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449A -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449A
KR20050083449A KR1020040011966A KR20040011966A KR20050083449A KR 20050083449 A KR20050083449 A KR 20050083449A KR 1020040011966 A KR1020040011966 A KR 1020040011966A KR 20040011966 A KR20040011966 A KR 20040011966A KR 20050083449 A KR20050083449 A KR 2005008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aterproofing
coating
film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574B1 (ko
Inventor
박영준
박성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엔티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엔티,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엔티
Priority to KR102004001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5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방수층의 일정한 두께 확보가 가능하고, 시트방수재와 도막방수재간의 균일한 합착 및 일체화가 가능하며, 방수층의 손상없는 도막방수층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공정이 간편하여 시공 공정상 관리 및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보강재에 도막재를 코팅/함침한 시트형 도막재와 시트 방수층을 조합하여 형성하는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방수액 흡수성을 갖는 보강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막방수재가 함침 또는 도포되어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 보강형 시트재와; 상기 도막방수층 표면에 사출 합착되어 일체화 된 시트방수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Reinforcement coating mambrane sheet and dry process complex drainage material and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방수를 위해 사용되는 방수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를 위한 방수재 도포 및 양생 작업없이 현장에서 즉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시공하기 전에 시행되었던 시트 설치 단계와 도막 방수재 도포 공정을 통합하여 신속한 방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예로, 옥상에는 방수기능, 보온, 단열기능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수공법이 선택된다.
이러한 방수공법중 종래의 맴브레인 방수재료 및 공법은 시트 방수 및 도막 방수로 구분되어지며, 시트방수재 및 도막 방수재를 사용한 복합공법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시트 방수는, 합성수지계나 개량 아스팔트등을 이용한 성형 시트방수재를 접착제등으로 대상체에 고정 설치하거나 혹은 부분 접착 방식에 의해 고정 설치하는 방법이다.
한편, 도막 방수는, 액상형태 재료를 대상체에 직접 도포하여 일정시간 양생하거나, 또는 2액형 형태로 주제와 경화제를 혼용하여 도포함으로써 일정한 두께의 불투수층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상기 시트방수재와 도막 방수재를 적용한 복합 방수층의 형성 방법은, 현장에서 시트방수재 설치 완료 후 도막 방수재를 상기 시트 방수재상에 도포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현장 설치 및 도포 방법은, 콘크리트 등 건물의 바탕면에 직접 시트방수재를 설치한 이후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방법으로, 시트재의 경우는 균일한 바탕면을 제공함으로서 일정 품질 확보가 가능한 반면, 이후 적용되는 도막방수층은 현장시공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정한 방수층의 두께 및 방수성능의 균일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도막 방수층 형성의 주된 방법이 롤러를 사용하여 도포하는 방식이므로 이러한 경향이 더욱 심화된다. 또한 시트방수재와 도막 방수재간 균일한 합착 및 일체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국 제품의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도막재 도포 작업 중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에 의한 방수층 손상을 막을 수 없어 방수력이 저하되고 공정이 간편하지 못하여 시공공정성 관리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도막방수층의 일정한 두께 확보가 가능하고, 시트방수재와 도막방수재간의 균일한 합착 및 일체화가 가능하며, 방수층의 손상없는 도막방수층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공정이 간편하여 시공 공정상 관리 및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건물의 방수를 위해 사용되는 방수재에 있어서,
방수액 흡수성을 갖는 보강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단일 또는 조합형태의 도막방수재가 함침 또는 도포되어 도막방수층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도막형 시트재는,
방수액 흡수성을 갖는 보강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막방수재가 함침 또는 도포되어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보강재와;
상기 도막보강재의 도막방수층 표면에 사출 합착되어 일체화 된 시트방수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의 보강재는,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또는 단섬유를 이루고, 그 중량이 50~200g/㎡인 것으로, 니늘 펀칭, 열압착, 열처리 또는 유리섬유로 보강 처리된 부직포 또는 폴리 프로필렌(Poly Propylene)계열의 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의 도막방수재는,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수화응고형, 규산질계, 우레탄/타르우레탄 고무계, FRP에서 택일된 2액형의 반응 경화형 도막방수재 또는 아크릴 고무계, 클로로프로렌고무계, 아크릴 우레탄계, 아크릴수지계, 고무 아스팔트계에서 택일된 1액형의 도막방수재중 어느 하나인 것과 하나 이상의 적층에 의해 조합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1액형 도막재-보강재-1액형 도막재, 1액형 도막재-보강재-2액형 도막재, 2액형 도막재-보강재-2액형 도막재의 경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의 시트방수재는, 경질/연질의 염화비닐수지 