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582A - 몰드와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몰드와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582A
KR20070116582A KR1020077017086A KR20077017086A KR20070116582A KR 20070116582 A KR20070116582 A KR 20070116582A KR 1020077017086 A KR1020077017086 A KR 1020077017086A KR 20077017086 A KR20077017086 A KR 20077017086A KR 20070116582 A KR20070116582 A KR 20070116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wall
movable
movable wall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드리쿠스 안토니우스 호그랜드
Original Assignee
이씨아이엠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씨아이엠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이씨아이엠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7011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1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2045/009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shearing of the moulding material, e.g. for obtaining molecular orientation or reducing the visc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1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2045/5635Mould integrated compression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1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2045/564Compression drive means acting independently from the mould closing and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1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2045/5665Compression by transverse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34Crates, e.g. for bottles

Abstract

본 발명은 몰드공동부는 이동가능한 벽(50)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몰드공동부를 갖춘 몰드(20)에 관한 것으로, 주입수단(34)은 상기 몰드공동부내에 재료를 주입하기 위해서 구비되고 상기 몰드공동부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벽(8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주입개구부(34A)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벽(8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벽(50)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Description

몰드와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Mold and method for forming products}
본 발명은 제품을 형성하는 몰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몰드에 관한 것이다.
몰드형성제품은 제품들이 비교적 간단하고 복제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예컨대 이러한 제품들은 사출성형기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몰드공동부 전체에 소재를 분포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고압의 주입압력이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주입온도는 전체 몰드공동부가 채워지기 전에 재료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고온이어야 한다. 따라서, 높은 밀폐압력이 몰드에 사용될 필요가 있으며, 응력이 재료와 주조된 제품에서 발달되어 높은 부정밀도를 나타내게 된다.
현존하는 몰드에서, 플라스틱은 전형적으로 고정되게 배열된 벽의 일부 몰드공동부로 주입된다. 따라서, 전술된 문제점의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한다.
현 압축성형기법에서, 플라스틱은 부분적으로 개방된 몰드에 있는 몰드공동부로 주입된다. 따라서, 플라스틱이 주입될 공간이 일시적으로 확장되어, 낮은 배 압과 초기에는 짧은 흐름경로가 형성된다. 플라스틱이 몰드공동부로 주입된 후에, 몰드가 밀폐되어져, 플라스틱은 몰드공동부로 강제로 밀어부쳐지면서 완전하게 충전된다. 하지만, 부분적으로 개방된 몰드는 정밀도의 저하, 플라스틱의 흐름경로 이탈에 대한 위험성, 몰드공동부의 불확실한 충전율 등의 상당한 단점을 갖는다.
몰드는 몰드공동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벽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밀폐된 몰드로 흐르는 플라스틱의 저항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플라스틱용 주입기가 떨어져 위치되고 예컨대 이동가능한 벽과 반대쪽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몰드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는 몰드의 다른 부재를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예컨대 주입기는 몰드의 이동가능한 벽을 따라 이동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사용이 용이한 몰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의 몰드가 가지고 있던 단점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몰드는 청구항 1에 따른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에서, 이동가능한 벽이 고정부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된다. 고정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가 구비되어 처리될 플라스틱 혹은 다른 재료들이 이를 관통하여 주입될 수 있다. 고정부들은 개별적인 이동가능한 벽의 전면부보다 작은 전면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점이 이루어지는데, 주입압력이 비교적 낮게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간단한 몰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부는 고정부와 이동가능한 부의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별적인 이동가능한 부의 이동방향과는 대략 직각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 고정부는 몰드공동부의 일부 중심에 구비되어, 개별적인 이동가능한 벽으로 에워싸인다. 결과적으로, 플라스틱은 개별적인 주입구에서 모든 측면으로 흐를 수 있다.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고정부가 몰드공동부의 바닥형성부의 리브 혹은 모서리 근처에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벽이 이들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적인 주입구로부터 재료가 바닥형성부와 예컨대 몰드공동부의 벽형성부로 흐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조합상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에서, 바람직하기로 프로파일이 예컨대 슬롯, 융기부 등의 형상으로 개별적인 이동가능한 벽의 전면부에 구비되되, 예컨대 형성될 제품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라스틱의 흐름경로는 여전히 작은 저항을 받게되는, 반면에 강화부재, 장식부재 등이 제품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브의 구조물이 각 고정부에 대해서 고정되게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부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점차적으로 발전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몰드는 몰드공동부의 다른 부, 예컨대 바닥형성부에 하나 이상의 제1이동가능한 벽 또는 몰드공동부의 벽형성부에 하나 이상의 제2 및 다른 이동가능한 벽에서 이동가능한 부를 구비한다.
이동가능한 벽 중 적어도 하나는 매우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서, 사용중에 단열현상이 몰드공동부 내의 플라스틱에서 발생하며, 바람직하기로는 플라스틱의 점도가 감소하여 온도가 상승하므로써 흐름이 더욱이 간략화될 것이다. 이동속도는 개별적인 이동가능한 벽과 몰드공동부의 형상과, 사용될 재료, 필요한 흐름경로, 개별적인 벽의 이동거리 등을 기초로 하여 결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기초로 하여,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적당한 속도와 거리를 간단하게 그리고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에서, 안내면이 주입구 근방으로 구비되어 각 주입구에서 멀어지면서 경사져 있다. 결과적으로, 흐름경로의 통로가 더욱 증가되어서 흐름저항이 줄어든다. 이는 주입구가 필요한 주입압력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증가되지 않고서도 예컨대 몰드공동부의 고정벽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최종제품에서, 경화부재들이 성취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벽이 수축위치에 도달할 때에는, 안내면은 예컨대 개별적인 주입구에서 인접한 이동가능한 벽의 전면부에 근접해 있는 지점까지 뻗을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수축위치에서, 이동가능한 벽의 전면부는 전방이동위치보다 주입구의 제1레벨로부터 더 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거리은 예컨대 거의 동일하며 제1레벨의 반대쪽 측면에 위치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몰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몰드를 사용하여 제품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청구항 14에 따른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복잡한 구조, 얇은 벽, 긴 흐름경로, 협소한 통로 등을 갖춘 제품이 간단하면서도 정밀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몰드와 방법의 모범적인 실시예가 첨부도면과 아래의 명세서를 통해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제품의 평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6의 Ⅲ-Ⅲ선에 따르는 밀폐된 상태에 본 발명에 따른 몰드측단면로서, 제2이동가능한 벽이 좌측에는 수축위치에 놓여져 있고 우측에는 전방이동위치에 놓여져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개방상태에서 좌측의 몰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서, 제1이동가능한 벽은 전방이동위치에 있고 제2이동가능한 벽은 수축위치에 놓여져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제2이동가능한 벽이 각각 수축위치와 전방이동위치에 있는데, 제2이동가능한 벽과 인접 코어(부) 사이의 거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a는 이격된 제1이동가능한 벽을 갖춘 고정벽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된 상태의 몰드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의 Ⅴ-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몰드부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제1몰드부의 도면이다.
