentes envidraçamentos de borda encapsulada distintos na mesma operação de moldagem, equipamento para a fabricação de pelo menos dois envidraçamentos com bordas encapsuladas distintas na mesma operação de moldagem, e molde compósito compreendendo dois ou mais diferentes módulos de moldagem intercambiáveis separados
KR20090084999A (ko) 성형방법 및 장치
CN217319176U (zh) 汽车组合灯生产用注塑机
JP2020157599A (ja) 射出成形機
KR100857474B1 (ko) 사출 성형기
JP6136958B2 (ja) 射出成形装置
CN105216223A (zh) 一种bmc材料成型模具及其成型工艺
US4678421A (en) Resin molding apparatus
CN104890178A (zh) 一种注射成型机
CN110202747A (zh) 一种可快速脱模的注塑机
KR200413967Y1 (ko) 고무 사출성형기용 고무주입장치
KR102502455B1 (ko) 사출 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