시트, LLDPE (Low Liner Density Poly Ethylene) / LLDPE+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 LLDPE+LDPE (Low Density Poly Ethylene)로 구성된 발포 또는 무발포 에틸렌계 시트, VA(Vinyl Acetate)+LLDPE, HDPE, PE(Poly Ethylene) / EVA(Ethylene Vinyl Acetate) / VA 함량이 10~30중량%을 가지는 PE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PEVA)로 구성된 EVA계 시트, EPM(Ethylene Propylene Methyl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ethylene), EPT(Ethylene Propylene Terpolymer)의 단독 또는 LLDPE, LDPE, PE 개질에 의한 가소화 합성수지 고무계 시트, 합성고무계 시트, 합성수지 APP(Atactic Polypropylen), 합성고무 SBS(Styrene Butadiene Styrene)등의 폴리머로 개량된 개량 아스팔트 시트, 합성고무를 이용한 고무화 아스팔트계 시트 및 아스팔트 컴파운드를 적용시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택일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의 제조방법은, 일방에 권취된 보강재(13)를 풀어서 타방으로 귄취 이송시키는 상태에서, 보강재의 일면에 도막방수재를 1회 이상 도포시켜 도막방수층을 형성 건조시킨 후 상기 도막방수층에 시트방수재를 사출 합착하여 일체화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는 종래의 시트방수재와는 달리, 도막보강재와 시트방수재를 일체화시켜서 바로 현장의 구조체에 방수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두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이하, 복합방수재라고 함)(10)는 도막보강재(12)와 시트방수재(15)가 일체화되어 구성된다.
먼저, 도막보강재(12)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은 도막보강재(12)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도막보강재(12)는 방수액 흡수성을 갖는 보강재(13)와, 이 보강재(13)의 일면에 도막방수재가 함침 또는 도포되어 형성된 도막방수층(14)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막보강재(1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방수액 흡수성을 갖는 보강재(13)와, 이 보강재(13)의 양면에 도막방수재가 함침 또는 도포되어 형성된 도막방수층(14)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상기 보강재(13)는,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또는 단섬유를 이루고, 그 중량이 50~200g/㎡인 것으로, 니늘 펀칭, 열압착, 열처리 또는 유리섬유로 보강 처리된 부직포 또는 폴리 프로필렌(Poly Propylene)계열의 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방수층(14)을 이루는 도막방수재는, 2액형의 반응 경화형 도막방수재 또는 1액형의 도막방수재에서 택일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예를 들면, 1액형 도막재-보강재(13)-1액형 도막재, 1액형 도막재-보강재(13)-2액형 도막재, 2액형 도막재-보강재(13)-2액형 도막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1액형 도막재가 사용된 층이 도막방수층(14)을 가리키고, 2액형 도막재를 사용한 층이 도막방수층(14-1)을 가리킨다.
2액형의 반응 경화형 도막방수재의 경우는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수화응고형, 규산질계, 우레탄/타르우레탄 고무계, FRP에서 택일될 수 있고, 1액형의 도막방수재의 경우에는 아크릴 고무계, 클로로프로렌고무계, 아크릴 우레탄계, 아크릴수지계, 고무 아스팔트계에서 택일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시트방수재(15)가 상기 도막보강재(12)와 일체화된 복합방수재(10)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시트방수재(15)는 상기 도막보강재(12)의 도막방수층(14) 표면에 사출 합착되어 일체화된다.
이때 상기 시트방수재(15)는, 경질/연질의 염화비닐수지 시트, 재생/재활용 염화비닐수지 시트, LLDPE (Low Liner Density Poly Ethylene) / LLDPE+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 LLDPE+LDPE (Low Density Poly Ethylene)로 구성된 발포 또는 무발포 에틸렌계 시트, VA(Vinyl Acetate)+LLDPE, HDPE, PE(Poly Ethylene) / EVA(Ethylene Vinyl Acetate) / VA 함량이 10~30중량%을 가지는 PE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PEVA)로 구성된 EVA계 시트, EPM(Ethylene Propylene Methyl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ethylene), EPT(Ethylene Propylene Terpolymer)의 단독 또는 LLDPE, LDPE, PE 개질에 의한 가소화 합성수지 고무계 시트, 합성고무계 시트, 합성수지 APP(Atactic Polypropylen), 합성고무 SBS(Styrene Butadiene Styrene)등의 폴리머로 개량된 개량 아스팔트 시트, 합성고무를 이용한 고무화 아스팔트계 시트 및 아스팔트 컴파운드를 적용시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택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 방수재(10)는 도막방수층(14)이 이미 형성되어 있어 현장시공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방수층의 두께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시트방수재(15)와 도막보강재(12)간의 균일한 합착 및 일체화가 이루어져 제품의 도막방수층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시공시 별도의 도막재 도포 작업이 불필요하여 종래와 같이 시공 작업 중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에 의한 방수층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방수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없고 시공공정성 관리 및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수재(10)의 제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막 방수재를 도포(코팅) 방식으로 적용한 것이나 본 발명은 통상적인 함침 공정으로 대체하여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복합방수재(10)의 생산 공정도로서 2회의 도포공정을 적용한 것이나 1회의 도포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일측 권취롤러(50)에는 코팅 또는 함침될 보강재(13)가 권취되어 있고, 이 보강재(13)는 일측 권취롤러(50)에서 풀려 이송되어져 회전 구동하는 타측 권취롤러(52)에 감아지게 되어 있다.
