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594B1 -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594B1
KR102262594B1 KR1020200043122A KR20200043122A KR102262594B1 KR 102262594 B1 KR102262594 B1 KR 102262594B1 KR 1020200043122 A KR1020200043122 A KR 1020200043122A KR 20200043122 A KR20200043122 A KR 20200043122A KR 102262594 B1 KR102262594 B1 KR 102262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tag
caregiver
inform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215A (ko
Inventor
이훈상
이호상
최성필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라코
Publication of KR20200119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설물 처리 장치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며, 정보 서버로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수신하며,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제1정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1정보 블록을 상기 정보 서버와 간병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환자 태그와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tient information using block chain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병인은 배변 도움이 필요한 사람의 종이 기저귀 또는 면 기저귀를 하루에 수 차례 직접 갈아줘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리 규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환자가 방치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간병인이 환자의 상태를 충실히 기록해야 하지만 이러한 기록이 충실히 수행될 것이라고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간병인이 바뀔 때마다 간병 서비스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는데, 각 간병인의 서비스 제공 수준에 대한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간병 수준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간병인으로서의 자질이 부족한 사람에게 간병 서비스를 받게 되는 상황을 피할 수가 있다.
이러한 간병인의 서비스 수준에 대한 평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간병인의 간병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등록특허 10-1882207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생성, 수집 및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간병인 정보를 생성, 수집 및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정보 서버로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제1정보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정보 블록을 상기 정보 서버와 간병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환자 태그와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병 서버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복수의 제1정보 블록들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정보 블록들에 포함된 복수의 전단 환자 태그들과 복수의 후단 환자 태그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1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제1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환자에 대한 배변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정보 블록 체인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들 각각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환자 태그와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정보 서버로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수신하며,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제1정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정보 블록을 상기 정보 서버와 간병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환자 태그와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병 서버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복수의 제1정보 블록들을 수신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들에 포함된 복수의 전단 환자 태그들과 복수의 후단 환자 태그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1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제1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환자에 대한 배변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정보 블록 체인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들 각각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환자 태그와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환자 정보를 생성, 수집 및 관리함으로써 환자 관리를 위한 효율성, 신속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간병인 정보를 생성, 수집 및 관리함으로써 간병인 관리를 위한 효율성, 신속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 장치의 장착구를 착용한 인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 생성하는 정보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서 결합하는 복수의 정보 블록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정보 블록을 생성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정보 블록을 생성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서버에서 관리하는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정보 블록을 수집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간병 서버들의 구성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간병 서버들에서 결합한 정보 블록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은 독립적으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배설물 처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본체와 장착구를 포함한다. 장착구는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어 사용자(예를 들면, 환자 또는 노인)의 배설물을 받는다. 본체는 장착구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흡입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면, 장착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몸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착구(130)는 사용자의 양 허벅지의 안쪽, 꼬리뼈 근처 및 하복부 등에 접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몸은 반투명한 투영도로 나타내었고, 장착구(130)는 실사도로 나타내었다. 도 2에서는 사용자가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자세에서 장착구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사용자가 등을 바닥에서 떼고 어깨를 바닥에 대고 누운 자세에서도 장착구를 착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설물 처리 장치(100)는 본체(110)와 케이블(120)과 장착구(130)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본체(110)는 커버 케이스(111), 워터 탱크(112), 오물 탱크(113), 기저귀 컵유닛 연결 소켓(114), 기저귀 컵 유닛 커넥터(115), 스피커(116), 리모트 컨트롤러 커넥터(117), 컨트롤 패널(118), 바퀴(119), 공기 정화 필터 및 UV 살균 램프(14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20)은 상부 레버(121), 오물 탱크 커넥터(122), 기저귀 컵 유닛 파워 커넥터(123), 및 기저귀 컵 유닛 커넥팅 레버(12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구(130)는 비데 노즐 조절 노브(132), 기저귀 컵 상부 실리콘(131), 소변/대변 검출 센서들(135), 기저귀 컵 하부 실리콘(134), 및 비데 노즐(1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배설물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배설물 처리 장치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 장치의 구성은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 장치의 구성은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관리 시스템은 배설물 처리 장치(1), 복수의 간병 단밀기들(51, 52), 간병 서버(3), 인증 서버(4), 및 정보 서버(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간병 단말기(51)는 제1간병인(21)이 소지하는 이동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고, 제2간병 단말기(52)는 제2간병인(22)이 소지하는 이동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및 제2간병 단말기들(51, 52) 각각은 배설물 처리 장치(1)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은 유선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근거리 통신의 구체적인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간병 단말기들(51, 52)은 제2네트워크망(520)을 통해 간병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네트워크망(520)은 LTE(Long Term Evolution) 망,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 일 수 있다.
간병 서버(3)는 특정한 간병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거나 관리하는 서버로서 다른 간병 서비스 제공자가 접근할 수 없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병 서버(3)는 간병인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간병인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정보 블록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 블록들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병인 정보는 간병인이 사용자에게 제공한 간병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네트워크망(510)을 통해 정보 서버(2)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네트워크망(510)은 LTE 망, MAN 등 일 수 있다.