도 7은 고정부와 프로파일을 갖춘 제3이동가능한 벽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선택가능한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선택가능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1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작동을 위해 제어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작동을 위해 제어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부재들의 조합은 대표적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 명세서에서, 예컨대 병을 위한 크레이트(crate)이 도시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구획칸을 구비하던 구비하지 않던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다른 임의의 형상의 바닥면을 갖는 많은 다른 홀더가 본 발명의 구조 내에서 가능하다. 또한, 홀더는 측벽과 바닥에 공동부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는다. 덧붙여서, 다른 제품, 예컨대 부분적으로 중공의 플레이트, 막대형, 관형 또는 다른 형태의 제품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품은 바닥면에서 직각으로 뻗은 길이방향의 벽을 구비하지만, 길이방향의 벽은 또한 바닥면에 대해서 기울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와 방법에서, 다른 재료, 특히 다른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는바, 특히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혼합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결 정성 플라스틱과 이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 내에서 특히 훌륭한 유용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 크레이트의 형태로 되어 있는 홀더(1)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홀더(1)의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홀더(1)는 바닥면(2)과 이 바닥면에서 뻗어 나온 길이방향의 벽(3)으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방향의 벽(3)은 실제로 이중벽으로 되어 있는데, 제1벽(4)과 제2벽(5) 및 제1벽과 제2벽 사이의 공동부 또는 개방된 공간부(6)로 이루어진다. 벽 두께(DW)는 바닥면(2)의 크기(A,B)와 높이(H)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다. 벽 두께는 예컨대 사용될 홀더 크기에 따라서 십분의 일 ~ 수 미리미터(mm) 사이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교차 칸막이(7)는 벽(4,5) 사이에 구비되는바, 바람직하기로, 견고성과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적할 만한 벽 두께를 갖는다. 구획칸(9)을 갖춘 내부공간부(8)는 길이방향의 벽(3)과 바닥면(2)에서 십자형 벽(10)으로 제공된다. 십자형 벽은 길이방향의 벽(3)의 상부면(11) 아래 지점까지 뻗어 있다. 벽(4,5)의 상단부는 캐리어 가장자리부(12)로 상호연결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벽(4,5)의 두께에 상응하는 벽 두께를 갖는다. 바닥면(2)에서, 개구부(13)는 예컨대 우측 하단부에 도시된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거나 우측 상단부에 도시된 십자형 바아(14)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를 구비하므로써, 소재와 중량, 냉각시간 및 밀폐압력이 제한될 수 있다. 길이방향의 벽(13)에서, 손잡이(15)가 맞은편 쪽으로 구비된다.
아래에서는, 몰드(20)와 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홀더(1)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다른 제품들, 예컨대 다른 종류의 컨데이너, 특히 단일벽으로 구성된 홀더들이 대응하는 몰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개별적으로 밀폐상태와 개방상태로 있는 몰드(20)를 도시한 것이다. 몰드(20)는 제1몰드부(21)와 화살표(S)방향으로 각각 개방방향과 밀폐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몰드부(22)를 구비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1몰드부(21)는 예컨대 고정테이블(C) 상에 구비되고 제2몰드부(22)는 종래의 사출성형장치 또는 프레스(도시되지 않음)의 이동테이블(D) 상에 구비된다. 부수적으로, 다양한 다른 수단들이 몰드(20)의 개방 및 밀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몰드(20)는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닥형성부인 제1부(101)와 실시예에서 도시된 측벽형성부인 제2부(102)에 몰드공동부(100)를 구비한다.
