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753B1 -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753B1
KR102261753B1 KR1020200173704A KR20200173704A KR102261753B1 KR 102261753 B1 KR102261753 B1 KR 102261753B1 KR 1020200173704 A KR1020200173704 A KR 1020200173704A KR 20200173704 A KR20200173704 A KR 20200173704A KR 102261753 B1 KR102261753 B1 KR 10226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waterproof
film
waterproof shee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우정
Original Assignee
(주)대흥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흥산업 filed Critical (주)대흥산업
Priority to KR102020017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1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수필름 및 상기 방수필름의 양 끝단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 재생수지에 비하여 열 융착 부위의 물성이 우수하며, 방수필름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의 종류 및 압출조건에 따른 방수 및 접합 품질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Waterproof sheet using polyethylene-based recycled resin and bonding method of waterproof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열 융착 부위의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이용하여 방수시트를 생산할 경우에는 수평식으로 수지를 압출 후 냉각롤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용융지수(Melt Index, MI)는 주로 3 g/10min 이하인 수지가 사용된다. 용융지수가 3 이상인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평식으로 압출된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아래로 처지게 되어 균일한 두께의 시트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는 압출기나 다이의 온도를 낮추어서 제품을 생산해야 균일한 두께를 가진 시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를 사용하여 방수시트를 생산하고자 할 경우에는 재생수지의 종류에 따라 품질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압출조건을 매번 바꾸어야 제대로 된 방수시트를 얻을 수 있다. 재생된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재생되기 전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용융지수와 융점의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융점이 낮고 용융지수가 높은 수지의 조건에 맞추어 압출온도를 낮추어 방수시트를 생산하지 않으면 균일한 두께를 가진 방수시트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생산된 방수시트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고유의 물성인 방수특성 때문에 방수성능에는 문제가 없으나 방수시트와 방수시트를 연결하기 위해서 열융착을 할 경우에 재생된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융점이나 기계적인 물성의 차이에 의해서 열융착 부위가 외부의 압력을 받으면 나무가 갈라지듯이 쉽게 떨어져 방수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출 시 열융착 부위를 특정물성을 가진 필름으로 보강한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 방수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수필름 및 상기 방수시트의 양 끝단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방수필름의 면적을 갖는 양 표면을 제1면 및 제2면으로 지칭할 때, 상기 보강필름은 양 끝단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필름의 일 끝단의 제1면에 보강필름을 구비하고, 다른 끝단의 제2면에 보강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필름은 핵센(Hexene)계 수지 또는 옥텐(Octene)계 수지를 단량체로 사용하여 중합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필름은 융점이 90℃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필름은 두께가 50㎛에서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수필름 및 상기 방수필름의 양 끝단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 방수시트를 적어도 2개 이상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의 일부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2개의 방수시트 양 끝단의 보강필름 부분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필름이 겹쳐진 부분을 열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 방수시트의 접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수필름의 양 끝단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보강필름을 포함함으로써 일반 재생수지에 비하여 열 융착 부위의 물성(전단강도, 박리강도 및 에어테스트)이 우수하다.
