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999B1 -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999B1
KR102260999B1 KR1020190034853A KR20190034853A KR102260999B1 KR 102260999 B1 KR102260999 B1 KR 102260999B1 KR 1020190034853 A KR1020190034853 A KR 1020190034853A KR 20190034853 A KR20190034853 A KR 20190034853A KR 102260999 B1 KR102260999 B1 KR 102260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fallopian tube
ovarian cancer
uterine cavity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929A (ko
Inventor
정현훈
Original Assignee
(주)엠케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케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엠케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3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999B1/ko
Priority to US17/423,436 priority patent/US20220110615A1/en
Priority to PCT/KR2019/009483 priority patent/WO2020196998A1/ko
Publication of KR2020011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91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6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females
    • A61F6/14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females intra-uterine type
    • A61F6/142Wirelike structures, e.g. loops, rings, spirals
    • A61F6/144Wirelike structures, e.g. loops, rings, spirals with T-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6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females
    • A61F6/14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females intra-uterine type
    • A61F6/18Inserters or removers ; Apparatus for loading an intra-uterine device into an insertion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61K9/0039Devices retained in the uterus for a prolonged period, e.g. intrauterine devices for contra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8Feminine contracep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궁강(Uterine cavity)에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난관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 및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암을 통하여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삽입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워킹채널을 포함하며, 워킹채널이 자궁경부로부터 난관까지의 경로를 유지하도록 자궁강에 거치되는 임플란트, 이를 포함하는 난소암 검사 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은 자궁 내에 거치되는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검사를 단순하게 시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 및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세포검사와 조직검사를 모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Implant for ovarian cancer examination, examination kit including the same, and ovarian cancer sc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주기로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난소암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소암은 부인과 암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암이 발생한 후 복강내 전이가 일어날 때가지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처음 난소암의 진단 시 3기 이상으로 진행된 상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부인암 중 가장 예후가 나쁜 암으로 알려져 있다. 일 예로, 난소암의 약 90%를 차지하는 상피성 난소암 역시 3기 이상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어 5년 이내 생존률이 약 40%로 보고될 정도로 예후가 불량하다.
난소암의 확진은 수술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수술을 진행하기 전 난소암이 의심되는 병소가 있는 경우 질병의 진행정도와 주변 기관으로의 전이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들이 수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영상진단, 전산화단층촬영(CT) 혹은 자기공명영상(MRI) 등과 같은 영상진단과 종양표지(CA-125)에 대한 검사 등을 수행하여 난소암을 유추하고 있으나 난소암을 조기에 선별하거나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전무한 상황이다. 한편 종래 난소암의 검사와 관련하여 미국등록특허 US8486648호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 난소암과 관련하여 난소암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고등급 장액성 선암이 난소가 아닌 난관에서 시작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난소암 검사와는 다른 검사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등록특허 US8486648호 (2013.07.16. 공개)
본 발명은 종래의 난소암에 대한 검사방법과는 달리, 난소암에 대한 선별검사와 조기진단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임플란트,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자궁강(Uterine cavity)에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난관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Arm), 및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암을 통하여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삽입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워킹채널을 포함하며, 워킹채널이 자궁경부로부터 난관까지의 경로를 유지하도록 자궁강에 거치되는 임플란트가 제공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자궁 경부를 통하여 자궁강으로 삽입되며, 암의 적어도 일부가 난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궁내에 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연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 및 암 중 적어도 하나는 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가 