도 6은 분리된 제2몰드부(22)에서 방향(S)으로 바라본 제1몰드부(21)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제1몰드부(21)는 바닥플레이트(23)에서 직립되되, 직사각형상의 측면을 따라 뻗어 있는 4개의 고정벽(24)을 갖춘 바닥플레이트(23)로 이루어진다. 고정벽(24)은 서로 서로 맞주보는 다른 측면상에 구비되되, 제1안내면(25)은 방향(S)과 각도(α)를 형성한다. 각 고정벽(24)에서, 이동가능한 벽(26)이 이동하여 제2안내면(27)은 제1안내면(25)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방향(S)과는 동일한 각도(α)를 갖는다. 도 5에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와 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1작동수단(28)은 각도(α)와 평행한 제2방향(Q)으로 제1안내면(25)을 따라 이동가능한 벽(26)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몰드부(21)에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명료하게 보여지듯이, 제2몰드부(22)는 밀폐된 몰드(20)에서 예컨대 내부공간부(8)를 형성하는 이동가능한 벽(26)과 칸막이(7)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코어부(29)를 구비한다. 간략한 도면을 위해, 코어부(29)는 추출각도(β:draft angle)를 갖는 측면을 구비한 블록으로 도시된다. 도 3에서 도시되듯이, 밀폐된 몰드에서, 코어부(29)의 측면(30)과 코어부(29)와 맞닿는 이동가능한 벽(26)의 벽면(31) 사이에서 얇은 코어(32)가 홀더(1)의 벽면에 공동부(6)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플레이트(23) 상에 장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코어(32)는 견고한 벽면으로 제작된 홀드(1)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3)는 벽면(31) 상에 구비되어 밀폐상태의 몰드에서 예컨대 코어부(29)까지 코어(32)에 도달하거나 관통하며, 손잡이(15) 또는 홀더(1)의 각 측면에 심층부 또는 다른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가능한 벽(26)에서, 제1 또는 제2이동가능한 벽(35A,35B)이 벽면(31)에 배열되되, 이동가능한 벽은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위치와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동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1 또는 2이동가능한 벽(35A,35B)은 방향(G)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제 1 또는 제2이동가능한 벽은 개방 및 밀폐방향(S)과는 대략 직각방향을 이룬다. 각각의 제1 또는 제2이동가능한 벽(35A,35B)은 코어부(29)와 맞닿는 측면 상에 벽형성부(36)를 구비한다. 마주보는 측면 상에, 각각의 이동가능한 벽(35A,35B)은 제1작동면(37)을 구비한다. 코어부(29)에서 보여지듯이, 각각의 제1 또는 제2이동가능한 벽(35A,35B)의 뒤쪽에서 제2작동면(38)은 제1작동면(37)에 대해서 제3방향(T)으로 제1작동면(37)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부(39)의 일부를 형성한다. 각 슬라이드부(39)는 제1안내면(25)에 대해서 지지되는 마주보는 반대면(40)을 구비하고 반대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각 슬라이드부(39)는 약간 쐐기형상으로 되어 있어 반대면(40)과 제2작동면(38)은 바닥플레이트(23)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기울어진다. 제1작동면(37)은 제1안내면(25)과는 각도(γ)를 구비하며, 대략 슬라이드부(39)의 쐐기각도(γ)과 대략 동일하다. 만약 슬라이드부(39)가 바닥플레이트(23)를 향해 제3방향(T)으로 이동하면, 제1 또는 제2이동가능한 벽(35A,35B)은 제1안내면(25)에서 밀쳐지게 된다. 이러한 제1 또는 2이동가능한 벽(35A,35B)이 전술된 제4방향으로만 이동하므로 이동가능한 벽(26)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코어(32)와 코어부(29)의 방향으로 강제로 밀어부쳐진다.
도 6에 명백하게 도시되었듯이, 제1이동가능한 벽(35A)은 홀더(1)의 단부벽(4,5)을 형성하기 위해 배열된 벽형성부에 구비되는 반면에, 제2이동가능한 벽(35B)은 홀더(1)의 측벽(3)을 형성하기 위해 배열된 벽형성부에 구비된다.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단부벽은 측벽보다 면적이 작다.
적당한 안내유도를 성취하기 위해서, 각각의 슬라이드부(39)는 제1이동가능한 벽(26)을 관통하여 방향(T)으로 뻗어 있는 안내로드(41)를 따라 혹은 위로 활주한다.
바닥플레이트(23)에서 측면을 분리하면, 슬라이드부(39)의 단부(42)는 몰드의 편도면(43)에 위치되거나 근접하게 된다. 도 6에 실시예에 도시되듯이, 각각의 제1 또는 제2이동가능한 벽(35A,35B)을 위해서 2개의 슬라이드부(39)가 구비되며, 이의 단부(42)는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몰드부(22)에서, 작동수단(44)은 각 슬라이드부(39)에 구비되되, 제3방 향(T)과 평행하게 뻗는 길이방향의 축(46)을 갖는 피스톤 로드(45)를 갖춘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7)로 이루어진다. 피스톤 로드는 길이방향의 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예컨대 유압, 공기압 또는 전기으로 구동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7)로 제3방향(T)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공지되어 있는 다른 종류의 수단이 제3방향(T)으로 피스톤 로르(45)를 구동하기 위해 구비될 수도 있다. 피스톤 로드(45)는 전방단부(48)를 갖추되, 밀폐된 몰드(20)에서 전방단부는 동일한 이동을 위해서는 슬라이드부(39)의 단부(42)에 대해서 인접할 수 있다. 명료해지듯이, 피스톤 로드(45)는 슬라이드부와 고정되어 연결되지 않기에 몰드가 간단하게 개방과 밀폐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3이동가능한 벽(50)은 바닥형성부에 구비된다. 몰드공동부(100)에서 측면으로 떨어져 있는 벽(50)은 중앙을 향해 활주하는 2개의 면(51)을 갖추고 있다. 쐐기형상의 슬라이드부(52)는 2개의 반대면에서 면(51) 아래로 뻗는데, 쐐기부(52)는 슬롯(54)의 바닥면(53)에 안착된다. 각각의 슬라이드부(52)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55) 또는 다른 전술된 구동장치를 수단으로 해서 제5방향(K)으로 바닥면(53)을 따라 구동할 수 있다. 도 3에서, 벽(50)은 수축위로 이동되는바, 다시 말하자면 코어부(29)에서 떨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플라스틱은 전술된 방식으로 몰드공동부(100)로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몰드(209)는 주입수단(34)을 갖춰 바닥플레이트(23)에 구비되되, 도시된 홀더(1)와 같은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중에 적어도 주입개구부(34A)를 통해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료가 몰드(20)로 주입될 수 있다.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하나의 중앙개구부(34A)가 채널(34B)의 단부에 도시되어 있다. 채널(34B)과 개구부(34A)는 바닥플레이트(23)에 고정되게 연결된 고정부(80)에 구비된다. 제3이동가능한 벽(50)에서, 중앙개구부(81)는 고정부(80)의 원주에 대해서 활주용 부품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이동가능한 벽(50)의 상부면(54)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안내면(82)이 개구부(34A) 둘레에 위치된다. 도 4b에서 약간 확대되어 도시된다. 여기서, 개구부(34A)는 제1레벨(N1)에 있고, 제3이동가능한 벽(50)의 상부면(54)은 수축위치에 놓여질 때에는 제2레벨(N2)에 있으며 이동가능한 벽(50)이 전방이동위치로 전진하여 이동할 때에는 제3레벨(N3)에 있다. 명백하게, 제1레벨과 코어(29)의 마주보는 벽(29A) 사이의 거리는 제2레벨(N2)와 벽 사이의 거리와 제3레벨과 벽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레벨은 제1 및 제2레벨 사이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수축위치에 면(54)에 위한 주입저항이 작아질 것이다. 전방이동위치는 점선으로 도시된다. 벽(50)과 안내면(82) 사이의 삼각형상의 함유물이 마무리된 제품에 강화요소를 형성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에서 제3이동가능한 벽(50)이 고정부(8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주입기는 이동부를 따라 이동할 필요가 없어 주입수단(34)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고온의 런너(runner)에 유용하다.