정보 서버(2)는 환자 정보 또는 간병인 정보를 수집하며, 수신된 환자 정보 또는 간병인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정보 블록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 블록들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 정보는 환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버(4)는 특정 간병인(예를 들면, 제1간병인(21))에 대한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생성된 인증코드를 간병 단말기(5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간병인이 가진 특정 간병 단말기(예를 들면, 제1간병 단말기(51))는 수신한 인증코드를 배설물 처리 장치(1)로 전송하고,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인증코드가 유효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인증코드가 유효한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간병 단말기(51)가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는 권한을 허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증코드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간병 단말기(51)가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는 권한을 허가하지 않을 수 있다.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으로 수행되는 기능은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장착구(130)에 있는 배설물을 자동으로 흡입하여 본체(1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동으로 수행되는 기능은 제1 또는 제2간병인(21, 22) 의 조작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설물 처리 장치(1)가 제1간병인(21)을 통해 특정 기능을 수동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1간병 단말기(51)와 배설물 처리 장치(1) 간에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가 선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는 배설물 처리 장치(1)가 간병인이 사용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리 예약 또는 지정된 사람임을 입증하는 절차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간병인(21)은 사용자(예를 들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인)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의 자세를 바꿔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배설물 처리 장치(1)는 현재 자동으로 수행 중이거나 수행될 기능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환자의 자세를 바꿔도 좋다는 확인 메시지를 배설물 처리 장치(1)의 화면에 출력하거나 제1간병 단말기(51)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확인 메시지를 제1간병 단말기(51)로 전송할 수 있다. 확인 메시지를 확인한 제1간병인(21)은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안전하게 이동시키거나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착구(130)에 소변 또는 대변이 아직 남아 있는 경우, 제1간병인(21)이 환자의 자세를 바꾸게 되면, 배설물 처리 장치(1)가 환자로부터 분리되면서 소변 또는 대변이 외부로 배출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간병인(21)은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조작하기 이전에 반드시 배설물 처리 장치(1)와 간병 단말기(50) 간에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를 우선적으로 수행해야만 배설물 처리 장치(1)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간병인(21)이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오물 탱크(113)를 교환하기 위해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오물 탱크 교환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물 탱크 교환 버튼은 오물 탱크 잠금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하는 버튼일 수 있다. 만일, 오물 탱크 교환 버튼을 누르기 이전의 지정된 시간 내에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되지 않으면, 제1간병인(21)이 오물 탱크 교환 버튼을 누르더라도 오물 탱크 잠금 장치는 잠김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위의 설명에서는 제1간병인(21)이 사용자를 간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간병인들(21, 22)이 사용자를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교체되면서 사용자를 간병할 수 있다. 그리고 간병인들(21, 22) 각각은 자신에게 할당된 간병 단말기(51, 52)를 이용하여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다.배설물 처리 장치(1)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미리 결정된 정보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 블록을 제1네트워크망(510)를 통해 다른 장치(예를 들면, 정보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배설물 처리 장치(1)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또는 배설물 처리 장치(1)와 임의의 간병 단말기(51)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는 적어도 3가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타입 이벤트는, 배설물 처리 장치(1)에 설치된 각종 센서들 각각이 감지한 측정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 센서들은, 습도 센서, 온도 센서, 이미지 센서, 가스 센서 및 소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습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습도 임계값 이하에서 습도 임계값 이상으로 변하거나 습도 임계값 이상에서 습도 임계값 이하로 변하는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타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온도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 임계값 이하에서 온도 임계값 이상으로 변하거나 온도 임계값 이상에서 온도 임계값 이하로 변하는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타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스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가스 임계값 이하에서 가스 임계값 이상으로 변하거나 가스 임계값 이상에서 가스 임계값 이하로 변하는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타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 센서는 이산화탄소나 메탄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로, 소리 센서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소리 크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타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가 출력하는 평균 명암 또는 평균 콘트라스트 등의 파라미터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 임계값 이상에서 파라미터 임계값 이하로 변하거나 또는 파라미터 임계값 이하에서 파라미터 임계값 이상으로 변하는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타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2타입 이벤트는, 배설물 처리 장치(1) 내부의 장치 설정값 또는 장치 상태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 내부에 설치된 소모품의 교환 주기가 도래한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2타입 이벤트로서 교환 주기의 도래를 알리는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된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2타입 이벤트로서 전원 상태 변경을 알리는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관리자가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설정을 변경한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2타입 