이에 따라 방수필름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의 종류 및 압출조건에 따른 방수 및 접합 품질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서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의 압출조건을 종류에 따라 변경하고 최적화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 및 작업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양 끝단의 양 표면에 구비되는 4개의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양 끝단의 일 표면에 구비되는 2개의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의 접합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열 융착하여 제작된 시험용 시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1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된 방수시트의 전단강도 및 박리강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된 방수시트의 에어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수필름(10) 및 상기 방수필름의 양 끝단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보강필름(20)을 포함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양 끝단의 양 표면에 구비되는 4개의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의 측단면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방수필름(10)은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를 이용하여 수평식 압출 형성된 필름으로서, 재생된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재생되기 전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용융지수와 융점을 갖는데, 압출기나 다이의 온도를 낮추어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필름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필름(10)은 실린더 온도 100~170℃, 다이스 온도 175~195℃ 범위에서 압출이 가능하고, 0.8~2.0㎜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필름(20)은 상기 방수필름(10)의 양 끝단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구비되는데, 방수필름(10)의 면적을 갖는 양 표면을 제1면 및 제2면으로 지칭할 때, 상기 보강필름(20)은 양 끝단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된다. 보강필름이 제1면 또는 제2면에 선택적으로 1개씩 구비되는 경우 다른 방수시트와 접합 시 접합면을 구별하여 접합하여야 하지만, 제1면 및 제2면 모두에 구비되는 경우 다른 방수시트와 접합 시 접합면을 구별하지 않고 접착이 가능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방수필름(10)의 일 끝단의 제1면에 보강필름(20)을 구비하고, 다른 끝단의 제2면에 보강필름(20)을 구비함으로써 보강필름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다른 방수시트와 접합 시 접합면을 일정하게 접합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필름(20)은 핵센(Hexene)계 수지 또는 옥텐(Octene)계 수지를 단량체로 사용하여 중합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텐(Butene)계 수지를 사용할 경우 질김성이 떨어져 열봉합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핵센(Hexene)계 수지를 단량체로 사용하여 중합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접합력이나 작업성, 비용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했을 때 좋다.
또한 상기 보강필름은 융점이 90℃ 내지 120℃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융점이 90℃ 미만일 경우 열봉합 면이 끈적끈적하여 작업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125℃ 초과할 경우 기존에 압출된 시트와의 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보강필름은 두께가 50㎛에서 200㎛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두께가 50㎛ 미만인 경우 방수시트간 열융착 부위에 에어테스트를 진행하였을때 보강필름과 방수필름 사이에서 풍선처럼 부풀어 올라 압력이 증가하면 그 부위가 박리 또는 터지는(찢어지는) 현상이 쉽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고, 200㎛ 초과하는 경우 비보강 부위와 단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보강필름의 폭(W1)은 적어도 2개의 방수시트(1, 2)를 열 봉합하여 접합하는 경우 열 봉합 부분의 폭(W2)보다 10mm 이상 큰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 방수시트의 접합방법은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수필름 및 상기 방수필름의 양 끝단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방수시트를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보강필름이 형성된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 방수시트를 적어도 2개 이상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의 일부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2개의 방수시트 양 끝단의 보강필름 부분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필름이 겹쳐진 부분을 열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시트를 준비하는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방수시트를 사용한다. 구체적인 방수시트의 구성은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방수시트를 연결하는 단계는 도 3 내지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강필름이 구비된 표면이 다른 방수시트의 보강필름이 구비된 표면과 맞닿도록 연결하는 단계이며, 맞닿지 않은 보강필름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폭 10mm 이상이 표면에 노출된다.
상기 열 봉합하는 단계는 보강필름이 맞닿아 겹쳐진 부분을 열 봉합하는 단계로서, 예를 들어, 자동으로 온도가 제어되고 전압의 편차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열풍 용접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방수시트간 융착시 온도와 속도 압력은 시트의 두께와 재질에 따라 다르나, 온도는 기계 설정이 500℃ 이상이고, 융착부위 압력은 600~1,000N 이며, 용접속도는 융착부위 수지의 흘러내림 양으로 조정하고 있으나 통상 2.0~4.0m/min 이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 방수시트 및 이의 접합방법을 이용하여 접합된 방수시트의 전단강도, 박리강도, 에어테스트를 측정하여 열 융착 부위의 물성을 테스트하였다. 도 6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열 융착하여 제작된 시험용 시편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7 내지 도 1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된 방수시트의 전단강도 및 박리강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된 방수시트의 에어테스트 결과를 나타내었다. 에어테스트 조건은 용접속도 3.2m/min 및 히트 온도 560℃이며, 고속도로 공사 전문 시방서 기준 0.2㎫에서 10분 동안 20% 이상 감소 없을 것을 요구한다.