도 7에서, 고정부(80) 둘레로 일부 확대된 제3이동가능한 벽(50)의 일부가 도시된다. 여기서, 제3이동가능한 벽(50)의 상부면(54)에서, 일련의 슬롯(84)이 구비되어 예컨대 작은 높이의 중간벽(10)의 패턴에 상응하게 된다. 슬롯(84)에서, 활 주용 부품을 갖춘 리브(85)가 구비되어 슬롯(84)의 바닥면에서 거리(F)에 위치된다. 앞서 전술된 수단을 통하여, 슬롯의 바닥면(86)이 리브(84)에 인접할 때 까지, 제3이동가능한 벽(50)이 리브(84)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하는 도중에, 플라스틱이 치환되고 슬롯(84)으로 강제로 밀어부쳐져, 리브가 최종 제품(1)의 주어진 패턴으로 형성될 것이다. 바닥면(2)의 중간부분은 상대적으로 얇다. 물론, 바람직한 패턴의 리부와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리브는 생략될 수 있으며, 슬롯은 플라스틱의 확장된 흐름경로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여전히 리브를 형성할 것이다.
도 9에서, 평면도로 고정부(80)의 선택가능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바, 주입개구부(34A)와 개구부(34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높게 위치된 부품(83)으로 한정된 4개의 안내면(82)을 구비한다. 이러한 간단한 방식으로, 플라스틱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이 창출될 수 있어 안내면에 적합하도록 간단하게 조작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따른 몰드(2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몰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플레이트(23)와 접촉하도록 전방위치에 있는 제1이동가능한 벽(26)과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위치에 있는 제1 및 제2이동가능한 벽(35A,35B)으로 밀폐된다. 피스톤 로드(45)는 수축위치에 놓여져, 단부(42,48)가 서로 인접해 있거나 약간 떨어져 있게 된다. 덧붙여서, 제3이동가능한 벽(50)은 수축된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라스틱이 개구부(34A)를 매개로 하여 몰드공동부로 주입된다. 몰드공동부로 주입된 플라스틱의 부피가 바람직한 최종제품의 부피와 실제로 동일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은 바닥형성부(101)를 적어도 대부분 채우게 될 것이지만, 몰드공동부의 부피가 수축된 제1, 제2 및 제3이동가능한 벽(35A,35B,50)으로 더욱 커지게 된다. 적어도 더욱 커진 부분과 바람직한 모든 플라스틱이 몰드공동부 내로 주입된 후에,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7,55)가 작동된다. 그런 다음에 제1, 제2 및, 제3이동가능한 벽(35A,35B,50)이 도 3의 우측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동위치까지 이동할 것이다. 개별적인 제2이동가능한 벽과 코어(32) 또는 코어부(29)의 반대쪽 부분 사이에서 플라스틱이 치환되고 전체 몰드공동부는 플라스틱으로 충전된다. 제1, 제2 및 제3이동가능한 벽(35A,35B,50)이 전방이동위치로 이동하면, 몰드공동부(100)의 부피는 주입된 플라스틱의 부피와 실제로 동일하고, 동시에 선택적으로 압력 후에 수축에 대한 보충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몰드공동부는 바람직한 제품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그런 다음에, 플라스틱이 약간의 시간경과 후에 경화되고, 몰드(20)가 개방되어 제품(1)을 취출한다. 결과적으로, 피스톤 로드(45)는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20)의 제2몰드부(22)로 수축된다. 다음에는, 제2몰드부(22)는 도 4a에 도시된 후퇴위치까지 제1이동가능한 벽(26)의 이동과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또는 적어도 동기적으로 제1몰드부(21)에서 떨어진다. 이러한 위치에서, 돌출부(33)가 후퇴되고, 제품(1;도 4 및 도 4a에 도시되지 않음)이 제1몰드부(21)에서 떨어질 수 있다. 다음에, 몰드(20)는 다음 순환 싸이클을 위해서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몰드에서, 얇은 바닥벽과 특히 긴 흐름경로가 사용된다면, 플라스틱 의 주입은 여전히 간단하고 압력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리브 등이 간단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유니트(60)를 사용하여, 우선적으로 제3이동가능한 벽(50)이 이동하도록 설정되고, 그런 다음에 단계 2로, 제1이동가능한 벽(35A)이 이동하도록 설정되며, 단계 3에서, 제2이동가능한 벽(35B)가 이동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몰드공동부(100)를 통과하는 플라스틱의 이동에 대한 장점이 성취된다. 플라스틱이 비교적 따뜻한 상태로 비교적 큰 바닥형성부(101)로 주입되기 때문에, 바닥형성부(101)를 통해 플라스틱을 보급하고 벽형성부(102)로 강제로 밀어부치기 위해 비교적 적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 플라스틱이 단부벽형성부와 측벽형성부로 보급될 것이다. 제2 및 제3단계는 제3이동가능한 벽(50)이 전방이동위치에 도달한 후에 시작될 것이며, 적어도 제2단계는 제3이동가능한 벽이 언급된 전방이동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시작된다. 제3단계는 제1이동가능한 벽(35A)이 전방이동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7)는 대략 직사각형상(70)으로 도시된 유압수단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수단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유니트(60)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듯이 다른 유압수단(44)을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이동가능한 벽이 바람직하기로 단열현상이 변위된 플라스틱의 일부에서 적어도 발생될 정도로 빠른 고속으로 전방이동위치까지 이동된다. 