자궁강에 거치된 경우 암이 난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암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바디부의 양측에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워킹채널은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한 쌍의 암을 통하여 각각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워킹채널은 삽입도구의 삽입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바디부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 및 암 중 적어도 하나는 자궁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기간동안 호르몬을 분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호르몬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 난관에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내시경, 자궁강에 거치된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를 통하여 자궁경부로부터 난관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삽입도구를 포함하며, 임플란트는 자궁강에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난관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 및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암을 통하여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삽입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워킹채널을 포함하며, 워킹채널이 자궁경부로부터 난관까지의 경로를 유지하도록 자궁강에 거치되는 난소암 검사킷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검사 킷은 임플란트가 비검사기간을 포함한 소정기간동안 자궁강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도구는 난관 내에서 상피세포를 포함한 조직을 포획 또는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도구는, 삽입도구의 단부에 구비되며, 난관 내에서 세포의 포획 또는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이크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마이크로봇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난관의 내벽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를 포함하며, 확장부의 원위단에 구비되며 세포를 포획 또는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채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봇은 워킹채널을 통과할 수 있도록 확장부가 수축된 제1 형태와 난관 내에서 확장부가 확장되는 제2 형태간에 전환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취부는 외면이 곡면의 형태로 구성되며, 외면 중 적어도 일부가 난관의 내벽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 삽입도구를 질관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자궁강에 미리 거치되어 있는 임플란트의 워킹채널 통하여 삽입도구를 난관으로 진입시키는 단계, 삽입도구로 난관 내의 세포 또는 조직을 얻는 단계, 삽입도구를 체외로 빼내는 단계 및 세포 또는 조직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소암 검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는 적어도 일부가 자궁강에 위치하는 바디부, 타측이 난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암 및 바디부 및 암을 통하여 형성되는 워킹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는 가이드와이어 또는 내시경을 바디부 측의 개구를 통하여 워킹채널로 삽입하며, 암 측의 개구를 통하여 소정길이로 인출하는 단계, 자궁경부에 시스(sheath)를 삽입하는 단계, 가이드와이어 또는 내시경의 단부를 시스의 채널을 경유하여 난관으로 삽입하는 단계, 임플란트를 시스의 채널을 통하여 자궁강에 삽입시키며, 암의 적어도 일부를 내시경을 따라 난관에 삽입시키는 단계, 가이드와이어 또는 내시경을 제거(remove)하는 단계 및 시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자궁강에 거치될 수 있다.
한편, 난소암 검사방법은 임플란트의 거치 후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검사하는 단계는 고등급 장액성 상피성 선암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은 자궁 내에 거치되는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검사를 단순하게 시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 및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세포검사와 조직검사를 모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임플란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평면도,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자궁내에 임플란트가 거치되어 있는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을 다른각도에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검사 킷의 개념도이다.
도 6은 검사킷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삽입도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인 임플란트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임플란트에 삽입된 내시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임플란트의 삽입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세포 포획 또는 조직 채취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임플란트의 삽입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임플란트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자궁강(uterine cavity)이라 함은 해부학적으로 자궁 내부의 빈 공간을 뜻하며, 난관(나팔관, fallopian)은 자궁에서 난소에 이르는 튜브형태의 조직을 뜻함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 주기적인 검사의 의미는 소정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검사를 뜻하며, 여기서 소정시간은 수 일 내지 수 개월이 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성 경험이 있는 여성으로 출산 계획이 없는 여성 또는 폐경이 되어 출산이 불가능한 여성을 대상으로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임플란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예의 평면도,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100)는 자궁강(12)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100)는 자궁(11)에 거치되었을 때 자궁경부(13)로부터 난관(14)까지의 경로로 워킹채널(130)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100)는 일 예로 바디부, 암, 돌출부(150), 워킹채널(130), 지지부(160) 및 파이버(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100)는 바디부, 암(arm), 돌출부(150) 및 워킹채널(130)이 한 쌍으로 구성되며, 좌우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100)의 일측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 바디부(111) 및 제1 암(112)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바디부(111)는 자궁강(12)에 거치되었을 때 자궁강(12)의 해부학적 형상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다소 구부러진 만곡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11)의 일측단부는 임플란트(100)가 자궁(11)내에 거치되었을 때 자궁경부(13)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암(112)은 제1 바디부(111)의 타측단부에 구비된다. 