이벤트로서 관리자 로그인 정보 및 설정 변경에 관한 사항을 알리는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3타입 이벤트는, 간병 단말기(51)와 배설물 처리 장치(1) 간의 근거리 통신을 기초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병 단말기(51)와 배설물 처리 장치(1) 간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간병 단말기(51)의 식별자 또는 간병 단말기(51)에 할당된 간병인 식별자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 장치(1) 근처에 간병인이 왔음을 알리는 제3타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간병 단말기(51)와 배설물 처리 장치(1) 간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후에,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배설물 처리 장치(1)의 동작 상태가 변경된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동작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3타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간병 단말기(51)와 배설물 처리 장치(1) 간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후에, 간병인이 환자를 옆으로 눕혀 장착구(130)의 자세가 변경된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장착구(130)의 자세가 변경됐음을 알리는 제3타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착구(130)의 자세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장착구(130)에는 자이로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간병 단말기(51)와 배설물 처리 장치(1) 간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동작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3타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간병 단말기(51)와 배설물 처리 장치(1) 간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후에, 간병 단말기(51)가 배설물 처리 장치(1) 근처에 위치하지 않은 상황에서 장착구(130)의 자세가 변경된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장착구(130)의 자세가 변경됐음을 알리는 제3타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3타입 이벤트는 의식 없는 환자가 의식을 찾아 움직이거나 환자가 낙상한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대응하는 알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정보 블록(10)은 정보 블록 생성 시각, 환자 신상 정보(예를 들면, 환자의 식별 정보, 환자의 신장, 환자의 몸무게, 환자의 나이, 환자의 성별), 정보 블록(10)의 생성을 발생시킨 이벤트의 식별 정보, 이벤트와 연관하여 수집된 정보, 정보 블록(10)을 생성하기 직전 또는 생성을 위해 수집한 각종 센서들의 출력신호 정보, 정보 블록(10)을 생성한 시점에서의 배설물 처리 장치(1)의 각종 장치 상태들에 관한 정보, 정보 블록(10)의 생성 당시에 배설물 처리 장치(1)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간병 단말기(51)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간병 단말기(51)의 식별 정보, 간병 단말기(50)에 할당된 간병인의 식별 정보, 환자 간병 기관(예를 들면, 의료 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 블록(10)에 포함되는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정보 블록(10)의 생성을 위해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특정 환자가 할당되면, 할당된 특정 환자에 대한 환자 신상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정보 블록이 복수의 다른 정보 블록들과 결합되면, 정보 블록 체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인 형성을 위해, 정보 블록(10)은 전단 환자 태그(11) 및 후단 환자 태그(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 환자 태그(11)는 정보 블록(10)의 전단에 결합되는 다른 정보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단 환자 태그(12)는 정보 블록(10)의 후단에 결합되는 또 다른 정보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일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정보 블록(10)은 도 5a에 도시된 정보 블록(10)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만, 도 5b의 정보 블록(10)은 도 5a의 정보 블록(10)에 포함된 전단 환자 태그(11)와 후단 환자 태그(12) 대신에, 전단 간병인 태그(13)와 후단 간병인 태그(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 간병인 태그(13)는 정보 블록(10)의 전단에 결합되는 다른 정보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일 수 있다. 후단 간병인 태그(14)는 정보 블록(10)의 후단에 결합되는 또 다른 정보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일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정보 블록(10)은 도 5a에 도시된 정보 블록(10)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c의 정보 블록(10)은 도 5a의 정보 블록(10)에 도시된 전단 환자 태그(11)와 후단 환자 태그(12) 뿐만 아니라 도 5b의 정보 블록(10)에 도시된 전단 간병인 태그(13)와 후단 간병인 태그(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서 결합하는 복수의 정보 블록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4개의 정보 블록들(101, 102, 103, 104)이 도시되어 있다. 제1정보 블록(101)은 제1전단 환자 태그(111) 및 제1후단 환자 태그(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정보 블록(102)은 제2전단 환자 태그(112) 및 제2후단 환자 태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정보 블록(103)은 제3전단 환자 태그(113) 및 제3후단 환자 태그(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정보 블록(104)은 제4전단 환자 태그(114) 및 제4후단 환자 태그(12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정보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예를 들면, 정보 서버(2))는, 복수의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 정보 서버(2)는 수집된 정보 블록들 중에서 하나의 정보 블록에 포함된 전단 환자 태그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다른 하나의 정보 블록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서버(2)는 정보 블록의 전단 환자 태그와 검색된 정보 블록의 후단 환자 태그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정보 블록에 포함된 전단 환자 태그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정보 블록은 오직 한 개만 존재하도록 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 정보 서버(2)는 하나의 정보 블록에 포함된 후단 환자 태그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다른 하나의 정보 블록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서버(2)는 정보 블록의 후단 환자 태그와 검색된 정보 블록의 전단 환자 태그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정보 블록에 포함된 후단 환자 태그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정보 블록은 오직 한 개만 존재하도록 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태그들에 포함된 내용(또는, 값)은 다음과 같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121, 112}
{122, 113}
{123, 114}
정보 서버(2)는 서로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정보 블록의 전단 환자 태그와 정보 블록 후단 환자 태그를 결합하여 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블록들이 특정 환자의 배변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정보 블록 체인은 특정 환자의 배변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4개의 정보 블록들(101, 102, 103, 104)이 도시되어 있다.