이송되는 보강재(13)에는 1차 도포용 액상공급탱크(54)로부터 공급된 상기의 도막방수재가 도포된다. 이때 나이프 오버롤 코팅장치(56)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도막방수재가 도포된후 열풍건조기(58)와 냉각기(60)를 거친다.
1차로 도막방수재가 도포 건조된 후에는 2차 도포용 액상공급탱크(62)로부터 또 한번의 도막방수재가 도포되고 열풍건조기(64)와 냉각기(66)를 거쳐 도막보강재(12)가 제작되고, 이 도막보강재(12)는 권취롤러(52)에 감아진다.
이 도막보강재(12)는 연속 또는 분리 공정에 의해 시트재 사출기(68)를 통과하면서 도막보강재(12)의 표면에 시트방수재(15)가 사출 합착되고, 냉각기(70)를 거쳐 복합방수재(10)가 제작되어 권취롤러(72)에 회수된다.
이같이 일방에 권취된 보강재(13)를 풀어서 타방으로 귄취 이송시키는 상태에서, 보강재(13)의 일면에 도막방수재를 1회 이상 도포시키켜서 도막방수층(14)을 형성 건조시킨 후 상기 도막방수층(14)에 시트방수재(15)를 사출 합착시킴으로서 도막보강재(12)와 시트방수재(15)가 일체화로 연속 제작됨으로서 공정이 간단하다.
본 발명의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도막 방수재가 균일하게 함침 또는 도포되어 균일하고 우수한 방수층을 갖는 고품질의 확보가 가능하고, 별도로 현장에서 도포 및 양생하는 작업이 제거되므로 작업인력 및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1회의 설치 시공으로 완성된 방수층 설치가 가능하고, 도막이 이미 부여되어 있고 양생이 불필요하여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강 도막형 시트재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강 도막형 시트재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의 제조 방법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
12 : 보강 도막형 시트재
13 : 보강재
14 : 도막방수층
14-1: 도막방수층
15 : 시트방수재

Claims (6)

  1. 건물의 방수를 위해 사용되는 방수재에 있어서,
    방수액 흡수성을 갖는 보강재(13)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단일 또는 조합형태의 도막방수재가 함침 또는 도포되어 도막방수층(14 또는 14-1)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도막형 시트재.
  2. 청구항 1로 제작된 보강 도막형 시트재(12)의 도막방수층 표면에 사출 합착되어 일체화 된 시트방수재(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3)는,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또는 단섬유를 이루고, 그 중량이 50~200g/㎡인 것으로, 니늘 펀칭, 열압착, 열처리 또는 유리섬유로 보강 처리된 부직포 또는 폴리 프로필렌(Poly Propylene)계열의 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
  4.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재는,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수화응고형, 규산질계, 우레탄/타르우레탄 고무계, FRP에서 택일된 2액형의 반응 경화형 도막방수재 또는 아크릴 고무계, 클로로프로렌고무계, 아크릴 우레탄계, 아크릴수지계, 고무 아스팔트계에서 택일된 1액형의 도막방수재중 어느 하나인 것과 하나 이상의 적층에 의해 조합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도막형 시스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
  5.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방수재(15)는,
    경질/연질의 염화비닐수지 시트, 재생/재활용 염화비닐수지 시트, LLDPE (Low Liner Density Poly Ethylene) / LLDPE+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 LLDPE+LDPE (Low Density Poly Ethylene)로 구성된 발포 또는 무발포 에틸렌계 시트, VA(Vinyl Acetate)+LLDPE, HDPE, PE(Poly Ethylene) / EVA(Ethylene Vinyl Acetate) / VA 함량이 10~30중량%을 가지는 PE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PEVA)로 구성된 EVA계 시트, EPM(Ethylene Propylene Methyl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ethylene), EPT(Ethylene Propylene Terpolymer)의 단독 또는 LLDPE, LDPE, PE 개질에 의한 가소화 합성수지 고무계 시트, 합성고무계 시트, 합성수지 APP(Atactic Polypropylen), 합성고무 SBS(Styrene Butadiene Styrene)등의 폴리머로 개량된 개량 아스팔트 시트, 합성고무를 이용한 고무화 아스팔트계 시트 및 아스팔트 컴파운드를 적용시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택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도막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
  6. 해당 구조체의 방수를 위해 사용되는 방수재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일방에 권취된 보강재(13)를 풀어서 타방으로 귄취 이송시키는 상태에서, 보강재(13)의 일면에 도막방수재를 1회 이상 도포시키켜서 도막방수층(14)을 형성 건조시킨 후 상기 도막방수층(14)에 시트방수재(15)를 사출 합착하여 일체화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도막형 시트재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 건식화 복합 방수재의 제조 방법.