제1 암(112)의 일측은 제1 바디부(111)와 연결되며, 타측은 임플란트(100)가 자궁강(12)에 거치되었을 때 어느 하나의 난관(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바디부와 소정각도를 두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암(112)은 도 2(a)에서 우측방향으로 구부러진 만곡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암(112)은 난관(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절한 외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계적으로 난관(14)은 10 내지 13cm의 길이, 0.5 내지 1.2cm 의 내경으로 구성되므로 제1 암(112)은 13cm 이하의 길이 및 1.2cm 이하의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50)는 제1 암(112)이 난관(14)에 삽입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돌출부(150)는 제1 암(112)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기구적으로 삽입된 제1 암(112)의 일부가 난관(1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돌출부(150)는 제1 암(112)의 일부와 함께 난관(14)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난관(14)에 반경방향으로 밀착되어 고정되거나, 난관(14)을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150)가 난관(14)에 위치된 경우 난관(14) 자체의 탄성에 의해 돌출부(150)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워킹채널(130)은 제1 바디부(111) 및 제1 암(112)을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워킹채널(130)은 제1 바디부(111)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개구(170)로부터 연장되며, 제1 암(112)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개구(180)까지 형성될 수 있다. 워킹채널(130)은 후술할 내시경(300) 및 삽입도구(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개구(170)에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경이 확장되어 형성되는 테이퍼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워킹채널(130)은 제1 개구(170)로부터 제2 개구(180)까지 경로를 따라 내시경(300) 또는 삽입도구(200)가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매끄러운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개구(170)를 차폐할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는 임플란트(100)의 워킹채널(130)을 사용하지 않는 일상생활에서 질 내의 물질이 난관(14)으로 이동될 수 있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도어는 착탈형으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워킹채널(130)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바디부(111) 및 제1 암(112)은 해부학적 구조의 다양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연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암(112)은 난관(14)으로 향하는 경로 및 난관(14) 내에서 자연스럽게 거치될 수 있도록 바디부보다 연성이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암(112)은 제1 바디부(111)보다 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암(112)이 제1 바디부(111)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제1 암(112)이 제1 바디부(111)보다 더 얇은 두께로 구성되어 연성이 높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바디부(111) 및 제1 암(112)은 변형이 이루어지더라도 워킹채널(130)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재질 및 두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바디부(111), 제1 암(112), 돌출부(150) 및 워킹채널(13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좌우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부(111)와 제2 바디부(121)는 평행하게 연장되어 구비되며, 제1 암(112)과 제2 암(122)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암(112)과 제2 암(122)의 구성은 난관(14)이 자궁(11)으로부터 좌우 양측에 존재하므로 양측 난관에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바디부(121), 제2 암(122)에 관한 구성은 제1 바디부(111) 및 제1암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지지부(160)는 자궁(11)내에서 바디부가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60)는 바디부의 일측에 바디부와 소정각도를 두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는 임플란트(100)가 삽입되었을 때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60)는 중심부분이 제1 바디부(111) 및 제2 바디부(12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방 및 후방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지지부(160)의 형상은 일 예이며, 자궁(11)내에 임플란트(100)가 거치되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60)는 연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궁경부(13)를 통하여 자궁강(12)에 진입할 때 수축되며, 자궁강(12) 내에서 확장되어 자궁(11)내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연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100)를 영구적으로 체외로 제거하는 경우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변형되어 추출될 수 있는 강도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버(190)는 임플란트(100)의 제거시 외부로부터 견인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파이버(190)는 질관(16)입구 방향으로 잡아당겨 임플란트(100)가 자궁(1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파이버(190)는 임플란트(100)가 자궁(11)내에 거치되더라도 질관(16)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이버(190)는 제1 바디부(111), 제2 바디부(121)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구성되어 