제1정보 블록(101)은 제1전단 간병인 태그(131) 및 제1후단 간병인 태그(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정보 블록(102)은 제2전단 간병인 태그(132) 및 제2후단 간병인 태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정보 블록(103)은 제3전단 간병인 태그(133) 및 제3후단 간병인 태그(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정보 블록(104)은 제4전단 간병인 태그(134) 및 제4후단 간병인 태그(14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정보 블록 체인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예를 들면, 정보 서버(2))는, 복수의 블록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 정보 서버(2)는 수집된 정보 블록들 중에서 하나의 정보 블록에 포함된 전단 간병인 태그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후단 간병인 태그를 포함하는 다른 하나의 정보 블록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서버(2)는 하나의 정보 블록의 전단 간병인 태그와 검색된 정보 블록의 후단 간병인 태그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정보 블록의 전단 간병인 태그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후단 간병인 태그를 포함하는 정보 블록은 오직 한 개만 존재하도록 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 정보 서버(2)는 하나의 정보 블록에 포함된 후단 간병인 태그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전단 간병인 태그를 포함하는 다른 하나의 정보 블록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서버(2)는 하나의 정보 블록의 후단 간병인 태그와 검색된 다른 하나의 정보 블록의 전단 간병인 태그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정보 블록의 후단 간병인 태그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전단 간병인 태그를 포함하는 정보 블록은 오직 한 개만 존재하도록 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태그들이 가지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141, 132}
{142, 133}
{143, 134}
정보 서버(2)는 서로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정보 블록의 전단 간병인 태그와 정보 블록의 후단 간병인 태그를 결합하여 정보 블록 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블록들이 전단 간병인 태그와 후단 간병인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정보 블록 체인은 간병인 평가 기초 정보 또는 간병인 서비스 수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정보 블록을 생성하는 흐름도이다.도 7을 참조하면, 정보 관리 시스템은 배설물 처리 장치(1)와 정보 서버(2)와 간병 서버(3)와 인증 서버(4)와 간병 단말기(5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송수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송수신부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정보 서버(2)와 간병 단말기(51)와 간병 서버(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설물 처리 장치(1)의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서버(2)는 송수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송수신부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와 간병 단말기(51)와 간병 서버(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정보 서버(2)의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병 서버(3)는 송수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송수신부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와 간병 단말기(51)와 정보 서버(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간병 서버(3)의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단계(S110), 단계(S120), 단계(S130), 및 단계(S140)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배설물 처리 장치(1)에 장착된 임의의 센서로부터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는, 배변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확인 결과, 신호가 검출되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단계(S15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2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배설물 처리 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상태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의 구성요소는 배설물 처리 장치(1)에 구비된 소모품일 수 있다.
확인 결과, 배설물 처리 장치(1)의 구성요소의 상태가 변경되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단계(S15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인증 서버(4), 간병 단말기(51) 및 정보 서버(2)와 협력하여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배설물 처리 장치는 단계(S15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4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는 간병인이 소지하는 간병 단말기(51)를 이용하여 간병인을 인증하는 절차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가 통과되어야만 간병인이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에는 간병 단말기(51)와 배설물 처리 장치(1) 간에 근거리 통신을 수립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간병 단말기(51)와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고, 간병 단말기(51)를 소지하는 간병인이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간병인에게 장치 조작을 허락한 후, 간병인에 의해 배설물 처리 장치(1)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배설물 처리 장치(1)가 조작되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단계(S15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0)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10), 단계(S120), 단계(S130), 및 단계(S140)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고, 그 결과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단계(S110)에서 검출된 센서의 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중심으로 변경된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이벤트(예를 들면, 제1타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계(S120)에서 검출된 장치 상태가 이전 상태와 비교할 때 변경된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이벤트(예를 들면, 제2타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계(S130)에서 인증 프로세스가 통과되거나 통과되지 않은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이벤트(예를 들면, 제3타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계(S14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조작이 발생하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이벤트(예를 들면, 제3타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정보 서버(2)로 배설물 처리 장치(1)에 할당된 특정 환자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정보 서버(2)에 저장된 환자 태그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서버(2)는 환자 별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저장하며, 환자 별로 최근에 수집한 정보 블록에 포함된 전단 환자 태그 또는 후단 환자 태그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갱신할 수 있다.단계(S170)에서, 정보 서버(2)는 배설물 처리 장치(1)로 특정 환자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특정 환자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특정 환자를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특정 환자와 구분되는 다른 환자에게는 특정 환자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환자 별로 독립적으로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S18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정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성된 정보 블록(1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전단 환자 태그(11) 및 후단 환자 태그(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전단 환자 태그로서 정보 서버(2)로부터 수신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전단 환자 태그는 정보 서버(2)가 제공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배설물 처리 장치(1)는 후단 환자 태그를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19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네트워크망(510)을 통해 생성된 정보 블록을 정보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220)에서, 정보 서버(2)는 배설물 처리 장치(1)로부터 정보 블록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 블록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S230)에서, 정보 서버(2)는 특정 환자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수신한 정보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후단 환자 태그를 이용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특정 환자에 대한 새로운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후단 환자 태그의 내용(또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단계(S230) 이후에, 정보 서버(2)가 배설물 처리 장치(1)로부터 특정 환자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태그를 새롭게 요청 받는다면, 단계(S230)에서 갱신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배설물 처리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S160'))