도 7 내지 도 1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재생수지 방수시트에 비하여 보강필름을 구비한 방수시트의 경우 전단강도, 박리강도 및 에어 테스트 측정 결과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방수필름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의 종류 및 압출조건에 따른 방수 및 접합 품질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의 압출조건을 종류에 따라 변경하고 최적화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 및 작업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수필름 및 상기 방수필름의 양 끝단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보강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필름은 핵센(Hexene)계 수지를 단량체로 사용하여 중합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융점이 90℃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필름의 면적을 갖는 양 표면을 제1면 및 제2면으로 지칭할 때,
    상기 보강필름은 양 끝단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필름의 일 끝단의 제1면에 보강필름을 구비하고, 다른 끝단의 제2면에 보강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필름은 두께가 50㎛에서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7.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수필름 및 상기 방수필름의 양 끝단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보강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필름은 핵센(Hexene)계 수지를 단량체로 사용하여 중합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여 융점이 90℃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 방수시트를 적어도 2개 이상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의 일부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2개의 방수시트 양 끝단의 보강필름 부분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필름이 겹쳐진 부분을 열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재생수지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KR1020200173704A 2020-12-11 2020-12-11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KR102261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704A KR102261753B1 (ko) 2020-12-11 2020-12-11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704A KR102261753B1 (ko) 2020-12-11 2020-12-11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753B1 true KR102261753B1 (ko) 2021-06-08

Family

ID=7639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704A KR102261753B1 (ko) 2020-12-11 2020-12-11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293B1 (ko) 2023-02-15 2024-02-20 (주)리보너스 저장탱크 애뉼라 플레이트의 수분 유입 및 부식 방지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775A (ja) * 1997-02-21 1998-09-08 Asahi Corp 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0089881A (ko) * 2001-05-25 2002-11-30 (주)그린폴 재생수지를 이용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20050083449A (ko) *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 한양엔티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11364B1 (ko) * 2017-10-25 2018-10-24 김석만 복합방수시트
KR20190063672A (ko) * 2017-11-30 2019-06-1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방수시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2187930B1 (ko) * 2020-05-22 2020-12-09 주식회사 한양엔티 방수 및 방근용 일체형 복합 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775A (ja) * 1997-02-21 1998-09-08 Asahi Corp 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0089881A (ko) * 2001-05-25 2002-11-30 (주)그린폴 재생수지를 이용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20050083449A (ko) *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 한양엔티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11364B1 (ko) * 2017-10-25 2018-10-24 김석만 복합방수시트
KR20190063672A (ko) * 2017-11-30 2019-06-1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방수시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2187930B1 (ko) * 2020-05-22 2020-12-09 주식회사 한양엔티 방수 및 방근용 일체형 복합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293B1 (ko) 2023-02-15 2024-02-20 (주)리보너스 저장탱크 애뉼라 플레이트의 수분 유입 및 부식 방지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18061B2 (en) Polyolefin film, tape or yarn
US3671383A (en) Laminated biaxially oriented isotactic polypropylene and uniaxially oriented ethylene-propylene-films
EP0002606B1 (en) Oriented polypropylene with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copolymer coating
US5888660A (en) Heat-shrinkable co-extruded multilayer polyolefin film having an improved heat seal resistance
KR102261753B1 (ko)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CN1131404A (zh) 可热合的薄膜和制品
AU2002318061A1 (en) Polyolefin film, tape or yarn
US5620803A (en) Heat shrinkable polypropylene laminate film
JP2020192695A (ja) 積層体
JPH04136037A (ja)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層の相互接着方法
CN1049505C (zh) 热收缩性制品
JPH11348181A (ja) ゴム特性を有する接合可能な弾性ラミネ―ト
US4247591A (en) Fusible composite binding strap
EP1277573A1 (en) Polyolefin tape or yarn
JP2020192696A (ja) 積層体
US4940634A (en) High barrier low profile forming web
JP2010530323A (ja) ポリエチレン−ポリプロピレン多層ブロー成形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1378902A (zh) 多层热收缩性膜
JPS59215833A (ja)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多孔質フイルムの製造方法
KR101812888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H03175029A (ja) 少なくともポリエチレン層とエラストマー層とからなる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得られる製品
US20240025164A1 (en) Multilayer structures that include oriented films and sealant layers
US4938828A (en) High barrier low profile forming web
CN114474672B (zh) 一种层倍增器及生产高粘流体橡胶复合材料的设备
JP3602568B2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成形用ポリエチレン樹脂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