소정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정기간동안 자궁(11)내에서 호르몬을 분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호르몬분비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르몬분비부는 일 예로 피임을 위한 호르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임플란트(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자궁(11)내에 임플란트(100)가 거치되어 있는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100)가 거치된 경우 제1 바디부(111) 및 제2 바디부(121)의 제1 개구(170)측은 자궁경부(13)에 위치되며, 제1 암(112) 및 제2 암(122)은 각각 양측의 난관(14)에 삽입되어 거치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60)는 완전히 자궁강(12)에 위치하여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플란트(100)가 거치된 상태로 일상생활을 하더라도 임플란트(100)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임플란트(100)가 자궁(11)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임플란트(100)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워킹채널(130)은 자궁경부(13)로부터 좌우측난관(14)으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하여 난관(14)에서의 세포의 포집 또는 채취가 용이해질 수 있다. 즉 난관(14)에서의 세포 또는 조직의 채취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검사시마다 자궁경부(13)로부터 난관(14)까지의 경로를 확보하지 않더라도 이미 거치되어있는 임플란트(100)를 이용하게 되므로 간단하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임플란트(100)를 포함하는 검사 킷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임플란트(100)를 포함하는 검사킷의 개념도이며, 도 6은 검사킷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100)를 포함하는 검사킷은 임플란트(100), 내시경(300) 및 삽입도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임플란트(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궁(11)내에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시경(300) 및 삽입도구(200)는 임플란트(100)의 워킹채널(130)에 삽입되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워킹채널(1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시경(300)은 단부에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내시경(300)은 임플란트(100)의 설치시에 가이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난관(14) 내의 검사시 시각적인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난관(14)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검사시 마다 난관(14)으로 삽입되기 위한 복잡한 조작과 절차를 거치지 않고 임플란트(100)의 제1 개구(170)에 하여 바로 난관(14)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삽입도구(200)는 난관(14)에서의 세포 또는 조직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도구(2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튜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임플란트(100)의 워킹채널(130)을 따라 곡선상의 경로로 진입될 수 있도록 연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도구(200)의 단부에서 출몰가능한 마이크로봇(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이크로봇(210)은 수축된 상태인 제1 형태로 튜브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부로 노출되었을 때 확장된 상태인 제2 형태로 변환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마이크로봇(210)은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난관(14)의 내벽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확장부(211)와 확장부(211)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채취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확장부(211)는 일 예로 3개로 구성되어 120도 간격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채취부(212)의 외면은 곡면형태로 구성되어 난관(14)의 내벽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확장부(211)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채취부(212)는 일 예로 구의 형태로 구성되며, 외면에 소정패턴으로 구성된 다수의 홈이 구비되어 세포를 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봇(210)은 세포를 포획한 뒤 제1 형태로 수축하여 튜브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튜브에 의해 포획된 세포가 보호되면서 워킹채널(130)을 따라 외부로 빼낼 수 있게 된다.
도 7은 삽입도구(200)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도구(200)는 튜브의 단부에서 출몰가능하도록 구성된 채취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채취부(212)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구성된 바스켓(basket)타입(도 7(a)), 조직을 움켜쥘 수 있도록 구성된 클립 타입(도 7(b)), 조직을 긁을 수 있는 스푼타입(도 7(c)), 조직을 쓸어낼 수 있는 브러쉬 타입(도 7(d)) 등 세포를 포획하거나 조직을 채취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인 임플란트(100)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도면은 개인차에 의해 난관(14)의 일측에만 암을 거치해야 하는 경우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100)는 하나의 바디부와 하나의 암으로 구성되어 일측 난관(14)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100)가 자궁강(12)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설치되므로 설치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부(160)가 바디부와 다소 큰 각도를 이루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60)는 임플란트(100)가 하측방향 및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100)의 삽입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임플란트(100)에 삽입된 내시경(3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임플란트(100)의 삽입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단계로서 내시경(300)을 제1 개구(170)를 통하여 워킹채널(130)로 삽입시키고 임플란트(100)를 통과시켜 제2 개구(180)측으로 인출하게 된다. 여기서 내시경(300)의 강성에 의해 바디부 및 암은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내시경(300)이 암 측으로 인출된 길이는 자궁경부(13)로부터 난관(14)의 입구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 이상이 될 수 있다.