단계(S260)에서, 정보 서버(2)는 특정 환자에 대한 저장된 복수의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함으로써 특정 환자에 대한 배변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20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생성된 정보 블록을 간병 단말기(51)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210)에서, 간병 단말기(51)는 제2네트워크망(520)을 통해 정보 블록을 간병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240)에서, 간병 서버(3)는 간병 단말기(51)로부터 정보 블록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 블록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S250)에서, 간병 서버(3)는 특정 환자에 대한 저장된 복수의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함으로써 특정 환자에 대한 배변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서버(2)가 생성하는 특정 환자의 배변 이력 정보는 간병 서버(3)가 생성하는 특정 환자의 배변 이력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정보 서버(2)가 특정 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들을 한 배설물 처리 장치(1) 뿐만 아니라 다른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특정 환자가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간병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복수의 배설물 처리 장치들이 특정 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을 정보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정보 블록을 생성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단계들(S130 내지 S150)은 도 7에 도시된 단계들(S130 내지 S150)에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46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네트워크망(510)을 통해 정보 서버(2)로 간병 단말기(51)로부터 획득한 간병인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정보 서버(2)에 저장된 간병인 태그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서버(2)는 간병인 별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저장하며, 간병인 별로 최근에 수집한 정보 블록에 포함된 전단 간병인 태그 또는 후단 간병인 태그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갱신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7의 단계(S160)는 단계(S460)와 통합되어 수행되거나 단계(S460)와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470)에서, 정보 서버(2)는 배설물 처리 장치(1)로 간병인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7의 단계(S170)는 단계(S470)와 통합되어 수행되거나 단계(S470)와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간병인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간병인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간병인과 구분되는 다른 간병인에게는 간병인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간병인 별로 독립적으로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S18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정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성된 정보 블록은 전단 간병인 태그(13) 및 후단 간병인 태그(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전단 간병인 태그로서 정보 서버(2)로부터 수신한 간병인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전단 간병인 태그는 정보 서버(2)가 제공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배설물 처리 장치(1)는 후단 간병인 태그를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19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제1네트워크망(510)을 통해 생성된 정보 블록을 정보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220)에서, 정보 서버(2)는 배설물 처리 장치(1)로부터 정보 블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 블록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정보 서버(2)는 수신된 정보 블록에 포함된 후단 간병인 태그를 이용하여 간병인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갱신할 수 있다. 즉, 간병인에 대한 새로운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수신된 정보 블록의 후단 간병인 태그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단계(S430) 이후에, 정보 서버(2)가 배설물 처리 장치(1)로부터 간병인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요청 받는다면, 단계(S430)에서 갱신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배설물 처리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S460'))
단계(S460)에서, 정보 서버(2)는 저장된 복수의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함으로써 간병인 정보(예를 들면, 간병인의 서비스 수준을 나타내는 간병인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7의 단계(S230)는 단계(S430)와 통합되어 수행되거나 단계(S430)와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의 단계(S260)는 단계(S460)와 통합되어 수행되거나 단계(S460)와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S200)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생성된 정보 블록을 간병 단말기(51)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210)에서, 간병 단말기(51)는 제2네트워크망(520)을 통해 정보 블록을 간병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240)에서, 간병 서버(3)는 간병 단말기(51)로부터 정보 블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 블록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S450)에서, 간병 서버(3)는 저장된 복수의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함으로써 간병인 정보(예를 들면, 간병인의 서비스 수준을 나타내는 간병인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7의 단계(S250)는 단계(S450)와 통합되어 수행되거나 단계(S450)와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서버(2)가 생성하는 간병인 평가 정보는 간병 서버(3)가 생성하는 간병인 평가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정보 서버(2)가 특정 간병인에 대한 정보 블록들을 한 배설물 처리 장치(1) 뿐만 아니라 다른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더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특정 간병인은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간병 서비스 사업자를 위해 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보 서버(2)는, 단계(S310)에서, 간병인 별로 저장된 정보 블록들을 분석하여 간병인 별로 서비스 제공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서버(2)는 간병인 별로 생성된 정보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간병인 별로 서비스 제공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서버(2)는 간병인 별로 평가된 서비스 제공 수준을 기반으로 환자에게 기피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간병인을 포함하는 간병인 블랙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정보 서버(2)는 인증 서버(4)로 간병인 블랙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 관리 시스템은 간병인 블랙리스트를 이용하여 도 7의 단계(S130)에서 수행하는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단계(S130)은 다음 단계들(S131 내지 S137)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31)에서, 간병 단말기(51)는 인증 서버(4)로 간병 단말기(51)를 사용하는 간병인의 식별번호와 해당 간병인에게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는 자격의 인증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32)에서, 인증 서버(4)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저장된 간병인 블랙리스트에 간병인 식별번호를 적용하여 간병인의 인증 자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병인 블랙리스트에 간병인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증 서버(4)는 간병인에게 인증 자격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간병인 식별번호가 인증 서버(4)에 등록되지 않거나 간병인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인증 서버(4)는 간병인에게 인증 자격이 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인증 자격이 있다고 결정된 경우, 인증 서버(4)는 간병인에 대한 인증 코드를 생성한 후, 단계(S13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간병인에 대한 인증 코드를 생성하지 않은 후,후속 단계를 진행하지 않은 채 인증 실패 메시지를 간병 단말기(51)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33)에서, 인증 서버(4)는 간병 단말기(50)로 생성된 인증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34)에서, 간병 단말기(51)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생성된 인증 코드와 함께 간병인을 인증해달라는 인증 요청을 배설물 처리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35)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인증 코드의 유효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검증 결과, 인증 코드가 유효하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단계(S13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를 중단한 후, 인증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간병 단말기(51)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36)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간병 단말기(51) 또는 간병 단말기(51)를 사용하는 간병인에 대한 접근 조건을 초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근 조건 초기화는 간병인이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는 횟수를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면, 10회)으로 초기화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접근 조건 초기화는 간병인이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는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면, 24시간)으로 초기화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S137)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간병 