특히, 변위된 플라스틱 또는 변위될 플라스틱의 온도가 개별적인 플라스틱의 융해 온도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때에, 점도가 줄어든다. 그런 다음에, 속도는 예컨대 사용될 플라스틱과, 각 위치에서 제품의 바람직한 벽 두께, 제품의 총 크기, 흐름경로 길이 및, 제2이동가능한 벽의 이동거리의 단면에 따라 선택될 것이다. 적합한 속도는 예컨대 다른 속도로 실험을 통해 간단하게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라스틱의 주입압력은 상대적으로 낮고, 밀폐압이 몰드를 밀폐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의 특성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상대적으로 응력없는 제품이 얇은 벽 두께와 다른 벽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이 상대적으로 짧은 순환주기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서, 비교적 적은 소재와 코어, 삽입제 등이 몰드용으로 사용되며, 가능하다면, 경량이면서 얇은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의 자유도는 더욱 확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도(α)는 5~30°사이, 특히 대략 15~20°사이이고, 밀폐방향(S)과 벽(30) 사이의 각도(β)는 특히 작은데, 5°이하이며, 예컨대 1~2°이다. 도시된 모범적인 실시예에 각도(γ)는 각도(α)보닥 작고 1~10 사이에 있다. 이 각도는 예컨대 2~6°이다. 이러한 각도들은 각각의 경우에서 슬라이드부(39)와 제2이동가능한 벽(35)의 바람직한 이동속도와 필요한 힘 및 이동할 거리를 기초로 하여 적당한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1)는 예컨대 도 8에 따른 몰드(20)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몰드(20)는 고정테이블(D)과 제1이동방향(S)으로 이동할 수 있는 테이블(C)의 일부를 도시한 이미 널리 알려진 적어도 프레스와 같은 사출성형장치를 구비한다. 몰드(20)는 고정테이블 상에 배열된 제1몰드부(21)와 이동가능한 테이블(C) 상애 장착되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몰드부(22)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1이동방향(S)은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뿐만 아니라 프레스의 경사에 위한 수평을 위해 임의의 방위를 갖출 수 있다.
제2몰드부(22)는 홀더(1)의 내부공간부(8)를 형성하기 위한 중심코어부(29)를 구비한다. 중심코어부(29)는 모든 측면에서 거리(D1)만큼 떨어져서 에워싸여져 있다. 거리(D1)는 여기서는 단일벽으로 된 홀더(1)의 제1벽(4)의 벽 두께(D)와 상응하게 되어 있다. 중심코어부(29)의 전방단부와 제1몰드부(22) 사이에서 공간부(101)가 바닥형성부(2)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 공간부(101)는 플라스틱이 몰드공동부로 주입될 수 있는 공급개구부(34A)에서 마감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바닥형성부의 바닥은 전술된 방식으로 구동수단(55)을 구비한 제3이동가능한 벽(50)과 수축위치와 전방이동위치 사이로 이동하는 쐐기부(52)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일련의 주입개구부는 예컨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의 4개의 모서리에 구비되되, 이들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제3이동가능한 벽(50)이 이동하는 고정부(80)에 구비된다.
도시된 실례에서, 제2코어부(32)의 측면은 중심코어부(29)에서 떨어져 있으며, 제1이동가능한 벽(35A)은 2개의 측면 상으로 이동방향(C)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면(36)은 길이방향 벽(3)의 각 일부분의 외부면의 형태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돌출부(33;도시되지 않음)는 손잡이(15)를 형성하도록 슬라이드부(35A)에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위치에서, 벽(35A,50)은 다시 말하자면 각 벽(2,5)의 바람직 한 벽 두께(D3)보다 큰 코어부(29)로부터의 길이(D2) 만큼 수축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35A)와 인접한 코어부(29) 사이에서, 비교적 크고 넓은 공간부(102)가 구비되어 플라스틱이 많은 저항을 받지 않고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다.
경사면(37)은 슬라이드부(35A)의 후미면에 구비되되,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면(37)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더욱이, 편평한 활주면(40)이 슬라이드부 뒤쪽, 다시 말하자면 제2코어부(32)에서 떨어진 측면 상으로 구비된다. 쐐기부(39)는 경사면(37)과 활주면(40) 사이로 구비되되, 경사면(38)과 활주면에 대응된다. 쐐기부(39)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7)와 같은 도 8의 구동수단(44)에 연결되는바, 쐐기부(39)가 도 8에 도시된 제1위치에서 전방이동위치(점선으로 도 8의 우측에 참조부호 Z로 표기됨)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쐐기부(39)가 제2위치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드부(35A)는 안쪽으로, 다시 말하자면 제2코어부(32)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공간부(102)는 줄어들어서 내부에 있는 플라스틱이 변위되거나 약간 압축된다.
평면도에서, 도 8에 따른 몰드(20)는 한쌍의 제1이동가능한 벽(35A)이 몰드공동부(100)의 짧은 단부측면을 따라 제공되는 견지에서 도 6의 몰드와 비교된다.
프레스를 갖춘 몰드(2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몰드(20)는 도 8에 도시된 밀폐위치에 도달하고 비교적 약한 밀폐압력으로 프레스로서 밀폐고정된다. 밀폐압력은 종래의 사출성형기법과 사출성형을 사용하는 유사한 홀더를 사출성형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보다 작은데, 밀폐압력은 방향(S)에 서의 돌출면, 흐름경로, 특히 벽 두께 및, 사용될 플라스틱으로 결정된다.