이후 도 10(a)와 같이 자궁경부(13)로부터 시스(400)를 삽입하여 질관(16)으로부터 자궁강(12)까지의 경로를 확보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시스(40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궁경부(13)를 잡아당겨 자궁(11)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도 10(b)와 같이 질관(16)으로 삽입된 내시경(300)을 시스(400)의 채널을 통하여 자궁경부(13) 및 자궁강(12)을 경유하여 난관(14)에 삽입시키게 된다. 내시경(300)의 삽입시 내시경(300)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확인하면서 내시경(300)을 조작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후 도 1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플란트(100)를 질관(16) 내측, 시스(400)의 채널을 통하여 자궁강(12)으로 삽입한다. 여기서 내시경(300)은 고정한 채로 임플란트(100)만을 전진시킨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임플란트(100)의 전진을 위해 별도의 도구가 구비되어 임플란트(100)의 고정부를 지지하면서 삽입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100)는 워킹채널(130)에 내시경(300)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내시경(30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으며, 내시경(300)을 삽입됨에 따라 임플란트(100)의 최단부인 암이 내시경(300)을 따라 난관(14)으로 향하여 삽입된다.
이후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의 단부가 내시경(300)을 따라 난관(14)으로 삽입되며, 돌출부(150)가 난관(14)에 삽입되어 암의 거치가 관료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60)는 시스(400)로부터 이탈하여 복원력에 의해 펼쳐지게 된다.
이후 도 12(a)와 같이 내시경(300)을 외부로 빼낸(remove) 후 도 12(b)와 같이 시스(400)를 빼내어 임플란트(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임플란트(100)를 이용한 검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세포 포획 또는 조직 채취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100)는 설치된 시점과는 독립적으로 검사를 수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난소(15)암 검사를 위해 난관(14)에서 세포의 포획 또는 조직의 채취가 필요한 경우 질관(16)으로 삽입도구(200)를 진입시키며, 자궁경부(13)에서 질관(16)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1 개구(170)에 삽입도구(200)를 삽입한다. 이후 삽입도구(200)를 워킹채널(130)을 따라 난관(14)까지 삽입시킨다. 난소(15)에 인접한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도구(200)를 소정길이로 삽입한다. 검사위치에 도달한 경우 삽입도구(200)를 조작하여 세포를 포획하거나 조직을 채취하여 외부로 빼내게 된다.
한편 검사와 관련하여, 삽입도구(200)의 삽입길이는 워킹채널(130)의 길이 및 난관(14)의 길이를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삽입길이는 삽입도구(200)의 단부가 워킹채널(130)을 통과하며 난관(14)에 도달하며, 난소(15)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길이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난관(14)에서 포획된 세포 또는 채취된 조직을 유전자 검사, 악성세포유무 검사 등의 검사를 수행하여 난관의 장액성 상피내 난소암(Serous tubal intraepithelial carcinomas; STICs)의 조기진단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임플란트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임플란트의 삽입과정의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삽입은 내시경을 바디부 측의 개구를 통하여 워킹채널로 삽입하는 단계(S110), 암 측의 개구를 통하여 소정길이로 인출하는 단계(S120), 자궁경부에 시스를 삽입하는 단계(S130), 내시경의 단부를 시스의 채널을 경유하여 난관으로 삽입하는 단계(S140), 임플란트를 시스의 채널을 통하여 자궁4강에 삽입시키며, 암의 적어도 일부를 내시경을 따라 난관에 삽입시키는 단계(S150), 내시경을 제거(remove)하는 단계(S160) 및 시스를 제거하는 단계(S170)가 수행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임플란트의 삽입은 검사 전 이루어지며, 임플란트의 수명기간동안 자궁내에 거치될 수 있다. 임플란트의 거치기간동안 주기적인 검사시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임플란트의 삽입은 내시경을 바디부 측의 개구를 통하여 워킹채널로 삽입하는 단계(S110) 및 암 측의 개구를 통하여 소정길이로 인출하는 단계(S120)는 임플란트의 삽입하기 위한 준비단계에 해당한다. 내시경은 구조상 후단에 핸드피스 또는 커넥터와 같은 부피가 큰 요소들이 구비되므로 워킹채널을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삽입을 가이드한 후 내시경을 원활하게 빼낼 수 있도록 임플란트에 내시경을 먼저 삽입할 수 있다.