단말기(51)로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인증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간병인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도 7의 단계(S140)과 같이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조작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단계(S140)는 다음 단계들(S141 내지 S146)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41)에서, 간병 단말기(51)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조작을 허가해 달라는 조작 허가 요청을 배설물 처리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42)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조작 허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간병 단말기(51)의 간병인이 배설물 처리 장치(1)에 대한 접근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단계(S136)에서 초기화된 간병인의 접근 조건(예를 들면, 조작 횟수 또는 조작 시간)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횟수가 일 회 이상인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간병인의 조작을 허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작 시간이 20분 남아있는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간병인의 조작을 허락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조작 횟수나 조작 시간이 0인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간병인의 조작을 불허가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간병인의 조작이 허락된 경우,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단계(S14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배설물 처리 장치(1)의 조작 프로세스를 중단한 후, 간병 단말기(51)로 간병인의 조작을 불허가한다는 조작 불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43)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간병인의 접근 조건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조작 횟수를 1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S144)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잠금 장치가 해제되자마자 잠금 장치의 해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타이머는 미리 결정된 최대값(MAX)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S145)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배설물 처리장치(1)의 조작을 허가함을 알리는 조작 허가 메시지를 간병 단말기(51)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46)에서,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잠금 장치를 열림 상태로 유지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를 카운트 다운한다. 타이머가 0의 값에 도달하면, 배설물 처리 장치(1)는 잠금 장치를 열림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특정 간병인에 대한 접근 조건이 다 소진되면, 특정 간병인은 단계(S130)를 수행하여 배설물 처리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서버에서 관리하는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보 서버(2)는 복수의 환자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들 및 복수의 간병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들을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정보 서버(2)는, 도 7의 단계(S170)에서, 복수의 환자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들 중에서 특정 환자에 대응하는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배설물 처리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서버(2)는, 도 8의 단계(S470)에서, 복수의 간병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들 중에서 특정 간병인에 대응하는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배설물 처리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 별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도 10의 제1테이블(table1)과 같이, 테이블화하여 저장될 수 있고, 간병인 별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도 10의 제2테이블(table)과 같이, 테이블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테이블(Table1)은 복수의 환자들을 식별하기 위한 환자 ID 필드 및 환자 별로 최신의 이전 블록 태그를 저장하는 환자의 최신 이전 정보 블록 태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신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는 최근에 저장된 정보 블록에 포함된 후단 환자 태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환자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가 배설물 처리 장치(1)로부터 요청되면, 정보 서버(2)는 특정 환자를 제1테이블(Table1)에서 특정 환자에 대응하는 최신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배설물 처리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환자에 대한 새로운 정보 블록이 배설물 처리 장치(1)로부터 수신되면, 정보 서버(2)는 수신된 정보 블록에 포함된 후단 환자 태그의 값을 이용하여 제1테이블에 저장된 특정 환자에 대응하는 이전 정보 블록 태그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테이블(Table2)은 복수의 간병인들을 식별하기 위한 간병인 ID 필드 및 간병인 별로 최신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저장하는 간병인의 최신 이전 정보 블록 태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간병인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가 배설물 처리 장치(1)로부터 요청되면, 정보 서버(2)는 제2테이블(Table2)에서 특정 간병인에 대응하는 최신의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정 정보 블록 태그를 배설물 처리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간병인에 대응하는 새로운 정보 블록이 배설물 처리 장치(1)로부터 수신되면, 정보 서버(2)는 수신된 정보 블록에 포함된 후단 간병인 태그의 값을 이용하여 제2테이블에 포함된 특정 간병인에 대응하는 이전 정보 블록 태그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정보 블록을 수집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정보 관리 시스템은 제1 및 제2의료기관들(401, 4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의료기관(401)은 제1간병 서버(31), 제1간병 단말기(501) 및 제1배설물 처리 장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의료기관(402)은 제2간병 서버(32), 제2간병 단말기(502) 및 제2배설물 처리 장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환자(71)는 제1시구간에서 제2의료기관(402)에 입원하다가, 제2시구간에서 제1의료기관(401)에 입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간병 서버(31)는 제2시구간에서 제1간병 단말기(51)를 통해 제1환자(71)에 대한 정보 블록을 생성하여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간병 서버(32)는 제1시구간에서 제2간병 단말기(52)를 통해 제1환자(71)에 대한 정보 블록을 생성하여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간병인(21)은 제3시구간에서 제1의뢰기관(401)에서 근무하다가, 제4시구간에서 제2의료기관(402)에서 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간병 서버(31)는 제3시구간에서 제1간병 단말기(51)를 통해 제1간병인(21)에 대한정보 블록을 생성하여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간병 서버(32)는 제4시구간에서 제2간병 단말기(52)를 통해 제1간병인(21)에 대한 정보 블록을 생성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간병 서버들(31, 32)이 동일한 환자에 대한 서로 다른 정보 블록을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동일한 간병인에 대한 서로 다른 정보 블록을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간병 서버들의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간병 서버들(31, 32, 33, 34, 35, 36)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간병 서버들(31, 32, 33, 34, 35, 36)은 P2P(Peer-to-Peer)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되거나 별도의 중계장치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간병 서버들(31, 32, 33, 34, 35, 36) 각각은 자신이 관리하는 정보 블록을 다른 간병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다른 간병 서버는 자신이 관리하는 정보 블록과 수신된 정보 블록을 결합하여 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간병 서버들에서 결합한 정보 블록들을 도시한 도면이다.도 13a를 참조하면, 정보 관리 시스템은 정보 서버(2)와 복수의 배설물 처리 장치들(11, 12, 13)와 복수의 간병 서버들(31, 32, 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의료기관들이 제1 내지 제3간병 서버들(31, 32, 33)을 각각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환자가 제1의료기관, 제2의료기관 및 제3의료기관을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입원한 경우, 제1간병 서버(31)는 제1환자가 입원한 제1시구간 동안에 제1환자에 대응하는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정보 블록 체인인 제1서브 체인(711)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간병 서버(32)는 제1환자가 입원한 제2시구간 동안에 제1환자에 대응하는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제2서브 체인(712)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제3간병 서버(33)는 제1환자가 입원한 제3시구간 동안에 제1환자에 대응하는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제3서브 체인(713)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간병 서버들(31, 32, 33) 각각은 제1 내지 제3배설물 처리 장치들(11, 12, 13)과 정보 서버(2)와 협력하여 시구간 별로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제1 내지 제3서브체인들(711, 712, 713)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서브체인들(711, 712, 713)은 하나의 정보 서버(2)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보 블록들로 이루어진다.