슬라이드부(35A,50)는 수축된 제1위치에 도달하므로, 적당한 수단을 사용하여 플라스틱이 공급개구부(34A)를 수단으로 공간부(101)로 바람직하게는 용융상태로 주입되되, 적어도 실제로 액상상태로 주입된다. 플라스틱이 공간부(101)에서 부분적으로 공간부(102)로 흐른다. 플라스틱이 공간부(102)에서 실제로 저항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한 압력증가 또는 플라스틱의 경화없이 쉽게 흐를 수 있다. 다음에, 실제로 필요한 모든 플라스틱이 몰드공동부(100)로 주입될 때, 구동수단(55,44)은 제어유니트(60)를 사용하여 구동된다. 결과적으로, 쐐기부(52,39)는 제2위치로 이동하고 슬라이드부(50,35A)는 코어부(29)방향으로 강제로 밀어부쳐진다. 결과적으로, 플라스틱은 추가로 몰드공동부(100)로 주입되도록 강제로 밀어부쳐지며, 특히 공간부(102)의 끝까지 밀어부쳐져서 완전히 채워진다.
그런 다음에, 제어유니트(60)가 설정되어 슬라이드부(39,52)와 이동가능한 벽(35A,50)은 동시에 이동하지 않는다. 단계 1에서, 제3이동가능한 벽(50)이 이동한다. 그런 후에 단계 2에서, 단부벽(4,5)을 위한 제1벽(35A)이 이동된다. 선택적으로, 단계 3에서 측벽(3)을 위한 이동가능한 벽이 이동하기 위해 설정되었다면, 결과적으로는 가용에너지가 적당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추가로 플라스틱이 이동하기 위해 설정되고 더욱 좋은 이동을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각 경우에, 우선적으로 각각의 비교적 좁은 면을 구비한 이동가능한 벽이 이동을 위해 설정되고 그런 다음에 커다란 면을 갖는다. 단계 1 및 2이 실행될 수 있는데 단계 2는 단계 1이 완전하게 실행될 때까지 개시되지 않으며, 제3이동가능한 벽(50)이 완전하게 전방이동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단계 2는 곧바로 개시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제1이동가능한 벽(35A)이 이동하도록 설정되면서 제3이동가능한 벽(50)은 여전히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라스틱은 여전히 더욱 좋은 확산이 달성될 수 있다.
이동방향(C)이 이동방향(S)과 각도를 구비하기 때문에, 다른 부재의 우호적인 부하가 이루어진다. 플라스틱이 큰 저항없이 몰드공동부(100)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도 충분하다. 예컨대, 이는 제2코어부(27)의 구부러짐을 방지하고 과도한 마모를 상쇄시킨다. 더욱이, 부분적으로 이러한 결과로 인해서, 필요한 밀폐력이 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가 최대 한도로 전방으로 이동한 후에, 플라스틱이 경화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부가 선택적으로 수축된 후와 몰드(20)가 개방된 후에는, 홀더(1)가 취출될 수 있다. 비교적 낮은 주입압으로 인해서, 제품이 실제로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도 8에서, 구획벽(10)을 형성하는 개구부가 명료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몰드(20)의 슬라이드부(35)는 매우 빠르게 이동될 수 있기에 단열현상이 플라스틱에서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플라스틱의 유동성이 더욱 향상되고 경화된 플라스틱이 다시 액화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슬라이드부(34)는 또한 매우 느리게 이동할 수 있어서 플라스틱이 가열되지 않거나 매우 한정된 범위에서만 가열되고, 주입하는 도중에 소정의 범위에서 이미 경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플라스틱의 주입하는 동안 제2위치방향으로 슬라이드부가 선택되어 이동하므로, 플라스틱은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결정질 플라스틱과 유리전이점과 낮은 용융점을 갖 는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의 상품성이 유지될 때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도 10은 이동가능한 벽(35A,35B,50)을 위한 적어도 다수의 작동수단(44)의 작동과 제어용 장치(70)의 개략도이다. 장치(70)는 특히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7)의 다른 작동수단(44)과 라인시스템(62)을 매개로 연통하고 있는 예컨대 펌프 또는 축압기(accumulator)를 위한 압력장치(61)를 구비한다. 각각의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와 압력장치 사이로 공급라인(63)과 배출라인(64)이 뻗어 있는다. 각각의 라인(63,64)은 밸브(65,66)를 구비한다. 제어유니트(60)는 압력장치(61)와 밸브(65,66)에 연결된다. 각각의 벽(35A,35B,50)이 이동되기 전에, 공급라인에 적어도 밸브(65)가 밀폐되고 압력장치가 사용하여 압력이 압력장치와 개별적인 밸브(65) 사이로 뻗는 라인(63)의 일부에서 증가된다. 이 압력이 충분히 고압, 예컨대 최대압력이 될 때, 밸브(65)가 제어되어 개방되는 한편, 배출라인(64)에 밸브(66)가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개별적인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7)의 피스톤은 즉각적으로 고속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이동가능한 벽(35A,35B,50)이 작동한다. 그런 후에, 배출라인을 사용하여 피스톤은 최초위치로 복귀하고 밸브가 폐쇄된다. 공급라인의 밸브(65,66), 특히 밸브(65)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4)에 가능한 근접하게 배열되어서 밸브(65)와 압력장치 사이의 라인부(63A)가 밸브(65)와 압력장치 사이의 부분 보다 짧게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가능한 한 짧게 한다. 놀랍게도, 이러한 방식에서 각각의 이동가능한 벽(35A,35B,50)의 구동은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떤한 이론적 배경없이도, 라인에서 유체의 관성질량의 결과로 이루어진다. 비교적 높은 작동압력 하에서 라인의 대부분을 안착시 켜, 소량의 유체가 이동하도록 설정되고 밸브(65,66)가 개방된 후에 안착되어, 가능한 한 빠른 응답을 갖는다. 더욱이, 이러한 방식으로, 장점이 성취되는데, 이동가능한 벽이 정밀하게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호 병합된 이동가능한 벽을 위해서, 한쌍의 부(35A,35B)와 같이, 개별적인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와 이에 병합된 밸브 사이의 라인부(63A)는 각각의 경우에 상응한 구조로 만들어져, 실제로 동일한 양의 유체가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밀도가 더욱 향상된다. 예컨대, PLC를 사용하면 밸브가 설정될 수 있고 특히 정밀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1은 선택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복동(double-acting) 피스톤(47A)이 구비된다. 공급라인(63)과 배출라인(64)은 피스톤(47A)의 반대 측면상에서 마감된다. 제어장치가 설정되어, 피스톤의 양 쪽면에서 이동가능한 벽(35,50)의 작동 전에 동일한 고압이 유체에 작용하며, 적어도 이러한 압력으로 피스톤은 미리 선택된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개별적인 벽(35,50)은 전방이동위치까지 이동할 때, 배출라인(64)에 밸브(66)가 개방되어져 피스톤(47A)의 측면에 압력이 떨어지고 피스톤은 힘방향과 고속으로 강제로 밀어부쳐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간단하고 정밀한 방식에서, 피스톤과 개별적인 벽(35,50)이 이동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장치(70)는 전술된 몰드(20)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70)는 몰드에서, 본 발명에 따르던지 따르지 않던기 간에 다른 이동부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과 설명으로 기술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청구범위로서 가능하다.