자궁경부에 시스를 삽입하는 단계(S130)는 임플란트를 자궁강으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진입공간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단계에서는 시스를 예를 들었으나, 워킹채널이 구비된 자궁경이 사용될 수 있다. 자궁경을 사용하는 경우 자궁강에 진입하면서 자궁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의 최종적인 거치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내시경의 단부를 시스의 채널을 경유하여 난관으로 삽입하는 단계(S140)는 임플란트의 암의 단부가 난관으로 삽입되는 경로를 미리 확보하여 가이드할 수 있도록 내시경을 먼저 진입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내시경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확인하면서 내시경을 난관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를 시스의 채널을 통하여 자궁강에 삽입시키며 암의 적어도 일부를 내시경을 따라 난관에 삽입시키는 단계(S150)는 내시경의 단부가 난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시경을 고정하고 임플란트를 전진시켜 자궁강 내로 진입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때 임플란트의 후단을 지지하며 시스안으로 밀어넣게 된다. 임플란트는 암의 단부가 먼저 시스로 진입하면서 내시경을 따라 가이드되며, 최종적으로 돌출부를 포함한 암의 일부가 난관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내시경을 제거(remove)하는 단계(S160)는 임플란트는 고정시킨 채 내시경을 체외로 빼내는 단계에 해당한다.
시스를 제거하는 단계(S170)는 자궁에 삽입되어 있는 시스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임플란트는 시스를 통과할 때 지지부가 접혀진상태로 진입하게 되며, 자궁강 내에서 펼쳐져 자궁내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지부는 시스로부터 빠져나옴과 동시에 자체 탄성에 의해 펼쳐지게 된다. 지지부가 시스로부터 빠져나오는 시기는 임플란트를 자궁강에 삽입하는 과정 또는 시스를 제거하는 과정 중에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임플란트는 내시경 대신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하여 가이드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와이어의 단부를 난관으로 삽입하기 위해 별도의 영상장비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임플란트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를 이용한 검사방법은, 삽입도구를 질관내부로 삽입하는 단계(S210), 자궁강에 미리 거치되어 있는 임플란트의 워킹채널 통하여 삽입도구를 난관으로 진입시키는 단계(S220), 삽입도구로 난관 내의 세포 또는 조직을 얻는 단계(S230), 삽입도구를 체외로 빼내는 단계(S240) 및 세포 또는 조직을 검사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삽입된 임플란트가 질관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길이로 구성되어 자궁강 내에 거치되는 경우 먼저 임플란트에 구비된 파이버를 잡아당겨 워킹채널의 개구를 질관측으로 노출시키는 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삽입도구를 질관내부로 삽입하는 단계(S210)는 질관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난관에서 세포를 포획 또는 조직을 채취하기 위한 삽입도구를 질관 내부로 진입시키는 단계이다.
자궁강에 미리 거치되어 있는 임플란트의 워킹채널 통하여 삽입도구를 난관으로 진입시키는 단계(S220)는 자궁경부측에 노출되어 있는 임플란트의 워킹채널로 삽입도구를 삽입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삽입도구가 워킹채널에 삽입되는 경우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난관까지 워킹채널을 따라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삽입길이에 따라 샘플링하는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삽입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 난소에 인접한 위치에서 샘플링할 수 있으며, 짧게 하는 경우 자궁에 인접한 위치에서 샘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삽입도구로 난관 내의 세포 또는 조직을 얻는 단계(S230)는 난관내에서 삽입도구를 조작하여 샘플링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삽입도구는 난관의 내벽 에 접촉하여 세포 또는 조직을 얻거나 난관내의 체액을 채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삽입도구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삽입도구를 체외로 빼내는 단계(S240)는 포획된 세포 또는 채취된 조직을 보호하면서 체외로 빼내는 단계에 해당한다. 삽입도구는 워킹채널을 통하여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수행될 수 있다.