만일, 제1서브체인(711)의 마지막 정보 블록(104)이 생성된 이후에 제1환자가 제1의료기관에서 제2의료기관으로 이동하여 입원한 경우, 제2의료기관에서 최초로 생성된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은 정보 블록(105)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서브체인(711)에 포함된 후단 환자 태그들 중에서 제1서브체인(711)에 포함된 전단 환자 태그들과 쌍을 이루지 못하는 후단 환자 태그는 정보 블록(104)의 후단 환자 태그(124)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서브체인(712)에 포함된 전단 환자 태그들 중에서 제2서브체인(712)에 포함된 후단 환자 태그들과 쌍을 이루지 못하는 전단 환자 태그는 정보 블록(105)의 전단 환자 태그(115)일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블록(104)의 후단 환자 태그(124)의 값은, 정보 블록(105)의 전단 환자 태그(115)의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만일, 제2서브체인(712)의 마지막 정보 블록(108)이 생성된 이후에 제1환자가 제2의료기관에서 제3의료기관으로 이동하여 입원한 경우, 제3의료기관에서 최초로 생성된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은 정보 블록(109)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서브체인(712)에 포함된 후단 환자 태그들 중에서 제2서브체인(712)에 포함된 전단 환자 태그들과 쌍을 이루지 못하는 말단의 후단 환자 태그(128)의 값은, 제3서브체인(713)에 포함된 전단 환자 태그들 중에서 제3서브체인(713)에 포함된 후단 환자 태그들과 쌍을 이루지 못하는 말단의 전단 환자 태그(119)의 값과 동일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3간병 서버(33)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다른 간병 서버들에게 제3서브체인(713)의 말단에 위치한 전단 환자 태그(119)와 동일한 값을 갖는 후단 환자 태그의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간병 서버(32)가 전단 환자 태그(119)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후단 환자 태그(118)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제2간병 서버(32)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서브체인(712)을 제3간병 서버(33)로 전송할 수 있다.
제3간병 서버(33)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제2서브체인(712)과 저장된 제3서브체인(713)을 결합하여 제23서브체인(723)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3서브체인(723)은 제3서브체인(713)보다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들을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간병 서버(32)는 제3간병 서버(33)로부터 제3서브체인(713)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3서브체인(713)과 저장된 제2서브체인(712)을 결합하여 제22서브체인(722)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2서브체인(722)은 제2서브체인(712)보다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들을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2서브체인(722)과 제23서브체인(723)은 서로 동일하다.
예를 들면, 제1간병 서버(31)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다른 간병 서버들에게 제1서브체인(711)의 말단에 위치한 후단 환자 태그(124)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전단 환자 태그의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3간병 서버(33)가 후단 환자 태그(124)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전단 환자 태그(115)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제3간병 서버(33)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3서브체인(723)을 제1간병 서버(3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간병 서버(3.1)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제23서브체인(723)과 저장된 제1서브체인(711)을 결합하여 제31서브체인(73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1서브체인(731)은 제1서브체인(711)보다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들을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간병 서버(33)는 제1간병 서버(31)로부터 제1서브체인(711)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서브체인(711)과 제23서브체인(723)을 결합하여 제33서브체인(733)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3서브체인(733)은 제23서브체인(723)보다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들을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1서브체인(731)과 제33서브체인(733)은 서로 동일하다.
예를 들면, 제2간병 서버(32)에 저장된 제22서브체인(722)은 제31서브체인(731)에 비하여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들을 더 적게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간병 서버(32)는 상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제31서브체인(731)과 동일한 정보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32서브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 도 13a, 도 13b, 및 도 13c를 통해 설명하였듯이, 제1환자가 입원했던 의료기관들에서 관리하는 간병 서버들은 모두 제1환자에 대한 모든 정보 블록을 수집하여 제1환자에 대한 완전한 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간병 서버(32)가 고장 나서 제1환자에 대한 완전한 정보 블록 체인이 삭제되더라도, 제2간병 서버(32)는 다른 간병 서버로부터 제1환자에 대한 블록 체인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간병 서버(32)가 관리하는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 체인의 무결성이 의심되는 경우, 제2간병 서버(32)는 다른 간병 서버들이 관리하는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 체인에 포함된 정보들을 확인하여 무결성을 입증하거나 결함을 치유할 수 있다.