예컨대, 다수의 몰드공동부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 내에 구비되되, 예컨대 바닥플레이트의 반대 측면상에 구비된다. 제1몰드부와 제2몰드부는 교체될 수 있어, 주입이 코어부(29)를 통과하거나 코어부를 따라 처리된다. 몰드-레벨에서, 삽입물 등이 본 발명에 따른 몰드에 사용될 수 있다. 몰드공동부는 임의의 바람직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임의의 바람직한 제1, 제2 및, 제3이동가능한 벽이 형성될 제품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와 방법으로 형성될 제품은 완전히 밀폐바닥, 단일벽으로 된 측면 혹은 부품, 다른 구획칸 등을 구비한다. 다른 작동수단은 슬라이드부와 쐐기부를 이동하기 위해 구비되되, 예컨대 전기, 유압기계레벨시스템, 연동장치 등으로 되어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플라스틱의 주입에너지는 예컨대 수축위치까지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벽을 이동하기 우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제품(1)은 연속적인 벽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개별적이면서 상호적으로 분리된 벽이 벽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고정벽이 다르게 형성되거나 안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측면 상으로 제1이동가능한 벽을 운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수단(40)은 제2몰드부에 구비된다. 프레스의 플레이트(D)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몰드의 제2몰드부(22)는 축(45)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반공가구가 제작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다른 몰드(20)가 안착되어 특히 간단하고 경량의 구조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작동수단(44)의 비교적 중량이면서 고가의 부품이 다시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방향은 도시된 것과는 달리 선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드부(39)는 작동면(37,38)에 적합하고, 방향(S)에 대해 적어도 각도를 갖는 제1방향(S)와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원칙적으로, 이동가능한 벽(35)을 위한 작동수단(44)은 작동면(37,38)에 적합하게 제1몰드부(21)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부(39)가 전방이동위치까지 제2이동가능한 벽(35)을 이동하기 위해서 제2몰드부(22)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고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본 명세서와 도면이 명료하게 될 것이다.
다양하게 이에 상응하는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이해될 것이다.

Claims (15)

  1. 몰드공동부가 이동가능한 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입수단이 상기 몰드공동부내에 재료를 주입하기 위해서 구비되고, 상기 몰드공동부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벽에 적어도 하나의 주입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져 있는, 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벽은 상기 몰드공동부의 바닥형성부에 위치되는 몰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주입개구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벽으로 에워싸여진 하나의 고정벽에 구비되는 몰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주입개구부가 상호 이격된 2개의 고정벽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벽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벽이 구비되어 있는 몰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형성부와 벽형성부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몰드공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형성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가능한 벽이 구비되고 상기 벽형성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가능한 벽이 구비되는 몰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이동가능한 벽은 제1이동방향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제2이동가능한 벽은 제2이동방향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이동방향은 180°에서 벗어난 각도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는 30°~150°에서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60°~120°,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를 이루는 몰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주입개구부는 상기 바닥형성부와 벽형성부 사이의 변이지점의 인접위치에서 마감되는 몰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공동부에 접한 적어도 제1이동가능한 벽의 표면에 프로파일, 특히 슬롯 또는 융기부가 구비되는 몰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에서 제품을 형성하는 동안에 고정부와 주입개구부에 대해서 고정된 리브 또는 융기부가 구비되고, 제1이동가능한 벽은 융기부 또는 리브 사이들을 따라 그리고 그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몰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개구부는 제1레벨에 위치되고 각각의 인접한 이동가능한 벽은 수축위치와 전방이동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수축위치에서, 몰드공동부에 접하는 이동가능한 벽의 측면은 상기 제1레벨에서 제1거리만큼 떨어져 위치되고 상기 전방이동위치에서는 제2거리만큼 떨어져 위치되는 몰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리는 제2거리보다 크도록 되어 있는 몰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거리는 대략 동일하나 제1레벨에서 반대쪽에 고정되어 있는 몰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주입개구부 근처 지점으로부터 안내면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각각의 주입개구부에서 떨어진 방향에서 상기 안내면과 몰드공동부의 반대쪽 벽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된 몰드.
  14. 고정벽에 구비된 주입개구부를 매개로 하여 몰드의 몰드공동부로 플라스틱을 주입한 후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따라 이동하고서, 플라스틱이 변위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벽을 갖춘 몰드를 사용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벽이 이동하도록 되어 상기 플라스틱이 변위하는 동안에 단열현상이 상기 플라스틱에서 발생하는 방법.