세포 또는 조직을 검사하는 단계(S250)는 난관에서 채취한 샘플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여 난소암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일 예로서, 난관의 장액성 상피내 난소암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전술한 임플란트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은 최초 1회의 임플란트 거치 이후 소정기간 간격으로 수행되는 정기검사 또는 상시 검사에서 반복적으로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은 자궁 내에 거치되는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검사를 단순하게 시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 및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세포검사와 조직검사를 모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1: 자궁
12: 자궁강 13: 자궁경부
14: 난관 15: 난소
100: 임플란트
111: 제1 바디부 112: 제1 암
121: 제1 바디부 122: 제2 암
130: 워킹채널
140: 만곡부
150: 돌출부
160: 지지부
170: 제1 개구 171: 테이퍼부
180: 제2 개구
190: 파이버
200: 삽입도구
210: 마이크로봇
211: 확장부
212: 채취부
300: 내시경 400: 시스(sheath)

Claims (20)

  1. 자궁강(Uterine cavity)에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난관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arm); 및
    상기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암을 통하여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삽입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워킹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워킹채널이 자궁경부로부터 상기 난관까지의 경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자궁강에 거치되며,
    거치기간 동안 주기적인 검사시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임플란트.
  2. 제1 항에 있어서,
    자궁 경부를 통하여 자궁강으로 삽입되며, 상기 암의 적어도 일부가 난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궁내에 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연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암 중 적어도 하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가 상기 자궁강에 거치된 경우 상기 암이 상기 난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채널은 상기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암을 통하여 각각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채널은 상기 삽입도구의 삽입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자궁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기간동안 호르몬을 분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호르몬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9. 난관에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내시경;
    자궁강에 거치된 임플란트; 및
    상기 임플란트를 통하여 자궁경부로부터 상기 난관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삽입도구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는,
    자궁강에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난관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 및
    상기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암을 통하여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삽입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워킹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워킹채널이 자궁경부로부터 상기 난관까지의 경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자궁강에 거치되며,
    상기 임플란트는 거치기간 동안 주기적인 검사시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난소암 검사킷.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비검사기간을 포함한 소정기간동안 자궁강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암 검사킷.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도구는 상기 난관 내에서 상피세포를 포함한 조직을 포획 또는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암 검사킷.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도구는,
    상기 삽입도구의 단부에 구비되며, 난관 내에서 세포의 포획 또는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이크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암 검사킷.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봇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난관의 내벽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의 원위단에 구비되며 세포를 포획 또는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채쥐부를 포함하는 난소암 검사킷.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봇은,
    상기 워킹채널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확장부가 수축된 제1 형태와 상기 난관 내에서 상기 확장부가 확장되는 제2 형태간에 전환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암 검사킷.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봇은 채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취부는 외면이 곡면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난관의 내벽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암 검사킷.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34853A 2019-03-27 2019-03-27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 KR102260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53A KR102260999B1 (ko) 2019-03-27 2019-03-27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
US17/423,436 US20220110615A1 (en) 2019-03-27 2019-07-30 Implant for screening test of ovarian cancer, screening test kit comprising same, and ovarian cancer screening test method using same