이때, 제1환자가 입원하지 않았던 다른 의료기관의 간병 서버들은 제1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하거나 확장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환자가 입원한 적이 있던 모든 의료기관은 특정 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으로 이루어진 정보 블록 체인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밖의 다른 의료기관들은 특정 환자의 개인 의료정보에 접근할 수 없다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에서는 환자에 대한 정보 블록 체인의 확장 및 공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특정 간병인에 대한 정보 블록 체인 역시 확장 및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환자 정보를 생성, 수집 및 관리함으로써 환자 관리를 위한 효율성, 신속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간병인 정보를 생성, 수집 및 관리함으로써 간병인 관리를 위한 효율성, 신속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0)

  1.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정보 서버로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제1정보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정보 블록을 상기 정보 서버와 간병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환자 태그와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정보 서버로 간병인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간병인에 대응하는 제2정보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2정보 블록을 상기 정보 서버와 상기 간병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정보 블록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간병인 태그와 후단 간병인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및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와 상기 환자를 간병하는 간병인이 사용하는 간병 단말기 간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4. 간병 서버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복수의 제1정보 블록들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정보 블록들에 포함된 복수의 전단 환자 태그들과 복수의 후단 환자 태그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1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제1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환자에 대한 배변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정보 블록 체인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들 각각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환자 태그와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버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환자를 간병하는 간병인에 대한 복수의 제2정보 블록들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2정보 블록들에 포함된 복수의 전단 간병인 태그들과 복수의 후단 간병인 태그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2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제2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간병인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2정보 블록 체인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정보 블록들 각각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간병인 태그와 후단 간병인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버에서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6. 배설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정보 서버로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수신하며,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제1정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정보 블록을 상기 정보 서버와 간병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환자 태그와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 서버로 간병인에 대한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를 수신하며,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이전 정보 블록 태그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간병인에 대응하는 제2정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정보 블록을 상기 정보 서버와 상기 간병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정보 블록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간병인 태그와 후단 간병인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의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및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와 상기 환자를 간병하는 간병인이 사용하는 간병 단말기 간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 장치.
  9. 간병 서버에 있어서,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복수의 제1정보 블록들을 수신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들에 포함된 복수의 전단 환자 태그들과 복수의 후단 환자 태그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1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제1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환자에 대한 배변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정보 블록 체인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보 블록들 각각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환자 태그와 후단 환자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환자를 간병하는 간병인에 대한 복수의 제2정보 블록들을 수신하며, 상기 제2정보 블록들에 포함된 복수의 전단 간병인 태그들과 복수의 후단 간병인 태그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2정보 블록들을 결합하여 제2정보 블록 체인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간병인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정보 블록 체인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정보 블록들 각각은,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전단 간병인 태그와 후단 간병인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버.
KR1020200043122A 2019-04-09 2020-04-09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62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1588 2019-04-09
KR1020190041588 2019-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215A KR20200119215A (ko) 2020-10-19
KR102262594B1 true KR102262594B1 (ko) 2021-06-09

Family

ID=7304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122A KR102262594B1 (ko) 2019-04-09 2020-04-09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5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27B1 (ko)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81045B1 (ko)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82207B1 (ko) 2018-03-23 2018-07-26 주식회사 아이라이즈 블록체인 기반으로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병의원 보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51A (ko) * 2017-06-02 2018-12-12 신텍주식회사 기저귀 알람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27B1 (ko)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81045B1 (ko)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82207B1 (ko) 2018-03-23 2018-07-26 주식회사 아이라이즈 블록체인 기반으로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병의원 보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215A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7214B1 (en) Mobile monitoring
JP6134058B2 (ja) 吸収性製品の状態に関するデータを収集および記憶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配列
CN103155509B (zh) 用于基于动态个人信息来提供连续认证的方法和设备
US20150099458A1 (en) Network-Capable Medical Device for Remote Monitoring Systems
US8976021B2 (en) Remote patie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JP6562123B2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1865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network association status
JP2014230207A (ja) 転倒時通報システム及び転倒時通報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JP3562626B2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の生体検査装置
KR100916483B1 (ko)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933852A (zh) 一种通过蓝牙设备实现的远程通信系统及方法
CN110228738B (zh) 灾害信息处理装置以及灾害信息通知方法
JP6436227B2 (ja) 被監視者監視装置および被監視者監視方法
KR102262594B1 (ko)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86088B1 (ko)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363706B2 (ja) 無線ベッド接続
JPH11216154A (ja) 無線式介護補助装置
JP5897960B2 (ja) 院内報知システム
JP2017148504A (ja) 被監視者監視装置、該方法および該システム
JP6579582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380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signalling unit user
JP2005046468A (ja) 生体データ検知システム
KR102368158B1 (ko)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JP2006033164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17151676A (ja) 被監視者監視装置、該方法および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