KR1020077017086A 2004-12-28 2005-12-23 몰드와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 KR200701165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27912 2004-12-28
NL1027912A NL1027912C2 (nl) 2004-12-28 2004-12-28 Matrijs en werkwijze voor de vorming van produc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582A true KR20070116582A (ko) 2007-12-10

Family

ID=34975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086A KR20070116582A (ko) 2004-12-28 2005-12-23 몰드와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7771645B2 (ko)
EP (1) EP1851030B1 (ko)
JP (1) JP2008525238A (ko)
KR (1) KR20070116582A (ko)
CN (1) CN101132900A (ko)
AR (1) AR052849A1 (ko)
AT (1) ATE446180T1 (ko)
AU (1) AU2005320392A1 (ko)
BR (1) BRPI0519415A2 (ko)
CA (1) CA2592548A1 (ko)
DE (1) DE602005017311D1 (ko)
ES (1) ES2337383T3 (ko)
IL (1) IL184294A0 (ko)
MX (1) MX2007007973A (ko)
NL (1) NL1027912C2 (ko)
NO (1) NO20073937L (ko)
PL (1) PL1851030T3 (ko)
PT (1) PT1851030E (ko)
RU (1) RU2007128927A (ko)
WO (1) WO2006071111A1 (ko)
ZA (1) ZA2007061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0885A1 (de) 2007-11-15 2009-05-20 Hyundai Motor Co. Gehäuselose Beifahrerairbageinrich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2248C2 (nl) * 2006-07-28 2008-01-29 Ecim Technologies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producten.
NL1032519C2 (nl) * 2006-09-15 2008-03-18 Ecim Technologies B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van producten.
EP2352626A4 (en) * 2008-11-07 2012-09-12 Sorensen Res And Dev Trust INJECTION OF A HOLLOW BODY
US7879280B2 (en) * 2009-05-14 2011-02-01 Toyota Boshoku America, Inc. Grove imprinting device for injection molded parts
KR101354424B1 (ko) * 2011-03-18 2014-01-22 이세현 전원 연결용 인넷 소켓 플러그 핀 성형어셈블리와 다이캐스팅에 의한 전원 연결용 인넷 소켓 플러그 핀 제조방법
WO2013127725A1 (en) * 2012-02-27 2013-09-06 Coloplast A/S Method for manufacturing of urinary catheters
IT201800002814A1 (it) * 2018-02-19 2019-08-19 Umberto Nenna Stampo per la realizzazione di un corpo cavo per inietto-compressione e metodo di realizzazione del corpo cavo
DE102018213217A1 (de) * 2018-08-07 2020-02-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erk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chäumten Kunststoffbauteilen
CN109434066B (zh) * 2018-10-27 2020-11-27 南京六创科技发展有限公司 模具以及模具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737A (en) * 1973-06-18 1976-08-03 The Richardson Company Multi-partitioned thin-walled container
DE2440900C2 (de) * 1974-08-27 1976-10-07 Theysohn Friedrich Fa Spritzgiessform zum herstellen von kastenfoermigen behaeltern, insbesondere von flaschentransportkaesten
EP0061072A3 (de) * 1981-03-21 1983-10-26 Maschinenfabrik Köppern GmbH. & Co. KG Spritzgiessform
US4481161A (en) * 1983-01-17 1984-11-06 E-W Mold & Tool Company, Inc. Pressure stabilized injection mold
JPS6083820A (ja) * 1983-10-17 1985-05-13 Hitachi Ltd 反応射出成形方法
US4732558A (en) * 1986-01-29 1988-03-22 E-W Mold & Tool Co., Inc. Injection mold with end core locks and extended side core locks for forming a partitioned container
DE4217343C2 (de) * 1992-05-26 1995-12-14 Theysohn Friedrich Fa Spritzgießform zum Herstellen eines Formteils aus Kunststoff
DE4443145C1 (de) * 1994-12-05 1996-03-21 Seeber Systemtechnik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chichtung warm verformter thermoplastischer Bauteile mit thermoplastischen Oberflächenmaterialien
EP0832727B1 (en) * 1996-09-10 2003-05-14 Innova Packaging Systems N.V. Process for manufacturing injection moulded objects, device for carrying out such process and new moulded objects
US6428734B1 (en) * 1996-09-10 2002-08-06 Innova Packaging Systems N.V. Process for manufacturing injection moulded objects using side walls and plural injection points
JP4146026B2 (ja) * 1998-04-24 2008-09-03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TW568822B (en) * 2001-10-25 2004-01-01 Novem Internat B V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in-walled products, and a product manufactured therewith
NL1021814C2 (nl) * 2002-11-01 2004-05-06 Novem Internat B V Informatiedrager en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de vervaardiging daarvan.
NL1021838C2 (nl) * 2002-11-05 2004-05-07 Fountain Patents B 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houd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0885A1 (de) 2007-11-15 2009-05-20 Hyundai Motor Co. Gehäuselose Beifahrerairbag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851030E (pt) 2010-01-27
PL1851030T3 (pl) 2010-05-31
RU2007128927A (ru) 2009-02-10
CA2592548A1 (en) 2006-07-06
JP2008525238A (ja) 2008-07-17
MX2007007973A (es) 2007-09-05
BRPI0519415A2 (pt) 2009-01-20
CN101132900A (zh) 2008-02-27
WO2006071111A1 (en) 2006-07-06
ZA200706153B (en) 2008-06-25
AU2005320392A1 (en) 2006-07-06
US7771645B2 (en) 2010-08-10
EP1851030B1 (en) 2009-10-21
ES2337383T3 (es) 2010-04-23
NL1027912C2 (nl) 2006-07-03
IL184294A0 (en) 2007-10-31
US20080116613A1 (en) 2008-05-22
DE602005017311D1 (de) 2009-12-03
AR052849A1 (es) 2007-04-04
EP1851030A1 (en) 2007-11-07
NO20073937L (no) 2007-09-28
ATE446180T1 (de) 200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6582A (ko) 몰드와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
KR20080009045A (ko)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US200800299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Products
US5766654A (en) Apparatus for improving knit line strength in polymeric materials
US7785523B2 (en) Mold and method for forming plastic products
EP15653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lders, in particular crates
WO200803302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products
US201001408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