PCT/KR2019/009483 WO2020196998A1 (ko) 2019-03-27 2019-07-30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53A KR102260999B1 (ko) 2019-03-27 2019-03-27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929A KR20200113929A (ko) 2020-10-07
KR102260999B1 true KR102260999B1 (ko) 2021-06-04

Family

ID=7261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53A KR102260999B1 (ko) 2019-03-27 2019-03-27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10615A1 (ko)
KR (1) KR102260999B1 (ko)
WO (1) WO2020196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654A (ko) 2021-08-19 2023-02-28 서울대학교병원 자궁내막암과 난소암 선별검사를 위한 세포 및 체액 포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1039B (zh) * 2021-04-26 2022-10-18 金浙滔 一种输卵管节育装置、植入器及取出器
CN113317852B (zh) * 2021-06-22 2022-07-01 北京大学深圳医院 用于push手术的输卵管间质部的定位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460A1 (en) 2009-01-20 2010-07-29 Aegea Medical, Inc. Uterine therapy device and method
US20140031742A1 (en) * 2011-01-31 2014-01-30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Catheter for treating ectopic pregnancy, catheter guide, and catheter unit for treating ectopic pregnancy, including the catheter and the catheter guide
US20150282839A1 (en) * 2004-02-25 2015-10-08 Femasy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onduit Occlus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4375A (en) * 1993-09-24 1994-11-15 Surgical Safety Products, Inc. Catheter device for the localized introduction and maintenance of pharmaceutical material in the uterine cervix and upper vagina
EP0751738A4 (en) * 1994-03-07 1998-11-11 Concept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YSTEROSCOPIC AND FALLOSCOPIC EXPLORATIONS
US5716321A (en) * 1995-10-10 1998-02-10 Conceptus, Inc. Method for maintaining separation between a falloposcope and a tubal wall
US6080129A (en) * 1996-12-23 2000-06-27 Concept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ysterosalpingography
EP1278480A2 (en) * 2000-04-25 2003-01-29 Impres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intrauterine adhesions
WO2006089125A2 (en) 2005-02-16 2006-08-24 Dana-Farber Cancer Institute Methods of detecting ovarian cancer
EP2140860A1 (en) * 2008-07-03 2010-01-06 Bayer Schering Pharma Oy An improved method of contraception
KR20120088510A (ko) * 2011-10-05 2012-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유니트
EP2950873B1 (en) * 2013-02-01 2019-09-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for fallopian tube diagnostic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2839A1 (en) * 2004-02-25 2015-10-08 Femasy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onduit Occlusion
WO2010085460A1 (en) 2009-01-20 2010-07-29 Aegea Medical, Inc. Uterine therapy device and method
US20140031742A1 (en) * 2011-01-31 2014-01-30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Catheter for treating ectopic pregnancy, catheter guide, and catheter unit for treating ectopic pregnancy, including the catheter and the catheter gui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654A (ko) 2021-08-19 2023-02-28 서울대학교병원 자궁내막암과 난소암 선별검사를 위한 세포 및 체액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10615A1 (en) 2022-04-14
WO2020196998A1 (ko) 2020-10-01
KR20200113929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999B1 (ko) 난소암 검사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킷 및 이를 이용한 난소암 검사방법
US3636940A (en) Method for collecting cellular material by circulating a fluid within a body cavity
US4735214A (en) Gastrointestinal diagnostic capsule and method of use
JPH09108227A (ja) 医療装置
US200601610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on of cell clusters
CN105530873A (zh) 用于卵巢癌筛查的设备和方法
JP4643097B2 (ja) 生理学的標本採取装置
KR102030238B1 (ko) 자궁경부 조직 검사용 의료기구
GB2469062A (en) Tissue collecting device
BR112019011766A2 (pt) dispositivo, kit e método para biópsia com escova
KR101227764B1 (ko) 자궁경부용 세포채취기 구조
ES2912503T3 (es) Sistema para inseminación intrauterina
KR101739700B1 (ko)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US20110184314A1 (en) Endocervical lavage device and method
KR101652477B1 (ko)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
KR102610670B1 (ko) 자궁내막암과 난소암 선별검사를 위한 세포 및 체액 포집장치
KR102043528B1 (ko)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CN214712614U (zh) 一种宫颈管内膜及组织物搔刮采集装置
KR102242724B1 (ko) 브러쉬 와이어를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세포진검사용 스텐트
KR102242357B1 (ko)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CN102791184B (zh) 包括监测用中空部分的用于子宫颈检查的导管及含该导管的检测器
KR100571548B1 (ko) 자궁경부세포 자가채취기구
CN210612101U (zh) 一种内窥镜焦点固定装置
Prolla Histopathology and cytology in detection
CN113081074A (zh) 一种宫颈管内膜及组织物搔刮采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