KR1020040011966A 2004-02-23 2004-02-23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80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966A KR100580574B1 (ko) 2004-02-23 2004-02-23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966A KR100580574B1 (ko) 2004-02-23 2004-02-23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449A true KR20050083449A (ko) 2005-08-26
KR100580574B1 KR100580574B1 (ko) 2006-05-16

Family

ID=3726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966A KR100580574B1 (ko) 2004-02-23 2004-02-23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5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164B1 (ko) * 2006-09-21 2008-09-11 김재범 장식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07647B1 (ko) * 2008-09-26 2009-07-13 주식회사흥신이엔씨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방수시트
KR100921676B1 (ko) * 2009-03-04 2009-10-15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가 코팅된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시트 구조체 및 복합 시트 방수 공법
KR102261753B1 (ko) * 2020-12-11 2021-06-08 (주)대흥산업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CN114654645A (zh) * 2022-04-11 2022-06-24 沈阳丰禾包装有限公司 一种pe再生护板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60B1 (ko) 2006-07-12 2007-10-02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방수 시트, 그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0976426B1 (ko) * 2009-06-05 2010-08-17 주식회사 세진엠에스 건축 구조물용 건식 복합 방수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76427B1 (ko) * 2009-08-07 2010-08-17 박진성 인공녹화용 방수-방근 복합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00553B1 (ko) * 2013-08-29 2014-05-27 엄정일 연잎 추출물이 함유된 수용성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41416B1 (ko) * 2019-03-19 2020-08-05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864A (ja) * 1992-04-21 1994-03-08 Asahi Kasei Textiles Ltd 複合シート物
KR20000013600A (ko) * 1998-08-11 2000-03-06 이근욱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차단용 차수시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164B1 (ko) * 2006-09-21 2008-09-11 김재범 장식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07647B1 (ko) * 2008-09-26 2009-07-13 주식회사흥신이엔씨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방수시트
KR100921676B1 (ko) * 2009-03-04 2009-10-15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가 코팅된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시트 구조체 및 복합 시트 방수 공법
KR102261753B1 (ko) * 2020-12-11 2021-06-08 (주)대흥산업 폴리에틸렌계 재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CN114654645A (zh) * 2022-04-11 2022-06-24 沈阳丰禾包装有限公司 一种pe再生护板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574B1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0386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produkter med goda ljudisoleringsegenskaper
KR100971254B1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JP6215914B2 (ja) 高い接着性を有する封止体
KR100580574B1 (ko)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CN102186664A (zh) 防水膜
KR101173181B1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CN203795710U (zh) 一种覆颗粒层的防水保温一体化板
KR20180109361A (ko)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716223B1 (ko) 열 변형방지기능을 가지는 유리섬유 보강 방수재 및 그제작방법
CA2565260A1 (en) Processes for forming a fiber-reinforced product
KR20130096927A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2238477B1 (ko) Tpo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조립구조
CN207359773U (zh) 一种防水卷材
KR100509702B1 (ko) 난연성 복합 단열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10512805B (zh) 应用tpo防水卷材的屋面防水结构
KR20030028286A (ko) 고분자 합성수지 복합방수시이트,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이용한 시공방법
KR101321734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분자 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 시트 방수공법
EP3546208A1 (en) Flexible backing layer for insulating panels and insulating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CN207776289U (zh) 一种防水保温屋面系统
KR10156997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80673B1 (ko) 도막재를 이용한 일체형 복합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H0978775A (ja) 建築物の塗膜防水施工用下地被覆材および該下地被覆材を使用した建築物の複合防水施工法
JP4357968B2 (ja) 防水塗膜構造とこれに用いる水系塗膜防水材用下地緩衝シート。
EP2404749B1 (en) Panel structure that is impermeable to gases, particularly for the insulation of buildings
JPS599035Y2 (ja) 複合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